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114A -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 - Google Patents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114A
KR20070095114A KR1020060025399A KR20060025399A KR20070095114A KR 20070095114 A KR20070095114 A KR 20070095114A KR 1020060025399 A KR1020060025399 A KR 1020060025399A KR 20060025399 A KR20060025399 A KR 20060025399A KR 20070095114 A KR20070095114 A KR 20070095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or
cell
beacon frame
prox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2403B1 (ko
Inventor
이주한
이준희
최준회
성현아
김인환
장승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5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403B1/ko
Priority to US11/648,625 priority patent/US8130783B2/en
Publication of KR2007009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04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2203/5408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using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04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2203/542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using zero cross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을 제공한다.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은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제 1디바이스가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해줄 것을 제 2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단계와 제 2디바이스가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하기 위한 시간 구간을 코디네이터로부터 할당받고 제 1디바이스로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단계와 제 1디바이스가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셀 참여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프록시 코디네이터가 코디네이터로부터 시간 할당 정보를 포함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여 제 1디바이스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PLC, Cell, 코디네이터

Description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Method for cell join by using proxy coordinator}
도 1은 종래 PLC 셀과 비콘 프레임을 중계하는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참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디바이스가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하여 셀에 참여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PLC 셀 20: 코디네이터
30: 프록시 코디네이터
200: 슈퍼 프레임 210: 비콘 프레임 구간
212: 최대 비콘 프레임 구간 220: CAP 구간
222: 최소 CAP 구간 230: CFP 구간
232: MCFS 구간 310: 송수신 모듈
320: 할당 모듈 330: 설정 모듈
본 발명은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디바이스가 기존 셀의 디바이스와의 충돌없이 셀에 참여할 수 있는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는 가정 내 정보 가전기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사람과 사람, 사람과 기기, 기기와 기기간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공간과 디바이스의 제약없이 가정 내 기기들을 간편하게 제어하고 보다 폭 넓고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첨단기술이다.
최근에는 TV, 냉장고, 컴퓨터 등 가전기기들이 제품간 데이터 교환을 통해 정보가전기기로 발전되어 가고 있으며 또한 집 밖에서 핸드폰이나 인터넷을 통해 집안의 네트워크 가전기기와 조명, 가스밸브 등을 원격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PLC를 이용한 가전기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PLC(Power Line Communication)는 전용 통신 회선을 이용하는 것이 아닌 가정에 배선된 전력선을 통해 통신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또한 PLC는 전력선에 수백K~수십MHz의 고주파 신호를 실어 통신하는 데 현재 모든 가구에 전력선이 보급돼 있어 상기 배선을 이용하면 별도의 배선이 필요 없게 되어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원 콘센트에 플러그만 연결하면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PLC는 본래 저속 통신을 기본으로 가전기기 제어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최근에는 고속 전력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어 기존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도 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전력, 유량, 가스 등의 자동 점검도 가능하다. 또한, 홈 네트워크, 정보가전, 전력 망 관리 등이 가능하고 특히 PLC를 응용한 고속 액세스 기술과 홈 네트워크를 통한 저속 제어 기술은 차세대 통신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한편, 북미 전력선 통신 연합인 홈플러그 어라이언스(Homeplug Alliance)에서 제안한 맥(MAC) 기술은 비콘(Beacon)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코디네이터(Coordinator) 장치를 이용하여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전송 매체(Transmission Media)의 접근을 제어하는 중앙 조정자(Central Arbiter) 방식을 사용한다. 맥 기술은 PLC 통신이 가능한 영역을 논리적인 셀(Cell)로 정의하고, 셀은 코디네이터가 전송하는 비콘 프레임에 의해 운영되고, 디바이스는 셀에 속하기 위해 코디네이터로 셀 참여 요청을 한다. 셀 참여에 성공한 디바이스는 코디네이터로 시간 할당을 요청하고 할당받은 시간 구간을 이용하여 PLC 통신을 한다. 상기 전송 매체는 디바이스 간의 전송 통로로 PLC를 포함하고, 이외에도 예를 들어 쌍 케이블, 동축 케이블, 전파 링크, 도파관, 광케이블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 PLC 셀과 비콘 프레임을 중계하는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도시한다.
