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8164A - 직냉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직냉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8164A
KR20070098164A KR1020060029474A KR20060029474A KR20070098164A KR 20070098164 A KR20070098164 A KR 20070098164A KR 1020060029474 A KR1020060029474 A KR 1020060029474A KR 20060029474 A KR20060029474 A KR 20060029474A KR 20070098164 A KR20070098164 A KR 20070098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drain valve
storage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권철
김용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9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8164A/ko
Publication of KR20070098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02Defroster control
    • F25D21/004Control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3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means to fix, clamp, or connect water pipes or evaporation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냉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저장실내에 누적된 제상수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배출하는 것 이외에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배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한편, 직냉식 냉장고의 작동모드에 따라서 배수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는 직냉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형성된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어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호스를 개폐하는 배수밸브와, 설정시간의 경과여부에 따라서 상기 배수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수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배수밸브를 개폐시키는 개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마련하고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서 저장실 내의 세척수나 제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한편, 각 작동모드에 따라서 발생하는 제상수 등을 그 상황과 집수량에 맞게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직냉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A Direct Cooling Type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의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직냉식 냉장고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4는 상온저장모드에서의 배수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중간저장모드에서의 히터와 배수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냉동저장모드에서의 히터와 배수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배수호스 13: 배수안내부
15: 배출부 20: 배수밸브
22: 개폐부재 24: 배수밸브 개폐구동부
본 발명은 직냉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저장실 내부에 누적된 제상수 기타 세척수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또 한 직냉식 냉장고의 각 작동모드에 따라서 발생하는 제상수 및 기타 잔수를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직냉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직냉식 냉장고는 그 외관을 이루는 몸체와, 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저장실과, 그 저장실의 외벽을 감싸는 핫파이프 및 제상용히터가 설치되며, 상기 저장실 하부에는 저장실내부에 누적되는 제상수 및 세척수 등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수호스가 연결되며, 그 배수호스에는 배수밸브가 연결된다.
이러한 배수밸브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제어부에 미리설정된 프로그램대로 개방되거나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제어부에 따른 개폐 이외에 사용자가 별도로 배수밸브를 개폐시킬 수 없기 때문에, 배수밸브가 개방된 상태에서 고내를 세척하는 경우에는 세척수가 배수호스의 안내를 받아서 외부로 배출되되 그 유량이 많아져서 물받이 접시의 수용한도를 초과하여 외부로 넘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배수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고내의 세척수를 직접 퍼서 외부로 빼내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직냉식 냉장고는 하나의 모드로만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저장실내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종류에 따라 그에 적절한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자면, 야채와 같은 경우에는 상온저장(3~5℃)모드로 작동하고, 냉동육과 같은 경우에는 냉동저장(-18℃ 이하)모드로 작동시키며, 김치와 같은 경우에는 중간저장모드(-1~1℃)로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동모드에 따라서 발생하는 서리의 양이나, 제상수의 양이 달라질 수 밖에 없고, 그에 따라서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배수밸브의 개방시간 또한 달라져야 했으나, 종래의 직냉식 냉장고는 작동모드의 특성에 무관하게 배수밸브의 개폐시간이 일률적으로 설정되어서 작동모드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배수밸브의 개방 또는 폐쇄 시간이 과도하게 혹은 과소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배수밸브가 과도한 시간동안 개방되는 경우에는 외기가 배수호스를 따라서 저장실 내부로 유입되어 냉각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고, 배수밸브가 과소한 시간동안 개방되는 경우에는 제상수의 일부가 저장실 내에 계속 잔류하게 됨으로써 위생상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저장실내에 누적된 세척수나 제상수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배출하는 것 이외에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배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냉식 냉장고의 각 작동모드의 특성에 따라 생성되는 제상수의 양에 알맞게 배수밸브를 개폐하여 제상수의 배출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동시에 배수호스를 통하여 불필요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저지할 수 있는 직냉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형성된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어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호스를 개폐하는 배수밸브와, 설정시간의 경과여부에 따라서 상기 배수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수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배수밸브를 개폐시키는 개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저장실의 수와 대응되는 갯수의 배수안내부와 상기 복수개의 배수안내부와 연결된 하나의 배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안내부는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배수 