KR20070100349A - 하악을 전진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하악을 전진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0349A
KR20070100349A KR1020077018193A KR20077018193A KR20070100349A KR 20070100349 A KR20070100349 A KR 20070100349A KR 1020077018193 A KR1020077018193 A KR 1020077018193A KR 20077018193 A KR20077018193 A KR 20077018193A KR 20070100349 A KR20070100349 A KR 20070100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rior
maxillary
orthodontic device
piercing
pierc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3760B1 (ko
Inventor
궈핑 옌
Original Assignee
궈핑 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6473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10034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AU2005900090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5900090A0/en
Application filed by 궈핑 옌 filed Critical 궈핑 옌
Publication of KR20070100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6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 A61C7/065Extra-oral force transmitting means, i.e. means worn externally of the mouth and placing a member in the mouth under tension with a chin c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환자의 하악을 전진 또는 돌출 위치에 보유하기 위한 교정 장치(100)는 상기 하악을 덮고 있는 환자의 잇몸에 접촉하여 하악의 수축력에 대해 저항하는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125) 및 상기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125)이 기대어 받쳐지는 상악외측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115)을 포함한다. 상기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 및 상악외측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치과 교정 장치의 회전에 대해 저항하도록, 상기 교정 장치에는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140)이 제공된다. 상악 및 하악 교각치 표면들의 상대 위치들은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하악을 전진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MANDIBULAR ADVANCEMENT}
본 출원은, 그의 내용이 본 발명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으며, 2005년 1월 10일자 출원된 호주 특허 출원 제2005900090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치과 교정 장치 및 교정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하악을 돌출 위치에 보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상 호흡 중에, 공기는 코를 통과하여 부드러운 입천장, 목젖 및 혀 등의 목구멍 뒤의 가요성 구조물들을 통과한다. 잠을 깰 때, 근육들이 기도를 개방시킨 채 보유하지만, 수면 중에는, 이 근육들이 이완되어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코골이, 상기도저항증후군(UARS), 및 폐색성 수면 무호흡증(OSA) 등의 수면 장애 호흡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기도가 폐색될 때 발생하고, 종종 그 폐색에 혀가 관련되어진다. OSA중에, 혀가 목구멍 뒤로 빨려들어가면, 공기 유동을 완전하게 차단하게 된다. 뇌의 산소 레벨이 충분히 낮아지면, 수면자는 부분적으로 잠을 깨게되며 근육들이 수축하여 기도를 다시 개방시킨다. 이러한 주기적인 기도 폐색은 심장마비 및 죽음에 이르게 될 가능성이 있는 심장혈관 질환에 기여함을 포함한,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술, 지속적 양압 호흡 보조기(Continuous Posive Airway Pressure, CPAP) 및 교정 장치의 이용을 포함하는 다수의 유용한 옵션들이 제공되어 있다. 교정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소형이고 착용이 용이하며 저렴하기 때문에 더욱 선호하는 옵션이 되고 있다. 교정 장치의 다른 장점은 치료가 가역적이고 덜 침습적인 점이다.
하악 전진 장치(MAD)는 하악을 돌출 위치에 고정하도록 사용되며, 수면장애호흡의 치료에 효과가 증명된, 교정 장치의 일종이다. 하악을 돌출 위치에 고정하면, 기도를 막지않게 되고 호흡시 혀 충격 가능성을 감소시킴에 의해 수면장애호흡의 징후를 제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보일(boil) 및 교합 MAD는 미리 조립되고, 환자의 집에서 환자 치아에 대해 몰딩되는 부드러운, 열가소성 재료로 안쪽을 붙인다. 상기 MAD는 주로 앞니에서 하악과 결합하고 따라서 두 개의 치아들에만 전진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MAD들은 비교적 저렴하고 사용이 용이하지만, 일부 환자들에서 하부 앞니에 과도한 힘이 가해질 가능성이 있어서 시간이 지나면 불편하거나, 치아가 이동하거나 장치의 치수의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다른 잠재적 문제는 그들이 환자에 대해 일단 주조되면, 조정할 수 없게 되어, 더 넓은 범위의 환자들의 응용 가능성을 제한받게 된다. 또한, 일부 환자들은 입에서 상기 MAD를 떠받치는 상부 및 하부 턱 모두에 건강한 잇몸 및 치아를 갖고 있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는 치아 및 잇몸의 모델들을 만들도록 사용되는 입의 의치 본들을 뜨도록 치과 의사의 참석을 필요로 하는 실험실 제조 MAD가 있다. 그 후, 이 본들은 상부 및 하부 치아 모두를 쉬우기 위한 치과적 덮개 제조 및 하악을 돌출시켜 기도 개방을 돕도록 사용된다. 또한, 실험실 제조 MAD도 치아에 과도한 힘을 주게 되어, 고통 및 치아의 이동을 겪게 한다. 또한, 실험실 제조 MAD들은 건강한 잇몸과 치아 모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환자의 치과적 요구조건에 따라 만들어야 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는 임의의 토론 문서, 작용, 재료, 장치, 물품 등은 전적으로 본 발명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들이다. 이들 중 어느 것 또는 모두가 종래 기술 기반의 일부분을 형성하거나 또는 본 출원의 각 청구항의 우선일 전에 존재했던 본 발명에 관련된 분야의 일반적인 공통의 지식임을 허용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들 "포함", 또는 그의 변형들은 기재된 요소,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요소들의 그룹, 정수 또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이지만, 임의의 다른 요소,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요소들의 그룹, 정수 또는 단계들의 그룹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의미임을 이해하기 바란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환자의 하악을 돌출 위치에 보유하기 위한 치과 교정 장치로서,
상기 하악을 덮고 있는 환자의 잇몸에 접촉하여 하악의 수축력에 대해 저항하는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
상기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이 기대어 받쳐지는 상악외측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