코디네이터에 의해 PLC 네트워크인 PLC 셀(10)이 형성되고, 셀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디바이스(이하 ‘제 1디바이스’)는 코디네이터(20)로 셀 참여 요청을 하고, 코디네이터(20)의 승인을 받아 셀에 참여하게 된 제 1디바이스는 코디네이터 (20)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프레임을 통해 자신이 사용할 시간 할당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때,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제 1디바이스를 셀에 참여시키기 위해 프록시 코디네이터(Proxy Coordinator)(30)가 동작될 수 있으며, 프록시 코디네이터(30)는 비콘 프레임을 중계(Relay)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제 1디바이스가 기존 디바이스와의 충돌없이 전송 매체 접근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만의 시간을 할당받아 사용해야 하는데, 자신만의 시간을 할당받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 1디바이스가 셀에 참여하기 위한 요청(이하 ‘셀 참여 요청’)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코디네이터(20)로 전송해야 한다. 그러나, 제 1디바이스가 셀 참여 요청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기존 셀의 디바이스와의 충돌없이 어느 시점에 코디네이터(20)로 전송해야 할지 결정하기 어렵다. 즉, 제 1디바이스는 기존에 생성되어 있던 셀의 시간 할당 정보를 알 수 없으므로, 셀에 전송하는 프레임이 기존 셀에 간섭을 주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디바이스가 프록시 코디네이터(30)로부터 중계된 비콘 프레임을 통해 기존 셀의 시간 할당 정보를 받더라도, 이를 수신한 시점은 코디네이터(20)가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흐른 후의 시점일 수밖에 없다. 즉, 제 1디바이스가 중계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는 시점은 코디네이터(20)로부터 프록시 코디네이터(30)까지의 전송 시간과 프록시 코디네이터(30)가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프로세싱 시간(Processing Time) 및 프록시 코디네이터(30)로부터 제 1디바이스까지의 전송 시간을 합산한 시간이 제 1디바이스가 중계된 비콘 프 레임을 수신하는 시점이 된다.
따라서, 기존 셀에 시간 동기를 맞추어 통신하는 것이 어려우며,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방법으로 에러 앤 트라이(Error and Try)하여 셀 참여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겠으나, 이는 기존에 코디네이터로부터 전송 매체를 할당받아 사용하려는 디바이스와 충돌(Collision)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디바이스가 기존 셀의 디바이스와의 충돌없이 셀에 참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은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제 1디바이스가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해줄 것을 제 2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단계와 제 2디바이스가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하기 위한 시간 구간을 코디네이터로부터 할당받고 제 1디바이스로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단계 와 제 1디바이스가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셀 참여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프록시 코디네이터가 코디네이터로부터 시간 할당 정보를 포함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여 제 1디바이스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퍼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다.
PLC는 바람직하게는 60Hz의 AC 라인 사이클(Alternating Current Line Cycle)이 반복되며, 본 일 실시예의 슈퍼 프레임의 시작과 끝은 AC 라인 사이클의 한 주기에 동기화되어 있다.
이하 슈퍼프레임(200)의 구성 및 후술할 도 3 및 도 4을 통해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디바이스의 셀 참여 요청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슈퍼프레임(200)은 PLC 네트워크인 (PLC) 셀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시간 분할 단위이며, 하나의 슈퍼프레임(200)은 비콘 프레임 구간(Beacon Period)(210), 경쟁 기반 접근 구간인 CAP 구간(Contention Access Period)(220) 및 CFP 구간(Contention Free Period)(230)을 포함한다.
