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7843A - 종이컵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종이컵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7843A
KR20070097843A KR1020060028625A KR20060028625A KR20070097843A KR 20070097843 A KR20070097843 A KR 20070097843A KR 1020060028625 A KR1020060028625 A KR 1020060028625A KR 20060028625 A KR20060028625 A KR 20060028625A KR 20070097843 A KR20070097843 A KR 20070097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housing
paper cup
lever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8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근
최기훈
Original Assignee
김동근
최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근, 최기훈 filed Critical 김동근
Priority to KR1020060028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7843A/ko
Publication of KR20070097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23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shed and slid through the aper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1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for dispensing tickets or tok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2583/082Details relating to container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컵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이 개구되고 종이컵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공간의 종이컵을 누름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 방향으로 밀어주는 누름바아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구동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의 구동에 의해 동작되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클립링크 및 제2클립링크를 구비하는 링크기구와, 상기 제1클립링크와 제2클립링크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종이컵의 손잡이부를 세워주는 안착채널과 누름리브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링크기구에 의해 구동되어 선택적으로 서로 인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동작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종이컵 디스펜서를 사용하면 종이컵의 입구를 벌려줄 수 있는 손잡이가 돌출되게 만들어주므로 사용자가 종이컵을 컵박스에서 보다 위생적이고 쉽게 꺼낼 수 있고, 종이컵의 입구를 보다 용이하게 벌려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종이컵, 손잡이, 디스펜서

Description

종이컵 디스펜서{Paper cup dispenser}
도 1은 일반적인 종이컵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종이컵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커버를 제거하고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링크기구와 연동레버가 연결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에서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가 동작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종이컵의 손잡이부가 세워진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2: 수납공간
13: 스토퍼 14: 프론트부
16: 링크힌지 18: 지지보스
19: 걸이턱 20: 컵박스
22: 스토퍼 24: 누름바아
26: 누름판 28,28': 걸이후크
30: 탄성부재 32: 커버
34: 배출구 36: 레버설치구
40: 구동레버 42: 레버몸체
44: 조작부 46: 구동부
50: 연동레버 52: 연동아암
54: 연동장공 60: 링크기구
62: 제1클립링크 62': 제2클립링크
64: 힌지공 66: 연결핀
68: 연동핀 70: 채널클립
72: 연결공 74: 안착채널
76: 가이드공 80: 리브클립
82: 연결공 84: 누름리브
86: 가이드봉 90: 자석패드
본 발명은 종이컵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납작한 종이컵을 다수개 보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나씩 취출하도록 한 종이컵 디스펜서에 관 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납작한 종이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납작한 종이컵(1)은 한 장의 종이를 소정 형상으로 재단하여 접어서 소정 부분을 접착하여 만든다.
즉, 몸체(3)는 그 측판부(3')가 서로 밀착되도록 양단이 접어져 형성되는 것으로,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폐쇄되어 있다. 상기 개구된 상단은 몸체(3)의 내부에 물이 담아지고 배출되는 입구(5)가 된다.
상기 몸체(3)를 형성함에 있어서, 일측 측판부(3')에서 몸체(3)를 형성하는 부분이 서로 겹쳐져 부착된다. 이와 같이 겹쳐져 부착되는 부분을 종단부착부(7)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3)의 하단을 폐쇄하도록 만드는 부분을 하단부착부(9)라고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이컵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종이컵(1)은 납작하게 된 상태로 다수개가 컵박스 내에 차곡차곡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종이컵(1)을 컵박스 내에서 한장씩 꺼내는 것 자체가 어렵고, 사용자가 종이컵(1)을 컵박스에서 꺼낼 때 다른 종이컵(1)의 입구(5)부분도 함께 손으로 만지게 되어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납작한 종이컵(1)은 그 입구(5)가 벌어져 있지 않고, 보관시에 몸체(3)가 납작하게 되도록 눌러져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종이컵(1)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입구(5)를 벌리기 위해 몸체(3)의 접어진 양단 손가락으로 누르거나 몸체(3)의 양 측판부(3')를 손가락으로 비비면서 입으로 입구(5)로 바람을 불어 넣거 나 다른 손가락으로 입구(5)를 벌려주어야 한다.