상기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 및 상악외측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치과 교정 장치의 회전에 대해 저항하는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을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을 덮고 있는 환자의 잇몸 상에 접촉하여 상기 하악의 수축력에 저항하는 단계;
상악외측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에 대해 상기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을 죄는 단계; 및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과, 상기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 및 상악외측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에 대해 죄는 단계를 포함하는, 돌출 위치에 환자의 하악을 유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 및/또는 상악외측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 및/또는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을 포함하는 부품들의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은 오목하며 상기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은 상악골을 덮고 있는 조직에 편안하게 끼워져 그 형상에 일치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은 구강외에 있고 코 아래의(subnasal) 상악골을 덮고 있는 부드러운 조직으로 밀려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은 하악의 돌출 정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교정 장치상에 조정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교정 장치는 하악이 돌출 위치에 있을 때 혀를 접촉시키는 혀 교각치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혀 교각치 표면은 혀를 전방 위치, 및/또는 눌려진 위치에 보유하여, 혀의 기도 폐색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교정 장치는 환자의 편안함을 위해 혀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은 볼록하고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각치 표면은 하악을 덮고 있는 잇몸에 편안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형상인 탄력적인 열가소성 재료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은 실리콘 고무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교정 장치는 환자의 입에서 교정 장치의 측면 이동에 저항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표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교정 장치는 교정 장치를 배치하기 위한 두 개 이상의 안내 표면들을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교정 장치는 환자의 부드러운 입천장을 지지하도록 부드러운 입천장 교각치 표면을 더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도 상기 부드러운 입천장 교각치 표면은 부드러운 입천장의 표면에 일치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교정 장치에는 장치를 통한 공기 유동을 촉진하도록 공기 구멍들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교정 장치는 하부 치열 및/또는 상부 치열에 결합될 치아 안정화 판을 더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의 예들을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사시도,
도7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사시도,
도7b는 도7a에 도시된 실시예의 화살표 A를 따른 정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사시도,
도10a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사시도,
도10b는 도10a에 도시된 실시예의 A를 따른 정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사시도, 및
도14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교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하악 표면"은 하부 턱의 전방부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 전방부에 부속되는 모든 것들을 포함하도록 취해진다. 비제한적인 예들의 전방 하악 표 면들은 뼈, 잇몸 또는 치육, 치아, 보철 및 고정 또는 제거 가능한 다른 장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악 표면"은 상부 턱에 부착되거나 도는 그 턱에 부속된 모든 것들을 포함하도록 취해진다. 비제한적인 예들의 상악 표면들은 뼈, 잇몸, 치아, 보철 및 고정 또는 제거 가능한 다른 장치를 포함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교정 장치(100)는 구강외 부재(105) 및 환자의 입 내측에 맞게 되는 구강내 부재(110)를 포함한다. 상기 부재들(105,110)은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된다. 이와 다르게, 이러한 구강외 및 구강내 부재들이 경질의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열가소성 재료들은 가열에 의해 연화되어 그들의 형상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며, 적절한 열가소성 재료들의 예들은 아크릴, 하드 듀로미터, 폴리프로필렌, 메틸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및 하드 듀로미터 우레탄을 포함한다.
오목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115)은 나사식 볼트(120)에 의해 상기 부재(105)에 장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115)은 입술을 향해 약간 각도를 이루게 되어 코 아래의 상악골을 덮고 있는 조직과 더 균일한 접촉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115)은 코를 통한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주거나 또는 방해하지 않도록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은 슬라이드 장치 또는 종래 기술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해 교정 장치에 조정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은 교정 장치의 본 체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115)은 코 아래의 상악골을 덮고 있는 부드러운 조직 및 피부 상에 편안하게 맞추어지는 형상의 탄성 재료로 제조된다. 적절한 열가소성 재료들의 예들은 카프로락톤, 폴리카프로락톤, 1,4-디부탄디올 폴리에스터, 2-옥세파논 또는 실리콘 고무를 포함한다.
도1의 실시예의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125)은 볼록한 밴드이고 부재(130)에 의해 부재(110)에 부착된다.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125)은 하악을 덮고 있는 잇몸으로 밀려진다. 이 배열은 하나 이상의 전방 하악치들을 잃은 환자들에게 상기 교정 장치(100)를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하악을 덮는 잇몸 접촉에 의해, 상기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125)은 하악 치아가 시간 경과 시에 바람직하지 않게 위치 변화되는 기회를 피하거나 또는 최소화한다.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부재(110)는 환자의 편안함을 위해 혀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만곡부(135)를 포함한다. 구강내 후방의 상악 교각치 표면(140,140')은 상악 표면과 접촉하는 편평한 돌출부들이다.
