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300A - 전화선과 인터넷망을 겸용하는 무인경비시스템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선과 인터넷망을 겸용하는 무인경비시스템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300A
KR20070099300A KR1020060030574A KR20060030574A KR20070099300A KR 20070099300 A KR20070099300 A KR 20070099300A KR 1020060030574 A KR1020060030574 A KR 1020060030574A KR 20060030574 A KR20060030574 A KR 20060030574A KR 20070099300 A KR20070099300 A KR 20070099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network
signal
internet
unmanned security
securit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8433B1 (ko
Inventor
박덕일
Original Assignee
박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덕일 filed Critical 박덕일
Priority to KR1020060030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433B1/ko
Publication of KR20070099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전화선에 TCP모듈(40)을 통한 인터넷망을 부과하여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화선과 인터넷망을 겸용하는 무인경비시스템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실내나 건물에 외부인이 무단 침입할 경우나 화재발생 및 가스누출을 감지하는 각종 감지센서(10)를 통하여 침입, 화재 및 가스누출 여부를 체크하고 이상발생시 인터넷망(50)을 통하여 신속하게 관제센터에서 체크할 수 있게 하는것으로서, 국내에 안정적으로 구성된 인터넷망(50)을 이용하여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한 방법용주장치(20)에 간단하게 추가 설치하여 인터넷을 통한 신호전송을 신속하게 하여 별도의 비용이 발생되지 않으며 실시간으로 회선의 고장이나 단선상태를 원격지의 관제센터에서 체크할 수 있게 함으로서 안정적인 무인경비 시스템을 구축하는 구성에 대한 것이다.
즉, 무인경비시스템의 방범용주장치(20)로부터 이상신호를 전화선으로 수신하는 수신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주장치 위에 설치하고 주장치는 톤음을 발생시켜 소형화된 수신장치에 전송하면(전화국을 거치지 않음) 소형화된 수신장치는 TCP모듈(40)로 신호를 전송하고 TCP모듈(40)은 인터넷망(50)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당사의 수신서버(PC 및 프로그램)에 신호를 전송, 기존 관제전산에 규격화된(국제표준신호전송코드)신호로 이상신호를 전달하여 관제시스템을 바꾸지 않고도 이상신호를 신속하게 접수 할 수 있으며 실시간 회선체크(회선의 고장이나 단선상태)가 가능하고 신호전송시마다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지 않으며 인터넷회선이 고장 또는 단선이 발생하여 신호전송이 안될시에는 자동적으로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전화선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 할 수있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무인경비시스템, 감지센서, TCP모듈, 인터넷망, PSTN(공중망)

Description

전화선과 인터넷망을 겸용하는 무인경비시스템 및 그 장치{a signal transmission or a receiving apparatus used internet network of the main device from telephone wire of unmaned guard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방범 데이터 전송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기존 발명의 전화선을 통한 무인경비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입신호 접수시 방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0 : 감지센서 20 : 방범용주장치
30 : 소형데코더 40 : TCP모듈
50 : 인터넷망 60 : TCP수신서버
70 : 관제PC 80 : PSTN(공중망)
90 : 공중회선데코더
본 발명 무인경비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0)류로부터 이상 정보를 방범용주장치(20)로 수신하여 원격지에 있는 관제센터에 통상적인 신호 규격에 따라 전화선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면 관제센터의 수신장치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 컴퓨터에 이상정보를 표시하고 이를 파악한 관제원이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출동요원을 파견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미국 아뎀코사의 통신규격등을 주로 국제표준규격으로 표시하여 전화선을 이용한 신호전송방법을 이용하여 왔다.
이는, 이상데이터를 수신한 주장치가 전화선을 이용 원격지에 관제수신장치로 톤음을 이용하여 숫자정보를 보냄으로서 이상데이터를 분석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신호를 전송할때마다 전화요금이 고객에게 청구가 되고, 신호전송속도가 다소 지연되며, 전화선의 고장이나 단선이 발생하였을때 이상신호를 보낼 수 없으며, 관제센터에서 전화선의 고장이나 단선상태를 알수가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각경비회사에서는 전용회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회선의 고장이나 단선을 체크하고, 이상신호등을 접수하였다. 하 지만 이는 전용회선을 사용함으로 고가의 비용이 발생하였으며, 주장치(고객사업장에 설치된 장비) 및 관제장비의 추가 투자가 필요하였다.