따라서, 납작한 종이컵(1)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종이컵(1)을 보관함에서 취출한 후에 적어도 한번 이상의 동작을 하여야만 종이컵(1)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컵박스에 납작한 종이컵을 한 장씩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컵박스에서 꺼내진 납작한 종이컵의 입구를 보다 쉽게 벌릴 수 있도록 된 종이컵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이 개구되고 종이컵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공간의 종이컵을 누름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 방향으로 밀어주는 누름바아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구동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의 구동에 의해 동작되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클립링크 및 제2클립링크를 구비하는 링크기구와, 상기 제1클립링크와 제2클립링크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종이컵의 손잡이부를 세워주는 안착채널과 누름리브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링크기구에 의해 구동되어 선택적으로 서로 인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동작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 내에는 다수개의 종이컵이 세워져 구비되는 컵박스가 더 장착된다.
상기 제1 및 제2 클립링크는 각각이 상기 하우징의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프론트부에 링크힌지에 대해 회전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구동레버의 구동력은 상기 하우징에 복원부재에 의해 지지된 연동레버를 통해 상기 클립링크로 전달된다.
상기 적어도 각각 2개 이상의 제1 및 제2 클립링크는 링크힌지와 연결된 반대쪽이 각각 상기 채널클립과 리브클립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의 전면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프론트부에 설치되는 상기 연동레버, 링크기구 등은 커버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구동레버는 상기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는 자석패드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면이 개구되고 종이컵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개구된 전면 가장자리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공간의 종이컵을 누름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 방향으로 밀어주는 누름바아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하우징의 전면 가장자리를 차폐하는 커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회전되는 구동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복원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버에 의해 승강되는 연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의 구동력을 상기 연동레버를 통해 전달받아 동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 양단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제1클립링크 및 제2클립링크를 구비하는 링크기구와, 상기 제1클립링크와 제2클립링크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종이컵의 손잡이부를 세워주는 안착채널과 누름리브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링크기구에 의해 구동되어 선택적으로 서로 인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동작되는 채널클립과 리브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채널클립과 리브클립의 적어도 일단에는 채널크립과 리브클립의 안착채널과 누름리브 사이의 결합이 정확하게 되도록 각각 가이드공과 가이드봉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에는 종이컵이 세워져 수납되는 컵박스가 더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종이컵 디스펜서를 사용하면 종이컵의 입구를 벌려줄 수 있는 손잡이가 돌출되게 만들어주므로 사용자가 종이컵을 컵박스에서 보다 위생적이고 쉽게 꺼낼 수 있고, 종이컵의 입구를 보다 용이하게 벌려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종이컵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종이컵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커버를 제거하고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링크기구와 연동레버가 연결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10)은 종이컵 디스펜서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12)은 하우징(10)의 전면과 상면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의 개구된 전면 가장자리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종이컵(1)이나 컵박스(20)의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13)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3)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된 전면 가장자리 전체를 둘러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적절한 위치에 걸쳐 형성되면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전면에는 프론트부(14)가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부(14)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가장자리를 둘러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부(14)에는 다수개의 링크힌지(16)가 형성된다. 상기 링크힌지(16)는 아래에서 설명될 링크기구(60)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프론트부(14)의 하단 양측에는 또한 지지보스(1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보스(18)는 아래에서 설명될 복원부재(58)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보스(18)에 인접한 상기 프론트부(14)에는 각각 걸이턱(19)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9)은 복원부재(58)의 일측 단부(59')가 지지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10)의 수납공간(12)에는 컵박스(20)가 설치된다. 