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937A - Cargo handling arrangement and system on a cargo ship - Google Patents

Cargo handling arrangement and system on a cargo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937A
KR20070098937A KR1020077019144A KR20077019144A KR20070098937A KR 20070098937 A KR20070098937 A KR 20070098937A KR 1020077019144 A KR1020077019144 A KR 1020077019144A KR 20077019144 A KR20077019144 A KR 20077019144A KR 20070098937 A KR20070098937 A KR 20070098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oading
ship
hoist
de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91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28193B1 (en
Inventor
구스타프 칼스버그
Original Assignee
맥그레고르 (에스 더불류 이) 에이 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그레고르 (에스 더불류 이) 에이 비 filed Critical 맥그레고르 (에스 더불류 이) 에이 비
Publication of KR2007009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9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1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8Ports or like openings in vessels' sides or at the vessels' bow or s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palletis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9Other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involving an intermittent action, not provided in groups B63B27/04 - B63B27/1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Cargo handling arrangement on a cargo ship for handling cargo between a ship (3) and a quay (4) in conjunction with loading and unloading, comprising a number of cargo decks (9) situated at different levels in the ship, a cargo hoist (17), which is arranged in the ship and is capable of displacement between the various cargo decks. A loading/unloading arrangement transfers the cargo between the ship and the quay (4) via an opening arranged in the ship on one of the cargo decks (9). The cargo handling device exhibits a buffer zone (26, 27) with a buffer conveyor (28, 29) that holds cargo temporarily for subsequent transfer between the loading/unloading arrangement and the respective cargo deck. A buffer conveyor is arranged on each cargo deck for the stepped feed of cargo to/from the hoist.

Description

화물선에서의 화물 취급 장치 및 시스템{CARGO HANDLING ARRANGEMENT AND SYSTEM ON A CARGO SHIP}CARGO HANDLING ARRANGEMENT AND SYSTEM ON A CARGO SHIP}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화물선에서의 화물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handling apparatus in a cargo ship according to the preamble of claim 1.

화물선의 측면에서 화물을 선적 및 하역(loading and unloading)하는 화물선 위의 화물 취급 장치는 이미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화물(cargo)과 같은 화물 형태의 적재물을 적재하는 소위 선박 위의 측면 적재 장치(side loading arrangement)의 실시는, 각기 다른 데크(deck)들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축에 설치되어 있는 카고 호이스트와 연계하여 선박 안에서 다수의 데크 위에서, 다양한 높이에서 수행된다. 선박 안에는 개구부와 연계되어 부두 위의 적절한 높이에 적합한 위치에 하역 스테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부두 위에 창고 같은 곳으로 운송할 일반 화물을 수집하기 위한 지게차 형태의 왕복이동, 가동성 선적 유닛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반대로, 선적 스테이션은 카고 호이스트를 통해 선박의 다양한 데크 위에 짐을 싣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선박의 적재 용량은 다양한 높이에 있는 대형 데크와 관련되어 있는데, 선적 스테이션이 주로 적재 용량을 제한한다.Freight handling devices on cargo ships loading and unloading cargo on the side of the cargo ship have already been disclosed. The implementation of a so-called side loading arrangement on a ship that loads cargo in the form of cargo, such as a normal cargo, is carried on an axis that can move vertically between different decks. It is carried out at various heights on multiple decks in the ship in conjunction with hoists. In the ship, unloading stations are installed at a suitable height above the pier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s. Forklift-type reciprocating, mobile shipping units may be installed on the pier to collect general cargo for transport to warehouses. In contrast, a shipping station may be used to load cargo onto various decks of a ship via a cargo hoist. The ship's loading capacity is associated with large decks at various heights, with the loading station mainly limiting the loading capacity.

국제특허공개공보 WO 9524336호는 컨테이너선의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컨테이너선에는 선박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제1 호이스트, 선박의 외부에서 움직이는 제2 호이스트와 함께 상기 호이스트 사이에서 움직이는 수평 컨베이어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호이스트들 사이의 영역은 화물을 위한 완충 영역(buffer zone)으로 사용된다.WO 9524336 proposes a shipping and unloading system for container ships. The container ship is equipped with a horizontal hoist moving between the hoists together with a first hoist moving vertically inside the ship and a second hoist moving outside the ship. The area between the hoists is used as a buffer zone for cargo.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호이스트 용량 또는 해치 개구부 크기에서 화물 적재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cargo loading capacity at a constant hoist capacity or hatch opening size.