이로서 최근에는 그 비용을 절감하고자 무선망을 이용한 신호전송장비등도 개발 되었다. 당사는 이에 국내에 안정적으로 구성된 인터넷망(50)을 이용하여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한 방범용주장치(20)에 간단하게 추가 설치하여 인터넷을 통한 신호전송을 신속하게 하고 별도의 비용이 발생되지 않으며 실시간으로 회선의 고장이나 단선상태를 원격지의 관제센터에서 체크할 수 있게 하고, 인터넷 회선의 문제가 발생시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한 신호전송이 이루어지게 하여 안정적인 무인경비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실내나 건물에 외부인이 무단 침입할 경우나 화재발생 및 가스누출을 각각 감지하는 각종 감지센서(10)로 통하여 침입, 화재 및 가스누출 여부를 체크하고 이상발생시 인터넷망(50)을 통하여 신속하게 관제센터에서 체크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국내에 안정적으로 구성된 인터넷망(50)을 이용하여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한 주장치에 간단하게 추가 설치하여 인터넷을 통한 신호전송을 신속하게 하고 별도의 비용이 발생되지 않으며 실시간으로 회선의 고장이나 단선상태를 원격지의 관제센터에서 체크할 수 있게 하고, 인터넷 회선의 문제가 발생시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한 신호전송이 이루어지게 하여 안정적인 무인경비 시스템이 구축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방법은, 초기화상태에서 인터넷접속장치는 센서감지장치의 정상동작 여부와 인터넷서버의 정상동작 여부 및 공중회선망의 정상동작 여부를 각각 체크하여 각 장치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에 센서감지장치는 감지센서(10)로부터 침입, 화재 또는 가스누출에 대한 비상상황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비상신호가 접수되면, 인터넷접속장치는 메모리에 일시저장한 후 인터넷에 이상이 없는지를 인터넷서버와 통신하여 체크한 후 인터넷과 인터넷서버에 이상이 없을 경우 비상관련 정보를 암호화한 후 IP주소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서버로 전송시 데이터에 이상이 없을 경우 복호화수단은 방범관리서버로 비상관련 데이터를 전송하고, 방범관리서버는 데이터를 일시저장한 후 감시서버로 비상관련 데이터를 전송하여 긴급상황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방범 데이터 전송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기존 발명의 전화선을 통한 무인경비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을 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방범 데이터 전송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각종감지센서(10), 방범용주장치(20), 소형데코더(30), TCP모듈(40), 인터넷망(50), TCP수신서버(60), 관제PC(70)로 구성된다.
각종감지센서(10)는 실내나 건물에 무단침입할 경우나 화재발생 및 가스누출 등을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센서(10)로 이루어져 있고, 방범용주장치(20)는 각종 감지센서(10)를 감시하여 침입, 화재 및 가스누출 여부를 체크하고 비상상황으 로 인정되면 경보의 종류 및 고유위치데이터를 발생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소형데코더(30)는 방범용주장치(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TCP모듈(40)로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로서 상기 데코더(30)의 크기를 소형으로 제작하여 주장치 위에 설치하고 방범용주장치(20)는 톤음을 발생시켜 소형데코더(30)에 전송하면(전화국을 거치지 않음) 소형데코더(30)는 TCP모듈(40)로 신호를 전송하고 TCP모듈(40)은 인터넷망(50)을 이용하여 원격지에 있는 수신서버(PC 및 프로그램)에 신호를 전송, 기존 관제전산에 규격화된(국제표준신호전송코드)신호로 이상신호를 전달하여 관제시스템을 바꾸지 않고도 이상신호를 신속하게 접수 할 수 있으며 실시간 회선체크(회선의 고장이나 단선상태)가 가능하고 신호전송시마다 별도의 비용이 발생되지 않게 구성된다.