상기 컵박스(20)는 종이컵(1)이 다수개 세워져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컵박스(20)는 다수개의 종이컵(1)이 안착될 수 있도록 대략 육면체 형상의 내부공간을 가진다. 상기 컵박스(20)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상기 종이컵(1)을 생산하는 공장에서 종이컵(1)을 다수개씩 포장하여 제공하는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컵박스(20)는 적어도 그 전면과 배면이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컵박스(20)중 개구된 전면 하단 양측에는 스토퍼(22)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컵박스(20)에 안착되는 종이컵(1)은 손잡이부(7')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7')는 종래 기술의 종이컵(1)에서 종단부착부(7)의 일부를 서로 부착하지 않아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7')는 종단부착부(7) 전체 길이와 동일하게 하거나 몸체(3)의 상단 일부에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누름바아(24)는 상기 하우징(10)의 수납공간(12)에 선단부가 위치되게 하우징(10)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누름바아(24)의 선단에는 상기 컵박스(20) 내부의 종이컵(1)을 밀어주는 누름판(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판(26)은 상기 종이컵(1)의 몸체(3) 부분에 밀착되어 종이컵(1)을 일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누름바아(24)에는 제1걸이후크(28)와 제2걸이후크(28')가 각각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28,28')는 일종의 외팔보 형태로 구성되고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걸이후크(28,28')의 선단은 상기 누름바아(24)의 양측으로 상대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누름바아(24)가 하우징(10)에 설치되는 위치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걸이후크(28)는 상기 컵박스(20)를 하우징(10)에 삽입할 때, 상기 누름판(26)이 컵박스(2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우징(10)의 외면에 걸어지는 것이고, 상기 제2걸이후크(28')는 상기 컵박스(20)의 종이컵(1)이 거의 소진되었을 때, 누름바아(24)가 하우징(10)의 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누름바아(24)가 상기 종이컵(1)을 일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하기 위해 누름탄성부재(30)를 사용한다. 즉, 상기 누름바아(24)는 누름탄성부재(30)에 의해 상기 종이컵(1) 쪽으로 밀어진다. 상기 누름탄성부재(30)는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10)의 수납공간(12) 내면에 밀착되고, 타단부가 상기 누름바아(24)의 누름판(26) 배면에 지지된다.
커버(32)는 상기 하우징(10)의 프론트부(14)에 장착된다. 상기 커버(32)는 프론트부(14)에 장착되는 구성을 차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되는 배출구(3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32)는 상기 하우징(10)의 개구된 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상기 프론트부(14)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커버(32)가 상기 프론트부(14)에 장착되는 것은 상기 지지보스(18) 등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커버(32)에는 그 하단 일측에 레버설치구(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설치구(3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레버(4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32)에는 또한 연통관통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관통부(38)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레버(40)의 구동부(46)와 연동레버(50)의 종동보스(51) 사이의 연결을 위한 구성이다. 상기 연통관통부(38)는 장공형상으로 형성된다.
구동레버(40)는 사용자가 조작을 위한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상기 구동레버(40)는 상기 커버(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몸체(42)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몸체(42)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게 조작부(44)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44)는 실제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구동레버(40)를 돌려주는 부분이다. 상기 구동레버(40)에는 구동부(46)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46)는 연동레버(50)를 구동시켜 주는 부분이다.
연동레버(50)는 상기 구동레버(40)에 의해 구동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링크기구(60)를 구동하는 것이다. 상기 연동레버(50)에는 종동보스(51)가 그 전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종동보스(51)는 상기 연통관통부(38)를 관통하여 상기 구동레버(40)의 구동부(46)와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46)와 종동보스(51)의 연동을 위해 상기 구동부(46)에도 상기 구동부(46)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부분이 장공형태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연동레버(50)의 양단에는 연동아암(52)이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동아암(52)의 선단에는 각각 연동장공(54)이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단의 연동아암(52)에 형성된 연동장공(54)은 그 중심선의 연장선이 연동아암(52)이 연장된 방향 전방에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다. 도면부호 56은 걸이턱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복원부재(58)의 일단부(59')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복원부재(58)는 상기 연동레버(50)를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복원부재(58)로는 토션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원부재(58)의 양단부(59.59')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복원부재(58)의 원심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이들은 각각 상기 프론트부(14)의 걸이턱(19)과 연동레버(50)의 걸이턱(56)에 걸어져 상기 연동레버(5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링크기구(60)는 상기 구동레버(40)의 구동에 의해 동작되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채널클립(70)과 리브클립(80)을 각각 구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링크기구(60)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클립링크(62)와 제2클립링크(62')로 구성된다. 