비콘 프레임 구간(210)은 최대 비콘 프레임 구간(Max Beacon Period)(212)동안 최대 크기로 비콘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코디네이터가 전송하는 비콘 프레임 안에는 셀 내부의 멤버 디바이스에게 전달되어야 할 타임 스케줄링(Time Scheduling) 정보 및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 관련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때, 비콘 프레임 안에 무한대의 정보를 넣을 수는 없으므로 일정한 임계 상한 값(Max)을 정해주어야 하는데, 최대 비콘 프레임 구간(212)은 임계 상한 값을 해당 시간으로 표기한 구간이다.
경쟁 기반 접근 구간인 CAP 구간(220)은 최소 CAP 구간(Min CAP Period)(2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최소 CAP 구간(222)은 슈퍼프레임(200) 내에서 최소한 보장해주어야 하는 구간이다. 비콘 프레임의 전송이 완료되면 CSMA/CA 방식으로 전송 매체에 접근이 가능한 경쟁 기반 접근 구간인 CAP 구간(220)이 이어지게 된다. 이때, 경쟁 기반 접근 구간인 CAP 구간(220)을 이용하면 별도로 시간 할당을 받지 않은 디바이스도 경쟁을 통해 전송 매체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디바이스(제 1디바이스)는 비콘 프레임 구간(210) 또는 각 디바이스에게 고유하게 할당된 CFP 구간 (230)이 아닌 최소 CAP 구간(222)을 이용하여 셀 참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CFP 구간(230)은 MCFS 구간(2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MCFS 구간(Management CFS)(232)은 특정 관리 목적을 위해 예약된 시간(구간)으로 바람직하게는 비콘 프레임을 중계하기 위한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 디바이스(제 1디바이스)는 CFP 구간(230) 동안 TDMA 방식으로 전송 매체에 접근하게 되고, CFP 구간(230)은 다시 다수개의 CFS 구간(Contention Free Slot)(도시되지 않음)으로 나뉘어진다. CFS 구간은 디바이스가 코디네이터에게 요청하여 할당 받은 시간(구간)으로, 해당 시간 동안은 상기 디바이스외에 다른 디바이스는 전송 매체에 접근할 수 없다. 따라서 CFS 구간을 할당 받은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의 경쟁 없이 서비스 품질을 보장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참여 장치의 블록도이다.
PLC 네트워크에서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디바이스(제 1디바이스)는 셀 참여 장치(300)를 통해 기존 셀의 디바이스와의 충돌없이 셀에 참여하여 PL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셀 참여 장치(300)는 송수신 모듈(310), 할당 모듈(320) 및 설정 모듈(330)을 포함한다.
송수신 모듈(310)은 제 1디바이스, 프록시 코디네이터 및 코디네이터간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제 1디바이스는 비콘 프레임을 직접 수신할 수 없으므로 비콘 프레임을 중계해 줄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선정하기 위해 인접해 있는 디바이스(이하 ‘제 2디바이스’)에게 프 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해줄 것을 송수신 모듈(310)을 통해 요청한다. 또한 제 1디바이스는 최대 비콘 프레임 구간(212)이 끝나는 시점 직후인 최소 CAP 구간(222)을 이용하여 셀 참여 요청을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송수신 모듈(310)을 통해 전송한다. 보다 더 구체적인 내용은 도 4에서 후술하기로 하고 이하 생략한다.
할당 모듈(320)은 제 2디바이스에 대해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하기 위한 시간을 할당한다. 즉,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해줄 것을 제 1디바이스로부터 요청받은 제 2디바이스는 비콘 프레임을 중계하기 위한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하기 위한 시간(구간)을 상기 송수신 모듈(310)을 통해 코디네이터로 요청하고, 코디네이터는 제 2디바이스에 대해 MCFS 구간(232) 즉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하기 위한 시간(구간)을 할당 모듈(320)을 통해 할당한다.