또한, 인터넷회선이 고장 또는 단선이 발생하여 신호전송이 안될시에는 자동적으로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전화선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 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간 회선을 체크하는 방법으로는 TCP모듈(40)에서 10초를 기본으로 정해진 시간마다 원격지 관제센터의 수신서버에 신호를 전송, 정해진 시간마다 신호가 정해진 횟수만큼 접수되지 않으면 회선이상신호를 발생시키며, 복구되면 즉시 복구신호를 발생시켜 관제원이 그 회선상태를 알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서버의 동작 과정을 도3을 통하여 살펴보면,
먼저, 초기화상태에서 인터넷접속장치의 제어수단은 센서감지장치의 정상동 작 여부와 인터넷서버의 정상동작 여부 및 공중회선망의 정상동작 여부를 각각 체크하여 통신망과 각 장치의 이상 여부를 자동적으로 파악하게 된다(A1~A3). 상기에서 이상이 있을 경우 인터넷서버는 이상 내용을 인터넷을 통해 감시서버에 전송하게 된다.(A3-1) 상기에서 각 장치들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에 방범용주장치(20)는 화재 또는 가스누출에 대한 비상상황이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비상상황이 감지되면 이에 대한 내용을 소형데코더(30)로 즉각 출력한다.(A4~A5) 이에, TCP모듈(40)은 비상신호가 접수되면 인터넷에 이상이 없는지를 체크한다. 상기에서 인터넷에 이상이 없을 경우, 소형데코더(30)는 TCP모듈(40)로 자료를 전송하고 TCP모듈(40)은 인터넷망(50) Tcp/Ip를 통하여 TCP수신서버(60)를 거쳐 관제PC(70)로 자료를 전송하게 된다(A6). 상기에서와 같이 이상자료를 전송받은 관제PC(70)는 긴급상황 발생 정보를 표시하거나 경보하여 관리자가 이에 즉각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인터넷을 이용한 방범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기간통신망(PSTN망)(80)을 이용한 백업망을 운영하며, 전송되는 정보의 안정성, 무결성, 보안성을 위하여 PKI 또는 VPN 암호화방식을 사용하며, 또한 인터넷접속에 제약이 없도록 유동IP, 고정IP 모두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7).
따라서, 본 발명은 도2에서와 같이 기존 발명인 전화선을 통한 무인경비시스템을 보조통신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종래 기술인 전화선을 통한 무인경비시스템을 살펴보면,
종래 기술은 전화선을 이용하는 신호전송 시스템으로서 각종감지센서(10), 방범용주장치(20), PSTN(공중망) - 전화국교환기(80), 공중회선데코더(90), 관제PC(70)로 구성된다.
각종감지센서(10)는 실내나 건물에 외부인이 무단침입할 경우나 화재발생 및 가스누출 등을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감지센서(10)로 이루어져 있고, 방범용주장치(20)는 각종 감지센서(10)를 감시하여 침입, 화재 및 가스누출 여부를 체크하고 비상상황으로 인정되면 경보의 종류 및 고유위치데이터를 발생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PSTN망(80)은 공중회선망으로 일반전화 회선을 칭하며, 이것은 인터넷접속장치, 인터넷, 인터넷서버에 문제가 발생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없을 경우 PSTN망(80)을 백업망으로 사용하여 감시서버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하며, 인터넷접속장치는 이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센서감지장치도 이러한 기능을 지원한다. 하지만, 전화선을 이용하는 종래의 신호전송 시스템은 신호를 전송할 때마다 전화요금이 고객에게 청구가 되고, 신호전송속도가 다소 지연되며, 전화선이 고장이나 단선이 발생하였을때 이상신호를 보낼 수 없으며, 관제센터에서 전화선의 고장이나 단선상태를 알수가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TCP모듈(40)을 통한 무인경비시스템을 주통신으로 사용하고 기존의 전화선을 통한 무인경비시스템을 보조통신으로 구성함으로서 주통신을 사용하여 국내에 안정적으로 구성된 인터넷망(50)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한 신호전송을 신속하게 하고 별도의 비용이 발생되지 않으며 실시간으로 회선의 고장이나 단선상태를 원격지의 관제센터에서 체크할 수 있게 함으로서 안정적인 무인경비시스템을 구축하고 주통신인 TCP모듈(40)을 통한 무인경비시스템에 이상발생시 보조 통신인 전화선을 통한 무인경비시스템을 통하여 고유위치데이터를 관제PC(70)로 전송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전화선과 인터넷망을 겸용하는 무인경비시스템 및 그 장치는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하는 신호전송 시스템의 신호 전송시바다 비용이 발생되는 단점을 보완하였으며, 신호전송 속도가 단축되고 실시간 회선 상태를 알 수 있고, 단선등 상황에 따른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경비시스템을 운영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에 전화선을 이용한 무인경비시스템과 본 발명인 전용회선을 이용한 무인경비시스템은 똑같은 효과를 가지며 기존의 인터넷망(50)(고객이 구성한 망)에 연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한 무인경비시스템의 단점인 장비가격이 고가이며 월 2만원이상의 고정비용을 경비회사에 부담해야하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해결하는 등 그 효과가 아주 다대한 발명이라 하겠다.