상기 제1클립링크(62)와 제2클립링크(62')는 각각 상기 프론트부(14)의 양단에 형성된 링크힌지(16)에 설치된다. 상기 클립링크(62,62')의 갯수는 아래에서 설명될 채널클립(70)과 리브클립(80)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클립링크(62,62')는 대략 평면도로 볼 때 마름모꼴로 형성되는 것으로,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클립링크(62,62')에는 그 일단부에 각각 힌지공(64)이 천공된다. 상기 힌지공(64)은 상기 프론트부(14)의 링크힌지(16)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상기 클립링크(62,62')중 상기 힌지공(64)이 형성된 반대쪽 단부에는 연결핀(66)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핀(66)은 아래에서 설명될 채널클립(70)과 리브클립(80)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클립링크(62,62')의 배면에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핀(68)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핀(68)은 상기 연동레버(50)의 연동장공(54)에 안착되어 연동레버(50)에 의해 상기 클립링크(62,62')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동핀(68)은 상기 클립링크(62,62')에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전체 상기 클립링크(62,62')를 동일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연동핀(68)은 필요한 클립링크(62,62')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채널클립(70)은 상기 제1클립링크(62)의 각각의 연결핀(66)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채널클립(70)의 상하단에는 각각 상기 연결핀(66)이 회전가능하게 관통 하는 연결공(7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채널클립(70)에는 그 일측 단부를 따라 길게 리브안착채널(74)이 형성된다. 상기 리브안착채널(74)은 아래에서 설명될 리브클립(80)의 누름리브(84)에 의해 세워진 상기 종이컵(1)의 손잡이부(7')의 일부와 누름리브(84)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채널클립(70)에는 또한 가이드공(7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76)은 상기 리브안착채널(74)이 개구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아래에서 설명될 리브클립(80)과 채널클립(70)이 서로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리브클립(80)은 상기 제2클립링크(62')의 각각의 연결핀(66)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리브클립(80)의 상하단에는 각각 상기 연결핀(66)이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는 연결공(8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리브클립(80)에는 그 일측 단부를 따라 길게 누름리브(8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리브(84)는 상기 채널클립(70)의 안착채널(74)에 안착되면서, 상기 손잡이부(7')를 접어서 세워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리브클립(80)에는 또한 상기 채널클립(70)의 가이드공(76)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가이드봉(8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봉(86)은 상기 누름리브(84)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리브클립(80)의 누름리브(84)가 채널크립(70)의 안착채널(74)에 정확하게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공(76)과 가이드봉(86)은 본 실시예에서 각각 상기 채널클립(70)과 리브클립(80)의 일단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양단에 각각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그 형성 위치를 반대로, 즉 가 이드공(76)을 리브클립(80)에 형성하고, 가이드봉(86)을 채널클립(70)에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에는 자석패드(9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자석패드(90)는 그 자력을 이용하여 종이컵 디스펜서를 종이컵을 사용하는 냉온수기 등의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하우징(10)을 냉온수기 등에 부착하는 구성은 자석패드(90)외에도 다른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종이컵 디스펜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종이컵 디스펜서는 종이컵(1)을 사용하는 냉온수기 등의 표면에 자석패드(90)를 이용하여 장착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수납공간(12)에는 종이컵(1)이 다수개 세워져 채워진 컵박스(20)가 장착된다. 상기 컵박스(20)를 상기 하우징(10)에 장착할 때는 상기 누름바아(24)를 수납공간(12)의 후방으로 후퇴시켜 상기 제1걸이후크(28)가 하우징(10)의 배면에 걸어지게 한다. 이는 상기 누름바아(24)를 잡아당기면, 상기 누름바아(24)가 하우징(10)을 관통하는 부분을 통과할 때, 상기 제1걸이후크(28)가 하우징(10)의 관통부 내면에 의해 눌러져 탄성변형되고, 제1걸이후크(28)가 상기 하우징(10)의 관통부를 빠져나오면 복원되어 하우징(10)의 배면에 걸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컵박스(20)를 상기 하우징(10)의 수납공간(12)에 삽입한다. 컵박스(20)의 수납이 끝나면 상기 제1걸이후크(28)를 눌러 상기 누름바아(24)가 상기 누름탄성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누름판(26)이 상 기 종이컵(1)을 상기 커버(32)의 배출구(33) 방향으로 밀어준다.
사용자가 상기 종이컵(1)을 꺼내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레버(40)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구동레버(40)의 조작부(44)를 손으로 잡고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다. 즉, 도 2의 상태에서 구동레버(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부(46)가 회전하면서, 상기 커버(32)의 연동관통부(38)를 관통해 상기 구동부(46)와 연결되어 있는 종동보스(51)가 연동관통부(38)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한다.