구강내 후방의 상악 교각치 표면(140,140') 및 상악 표면 사이의 접촉은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125) 및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115)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치과 교정 장치(100)의 회전에 저항하도록 협력한다. 구강내 후방의 상악 교각치 표면(140,140')은 치아의 원치 않는 변위를 야기하기에 충분한 측면으로의 힘을 치아에 가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강내 후방의 상악 교각치 표면(140,140')은 환자의 후방 상악 특징들에 편안하게 일치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 다. 상악 표면들과 헐겁게 접촉하도록 두 개의 안내 표면들(150,150')이 배치되며,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구강내 후방의 상악 교각치 표면은, 환자의 입에 교정 장치를 배치하도록, 상악 구치 또는 소구치(작은 어금니)와 접촉할 수 있다.
하악의 돌출 또는 전진 정도는 임상의 요구 조건들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하악의 상대적 변위는 좌우 또는 전후로의 성분들을 가지도록 될 수 있다. 하악의 돌출은 혀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특히 수면 시에) 인두 상에 영향을 주게 되는 혀의 경향을 감소시킨다.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참조하면, 교정 장치(200)는 나사식 볼트(220)에 의해 구강외 부재(205)에 장착되는 오목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215)을 포함한다. 구강내 부재(210)는 부재(230) 및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225)을 가진다.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240,240')은 편평한 돌출부이다. 교정 장치(200)의 측면 이동에 대해 저항하도록 상악 표면과 헐겁게 접촉하기 위해 두 개의 안내 표면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안내 표면들은 상악 구치 또는 소구치와 헐겁게 접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안내 표면들의 형상 및 형태는 환자의 요구 조건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참조하면, 교정 장치(300)는 나사식 볼트(320)에 의해 구강외 부재(305)에 장착되는 오목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315)을 포함한다. 구강내 부재(310)는 부재(330),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325) 및 두 개의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340,340')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상악 표면과 헐겁게 접촉하도록 안내 표면들(350,350')이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들에 서, 이러한 안내 표면들은 환자의 입에 교정 장치(300)를 배치하여 그의 측면 이동에 대해 저항하도록 상악 구치 또는 소구치와 접촉하게 된다. 부재(310)는 또한 환자의 혀가 연장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한다.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참조하면, 교정 장치(400)는 나사식 볼트(420)에 의해 구강외 부재(405)에 장착되는 오목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415)을 포함한다. 구강내 부재(410)는 부재(430),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425) 및 두 개의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440,440')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환자의 편안함을 위해 혀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승된 부재(460)에 의해 안내 표면들(450,450')이 연결된다.
도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참조하면, 교정 장치(500)는 슬라이딩 아암(520)에 의해 구강외 부재(505)에 장착되는 오목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515)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아암의 길이는 놉(560)의 작동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놉은 상기 오목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다른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다른 수단은 환자의 필요 및/또는 선호에 적합하게 관련된 상악 교각치 표면의 각도를 제어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외 부재(505)의 길이는 구강외 조정 수단(555)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이러한 구강외 부재의 길이는, 예컨대 교정 장치 제조 시에 환자의 필요에 맞추어 제조될 수 있다.
구강외 부재(505)는 부재(510)에 의해 교정 장치의 구강내 본체부(565)에 연 결된다. 부재(510)의 길이는 환자의 요구 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교정 장치(500)를 통해 주변으로의 공기 유동을 개선하고, 구강내 부분(565)을 통과하도록 도시된 공기 구멍들(570,570')이 배치된다. 이 특징의 포함은,예컨대, 코막힘 또는 충혈되어 있는 호흡 곤란 환자들에 대해 장점이 있다.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525)은 부재들(530,530')에 의해 본체부(565)에 연결된다. 이 변화는 사용자의 혀의 더욱 편안한 신장 공간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565)에 아암들(530,530')이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이와 다르게, 이러한 아암들이 슬라이드 장치 또는 종래 기술에 알려진 다른 수단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525)은 볼록한 밴드이고 하악을 덮고 있는 잇몸으로 밀려진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은 전방 하악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540,540')은 아암(535,535')에 의해 구강내 본체부(565)에 연결된다. 아암(535,535')의 이러한 배열은 장치의 편안함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혀에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치 표면(540,540')은 상악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편평한 돌출부들이다. 이 접촉은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525) 및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515)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교정 장치(500)의 회전에 저항하게 된다.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들(540,540')은 부드러운 입천장 교각치 표면(550)에 의해 분리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표면은 환자의 부드러운 입천장에 일치되 거나 또는 지지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 배열은 수면 중에 부드러운 입천장이 취약해 질 수 있는 환자들에게 유익하다. 또한 부드러운 입천장을 지지함에 의해, 일부 상황들에서 교정 장치의 효과가 개선될 수 있다.