설정 모듈(330)은 제 1디바이스를 위한 시간 할당 정보를 설정한다. 즉, 코디네이터는 제 1디바이스의 셀 참여 요청을 승낙하고, 제 1디바이스를 위한 시간 할당 정보를 설정 모듈(330)을 통해 설정한 후 비콘 프레임에 포함시켜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상기 송수신 모듈(310)을 통해 전송한다. 제 1디바이스는 시간 할당 정보에 따라 자신만의 시간(CFS 구간)을 할당 받았으므로, 상기 시간 할당 정보에 따라 인접 디바이스와의 충돌 없이 전송 매체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 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도 4에서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디바이스의 셀 참여 과정을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디바이스가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하여 셀에 참여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PLC 네트워크에서 코디네이터는 시간 동기화 및 서비스 품질(QoS) 정보를 셀 내의 멤버 디바이스에게 알리기 위해 비콘 프레임을 전송한다.
이때,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제 1디바이스는 비콘 프레임을 직접 수신할 수 없으므로 비콘 프레임을 중계해 줄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선정하기 위해 인접해 있는 제 2디바이스에게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해줄 것을 송수신 모듈(310)을 통해 요청한다(S401).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해줄 것을 요청받은 상기 제 2디바이스는 비콘 프레임을 중계하기 위한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하기 위한 시간을 송수신 모듈 (310)을 통해 코디네이터로 요청한다(S411).
코디네이터는 제 2디바이스에 대해 MCFS 구간(232) 즉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하기 위한 시간 구간을 할당 모듈(320)을 통해 할당한다(S421).
코디네이터로부터 MCFS 구간(232)을 할당받은 상기 제 2디바이스는 제 1디바이스에게 자신이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 가능하다는 것을 송수신 모듈(310)을 통해 알린다(S431). 이와 같이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제 1디바이스는 프록시 코디네이터 선정을 위한 협상 기간을 거치게 된다.
다음 단계에서, 제 1디바이스는 최대 비콘 프레임 구간(212)이 끝나는 시점 직후인 최소 CAP 구간(222)을 이용하여 셀 참여 요청을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송수신 모듈(310)을 통해 전송한다(S441). 즉, 비콘 프레임의 전송이 완료되면 CSMA/CA 방식으로 전송 매체에 접근이 가능한 경쟁 기반 접근 구간인 CAP 구간(220)이 이어지게 된다. 이때, 경쟁 기반 접근 구간인 CAP 구간(220)을 이용하면 별도로 시간 할당을 받지 않은 디바이스도 경쟁을 통해 전송 매체에 접근할 수 있다. 따라서,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제 1디바이스는 비콘 프레임 구간(210) 또는 각 디바이스에게 고유하게 할당된 CFP 구간(230)이 아닌 경쟁 기반 접근 구간의 최소 CAP 구간(222)을 이용하여 셀 참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프록시 코디네이터는 제 1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셀 참여 요청을 코디네이터로 송수신 모듈(310)을 통해 재전송한다(S451).
코디네이터는 제 1디바이스의 셀 참여 요청을 승낙하고, 제 1디바이스를 위한 시간 할당 정보를 설정 모듈(330)을 통해 설정한 후 비콘 프레임에 포함시켜 프 록시 코디네이터로 송수신 모듈(310)을 통해 전송한다(S461). 시간 할당 정보는 코디네이터가 제 1디바이스에 대해 할당한 시간(CFS 구간)으로, 해당 시간 동안은 다른 디바이스는 전송 매체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다른 디바이스와의 경쟁 없이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받을 수 있다.
프록시 코디네이터는 코디네이터로부터 수신한 시간 할당 정보를 포함한 비콘 프레임을 제 1디바이스로 송수신 모듈(310)을 통해 재전송한다(S471). 이때, 프록시 코디네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코디네이터로부터 할당 받은 시간(구간)인 MCFS 구간(232)을 이용하여 상기 비콘 프레임을 중계하게 된다.