상기 종동보스(51)의 이동은 상기 연동레버(50)의 이동을 만들어낸다. 상기 연동레버(50)가 상기 복원부재(5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하부로 이동하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복원부재(58)는 그 일단부(59)가 연동레버(50)의 걸이턱(56)에 걸어지고 타단부(59')가 상기 하우징(10)의 걸이턱(19)에 걸어져 있어, 상기 연동레버(50)가 하우징(10)에 대해 특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한다.
상기 연동레버(50)가 하부로 이동하면, 상기 연동레버(50)의 연동아암(56)의 연동장공(54)에 연동핀(68)이 걸어져 있는 제1 및 제2클립링크(62,62')중 각각 하나가 상기 링크힌지(16)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클립링크(62,62')중 하나의 회전은 나머지 클립링크(62,62')의 회전을 만들어낸다. 이는 각각의 클립링크(62,62')가 채널클립(70)과 리브클립(80)에 의해 각각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링크기구(60)의 구동은 상기 채널클립(70)과 리브클립(80)의 동작을 만들어낸다. 즉, 상기 채널클립(70)과 리브클립(80)이 상기 커버(32)와 프론트 부(14) 사이에 있다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34)로 빠져나오게 된다. 물론, 상기 채널클립(70)과 리브클립(80)은 이와 동시에 하부로도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레버(40)를 계속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채널클립(70)과 리브클립(80)은 서로 점점 더 가까와지면서 하부로 이동한다. 이때, 적어도 상기 리브클립(80)은 상기 종이컵(1)의 일측 표면에 밀착되어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리브클립(80)의 누름리브(84)는 상기 종이컵(1)의 손잡이부(7')를 세워주게 된다. 즉, 상기 리브클립(80)의 누름리브(84)가 손잡이부(7')를 밀어올려 세우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채널클립(70)과 리브클립(80)이 서로 인접하게 될 때, 상기 가이드봉(86)과 가이드공(76)이 서로 먼저 인접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봉(86)이 가이드공(76)에 삽입되면서 상기 채널클립(70)과 리브클립(80)이 서로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채널클립(70)과 리브클립(80)의 계속되는 이동에 의해, 상기 채널클립(70)의 안착채널(74)에 상기 리브클립(80)의 누름리브(84)가 안착된다. 물론, 상기 누름리브(84)와 안착채널(74)의 사이에는 손잡이부(7')가 위치되는데, 상기 누름리브(84)가 안착채널(74)에 안착됨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7')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일면이 상기 안착채널(74)의 형상으로 요입되고, 타면이 상기 누름리브(84) 형상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7')가 세워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일단, 상기 채널클립(70)과 리브클립(80)이 결합될 때 까지 사용자가 상기 구동레버(40)에 힘을 주다가, 힘을 제거하면 상기 연동레버(50)가 상기 복원부재(58)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연동레버(50)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구동레버(40), 링크기구(60) 및 클립(70,80)도 원래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종이컵(1)은 그 손잡이부(7')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데,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7')를 잡고 종이컵(1)을 빼내면 된다. 그리고, 상기 종이컵(1)이 하나 빠져나간 만큼 상기 누름바아(24)는 상기 누름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종이컵(1)을 눌러주게 된다.