전술한 목적은 첨부된 청구항 제1항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ving technical features that can be understood from the appended claims 1.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invention is explain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부두에 정박해 있는 선박의 개략적인 단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취급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cross section of a ship moored at a pier,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argo hand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취급 장치를 갖추고 있는 선박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2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ship equipped with a cargo hand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선박의 위에서 바라본 선적 데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3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 shipping deck viewed from above of a vessel;

도 4는 상부 화물 데크 중 하나를 위에서 바라본 개략도.4 is a schematic view from above of one of the upper cargo decks;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취급 장치(1)를 도 1을 참조하여 개시한다. 도 1은, 부두(4) 측면에 정박되어 있으며, 한편으로는 각기 다른 항구들 사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조류의 실제 높이에 의해, 또한 선박 위의 화물의 실제 높이에 따라 선박에 대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변할 수 있는 레벨(5)에 위치하고 있는 선박을 관통하는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는 2개의 다른 레벨의 부두가 도시되어 있다. 선박의 한쪽 측면(2)에는 선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도어(7)에 의해 닫혀 있지만, 지금은 개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화물용 개구부(6)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어(7)는 힌지 주위를 선회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반대쪽 측면(3)에 선적 개구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A cargo handl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disclosed with reference to FIG. 1. 1 is anchored on the side of the pier 4 and is heightened relative to the vessel on the one hand between the different ports, on the other hand by the actual height of the tidal stream and also according to the actual height of the cargo on the vessel. A cross section through the vessel is shown which is located at a level 5 which can be changed relatively. 1, two different levels of pier are shown. At one side 2 of the ship, if no shipment is made, it is closed by the door 7, but at least one that is now open, in this embodiment two cargo openings 6 are formed. 7 may be formed to pivot around the hinge and optionally move along the guide. A shipping opening may also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3.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박에는 본 발명에 따라 화물 취급 장치(1)가 설치될 수 있는 다수의 데크(8-14)가 형성되어 있다. 각 데크의 한쪽 측면을 따라, 도 1에서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모두를 나타내고 있는 내부 해치(20)에 의해 선적과 선적 사이에 폐쇄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내부 하역 개구부(15)(inner unloading opening)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부 해치들은 해치들의 상부 에지 위의 힌지 주위에 매달려서 선회한다. 각 데크 또는 데크 레벨 위에는 예를 들면, 도 2, 3 및 4에 도시한 벨트 컨베이어 형태의 선적/하역 컨베이어(16, 17)(loading/unloading conveyor)가 적어도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설치되어 있다. 선적/하역 컨베이어들 사이에는 호이스트 축(18)이 설치되어 있는데, 다시 말하면 모든 데크들 사이에는 개방된 공간이 연장되어 있고, 그 공간 내에서 화물 호이스트(19)가 화물 데크(8-14)들 사이를 수직 이동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선적/하역 데크(9)를 포함하여 모든 데크 레벨에서 화물 호이스트가 정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1, the ship is provided with a number of decks 8-14 on which the cargo handling device 1 can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long each side of each deck, an inner unloading opening (15) is installed in FIG. 1 which is installed to be closed between shipments by an internal hatch 20 showing both open and closed positions. It i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nner hatches hang around the hinge above the upper edge of the hatches and pivot. On each deck or deck level, at least one loading / unloading conveyor (16, 17),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belt conveyor shown in FIGS. 2, 3 and 4, is provided in this embodiment. have. A hoist shaft 18 is installed between the loading and unloading conveyors, that is, an open space extends between all the decks, in which the cargo hoist 19 carries the cargo decks 8-14. It is possible to move vertically between them, that is to say that the hoist is stopped at all deck levels, including the loading and unloading deck 9.