도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참조하면, 교정 장치(600)는 슬라이딩 아암(620)에 의해 구강외 부재(605)에 장착되는 오목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615)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아암(620)의 길이는 놉(660)의 작동을 통해 조정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외 부재(605)의 길이는 구강외 조정 수단(655)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구강외 부재(605)는 부재(610)에 의해 교정 장치의 구강내 본체부(665)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교정 장치를 통해 주변으로의 공기 유동을 개선하도록, 구강내 본체부(665)을 통과하도록 된 공기 구멍들(670,670')이 배치된다. 볼록한 밴드 형상의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625)은 부재들(630,630')에 의해 본체부(665)에 연결된다.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640,640')은 아암(635,635')에 의해 구강내 본체부(665)에 연결된다. 상기 교각치 표면(640,640')은 상악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편평한 돌출부이다. 이 접촉은 상기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625) 및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615)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교정 장치(600)의 회전에 저항하게 된다.
상기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640,640')은 상악 표면과 접촉하여 교정 장치를 환자의 입 내에 배치하는데 조력하도록 배치된 안내 표면들(650,650')을 각각 포함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들(640,640') 사이를 직접 연결하는 부재가 없다. 이 배열은 사용자의 혀가 더 편안한 신장 공간을 가지며 수면 중에 부드러운 입천장이 약해지는 문제를 갖지 않는 환자들에게 특히 유용한 장점을 가진다.
도7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참조하면, 교정 장치(700)는 조정 가능한 아암(720)을 통해 구강외 부재(705)에 장착되는 오목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715)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아암(720)의 길이는 놉(760)의 작동을 통해 조정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외 부재(705)의 길이는 구강외 조정 수단(755)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구강외 부재(705)는 부재(710)에 의해 교정 장치의 구강내 본체부(765)에 연결된다. 볼록한 밴드 형상의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725)은 부재들(730,730')에 의해 본체부(765)에 연결된다. 상기 본체부(765)는 사용자의 전방 상악 및 하악 표면들에 편안하게 일치도록 될 수 있다.
도7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체부(765)는 공동(775)을 가진다. 방향 A에서 본 본체부(765)의 도면인,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775)의 구멍은 혀의 연장된 신장 공간을 허용하고 혀를 돌출 위치에 유지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이러한 배열은 일부 환자들에서 교정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740,740')은 아암들(735,735')에 의해 구강내 본체부(765)에 연결된다. 상기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740,740')은 상악 표면의 적 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편평한 돌출부들이다. 이러한 접촉은 상기 하악 교각치 표면(725) 및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715)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교정 장치(700)의 회전에 저항하게 된다.
상기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740,740')은 상악 표면과 접촉하여 교정 장치를 환자의 입 내에 배치하는데 조력하도록 배치된 안내 표면들(750,750')을 각각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교각치 표면들(740,740') 사이를 직접 연결하는 부재가 없다. 이 배열은 사용자의 혀가 더 편안한 신장 공간을 가지며 수면 중에 부드러운 입천장이 약해지는 문제를 갖지 않는 환자들에게 특히 유용한 장점을 가진다.
도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를 참조하면, 교정 장치(800)는 슬라이딩 아암(820)을 통해 구강외 부재(805)에 장착되는 오목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815)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아암(820)의 길이는 놉(860)의 작동을 통해 조정 가능하다. 구강외 부재(805)의 길이는 구강외 조정 수단(855)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구강외 부재(805)는 부재(810)에 의해 교정 장치의 구강내 본체부(865)에 연결된다. 볼록한 밴드 형상의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825)은 단일 부재(830)에 의해 본체부(865)에 연결된다.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840,840')은 단일 아암(835) 및 연결 아암들(870,870')에 의해 구강내 본체부(865)에 연결된다. 단일 아암(835)의 길이는 환자의 요구 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상악 교각치 표 면(840,840')은 상악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편평한 돌출부들이다. 이러한 접촉은 상기 하악 교각치 표면(825) 및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815)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교정 장치(800)의 회전에 저항하게 된다.
상기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840,840')은 상악 표면과 접촉하여 교정 장치를 환자의 입 내에 배치하는데 조력하도록 배치된 안내 표면들(850,850')을 각각 포함한다.
수면 중 사용자의 혀를 누르기에 적합한 후방의 꼬리형 부분(875)이 아암(835)에 부착된다. 이는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를 위해 교정 장치의 성능을 개선하여 일부 환자들에게 유익하게 된다.