밸브는 상기 배출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수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직냉식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 주위에 설치되는 제상용 히터와, 저장실에 연결되어 저장실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호스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제상용히터와 상기 배스호스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직냉식 냉장고의 작동모드가 상온저장모드와 냉동저장모드와 중간저장모드 중 어느 작동모드로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각 작동모드에 따라 제어부에 기 입력된 제1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배수밸브를 개방하는 단계와, 각 작동모드에 따라 제어부에 기 입력된 제2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2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배수밸브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직냉식 냉장고의 작동모드가 상기 중간저장모드 또는 상기 냉동저장모드로 선택되고, 제1설정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냉식 냉장고의 작동모드가 상기 중간저장모드 또는 상기 냉동저장모드로 선택되고, 상기 제2설정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히터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가 정지된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어부에 기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지연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배수밸브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한 직냉식 냉장고를 보면 본체(1)를 형성하는 케이싱(3)과, 상기 케이싱(3)의 상부를 덮는 커버(5)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싱(3)의 내부에는 김치나 야채 또는 냉동식품등을 수납하여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7)이 설치되며, 상기 저장실(7)은 다양한 제품을 수납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실(7)의 외벽에는 상기 저장실(7) 내부의 온도를 저하시켜서 냉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냉매관(9)이 설치되며, 상기 냉매관(9)과 근접하는 위치에는 히터(11)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히터(11)는 상기 저장실(7)에 형성되는 서리를 녹여서 제거할 수 있는 제상작업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7)의 하부에는 배수구(7a)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수구(7a)는 제상수 또는 저장실(7)내 세척수를 상기 저장실(7)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배수구(7a)는 배수호스(11)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배수호스(11)는 상기 저장실(7)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배수호스(11)는 배수안내부(13)와 배출부(15)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배수안내부(13)는 상기 복수의 저장실(7)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로 마련되어져 각각 하나씩 상기 저장실(7)의 배수구(7a)와 연통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5)는 단일의 관으로 마련되며, 상기 배출부(15)에 상기 배수안내부(13)가 연결되어져, 결국은 각 저장실(7)에 누적되는 제상수나 세척수가 상기 배수안내부(13)의 안내를 받아서 흘러 상기 배출부(15)로 집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5)에는 배수밸브(20)가 마련되는데, 상기 배수밸브(20)에 의하여 상기 배출부(15)를 흐르는 물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공기가 상기 배출부(15)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7)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다.
상기 배수밸브(20)는 관 형상의 상기 배출부(15)를 단속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수밸브(20)는 상기 배출부(15) 내부에 삽입되거나 외부로 이격되는 개폐부재(22)와 상기 개폐부재를 구동할 수 있는 개폐구동부(2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구동부(24)는 후술할 제어부(도2참조,50)에 미리 입력된 시간에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22)의 개폐작동을 유발하며, 또한, 별도로 마련된 배수밸브 개폐스위치(도2참조,51)에 의하여도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수밸브 개폐스위치(51)를 별도로 마련한 것은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7) 내부를 세척하는 경우 사용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때에 상기 배수밸브(20)를 개방하여 적정량의 세척수를 배출함으로써 세척수등이 바닥에 흘러넘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종래 발명의 경우에는 배수밸브(20)가 제어부(50)의 프로그램에만 의존하게 됨으로써, 배수밸브(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세척을 하게 되면 세척수가 바닥으로 흘러넘치게 되는 경우가 있었고, 한편, 배수밸브(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세척을 하게 되면 세척수를 사용자가 직접 퍼서 외부로 배출해야 하는 기능적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배수밸브(20)를 사용자가 임의대로 구동시킬 수 있어서 세척수 중 적정량을 배출하게 하여 바닥으로 세척수가 흘러넘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출부(15)의 하단에는 물받이(26)가 마련되어 배출부(15)를 따라 흘러나온 물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물받이(26)의 상부에는 응축기(28)가 설치되어 있어서 응축기(28)의 열로 물받이(26) 내부에 수집된 물을 증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응축기(28)와 소정간격 이격된 곳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0)가 설치된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의 입력단에는 상기 직냉식 냉장고의 작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부(53)가 연결되는데, 상기 모드선택부(53)에는 저장물의 성격에 따라서 상온저장모드, 냉동저장모드, 그리고 0℃온도 를 기준으로 일정치의 온도 폭만큼 상하로 변동하면서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중간저장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의 입력단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2)가 연결되며, 이 외에도 상기 배수밸브 개폐 스위치(51)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의 출력단에는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압축기구동부(30a)와, 히터구동부(11a), 그리고, 상기 배수밸브 개폐구동부(24)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작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3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들어온 후에, 사용자가 작동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어떤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을 하게 되며(S101), 이 때, 상온저장모드로 선택된 경우에 그 저장모드에 맞도록 기 설정된 제1설정시간(t1)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02).