선적/하역 컨베이어(16, 17)들은 화물 호이스트(19)의 양 측면에 설치되거나, 좀 더 상세하게는 호이스트 축(18)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연장되어 있고, 실시예에 도시한 대로 선박의 종 방향으로 이동한다.(이중 화살표 32 참조) 이들 선적/하역 컨베이어(16, 17)들은 완충 컨베이어로 기능하고, 장점을 가지면서 단속적으로 이동한다. 선적/하역 컨베이어(16, 17)들은 또한,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이점이 제공되는 화물 호이스트(19)와 동일한 적재 용량을 가진다는 장점을 가지며,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적 트럭(21)을 수용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팰릿 형태 또는 컨테이터 형태의 일반적인 화물을 선적할 때에, 선적 트럭(21)은 각 데크와 선적/하역 컨베이어(16, 17) 위에서 각 위치들 사이에서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각 데크 레벨(8-14) 위에서 사용된다.The loading / unloading conveyors 16, 17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argo hoist 19, or more specifically, on both sides of the hoist shaft 18 and extend, and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ship.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ee double arrow 32). These loading / unloading conveyors 16, 17 function as buffer conveyors and move intermittently with their advantages. The loading / unloading conveyors 16 and 17 also have the advantage of having the same loading capacity as the cargo hoist 19, which is provided with the advantage of having a conveyor, and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loading truck 21 ) Can be accommodated. When loading general cargo in the form of pallets or containers, the loading truck 21 carries each deck level (8- 8)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cargo between the respective positions on each deck and on the loading / unloading conveyors 16, 17. 14) Used above.

화물 데크(8-14)들 중 어느 하나,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화물 데크(9)는 화물용 개구부 또는 선박의 적어도 어느 한쪽 측면(2) 위에 설치되거나 특별한 하역 장치(22)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선박의 양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는 화물용 개구부(6)와 연계하여 선박 보드 위에서의 화물의 적재용 화물 데크로서 뿐만 아니라 선적 및 하역 데크로서 기능한다. 부두의 레벨(5) 위로 일정 거리만큼 위에 위치하는 선적 데크(9)가 선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선적 및 하역 장치는 부두 위의 적당한 선적 레벨에서 선박 내부의 안쪽과 바깥쪽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텔 퍼(telpher) 호이스트 형태의 리프팅 장치(25)로의 장점을 가지고 수행될 수 있다. 한편으로는, 크레인은 선박이 항해 중인 동안에는 선박 내부로 집어 넣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동 크레인(mobile crane)은 화물 운반/적재를 위한 내부 위치와 화물 운반/적재를 위한 외부 위치 사이에서 가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는 선적 장치(22)는 2개의 평행한 크레인 거더(23, 24)(girder)들 사이에서 작동되어 내부 위치와 외부 위치 사이에서 가이드를 따라 종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화물용 개구부(6) 내로 최고 높은 위치에서 투사되도록 하기 위해 높은 레벨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한편으로는 거더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소망하는 위치에서 화물의 위치 설정과 연계하여 융통성 있는 취급을 하도록 거더의 종 방향을 가로질러 횡단하는 방식으로 크레인을 이동하게 할 수 있는 횡단 이동 캐리지(25)(transverse traveling carriage)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 적재 용량 또는 선택적으로 부두 위의 적재 스테이션의 유연한 선택을 가능하게 하도록 적재 장치에는 양쪽의 화물용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In any of the cargo decks 8-14, in the described embodiment the cargo deck 9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2 of the cargo opening or on the vessel or when a special unloading device 22 is installed. It functions as a loading and unloading deck as well as a cargo deck for loading cargo on the ship board in conjunction with cargo openings 6 which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hip. In order for the loading deck 9 located above a level 5 of the pier to carry out the loading function, th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an mov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hip's interior at the appropriate loading level above the pier. This can be done with the advantage of a lifting device 25 in the form of a telpher hoist. On the one hand, the crane is put inside the ship while the ship is sailing, and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rane is operated between an internal position for freight transport / loading and an external position for freight transport / loading. can do. For this purpose, the loading device 22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operated between two parallel crane girders 23, 24, which can move longitudinally along the guid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positions and It is located at a high level in order to be projected at the highest position into the cargo opening 6. It is also possible to move along the girders on the one hand and to move the crane a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irders on the other hand for flexible handling in connection with the positioning of the cargo in the desired position. A transverse traveling carriage 25 is provided. As can be seen from FIG. 3, the loading device is provided with openings for both cargoes to allow for a high loading capacity or optionally a flexible selection of the loading station on the pier.