도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를 참조하면, 교정 장치(900)는 구강내 부재(905) 상에 장착된 구강내의 오목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915)을 포함한다. 구강내 이지만, 부재(905)는, 환자의 윗입술 및 상악 사이에 배치하기에 적합한, 본 발명에 의해 요구되는 바와 같은, 여분의 상악으로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내 부재(905)의 위치는 조정 수단(960)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구강내 부재(905)는 부재(910)에 의해 교정 장치의 구강내 본체부(965)에 연결된다. 볼록한 밴드 형상의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925)은 부재들(930,930')에 의해 본체부(965)에 연결된다. 상기 볼록한 밴드 형상의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925)의 위치는 부재(910)를 따라 본체부(965)가 이동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부재들(930,930')의 각도 및/또는 길이도 환자의 요구 조건에 적합하게 조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 장치를 통해 주변으로의 공기 유동을 개선하도록, 구강내 본체부(965)를 통과하도록 된 공기 구멍(955)이 배치된다. 이 특징은, 예컨대, 코막힘 또는 충혈을 앓고 있는 호흡 곤란 환자들에게 장점을 가진다.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940,940')은 단일 아암(935) 및 연결 아암들(970,970')에 의해 구강내 본체부(965)에 연결된다. 단일 아암(935)의 길이는 환자의 요구 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940,940')은 상악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편평한 돌출부들이다. 이러한 접촉은 상기 하악 교각치 표면(925) 및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915)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교정 장치(900)의 회전에 저항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940,940')은 상악 표면들과 접촉하여 교정 장치를 환자의 입에 배치하는데 조력하도록 배치된 안내 표면들(950,950')을 각각 가진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안내 표면들이 요구되지 않는다.
도10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를 참조하면, 교정 장치(1000)는 아암(1020)을 통해 구강외 부재(1005)에 장착된 오목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1015)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아암(1020)의 길이는 놉(1060)의 작용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또한, 아암을 원하는 대로 전진 또는 수축력시키도록 나선식 죔쇠(turnbuckle) 키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나선식 죔쇠 기구(또는 잭 스크류 기구)에 의해서도 조정 가능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의사에 의해 결정되는 대로 적절한 처리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아암의 길이는 고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외 부재(1005)의 길이는 구강외 조정 수단(1055)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이러한 아암의 길이는 고정될 수 있다.
부재들(1010,1010')에 의해 교정 장치의 구강내 아암(1035,1035')에 구강외 부재(1005)가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구강내 본체부(1065)는 탄성 밴드로 제조되며 사용자의 혀가 공동(1070)으로 미끄러지지만, 쉽게 그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게 되어 있다. 상기 공동은 화살표 A의 방향을 따라 도10b에 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전방 상악 및 하악 표면들에서의 통합된 교합력(biting force) 및/또는 탄성 장력이 혀를 전방 위치에 확고하게 보유할 수 있다. 이로써 일부 환자들에게 교정 장치의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1040,1040')은 구강내 아암들(1035,1035')에 연결된다. 상기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1040,1040')은 상악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편평한 돌출부들이다.
볼록한 밴드 형상의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1025)은 부재들(1030,1030')에 의해 구강내 아암들(1035,1035')에 연결된다.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1040,1040')은 상악 표면들과 접촉하여 교정 장치를 환자의 입에 배치하는데 조력하도록 배치된 안내 표면들(1050,1050')을 각각 가진다.
도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를 참조하면, 교정 장치(1100)는 구강외 부재(1105)에 장착된 오목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1115)을 포함한다. 구강내 부재(1110)는 위치 가변 부재(1130) 및 부착된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1125)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1125)의 상대 위치는 놉(1170) 및 나사(1160)의 작용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표면의 위치는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부재(1125)를 이동함에 의해, 하악의 돌출 레벨이 환자의 필요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1040,1040')은 교정 장치(1100)의 측면 이동에 저항하도록 상악 표면과 헐겁게 접촉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안내 표면들(1150,1150')을 가진 편평한 돌출부이다.
도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를 참조하면, 교정 장치(1200)는 아암(1220)을 통해 구강외 부재(1205)에 장착되는 오목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1215)을 포함한다. 아암(1220)의 길이는 놉(1260)의 작용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외 부재(1205)의 길이는 구강외 조정 수단(1255)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구강외 부재(1205)는 부재(1210)에 의해 교정 장치의 구강내 본체부(1265)에 연결된다. 볼록한 밴드 형상의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1225)은 단일 부재(1230)에의해 아암(1235)에 연결된다. 상기 부재(1230)의 길이는 환자의 요구 조건에 적합하도록 수단(1275)의 작동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1240,1240')은 단일 아암(1235) 및 연결 아암(1270)에 의해 구강내 본체부(1265)에 연결된다. 상기 아암(1235)의 길이는 환자의 요구 조건에 적합하도록 수단(1280)의 작동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교각 치 표면(1240,1240')은 상악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후방의 연결 아암(1270)에 의해 아암(1235)에 부착된 편평한 돌출부들이다.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1240,1240')은 상악 표면들과 접촉하여 교정 장치를 환자의 입에 배치하는데 조력하도록 배치된 안내 표면들(1240,1240')을 각각 가진다. 표면들(1250,1250') 사이의 거리는 수단(1290)의 작용을 통해 가변으로 된다.