한편, 상기 종이컵(1)이 거의 빠져나가면, 상기 누름바아(24)가 상기 배출구(34)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많이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누름바아(24)가 일정 이상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은 상기 제2걸이후크(28')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컵박스(20)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상기 커버(32) 또한 상기 연동레버(54), 링크기구(60) 등을 다른 부품으로 차폐할 수 있다면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구동레버(40)가 상기 링크기구(60)를 직접 구동하도록 설계한다면, 상기 연동레버(50)를 반드시 사용하여야 하는 것 또한 아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종이컵 디스펜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레버를 사용자가 회전시킴에 의해 종이컵의 손잡이부가 세워지므로, 세워진 손잡이를 잡고 컵박스에서 종이컵을 하나씩만 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컵박스의 다른 컵을 건드리지 않으면서 종이컵을 하나씩 용이하게 꺼낼 수 있어 보다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일단 컵박스에서 꺼낸 종이컵의 입구를 벌리는 것 또한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납작한 종이컵의 사용이 휠씬 편리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전면이 개구되고 종이컵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공간의 종이컵을 누름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 방향으로 밀어주는 누름바아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구동되는 구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의 구동에 의해 동작되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클립링크 및 제2클립링크를 구비하는 링크기구와,
    상기 제1클립링크와 제2클립링크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종이컵의 손잡이부를 세워주는 안착채널과 누름리브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링크기구에 의해 구동되어 선택적으로 서로 인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동작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 내에는 다수개의 종이컵이 세워져 구비되는 컵박스가 더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디스펜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클립링크는 각각이 상기 하우징의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프론트부에 링크힌지에 대해 회전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구동레버의 구동력은 상기 하우징에 복원부재에 의해 지지된 연동레버를 통해 상기 클립링크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디스펜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각각 2개 이상의 제1 및 제2 클립링크는 링크힌지와 연결된 반대쪽이 각각 상기 채널클립과 리브클립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디스펜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프론트부에 설치되는 상기 연동레버, 링크기구 등은 커버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구동레버는 상기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디스펜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는 자석패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디스펜서.
  7. 전면이 개구되고 종이컵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개구된 전면 가장자리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수납공간의 종이컵을 누름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 방향으로 밀어주는 누름바아와,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하우징의 전면 가장자리를 차폐하는 커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아 회전되는 구동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복원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일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설치되고 상기 구동레버에 의해 승강되는 연동레버와,
    상기 구동레버의 구동력을 상기 연동레버를 통해 전달받아 동작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전면 양단에 각각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는 제1클립링크 및 제2클립링크를 구비하는 링크기구와,
    상기 제1클립링크와 제2클립링크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종이컵의 손잡이부를 세워주는 안착채널과 누름리브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링크기구에 의해 구동되어 선택적으로 서로 인접하거나 이격되도록 동작되는 채널클립과 리브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디스펜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클립과 리브클립의 적어도 일단에는 채널크립과 리브클립의 안착채널과 누름리브 사이의 결합이 정확하게 되도록 각각 가이드공과 가이드봉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디스펜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에는 종이컵이 세워져 수납되는 컵박스가 더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컵 디스펜서.
KR1020060028625A 2006-03-29 2006-03-29 종이컵 디스펜서 KR20070097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625A KR20070097843A (ko) 2006-03-29 2006-03-29 종이컵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8625A KR20070097843A (ko) 2006-03-29 2006-03-29 종이컵 디스펜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370U Division KR200421690Y1 (ko) 2006-03-29 2006-03-29 종이컵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843A true KR20070097843A (ko) 2007-10-05

Family

ID=3880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625A KR20070097843A (ko) 2006-03-29 2006-03-29 종이컵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78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06882B (en) Quick action clamp
KR101181249B1 (ko) 분말 흡입기
KR200421690Y1 (ko) 종이컵 디스펜서
PT1552907E (pt) Aparelho para abrir e fechar um dispositivo destinado à administração de líquidos
CN106255651B (zh) 片状材料分配器
KR20070097843A (ko) 종이컵 디스펜서
US1728454A (en) Sterile container
ITMI20001571A1 (it) Dispositivo di chiusura per il portello di un elettrodomestico, in particolare di una lavastoviglie.
US6279232B1 (en) Apparatus for removing eggshell
KR200449621Y1 (ko) 인서트
US2491161A (en) Collapsible tube dispenser
TW562756B (en) Binder
JP3150134B1 (ja) モップハンドル
JP5597470B2 (ja) 睫毛カール器
CN105986713A (zh) 用于车辆的发动机罩铰链
CN110978819A (zh) 一种用于打印机上的开盖组合机构
KR200354761Y1 (ko) 약제 자동 포장기용 수동분배트레이
RU2566265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основа швабры
JP2003011565A (ja) 回転部材の支持構造及び綴じ具
JP4328111B2 (ja) 化粧料容器
JP2001029686A (ja) 洗濯機の蓋
KR200263140Y1 (ko) 전기 가습기의 물통 결합장치
CN208851575U (zh) 止血钳
US10206544B2 (en) Soap holder
US1084327A (en) Pin-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