또한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든 화물 데크(8-14)들 위에 설치되어 있는 데크 컨베이어들(16, 17) 사이에는 이격된 완충 영역(26, 27)(buffer zone)이 위치하고 있는데, 도 3에서는 화물 데크(9)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완충 영역(26, 27)에는 이중 화살표(30) 방향으로 움직이는, 다시 말하면, 각 데크 컨베이어(16, 17)와 선박 개구부(6) 사이에서 움직이는 버퍼 컨베이어(28, 29)가 설치되어 있다.As can also be seen from FIG. 3, there are spaced buffer zones 26, 27 between deck conveyors 16, 17 which are installed on all cargo decks 8-14. 3 shows the arrangement on the cargo deck 9. The buffer regions 26, 27 are provided with buffer conveyors 28, 29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double arrow 30, that is, moving between each deck conveyor 16, 17 and the ship opening 6.

이용할 수 있는 운송 루트와 관련하여 최대 용량의 화물의 가장 효과적인 흐름은 화물선으로 그리고 화물선으로부터 화물을 각각 선적 및 하역하는 전체 화물 취급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취급 장치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컨베이어 위의 하중의 존재를 기록하는 이격되어 있는 데크 컨베이어(16, 17)와 완충 컨베이어(28, 29) 등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베이어 위에 다수의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와 컨베이어를 단계적 공급 방식으로 제어하고 또한 호이스트의 제어와 화물 취급 공정의 실제 상태를 운영자에게 정보로 전달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으로는 모든 데크 위에서의 연속적, 단계적 화물의 공급과, 다른 한편으로는 선적 및 하역과 관련하여, 한편으로는 선적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화물이 일정하게 하역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The most effective flow of cargo of maximum capacity in relation to the available transport routes can be obtained by the cargo handl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ch constitutes part of the overall cargo handling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respectively, to and from the cargo ship. have. The system stages the conveyor with multiple proximity sensors on one or more conveyors, such as spaced deck conveyors 16 and 17 and buffer conveyors 28 and 29, which record the presence of loads on the conveyor. It is controlled by a supply system and also by a control system equipped with a computer system for conveying information to the operator of the actual status of the hoist control and cargo handling processes. On the one hand the supply of contiguous and staged cargo on all decks,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loading and unloading, on the one hand, to provide space for shipment and on the other hand To help.

본 발명은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사항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 용량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의 개구부가 선박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연계하여 상응하는 수량의 화물 호이스트와 화물 장치가 각 개구부에 설치될 수 있다. 화물 용량이 좀 더 증가된다면, 선박에는 가동 화물 유닛을 위해 3개 또는 그 이상의 수용 및 전달 스테이션(receiving and delivery station)이 설치될 수 있다. 리프팅 크레인은 연장되어 있는 크레인 거더를 갖춘 선회형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크레인 거더를 갖춘 텔퍼 크레인(telpher crane)이 사용될 수도 있다.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set forth in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cargo capacity, multiple openings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vessel, in conjunction with corresponding quantities of cargo hoists and cargo arrangements may be installed in each opening. If the cargo capacity is further increased, the vessel may be equipped with three or more receiving and delivery stations for the mobile cargo unit. The lifting crane can be pivoting with an extended crane girder. Alternatively a telpher crane with one or more crane girders may be used.

Claims (4)

