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7850A -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 Google Patents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7850A
KR20070097850A KR1020060028643A KR20060028643A KR20070097850A KR 20070097850 A KR20070097850 A KR 20070097850A KR 1020060028643 A KR1020060028643 A KR 1020060028643A KR 20060028643 A KR20060028643 A KR 20060028643A KR 20070097850 A KR20070097850 A KR 20070097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device
hose
washing machine
unit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02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7850A/ko
Publication of KR20070097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1Safety arrangements for preventing water 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일측에 구비되어 제1호스와 나사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타측에 구비되어 제2호스와 나사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탁기, 연결장치, 결합부, 길이

Description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CONNECT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THEREWITH}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결장치와 호스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연결장치에 패킹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연결장치와 제1, 제2호스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세탁기 105: 급수구
114: 공기배출부 118: 응축장치
120: 건조장치 130: 드럼
131: 터브 152: 배수관
200: 연결장치 210: 제1결합부
212: 수나사부 220: 제2결합부
222: 수나사부 230: 패킹부재
240: 벨로스 270: 제1호스
280: 제2호스
본 발명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를 결합하여 호스의 길이를 실질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결장치와 호스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결장치(1)는 두 개의 호스(10)(20) 사이에 설치된다. 연결장치(1)의 일측에는 볼 조인트 타입의 결합부(3)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나사산 타입의 결합부(2)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연결장치(1)의 볼 조인트 타입의 결합부(3)는 호스(10)에 마련된 볼 조인트 타입의 결합부(12)에 삽입 장착된다. 또한, 연결장치(1)의 나사산 타입의 결합부(2)는 호스(20)에 마련된 나사산 타입의 결합부(2)에 회전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볼 조인트 방식의 결합 방식은 구조가 복잡하여 나사산 타입의 결합 방식에 비해 생산하기가 어려우며, 생산 비용 및 부품도 많이 투입된다. 또한, 결합시 연결장치(1)와 호스(10)(20) 사이에 굽힘력이 가해지면 연결장치(1)와 볼 조인트 방식의 결합부를 갖는 호스(10)의 결합부가 분리되거나, 결합된 부분에 틈이 발생되어 유체가 새어나오기도 한다. 이로 인해 유체가 장치로 스며들어, 장치 전체가 손상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장치(1)가 쉽게 굽혀지지 않으므로, 두 개의 호스(10)(20)가 소정 각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며 결합되는 경우에 한해서 연결장치(1)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두 개 이상의 호스를 연결시 결합부에 작용하는 굽힘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의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스와 연결장치의 결합부에서 유체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호스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제1호스와 제2호스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호스와 나사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연결장치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호스와 나사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장치는 세탁기의 급수호스들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연결장치의 일단에 형성되는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연결장치의 타단에 형성되는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장치에는 상기 제1, 제2호스의 내측을 통해 이동되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2결합부의 내측에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부재는 상기 제2결합부의 내측에 압입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연결장치에는 유연하게 절곡되는 벨로스(bellows)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연결장치의 일부분에 벨로스가 형성되면, 상기 제1, 제2호스의 설치 각도와 관계없이 제1, 제2호스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두 개의 호스를 연결하는 상기와 같은 연결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드럼세탁기에 구비되는 연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 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드럼세탁기(100)는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131)와, 터브(13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조의 기능을 하는 드럼(130)과, 후방에 설치되어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모터(140)와,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120)를 구비한다. 또한, 드럼세탁기(100)는 모터(140), 건조장치(120) 등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드럼(130)의 둘레면 및 후면에는 세탁수 및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홀이 형성된다. 드럼(130)에 형성된 홀을 통해 드럼(130) 내부의 공기가 드럼(130)과 터브(131)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된다.
본 발명의 드럼세탁기(100)는 세탁 및 탈수 행정의 반복에 따른 세탁의 종료 후 건조장치(120)가 드럼(130)으로 따뜻한 공기를 분사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즉, 건조장치(120)는 드럼(130) 내부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공기를 가열시켜 순환시킨다.