제 1디바이스는 시간 할당 정보에 따라 자신만의 시간(CFS 구간)을 할당 받았으므로, 상기 시간 할당 정보에 따라 인접 디바이스와의 충돌 없이 전송 매체에 접근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셀에 참여하여 PLC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S481).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에 따르면 PLC 네트워크에서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디바이스가 기존 셀의 디바이스와의 충돌없이 셀에 참여하여 PLC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비콘 프레임의 도달 영역 밖에 위치하고 있는 제 1디바이스가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해줄 것을 제 2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 2디바이스가 상기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하기 위한 시간 구간을 코디네이터로부터 할당받고 상기 제 1디바이스로 상기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 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단계;
    상기 제 1디바이스가 상기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셀 참여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록시 코디네이터가 상기 코디네이터로부터 시간 할당 정보를 포함한 비콘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제 1디바이스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디바이스는 경쟁 기반 접근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셀 참여 요청을 상기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전송하는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 코디네이터는 상기 프록시 코디네이터로 동작하기 위한 시간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비콘 프레임을 중계하는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디바이스는 상기 시간 할당 정보에 따라 상기 셀에 참여하여 PLC 통신을 수행하는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
KR1020060025399A 2006-03-20 2006-03-20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 KR100772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399A KR100772403B1 (ko) 2006-03-20 2006-03-20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
US11/648,625 US8130783B2 (en) 2006-03-20 2007-01-03 Method of joining a cell using a proxy coordinator, and a network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5399A KR100772403B1 (ko) 2006-03-20 2006-03-20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114A true KR20070095114A (ko) 2007-09-28
KR100772403B1 KR100772403B1 (ko) 2007-11-01

Family

ID=38518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399A KR100772403B1 (ko) 2006-03-20 2006-03-20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30783B2 (ko)
KR (1) KR100772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6802A2 (en) 2004-03-08 2005-09-22 Proxense, Llc Linked account system using personal digital key (pdk-las)
WO2006069330A2 (en) 2004-12-20 2006-06-29 Proxense, Llc Biometric personal data key (pdk) authentication
US8433919B2 (en) 2005-11-30 2013-04-30 Proxense, Llc Two-level authentication for secure transactions
US11206664B2 (en) 2006-01-06 2021-12-21 Proxense, Llc Wireless network synchronization of cells and client devices on a network
US8036152B2 (en) 2006-01-06 2011-10-11 Proxense, Llc Integrated power management of a client device via system time slot assignment
US9269221B2 (en) 2006-11-13 2016-02-23 John J. Gobbi Configuration of interfaces for a location detection system and application
WO2009062194A1 (en) 2007-11-09 2009-05-14 Proxense, Llc Proximity-sensor supporting multiple application services
US8171528B1 (en) 2007-12-06 2012-05-01 Proxense, Llc Hybrid device having a personal digital key and receiver-decoder circuit and methods of use
KR101117683B1 (ko) * 2007-12-07 2012-02-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비콘재전송장치, 비콘재전송방법 및초기접속신청방법
US9251332B2 (en) 2007-12-19 2016-02-02 Proxense, Llc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computing resources
WO2009102979A2 (en) 2008-02-14 2009-08-20 Proxense, Llc Proximity-based healthcare management system with automatic access to private information
JP5290600B2 (ja) * 2008-03-24 2013-09-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WO2009126732A2 (en) 2008-04-08 2009-10-15 Proxense, Llc Automated service-based order processing
WO2010143791A1 (en) 2009-06-09 2010-1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hannel resource allocation and devices in wireless networks
KR101506041B1 (ko) * 2009-07-13 2015-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Wban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US9418205B2 (en) 2010-03-15 2016-08-16 Proxense, Llc Proximity-based system for automatic application or data access and item tracking
US8918854B1 (en) 2010-07-15 2014-12-23 Proxense, Llc Proximity-based system for automatic application initialization