선박 내에 각기 다른 레벨에 위치하고 있는 다수의 화물 데크(8-14), 선박 내에 설치되어 화물 데크 중의 어느 하나의 데크(9) 위에 위치하여 선박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6)를 통해 선박과 부두(4) 사이에서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적재/하역 장치와 다양한 화물 데크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화물 호이스트(17), 완충 컨베이어(28, 29)를 구비하고 있으며 적재/하역 장치와 각 화물 테크 사이에서 후속되는 운송을 위해 화물을 일시적으로 홀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 영역(26, 27)을 포함하는 선박(3)과 부두(4) 사이에서 선적 및 하역과 관련된 화물을 취급하기 위한 화물선 위의 화물 취급 장치로서, 각 화물 데크(8-14) 위의 화물 호이스트(19) 옆에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16, 1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컨베이어는 화물의 호이스트로/호이스트로부터 단계적 공급을 위한 완충 컨베이어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취급 장치. A plurality of cargo decks (8-14) located at different levels in the vessel, at least one opening (6) installed in the vessel above the deck (9) of any of the cargo decks installed in the vessel It has a loading / unloading device for transporting cargo between the pier and the wharf (4), a cargo hoist (17) and a buffer conveyor (28, 29) that can move between various cargo decks. Handling cargo related to loading and unloading between the ship 3 and the wharf 4 comprising at least one buffer zone 26, 27 which is arranged to temporarily hold the cargo for subsequent transportation between the tech. As a cargo handling device on a cargo ship, at least one conveyor (16, 17) is provided next to the cargo hoist (19) on each cargo deck (8-14), the conveyor being a cargo hoist. Cargo hand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nctions as a buffer conveyor for the stepwise supplied from the straw / hoist. 제1항에 있어서, 선적/하역 장치(22)는 각 선박(1)(vessel)에 위치하고 있는 리프팅 크레인을 포함하고, 선박 위에서 효율적인 화물 위치와 보관 위치 사이에 걸쳐서 변경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취급 장치. 2. The loading / unloading device 22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 lifting crane located on each vessel 1, which is arranged to change between an efficient cargo position and a storage position on the vessel. Cargo handl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리프팅 크레인은 돌출되는 선적 위치와 후퇴되는 보관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 빔(23, 24)을 구비하는 텔퍼형(telpher type) 크 레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취급 장치. 3. The load hand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lifting crane is a telpher type crane with crane beams 23 and 24, which can move between the protruding shipping position and the retracted storage position. . 선박 내에 각기 다른 레벨에 위치하고 있는 다수의 화물 데크(8-14), 선박 내에 설치되어 화물 데크 중의 어느 하나의 데크(9) 위에 위치하여 선박 내에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6)를 통해 선박과 부두(4) 사이에서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적재/하역 장치(22)와 다양한 화물 데크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화물 호이스트, 화물 운송을 위한 컨베이어(16. 17)를 포함하는 선박(3)과 부두(4) 사이에서 선적 및 하역과 관련된 화물을 취급하기 위한 화물선 위의 화물 취급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물 취급 시스템은 적재/하역 장치와 각 화물 테크 사이에서 후속되는 운송을 위해 화물을 일시적으로 홀드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완충 컨베이어(16, 17, 28, 29)를 구비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완충 영역(26, 27), 적어도 특정 컨베이어 위의 화물의 존재를 감지하고 컨베이어 위에 화물을 단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근접 센서들과 컴퓨터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제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각 화물 데크(8-14) 위의 화물 호이스트(19) 옆에 적어도 하나의 컨베이어(16, 17)가 설치되어 화물의 호이스트로/호이스트로부터 단계적 공급을 위한 완충 컨베이어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취급 시스템. A plurality of cargo decks (8-14) located at different levels in the vessel, at least one opening (6) installed in the vessel above the deck (9) of any of the cargo decks installed in the vessel A ship (3) comprising a loading / unloading device (22) for transporting cargo between the pier and the quay (4), a cargo hoist that can move between various cargo decks, a conveyor (16.17) for transporting cargo; A cargo handling system on a cargo ship for handling cargo related to loading and unloading between docks (4), wherein the cargo handling system is to temporarily hold the cargo for subsequent transportation between the loading / unloading device and each cargo tech. At least one buffer zone (26, 27) installed and equipped with buffer conveyors (16, 17, 28, 29), at least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cargo on a particular conveyor At least one conveyor (16, 17) next to the cargo hoist (19) on each cargo deck (8-14), with a control system equipped with proximity sensors and computer systems for intermittent delivery of cargo onto the bayer. ) Is installed to function as a buffer conveyor for the stepwise supply from the hoist / hoist of the cargo.
KR1020077019144A 2005-01-21 2006-01-19 Cargo handling arrangement on a cargo ship KR10132819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500172A SE530819E (en) 2005-01-21 2005-01-21 Cargo handling device for cargo vessels
SE0500172-2 2005-01-21
PCT/SE2006/000076 WO2006093445A1 (en) 2005-01-21 2006-01-19 Cargo handling arrangement and system on a cargo sh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937A true KR20070098937A (en) 2007-10-05
KR101328193B1 KR101328193B1 (en) 2013-11-08