상온저장모드에서는 항상 저장실의 내부 온도가 상온을 유지하게 되므로 저장실내 서리형성의 가능성은 없으나, 대개 수납되는 저장물이 야채나 과일과 같이 수분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이므로 저장실 내부에 물기가 많이 고이게 되어 그러한 경향을 고려하여 제1설정시간(t1)을 설정해야한다.
상기 제1설정시간(t1)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배수밸브가 개방되고(S103), 상기 제어부에 기 설정된 제2설정시간(t2)가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S104) 배수밸브를 폐쇄하는데(S105), 제2설정시간(t2) 또한 저 장물의 특성에 따른 수분배출량 및 배출소요시간을 고려하여 미리 제어부에 설정된다.
또한, 중간저장모드로 선택되었다면, 이러한 중간저장모드의 온도특성에 맞게 설정된 제1설정시간(t3)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106).
이 때, 중간모드의 온도 특성을 보면 0℃를 기준으로 상하로 움직이면서 온도가 유동하게 되므로 저장실 내부 온도가 영상일 경우에는 결로현상이 발생하고, 온도가 영하일 경우에는 서리가 발생한다.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여 이슬이나 서리가 형성되는 시간에 대응되도록 제1설정시간(t3)를 미리 제어부에 설정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제1설정시간(t3)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히터를 가동하여 서리를 제거하고(S107), 제상수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밸브를 개방한다(S108).
그 후, 제2설정시간(t4)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S109) 일단 히터가 정지되어 제상작업을 중단하게 되나, 히터가 정지되었다고 하더라도 제상수는 히터정지후 일정시간동안 저장실 내부에 잔류하게 되므로, 이러한 잔류 제상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설정시간(t4)경과후 지연시간(△t4)를 설정하여 이 시간동안에도 계속적으로 상기 배수밸브를 개방하고, 지연시간(△t4)을 경과하면 비로소 배수밸브를 폐쇄하도록 한다(S111, S112).
그리고 마지막으로 냉동저장모드가 선택된 경우, 그 프로세스는 상기 중간저장모드와 거의 유사하며, 다만, 제1설정시간(t5)과 제2설정시간(t6) 및 잔류 제상 수 제거를 위한 지연시간(△t6)이 중간저장모드의 경우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중간모드의 경우에는 서리가 발생한다고 하여도 온도가 그다지 낮지 않아서 제상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냉동저장모드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18℃이하에 작동되므로 서리가 발생하면 이를 제상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걸리게 될 뿐더러, 제상수를 배출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또한 제상시간과 맞물려 중간모드에 비하여 좀더 지체되기 때문이다.
즉, 냉동저장모드의 경우 제어부에 기 입력된 제1설정시간(t5) 경과여부를 판단하고(S113), 경과하였다고 인정되면 히터를 가동시켜서 제상작업을 실시하며(S114), 배수밸브를 개방하게 된다(S115).
이후, 제2설정시간(t6)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16), 그러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는 히터를 정지시켜서 제상작업을 종료한다(S117).
하지만 제상작업으로 인한 제상수가 저장실내에 잔류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잔류제상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정한 지연시간(△t6)동안 배수밸브를 개방하고, 그러한 지연시간(△t6) 경과여부를 판단하여 경과하게 되면, 배수밸브를 폐쇄하는 것이다(S119).