건조장치(120)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가열장치인 히터(122)와, 히터(122)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장치(121)와, 가열된 공기가 터브(131) 내부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건조 덕트(112), 및 터브(131)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공기배출부(114)를 구비한다. 가열된 공기가 터브(131) 내부로 이동되도록 건조 덕트(112)의 일단(123)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건조 덕트(112)의 일단(123)은 가열된 공기가 드럼(130) 내부로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히터(122)는 송풍장치(121)와 공기유입구(123) 사이의 건조 덕트(112) 내측에 설치된다. 히터(122)로는 전류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히터가 사용되며, 히터(122)의 온도는 서미스터(thermistor)(125)에 의해 제어된다. 송풍장치(121)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팬(미도시)을 구비하며, 팬이 회전되면서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게 된다.
한편,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해야 원활한 건조가 가능해진다. 높은 온도의 공기가 낮은 온도의 물체에 접촉될 경우 응축수를 발생시킨다. 응축장치(118)는 송풍장치(121)와 터브(13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가열된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한다. 즉, 응축장치(118)는 드럼세탁기(100)의 상측에 설치된 급수관(113)을 통해 공급받은 냉각수를 응축 덕트(116)의 벽면으로 흘려 보내 응축 덕트(116)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갖는 세탁수와 접촉시킴으로써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한편, 이에 따라 드럼(130) 내부의 수분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브(131)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구(105)와 응축 덕트(116)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관(113)을 별도로 설치하였으나, 이와 달리 급수구(105)를 이용하여 응축 덕트(116)로 냉각수를 직접 공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실시예의 드럼세탁기(100)는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하여 가열된 공기를 건조 덕트(112)에서 터브(131)로 공급하고, 터브(131)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응축 덕트(116)를 거쳐 냉각수와 만나 물로 응축되게 된다. 응축된 물은 터브(131)의 하부를 거쳐 배수관(15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드럼세탁기(100)는 건조 과정 중 습해진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공기배출부(114)를 구비한다. 터브(131)에 있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부(114)의 일측(115a)은 터브(131)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타측(117a)은 외부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공기배출부(114)의 타측(117a) 단부에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팬(미도시)이 설치되는 연장부(117)와, 상기 연장부(117)에 설치되는 필터(119)가 구비된다.
공기배출부(114)에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온도센서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터브(131)의 상측에는 급수호스(미도시)로부터 세탁기(100)의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되는 급수구(105)가 구비된다. 급수구(105)를 통해 공급된 세탁수는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통(106)을 거쳐 터브(131) 내부로 공급된다.
세탁기의 설치 환경에 따라 수도와 같은 세탁수 공급원으로부터 먼 곳에 세탁기를 설치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설치 환경에서는 하나의 호스만을 이 용하여서는 세탁기와 급수밸브를 연결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상기와 같은 경우에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연결장치는 여러 개의 호스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연결장치에 패킹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3의 연결장치와 제1, 제2호스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연결장치(200)는 두 개의 호스(270)(280)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호스 중 하나의 호스를 제1호스(270)라 하고, 다른 하나의 호스를 제2호스(280)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200)의 일측에는 제1호스(270)와 나사 결합되는 제1결합부(21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2호스(280)와 나사 결합되는 제2결합부(220)가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연결장치(200)는 제1호스(270) 및 제2호스(280)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연결장치(200)는 각각의 호스(270)(280)와 암나사 결합될 수도 있고, 수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장치(200)의 일측은 암나사 결합되고, 타측은 수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결합부(210)는 연결장치(2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수나사부(2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장치(200)는 수나사부(212)를 통해 제1호스(270)의 결합부(272)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274)에 결합 고정된다. 이때, 제1호스(270)의 내측에는 제1호스(270)와 연결장치(200)의 결합시 유체가 새어나오 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패킹부재(276)가 삽입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제2결합부(220)는 연결장치(200)의 타단에 형성되는 수나사부(2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장치(200)는 수나사부(222)를 통해 제2호스(280)의 결합부(281)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284)에 결합 고정된다.