도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를 참조하면, 교정 장치(1300)는 구강내 부재(1305) 상에 장착된 구강내 오목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1315)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내 부재(1305)의 위치는 조정 수단(1360)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구강내 부재(1305)는 부재(1310)에 의해 교정 장치의 구강내 본체부(1365)에 연결된다. 볼록한 밴드 형상의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1325)은 부재들(1330,1330')에 의해 본체부(1365)에 연결된다. 볼록한 밴드 형상의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1325)의 위치는 부재(910)를 따른 본체부(1365)의 이동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부재들(1330,1330')의 각도 및/또는 길이는 사용자의 요구 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 장치를 통해 주변으로의 공기 유동을 개선하도록, 구강내 본체부(1365)를 통과하도록 된 공기 구멍(1355)이 배치된다.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1340,1340')은 단일 아암(1335) 및 연결 아암들(1370,1370')에 의해 구강내 본체부(1365)에 연결된다. 상기 아암(1335) 및 연결 아암들(1370,1370')의 길이는 환자의 요구 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교각치 표면(1340,1340')은 상악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는 편평 한 돌출부들이다. 이 접촉은 상기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1325) 및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1315)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교정 장치(1300)의 회전에 저항하게 된다.
도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를 참조하면, 교정 장치(1400)는 슬라이딩 아암(1420)을 통해 구강외 부재(1405)에 장착된 오목한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1415)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아암의 길이는 조정 수단(1460)의 작동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외 부재(1405)의 길이는 구강외 조정 수단(1455)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구강외 부재(1405)는 부재(1410)에 의해 교정 장치의 구강내 본체부(1465)에 연결된다. 볼록한 밴드 형상의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1425)은 부재들(1430,1430')에 의해 본체부(1465)에 연결된다. 볼록한 밴드 형상의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1425)의 위치는 웹 부분(1490)을 연결하는 이동에 의해 환자의 요구 조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1440,1440')은 아암들(1435,1435')에 의해 구강내 본체부(1465)에 연결된다. 상기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1440,1440')은 상악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된다. 이 접촉은 상기 하악 교각치 표면(1425) 및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1415)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교정 장치(1400)의 회전에 저항하게 된다.
상기 교각치 표면(1440,1440')은 상악 표면들과 접촉하여 교정 장치를 환자의 입에 배치하는데 조력하도록 배치된 안내 표면들(1450,1450')을 각각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교각치 표면(1440,1440')을 링크하는 연결 부재(1470)가 있다. 이 연결 부재는 사용자의 혀와 접촉하여 누르도록 작용하며 일부 환자들의 수면 장애를 치료하는 교정 장치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연결 부재(1470)의 위치는 조정 수단(1480) 및/또는 (1480')의 작용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하도록 돌출 위치에 환자의 하악을 유지하기 위한 교정 장치는, 일부 교정 문제들의 처리 시에, 일시적 하악 조인트 문제들의 처리 시에, 이갈이 관리 시에, 및/또는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증의 치료 시에, 하악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차단장치로서, 다수의 유익한 용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교정 장치는 아크릴, 코발트 크로뮴, 금, 은, 백금 또는 다른 유용한 재료 등의 교정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상황들에서, 교정 장치에 부착되는 리테이너 등의, 간단한 치아-안정 판을 부가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교각치 표면들의 결합으로 인한 치아의 이동에 저항하도록 작용하여, 불편한 정도를 피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판의 포함은 상부 및/또는 하부 치열을 안정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당업자들이라면 폭 넓게 설명된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특정 실시예들로서 도시된 바의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변화 및/또는 변경을 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제한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모든 면들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28)

  1. 환자의 하악을 돌출 위치에 보유하기 위한 치과 교정 장치로서,
    상기 하악을 덮고 있는 환자의 잇몸에 접촉하여 하악의 수축력에 대해 저항하는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
    상기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이 기대어 받쳐지는 상악외측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
    상기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 및 상악외측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치과 교정 장치의 회전에 대해 저항하는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을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이 오목한
    치과 교정 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이 상악골을 덮고 있는 조직의 형상에 편안하게 끼워 맞추어져 그 형상에 일치하는
    치과 교정 장치.
  4. 전술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은 구강외에 있는
    치과 교정 장치.
  5. 전술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의 위치는 하악의 돌출 정도에 가변성을 제공하도록 조정 가능한
    치과 교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의 위치 조정은 나사 연장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치과 교정 장치.
  7. 전술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의 기도 폐색을 피하거나 또는 적어도 최소화하도록 환자의 혀의 적어도 일부분을 누르는 후방 혀 교각치 표면을 더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혀 교각치 표면의 위치는 환자의 혀의 적어도 일부분의 누름의 정도에 가변성을 제공하도록 조정 가능한
    치과 교정 장치.
  9. 전술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혀의 전방부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공동을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돌출 위치에 혀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치과 교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부 혀 유지 표면 및 하부 혀 유지 표면을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상악 교각치 및 하악 교각치 표면들에서의 결합된 교합력에 의해 상기 혀 유지 표면들이 상기 혀를 돌출 위치에 확고하게 유지하게 되는
    치과 교정 장치.
  13. 전술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은 하악을 덮고 있는 잇몸 상에 편안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치과 교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은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치과 교정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은 탄력적인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되는
    치과 교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적인 열가소성 재료는 실리콘 고무인
    치과 교정 장치.
  17. 전술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의 입에서의 상기 교정 장치의 측면 이동에 저항하도록 된 하나 이상의 안내 표면들을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18. 전술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의 부드러운 입천장을 지지하도록 된 부드러운 입천장 교각치 표면을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부드러운 입천장 교각치 표면은 부드러운 입천장의 표면에 일치하는 형상으로 되는
    치과 교정 장치.