위에서 살펴본 바 와 같이 상온저장모드, 중간저장모드, 냉동저장모드에 대하여 동일하게 제1설정시간(t1, t3, t5)과, 제2설정시간(t2,t4,t6), 및 지연시간(△t4,△t6)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시간들은 각각의 작동모드에 따라서 경과 또는 소요시간이 달라질 수 있음을 명심하여야 한다.
도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온저장모드로 작동을 하는 경우에는 저장실내에 투입되는 야채 과일등으로부터 수분이 비교적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저장실 내에 물이 자주 고이게 되므로 배수밸브를 제1설정시간(t1)동안 폐쇄하였다가 제2설정시간(t2)동안 개방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하여야 하며, 이 때는, 저장실 내부 온도 자체가 영상이므로 서리가 발생할 여지가 없어서 히터를 구동시킬 필요는 없다.
한편 중간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제1설정시간(t3)동안은 히터가 구동되지 않으며 배수밸브 또한 배수호스의 배출부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이후, 제1설정시간(t3)이 경과하게 되면 제2설정시간(t4)동안 상기 히터가 구동하여 제상작업을 실시하게 되며, 그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히터는 다시 작동을 멈추는데, 이때, 상기 배수밸브는 히터와 동시에 폐쇄하는 것이 아니라 잔류제상수를 저장실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일정한 지연시간(△t4)동안 연장 개방된다.
그리고, 그 지연시간(△t4)이 경과하면 다시 배수밸브는 배수호스의 배출부를 폐쇄하게 되며, 상기 히터 정지후 제1설정시간(t3)가 경과하기 전까지는 그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냉동저장모드의 경우도 중간저장모드 경우와 기본적인 흐름은 유사한데,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설정시간(t5)가 경과하게 되면 히터가 구동하고, 또한 배수밸브가 개방되며, 제2설정시간(t6)이 경과하면 히터가 정지되어 제상작업을 멈추고, 히터 정지후 지연시간(△t6)이 경과하면 배수밸브가 폐쇄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중간저장모드와 냉동저장모드의 경우를 비교하면 냉동저장모드의 경우가 제상작업에 시간이 상대적으로 더 소요되므로 중간저장모드의 제2설정시간(t4)에 비하여 냉동저장모드의 제2설정시간(t6)이 더 지속적이 되도록 설정되어야 할 것이며, 중간저장모드의 경우에는 저장실내의 온도가 영상과 영하를 반복함으로써 서리 이외에도 이슬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그러한 제상수 및 결로의 배출빈도가 냉동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아져야 하므로 제1설정시간(t3)이 냉동저장모드의 제1설정시간(t5)에 비하여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간저장모드의 경우나, 냉동저장모드의 경우에 히터의 구동 후 일정시간 경과후에 배수밸브가 개방되는 경우도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임의대로 배수밸브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저장실내 세척시 사용되는 세척수를 저장실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직접 퍼내는 불편함 또는 세척수가 배수호스를 타고 물받이로 흘러가되 그 유량이 물받이의 수용용량을 초과하여 범람함으로써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흘러넘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배수밸브의 개폐빈도가 작동모드에 따른 저장실 내의 온도 특성에 따라서 조절되므로, 작동모드에 따라 형성되는 제상수 등의 배출이 원활해지며, 제상수 등 배출 후에도 배수 밸브개방이 지속됨으로써 저장실 내로 불필요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7)

  1.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형성된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와 연통되어 배수를 안내하는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호스를 개폐하는 배수밸브와, 설정시간의 경과여부에 따라서 상기 배수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수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와 독립적으로 상기 배수밸브를 개폐시키는 개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배수호스는 상기 저장실의 수와 대응되는 갯수의 배수안내부와 상기 복수개의 배수안내부와 연결된 하나의 배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안내부는 상기 저장실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배수 밸브는 상기 배출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
  4. 직냉식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 주위에 설치되는 제상용 히터와, 저장실에 연결되어 저장실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호스와, 상기 배수호스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호스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제상용히터와 상기 배스호스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직냉식 냉장고의 작동모드가 상온저장모드와 냉동저장모드와 중간저장모드 중 어느 작동모드로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각 작동모드에 따라 제어부에 기 입력된 제1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배수밸브를 개방하는 단계와,
    각 작동모드에 따라 제어부에 기 입력된 제2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2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배수밸브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냉식 냉장고의 작동모드가 상기 중간저장모드 또는 상기 냉동저장모드로 선택되고, 제1설정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히터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의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냉식 냉장고의 작동모드가 상기 중간저장모드 또는 상기 냉동저장모드로 선택되고, 상기 제2설정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히터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가 정지된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어부에 기 설정된 지연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지연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배수밸브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냉식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0060029474A 2006-03-31 2006-03-31 직냉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98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474A KR20070098164A (ko) 2006-03-31 2006-03-31 직냉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474A KR20070098164A (ko) 2006-03-31 2006-03-31 직냉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164A true KR20070098164A (ko) 2007-10-05