US9265450B1 (en) 2011-02-21 2016-02-23 Proxense, Llc Proximity-based system for object tracking and automatic application initialization
US8964786B2 (en) * 2011-04-08 2015-02-2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mmunications in beacon-enabled networks
CN104255063B (zh) 2011-11-08 2018-07-31 马维尔国际贸易有限公司 用于向通信网络提供接入的方法和系统
EP2958273A4 (en) * 2013-02-13 2016-02-24 Panasonic Ip Man Co Ltd CARRIER FREQUENCY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ASUREMENT READER
WO2014183106A2 (en) 2013-05-10 2014-11-13 Proxense, Llc Secure element as a digital pocket
US9037145B2 (en) 2013-06-28 2015-05-19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priority and quality of service across multi-user devices
US20150120863A1 (en) * 2013-10-25 2015-04-30 Qualcomm Incorporated Proxy network device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150372717A1 (en) * 2014-06-18 2015-12-24 Qualcomm Incorporated Slotted message access protocol for powerline communication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4176B1 (en) * 2000-03-01 2004-06-22 Sharewave, Inc. Scheme for managing overlapping wireless computer networks
EP1316170A2 (en) * 2000-06-07 2003-06-04 Conexant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um access control in powerline communication network systems
KR100781373B1 (ko) * 2001-01-05 2007-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기기 및 그 통신방법 및 이를 적용한 무선통신시스템
JP2003318917A (ja) 2002-04-26 2003-11-07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への参加方法
US7280801B2 (en) * 2002-12-02 2007-10-09 Agere Systems Inc. Reducing interference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sharing a common wireless transmission medium
US7342896B2 (en) * 2003-03-03 2008-03-1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Centralized network organization and topology discover in Ad-Hoc network with central controller
KR20050063612A (ko) * 2003-12-22 2005-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른 단말의 요청에 의한 피코넷 코디네이터 구성방법과피코넷망 참여를 위한 피코넷 코디네이터 구성 요청 방법
US7460503B2 (en) * 2004-02-03 2008-12-0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for beacon rebroadcast in centrally controlled wireless systems
US20050174950A1 (en) * 2004-02-09 2005-08-1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istributed network organization and topology discovery in ad-hoc network
KR100742611B1 (ko) * 2004-11-01 2007-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광대역 임펄스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과 무선통신 장치 및 그 방법
US7720471B2 (en) * 2005-07-27 2010-05-1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Method for managing hidden stations in a centrally controlled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18921A1 (en) 2007-09-20
KR100772403B1 (ko) 2007-11-01
US8130783B2 (en)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403B1 (ko) 프록시 코디네이터를 이용한 셀 참여 방법
US1089776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010807B1 (ko) 단말 대 단말 통신에서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939923B (zh) 电力线通信系统中用于获取包括空间和时间再用的资源共享的方法、系统、集成电路、通信模块、和计算机可读介质
KR100735903B1 (ko) 무선망 제어장치와 무선망 제어방법
CN107302786B (zh) 一种家庭智能网络的组建方法及系统
KR101988861B1 (ko)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
JP2003158525A (ja) Bluetooth通信を確立するシステムと方法、マスター機器、問い合わせ機器
KR10222139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248338A (zh) 用于控制网络外设备到设备通信的系统和方法
KR20060117202A (ko) 메쉬 네트워크에서의 다중채널 할당방법 및 이를 위한 다중채널시스템
CN101461189A (zh) 用于生成和使用保留地图的技术
CN104902579B (zh) 一种无线网络通信系统中终端之间直连通信的方法
JP6438132B2 (ja) データ送信方法、リソース測定方法、装置、及びデバイス
US9848398B2 (en) Scheduling method between terminals for search resource allocation in direct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of
KR20090035969A (ko)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 자원을 공유하는 방법
US8179914B1 (en) Network slot synchronization scheme for a computer network communication channel
KR102049047B1 (ko) 단말간 직접 통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JP2014057279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CN106851853B (zh) 用于多跳无中心网络的多址接入控制方法及控制装置
CA2379844A1 (en) Network slot synchronization scheme for a computer network communication channel
CN106937384B (zh) 一种基于中继请求的通信方法及装置
KR101537014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5277633A (ja) 媒体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電力線通信方法
CN106817758A (zh) 中继用户设备和远程用户设备的通信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