Claims (3)

  1. 각종감지센서(10), 방범용주장치(20), PSTN(공중망) - 전화국교환기, 공중회선데코더, 관제PC로 구성된 무인경비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망을 이용한 별도의 무인경비시스템을 추가하여 구성한 후, 통상적으로는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무인경비신호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인터넷망이 작동치 않을 경우 기존의 전화공중망을 이용한 무인경비신호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전화선과 인터넷망을 겸용하는 무인경비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인터넷 망을 이용한 별도의 무인경비시스템은 상기 방범용주장치(2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TCP모듈(40)로 전송하는 소형데코더(30)와, 상기 TCP모듈(40)이 인테넷망을 이용하여 TCP수신서버(60)로 신호를 전송하고 최종적으로 관제pc(70)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화선과 인터넷망을 겸용하는 무인경비시스템
  3. 각종감지센서(10), 방범용주장치(20), PSTN(공중망) - 전화국교환기, 공중회 선데코더, 관제PC로 구성된 무인경비시스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범용주장치(2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TCP모듈(40)로 전송하는 소형데코더(30),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상호 통신하는 상기 TCP모듈(40)과 TCP수신서버(60),
    상기 TCP수신서버(60)로부터 최종적으로 신호를 전달받아 통제하는 관제pc(70)를 추가 하여 구성함으로,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무인경비신호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인터넷망이 작동치 않을 경우 기존의 전화공중망을 이용한 무인경비신호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전화선과 인터넷망을 겸용하는 무인경비 장치
KR1020060030574A 2006-04-04 2006-04-04 전화선과 인터넷망을 겸용하는 무인경비시스템 및 그 장치 KR100788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574A KR100788433B1 (ko) 2006-04-04 2006-04-04 전화선과 인터넷망을 겸용하는 무인경비시스템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574A KR100788433B1 (ko) 2006-04-04 2006-04-04 전화선과 인터넷망을 겸용하는 무인경비시스템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300A true KR20070099300A (ko) 2007-10-09
KR100788433B1 KR100788433B1 (ko) 2007-12-26

Family

ID=3880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574A KR100788433B1 (ko) 2006-04-04 2006-04-04 전화선과 인터넷망을 겸용하는 무인경비시스템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433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705Y1 (ko) 1999-10-15 2000-12-01 윤경중 보안 시스템 장치
KR20020069723A (ko) * 2001-02-27 2002-09-05 (주)고려정보통신 무선인터넷망을 이용한 가입자 무인경비 장치
KR20020094335A (ko) * 2001-06-11 2002-12-18 한국디지탈정보통신(주)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무인경비시스템
WO2003088174A1 (fr) 2002-04-15 2003-10-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e de surveillance
KR20030089264A (ko) * 2002-05-17 2003-11-21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인터넷망과 공중전화망 겸용 영상전화기
KR100462342B1 (ko) * 2002-06-25 2004-12-17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통합방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8433B1 (ko) 200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91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connectivity
US7593512B2 (en) Private VoIP network for security system monitoring
US8509391B2 (en) Wireless VoIP network for security system monitoring
US78556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upling an alarm system to an external network
US20140047568A1 (en) Method for monitoring a tamper protec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a field device having tamper protection
US20080316024A1 (en) Security system control module
US107471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encryption between alarm panel and monitoring station
KR200205015Y1 (ko) 방범 시스템 가입자용 양방향 무선 단말장치
US200200199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unauthorized intrusions into transmission apparatus maintenance system
KR100788433B1 (ko) 전화선과 인터넷망을 겸용하는 무인경비시스템 및 그 장치
KR20070010554A (ko) 실시간 비상벨 보안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실시간보안감시방법
KR20040049714A (ko) 인터넷을 이용한 무인경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73354B1 (ko) 보호계전기용 원격 감시 제어 및 데이터 수집시스템
JP4731428B2 (ja) 監視装置、及び受信装置
KR101483443B1 (ko) 제어신호 및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지능형 전송 장치
KR20020004248A (ko) 화재 검출장치와 제어기간 선로를 간소화한 화재경보 시스템
JP2005184190A (ja) 監視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EP3220583B1 (en) Communications bus line isolator
KR102646188B1 (ko) 다중밀집시설 화재 조기경보 및 대피체계를 위한 화재경보 시스템
KR101434596B1 (ko) OPC와 Modbus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건물 경보 감시 시스템
KR20050095160A (ko) 근거리 무선 통신 망을 이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JP2003018308A (ja) ユーザシステムの監視方法およびリモート監視システム
JP3615513B2 (ja)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インタフェース装置および監視装置
GB2525883A (en) Alarm network communication
KR200246096Y1 (ko) 모빌폰을 이용한 신용조회 중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