Family

ID=3688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144A KR101328193B1 (en) 2005-01-21 2006-01-19 Cargo handling arrangement on a cargo ship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843940B1 (en)
JP (1) JP2008528355A (en)
KR (1) KR101328193B1 (en)
CN (1) CN100519329C (en)
NO (1) NO20073607L (en)
PL (1) PL1843940T3 (en)
SE (1) SE530819E (en)
WO (1) WO200609344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5800A2 (en) * 2009-04-03 2010-10-14 Kjartan Ragnarsson A vessel adapted to be used as a moveable bottling plant for bottling liquid products
NO332033B1 (en) * 2010-07-12 2012-05-29 Polotec As Cargo handling system
CN104369841B (en) * 2014-11-21 2017-01-25 桃源县德威造船有限责任公司 Rotary type self-unloading conveying belt device for ship
JP5982523B1 (en) * 2015-03-24 2016-08-31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Simultaneous cargo handling cargo ship with two types of cargo handling equipment
CN111391980A (en) * 2020-04-22 2020-07-10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四研究所 Ship cargo supply system
KR20230078789A (en) * 2020-09-29 2023-06-02 에스에이치 그룹 에이/에스 Lift and method for lifting device modul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1893A (en) * 1945-12-03 1951-02-13 Lake Shore Engineering Company Ship cargo-handling device
JPS54132992A (en) * 1978-04-05 1979-10-1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Container ship
DE3773672D1 (en) * 1987-07-09 1991-11-14 Ateba Automatisieren Technik B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ESPECIALLY OF SHIPS WITH PARTS, IN PARTICULAR OF LOADED PALLETS.
JPH01118978A (en) * 1987-10-31 1989-05-11 Asahi Chem Ind Co Ltd Ic card
US4897012A (en) * 1987-11-06 1990-01-30 Custom Technologies, Inc. Cargo handling system
NO167505C (en) * 1989-01-30 1991-11-13 Seatrans Ans LOAD TRANSMISSION SYSTEM FOR SHIPPING AND UNLOADING.
EP0696980B1 (en) * 1994-03-03 1999-01-07 Westfalia-WST-Systemtechnik GmbH & Co. KG Palette shelf storage system for/in a watercraft, preferably a refrigeration ship
WO1995024336A1 (en) * 1994-03-11 1995-09-14 Transport System Development A.S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cargo units, such as palletized cargo in cargo vessels
JPH0939881A (en) * 1995-07-26 1997-02-10 Enomoto Kaisouten:Kk Pallet transport ship
SE523343C2 (en) * 2000-12-29 2004-04-13 Macgregor Swe Ab Cargo handling device for dry cargo vess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0500172A (en) 2006-07-22
CN100519329C (en) 2009-07-29
CN101107160A (en) 2008-01-16
JP2008528355A (en) 2008-07-31
SE0500172L (en) 2006-08-22
EP1843940B1 (en) 2014-12-03
EP1843940A4 (en) 2011-11-02
WO2006093445A1 (en) 2006-09-08
PL1843940T3 (en) 2015-08-31
EP1843940A1 (en) 2007-10-17
SE530819C2 (en) 2008-09-16
KR101328193B1 (en) 2013-11-08
SE530819E (en) 2016-05-20
NO20073607L (en) 2007-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81682A1 (en) System for the transfer, storage and distribution of intermodal containers
EP2146894B1 (en) Port storage and distribution system for international shipping containers
RU2007104336A (en) METHOD AND SYSTEM FOR LOAD LOADING
KR101933858B1 (en) Container
KR101328193B1 (en) Cargo handling arrangement on a cargo ship
KR101992800B1 (en) How to unload
KR101992931B1 (en) How to unload container lines and containers
CA2281092C (en) Transporter container-loading bridge
US3727776A (en) An integrated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in or from container ships
KR20170126978A (en) Cargo container
US20050226713A1 (en) Process for handling cargo and cargo handling facility
SE0500172A1 (en) Cargo handling device for cargo ships
WO2002036423A1 (en) A transportation system
KR101992797B1 (en) Unloading device
CN117303032A (en) Material unloading operation device and method for bulk container
WO2011046259A1 (en) Container transfer device employing rails
RU44310U1 (en) PORT RELOADING COMPLEX
FI78660B (en) HISS FOER ETT KYLFARTYGS AVLASTNINGSSYSTEM.
Hiltermann Design of a spillage reducing hopper configuration
KR20180000929U (en) Container ship cargo bottom plate to the width direction moving
JPH06247562A (en) Cargo handling equipment for high speed boat
KR20160084352A (en) Conveyer chute apparatus on bulk shipment transport barge for bulk shipment systems
UA48645A (en) Transfer complex (тс-15)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