Family

ID=3880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474A KR20070098164A (ko) 2006-03-31 2006-03-31 직냉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816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2546A (zh) * 2013-06-21 2013-09-1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US8903557B2 (en) 2011-12-05 2014-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waste water discharge of a computing system
WO2017039234A1 (en) * 2015-08-28 2017-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O2017078250A1 (ko) * 2015-11-05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N108344234A (zh) * 2017-12-20 2018-07-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用于冰箱的排水管组件及冰箱
CN108458540A (zh) * 2017-12-20 2018-08-2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用于冰箱的排水管组件及冰箱
US20210325074A1 (en) * 2018-12-27 2021-10-21 Hefei Midea Heating & Ventilat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Heating System Thereof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3557B2 (en) 2011-12-05 2014-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waste water discharge of a computing system
US8903556B2 (en) 2011-12-05 2014-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waste water discharge of a computing system
CN103292546A (zh) * 2013-06-21 2013-09-11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
US10288338B2 (en) 2015-08-28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O2017039234A1 (en) * 2015-08-28 2017-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029071B2 (en) 2015-08-28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07003045B (zh) * 2015-11-05 2020-05-22 Lg 电子株式会社 蒸发器和具有该蒸发器的冰箱
CN107003045A (zh) * 2015-11-05 2017-08-01 Lg 电子株式会社 蒸发器和具有该蒸发器的冰箱
WO2017078250A1 (ko) * 2015-11-05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11149995B2 (en) 2015-11-05 2021-10-19 Lg Electronics Inc. Evapo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8458540A (zh) * 2017-12-20 2018-08-28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用于冰箱的排水管组件及冰箱
CN108344234A (zh) * 2017-12-20 2018-07-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用于冰箱的排水管组件及冰箱
CN108458540B (zh) * 2017-12-20 2021-02-26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用于冰箱的排水管组件及冰箱
US20210325074A1 (en) * 2018-12-27 2021-10-21 Hefei Midea Heating & Ventilat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Heating System Thereof
US11788758B2 (en) * 2018-12-27 2023-10-17 Hefei Midea Heating & Ventilating Equipment Co., Ltd.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heating system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8164A (ko) 직냉식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773199B (zh) 电冰箱
KR100499025B1 (ko) 냉장고
KR100350419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EP2574868A2 (en) Refrigerator
JP2004191042A (ja) 冷蔵庫
US20100287971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43220B1 (ko) 제빙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8572999B2 (en) Refrigerator
JP2013032878A (ja) 冷蔵庫
KR20170029346A (ko) 냉장고 제어 방법
KR101875608B1 (ko) 제빙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50080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3113526A (ja) 冷蔵庫
KR101152070B1 (ko) 냉장고
KR20160090690A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90130526A (ko) 냉장고
EP2097695B1 (en) Refrigerator
KR100713818B1 (ko) 김치저장고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KR100894475B1 (ko) 온수 공급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KR0120666Y1 (ko) 냉장고
KR100334650B1 (ko) 김치냉장고
KR100565609B1 (ko) 냉장고
KR100652593B1 (ko) 급속 제빙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KR101672054B1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