  20. 전술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의 기도를 통한 공기 유동을 편안하게 하도록 공기 구멍들이 장치에 제공되는
    치과 교정 장치.
  21. 전술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부 치열 및 상부 치열 중 하나 이상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구성된 치아 안 정화 판을 더 포함하는
    치과 교정 장치.
  22.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을 덮고 있는 환자의 잇몸 상에 접촉하여 상기 하악의 수축력에 저항하는 단계;
    상악외측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에 대해 상기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을 떠받치는 단계; 및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과, 상기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 및 상악외측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의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에 대해 버티는 단계를 포함하는
    돌출 위치에 환자의 하악을 유지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환자의 기도 폐색을 피하거나 또는 적어도 최소화하도록 환자의 혀의 적어도 일부분을 누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돌출 위치에 환자의 하악을 유지하는 방법.
  24. 제22항 또는 23항에 있어서,
    돌출 위치에 혀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돌출 위치에 환자의 하악을 유지하는 방법.
  25. 제22항 내지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의 부드러운 입천장을 지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돌출 위치에 환자의 하악을 유지하는 방법.
  26. 청구항 1 내지 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를 해제 가능하게 맞추어 결합하는 단계; 및
    환자의 기도의 폐색을 최소화하도록 하악의 돌출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색성 수면 무호흡증을 치료하는 방법.
  27. 청구항 1 내지 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를 해제 가능하게 맞추어 결합하는 단계; 및
    하악의 돌출을 야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골이, 폐색성 수면 무호흡증 및 턱관절 증후군 현상 중 하나 이상의 교정 조건들의 치료 방법.
  28. 구강내 전방 하악 교각치 표면, 상악외측 전방 상악 교각치 표면 및 구강내 후방 상악 교각치 표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품들 또는 예비부품들의 키트.
KR1020077018193A 2005-01-10 2006-01-09 하악을 전진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83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5900090A AU2005900090A0 (en) 2005-01-10 Method and device for mandibular advancement
AU2005900090 2005-01-10
PCT/AU2006/000023 WO2006072147A1 (en) 2005-01-10 2006-01-09 Method and device for mandibular advanc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349A true KR20070100349A (ko) 2007-10-10
KR101283760B1 KR101283760B1 (ko) 2013-07-08

Family

ID=3664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193A KR101283760B1 (ko) 2005-01-10 2006-01-09 하악을 전진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841346B2 (ko)
EP (1) EP1843715B1 (ko)
JP (1) JP5052353B2 (ko)
KR (1) KR101283760B1 (ko)
CN (1) CN101123927B (ko)
AU (1) AU2006204598B2 (ko)
BR (1) BRPI0606723B8 (ko)
CA (1) CA2635438C (ko)
ES (1) ES2409280T3 (ko)
HK (1) HK1118003A1 (ko)
MX (1) MX2007008395A (ko)
NZ (1) NZ556727A (ko)
RU (1) RU2424782C2 (ko)
WO (1) WO2006072147A1 (ko)
ZA (1) ZA2007070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6303B2 (en) 2005-02-08 2012-01-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irway implants and methods and devices for insertion and retrieval
US8371307B2 (en) 2005-02-08 2013-02-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s and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airway obstruction, sleep apnea and snoring
US8312884B2 (en) 2008-12-24 2012-11-20 Brian D Fuselier Intra-oral apnea and snoring prevention appliance
GB2502523B (en) * 2012-05-28 2018-01-31 Sleep Well Enjoy Life Ltd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R3027791A1 (fr) * 2014-11-03 2016-05-06 Yoomed Dispositif d'induction ou de correction de la croissance mandibulaire.