연결장치(200)를 통해 제1, 제2호스(270)(280)가 결합시 제1, 제2호스(270)(280)의 내측을 통해 이동되는 유체가 결합된 부분을 통해 새어나올 수 있다. 제1, 제2호스(270)(280)의 내측을 통해 이동되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제2결합부(200)의 내측에는 패킹부재(23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결합부(200)의 내측에 패킹부재(230)가 장착되는 장착홈을 가공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상기 패킹부재(230)는 압입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2호스(280)에 형성된 암나사부(284)의 내측에는 제2결합부(220) 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관(28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관(282)은 제2결합부(220)와 제2호스(280)가 결합시 상기 결합관(282)의 끝단(283)이 패킹부재(230)를 가압 지지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호스(270) 및 제2호스(280)와 결합시 연결장치(200)는 굽힘력(benging force)을 받는다. 이와 같은 굽힘력으로 인해 연결장치(200)와 제1, 제2호스(270)(280)가 결합된 부분을 통해 유체가 밖으로 새어나올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장치(200)가 유연하게 절곡될 수 있게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장치(200)에는 유연하게 절곡 되는 벨로스(bellows)(2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2결합부(210)(220)를 제외한 연결장치(200) 전체가 벨로스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에 벨로스(2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터브(131)의 하측에는 세탁 과정이 끝난 세탁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펌프(151)와 배수관(152)이 구비된다. 드럼(130)에 세탁물을 넣거나 뺄 수 있도록 드럼세탁기(100)의 전방에는 도어(102)가 설치된다. 여기서, 전방은 도 2의 좌측을, 후방은 도 2의 우측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설치환경에 따라 연결장치(200)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호스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세탁기에 구비되는 연결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세탁기에 사용되는 호스가 아닌 다른 호스의 연결에도 본 발명의 연결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 및 상기 연결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는 종래 발명과 달리 복수개의 호스를 결합하여 호스의 길이를 연 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설치 환경에 제약받지 않고 세탁기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장치가 유연하게 절곡될 수 있도록 벨로스를 구비함으로써 결합부에 가해지는 굽힘력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가 파손되거나 결합부에 틈이 발생되어 유체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쪽 나사산 타입의 연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볼 조인트 타입에 비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합부를 나사산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6)

  1. 제1호스와 제2호스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호스와 나사 결합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연결장치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호스와 나사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연결장치의 일단에 형성되는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연결장치의 타단에 형성되는 수나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호스의 내측을 통해 이동되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상기 제2결합부의 내측에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에는 유연하게 절곡되는 벨로스(bellows)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
  6. 두 개의 호스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연결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060028643A 2006-03-29 2006-03-29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070097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643A KR20070097850A (ko) 2006-03-29 2006-03-29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643A KR20070097850A (ko) 2006-03-29 2006-03-29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850A true KR20070097850A (ko) 2007-10-05

Family

ID=38803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643A KR20070097850A (ko) 2006-03-29 2006-03-29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785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767Y1 (ko) * 1991-10-16 1993-10-06 장명석 방동 배수전의 개폐밸브
KR200246580Y1 (ko) * 2001-04-10 2001-10-11 정승모 절연용 배관연결구
KR200377317Y1 (ko) * 2004-12-08 2005-03-08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가변곡관
KR100508158B1 (ko) * 2002-07-09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연료라인을 위한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767Y1 (ko) * 1991-10-16 1993-10-06 장명석 방동 배수전의 개폐밸브
KR200246580Y1 (ko) * 2001-04-10 2001-10-11 정승모 절연용 배관연결구
KR100508158B1 (ko) * 2002-07-09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연료라인을 위한 커넥터
KR200377317Y1 (ko) * 2004-12-08 2005-03-08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가변곡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442B1 (ko) 의류 처리장치
US8181492B2 (en) Washing machine with steam generator
US8234887B2 (en) Washing machine having steam generator
CN102277714B (zh) 具有热泵系统的衣物处理装置
KR100617110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CN111607945B (zh) 干衣机
CN103255605A (zh) 一种柜式干衣机
EP3453797B1 (en)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KR100712274B1 (ko)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 및 세탁기의 스팀 발생방법
JP5238391B2 (ja) 洗濯乾燥機
WO2018001220A1 (zh) 洗干一体机
KR20070097850A (ko)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CN110835832A (zh) 一种洗衣机冷凝器结构及烘干水冷系统
KR102127386B1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246374B1 (ko) 세탁기
KR20070066337A (ko) 세탁기용 급수장치
KR101157612B1 (ko) 세탁기의 스팀세탁 방법
KR20080091660A (ko) 세탁건조기
KR100465192B1 (ko) 건조장치를 갖춘 드럼세탁기
KR20130074790A (ko) 의류처리장치
KR102503030B1 (ko) 멤브레인 히트펌프 하이브리드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66210A (ko) 드럼세탁기
KR100778712B1 (ko) 건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KR0122442Y1 (ko) 건조세탁기
KR20060121299A (ko) 드럼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