GB2537399A (en) * 2015-04-16 2016-10-19 C Basson Johannes Device for retaining in a user's mouth
US10010313B2 (en) 2015-05-18 2018-07-03 Richard L. Arden Mandibular subluxation device and method
US10258319B2 (en) 2015-05-18 2019-04-16 Richard L. Arden Airway assist device and method
US10342526B2 (en) 2015-07-01 2019-07-09 Richard L. Arden Airway assist device and method
EP3694400A4 (en) * 2017-10-13 2021-07-28 Bioanalytics Holdings Pty Ltd IMPROVEMENTS RELATED TO SLEEP MONITORING
CN110179561B (zh) * 2019-05-30 2020-12-04 湖南中南大学湘雅口腔医院 一种可调节周期性下颌前伸牵引装置
US20230023562A1 (en) 2019-08-26 2023-01-26 Bioanalytics Holdings Limited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with automatic adjustment means
US20220313394A1 (en) * 2019-08-26 2022-10-06 Bioanalytics Holdings Limited Adjustment means for a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CN112569030B (zh) * 2019-09-27 2022-11-15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小儿膝过伸矫正器
CN111568571A (zh) * 2020-05-27 2020-08-25 常州市金坛区人民医院 一种口腔功能矫正器
US11607336B2 (en) * 2021-01-19 2023-03-21 3 Little Ladies Inc. Therapeutic oral device for sleep apnea
CN114271980B (zh) * 2022-01-29 2024-04-30 中山大学孙逸仙纪念医院 用于隐形矫治下颌前导口腔扫描的后牙固定测量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6794A (en) * 1980-08-07 1984-08-21 Roup Walter G Dental simulator
US5316020A (en) * 1990-10-03 1994-05-31 Ernest Truffer Snoring prevention device
US5117816A (en) * 1991-01-03 1992-06-02 Shapiro Norman A Anti-snore device
US5365945A (en) 1993-04-13 1994-11-22 Halstrom Leonard W Adjustable dental applicance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US5427117A (en) * 1993-09-29 1995-06-27 Thornton; W. Keith Apparatus for prevention of snoring and improved breathing during sleep
JPH07308335A (ja) * 1994-05-13 1995-11-28 Thomas E Meade いびきを抑える装置および方法
WO1996016618A1 (en) * 1994-12-01 1996-06-06 Torsten De Voss A device for preventing stertorous breathing or snoring and for preventing abrasion of the teeth during sleep
FR2737403B1 (fr) * 1995-07-31 1997-09-26 David Michel Dispositif intrabuccal, destine notamment au traitement du ronflement
US5720302A (en) * 1996-03-01 1998-02-24 Belfer; William A. Anti-snoring device having an external shield
US5823194A (en) * 1997-05-01 1998-10-20 Lampert; Barry Flexible retentive bite block and fabrication process
US5829441A (en) * 1997-06-24 1998-11-03 Nellcor Puritan Bennett Customizable dental device for snoring and sleep apnea treatment
CN2354526Y (zh) * 1999-01-21 1999-12-22 北京市新泰科技公司 阻鼾器
EP1075848B1 (en) * 1999-08-10 2005-11-16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Mouthpiece with bendable extra-oral sealing means
US6408851B1 (en) * 1999-10-01 2002-06-25 Manuel L. Karell Method and device for holding a tongue in a forward position
US6170485B1 (en) * 1999-11-10 2001-01-09 Anthony J. Orrico Anti-snoring device
AU1056201A (en) * 1999-11-10 2001-06-06 Motoyasu Satou Snore suppressing device
US6877513B2 (en) * 2000-01-21 2005-04-12 Respironics, Inc. Intraoral apparatus for enhancing airway patency
AU770465B2 (en) 2000-04-07 2004-02-19 Mdsa Pty Ltd Dental device
FR2816203B1 (fr) 2000-11-08 2003-08-15 Fleury Bernard Orthese intrabuccale
US6494209B2 (en) * 2001-04-02 2002-12-17 George Kulick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snoring, hypopnea and apnea
JP4083458B2 (ja) 2002-04-04 2008-04-30 株式会社 マックインタ−ナショナル 気道確保用具
US20030234022A1 (en) * 2002-06-20 2003-12-25 Belfer William A. Single plate mandibular protrusive orthot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311103B2 (en) * 2003-07-29 2007-12-25 Checkmate Holding Company, Llc Method for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US7448388B2 (en) * 2003-08-07 2008-11-11 Halstrom Leonard W Mandible positioning devices
CN2652357Y (zh) * 2003-09-08 2004-11-03 姜宝虎 防止打鼾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7130547A (ru) 2009-02-20
MX2007008395A (es) 2007-11-12
US7841346B2 (en) 2010-11-30
US20080035157A1 (en) 2008-02-14
NZ556727A (en) 2010-11-26
RU2424782C2 (ru) 2011-07-27
WO2006072147A1 (en) 2006-07-13
HK1118003A1 (en) 2009-01-30
BRPI0606723B1 (pt) 2018-12-11
KR101283760B1 (ko) 2013-07-08
CN101123927A (zh) 2008-02-13
CA2635438A1 (en) 2006-07-13
BRPI0606723A2 (pt) 2009-07-14
ES2409280T3 (es) 2013-06-26
AU2006204598A1 (en) 2006-07-13
JP5052353B2 (ja) 2012-10-17
BRPI0606723B8 (pt) 2021-06-22
EP1843715A1 (en) 2007-10-17
EP1843715B1 (en) 2013-02-27
CA2635438C (en) 2014-10-21
JP2008526324A (ja) 2008-07-24
EP1843715A4 (en) 2012-01-04
AU2006204598B2 (en) 2012-11-15
CN101123927B (zh) 2012-09-05
ZA200707058B (en)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760B1 (ko) 하악을 전진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543119B2 (en) Incremental and/or successive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EP3003234B1 (en) Incremental adjustabl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preventing and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CA2735032C (en) Intraoral apparatus for treating upper airway disorders
US20090032030A1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US20130112210A1 (en) Oral Sleep Apnea Device
US20150272773A1 (en) Intraoral apparatus for managing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KR20110073548A (ko) 포지티브 포지셔닝 힌지를 갖는 하악 전방이동 장치
WO20100878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GB2264868A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EP2380533B1 (en) Intraoral splint
KR20230070711A (ko) 수면무호흡 방지용 하악전진장치
APNEA Nonsurgical Management: Oral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