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4347A - 결정질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결정질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4347A
KR20070094347A KR1020060024931A KR20060024931A KR20070094347A KR 20070094347 A KR20070094347 A KR 20070094347A KR 1020060024931 A KR1020060024931 A KR 1020060024931A KR 20060024931 A KR20060024931 A KR 20060024931A KR 20070094347 A KR20070094347 A KR 20070094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attern layer
layer
electrod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열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4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4347A/ko
Publication of KR20070094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07Transportable fodder pails or tr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05Drinking bowls with anti-splash or anti-spilling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패턴 층,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패턴 층,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 패턴 층 및 상기 제 2 전극 패턴 층 상에 배치된 제 2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은 외부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광을 발생한다.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은 결정화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결정질 층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액정표시장치의 백 라이트, 조명 기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에 채용되어 상기 백 라이트, 조명 기기,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의 수명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결정질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crystalline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라인을 따라 절단한 유기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510: 제 1 기판 120, 520: 제 1 전극 패턴 층
130, 530: 유기 발광 패턴 층 140, 550: 제 2 전극 패턴 층
150, 560: 제 2 기판 540: 격벽
301, 302, 303: 서브 픽셀 310: 단위 픽셀
100, 500: 유기 발광 소자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기기들에 채용되어 상기 기기들의 수명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등의 광원으로서,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형광 면광원 램프,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이 사용되고 있다. 차세대 주요 광원으로 기대되는 OLED 광원을 이용할 경우, 그 자체를 박막으로 제조 가능하여 광원의 두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온도 상승 경향이 적을 뿐 아니라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다. 나아가 광원 장치의 대형화가 가능하다. 최근, 백색 OLED를 이용한 면발광의 수명, 휘도 향상 등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상기 OLED는 각종 컬러 광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이종의 유기 발광 물질들을 사용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패널로서도 기능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OLED는 액정표시장치의 백 라이트, 각종 조명 기기, 표시 장치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OLED는 아직 수명 및 신뢰성 면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수명 이 길고 신뢰성이 우수한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제 1 기판, 제 1 전극 패턴 층, 유기 발광 패턴 층, 제 2 전극 패턴 층 및 제 2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은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용도에 따라 단일 패턴 또는 복수의 서브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 상에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광을 발생한다.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은 유기 물질이 결정화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결정질 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극 패턴 층은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 및 제 2 전극 패턴 층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 및 제 2 전극 패턴 층 사이에 형성된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에 전계(electric field)를 형성 시킨다.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제 2 전극 패턴 층 상에 배치된다.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 상에 각각 순차적으로 라미네이트 되어 형성된 정공 수송 층, 유기 발광 층 및 전자 수송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능 향상 등을 목적으로 정공 저지 층, 전자 주입 층 등의 다양한 부가 기능 층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이 상기와 같이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가장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정공 수송 층은 정공 수송용 유기 물질이 결정화되어 형성된 결정질 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 및 정공 수송 층 사이의 계면은 평탄화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평탄 면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계면 불균일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유입, 수명 단축, 접촉 저항의 증가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은 유리로 이루어지며, 특히 소다라임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발광 패턴 층은 단일 색상을 발현하는 단일 패턴으로 이루질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색상을 발현하는 복수의 서브 패턴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단일 패턴인 경우,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은 일반적으로 백색광을 발생하며 액정표시장치의 백 라이트, 일반 조명기기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유기발광 패턴 층이 복수의 서브 패턴들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다각형 형상의 평면을 가질 수도 있으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일부 면이 곡면인 곡선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가 일반 조명기구로 사용될 경우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이 가능하다. 이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가 박막 형태를 하고 있어 가공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액정표시장치의 백 라이트, 일반 조명기구, 컬러 표시 장치 등에 적용되어 상기 각종 장치 및 기구 등의 수명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소자(100)는 제 1 기판(110), 제 1 전극 패턴 층(120), 유기 발광 패턴 층(130), 제 2 전극 패턴 층(140) 및 제 2 기판(15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110)은 투명한 기판 또는 불투명한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110)은 유연성을 갖는 플랙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 예로, 제 1 기판(110)은 투명한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기판(110)은 소다라임 유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다라임 유리는 나트륨 용출에 의한 황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막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다르게, 보로 실리케이트 유리를 사용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기판은 0.5 내지 1.1 mm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120)은 양전극용 금속 재료를 증착 또는 도포하여 형성된다. 제1 전극 패턴 층(120)은 불투명한 금속 물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전극 패턴 층(120)은 칼슘(Ca), 바륨(Ba), 마그네슘(Mg),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120)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100)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패터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조명기구나 액정표시장치의 백 라이트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단일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유기 발광 표시장치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화소에 대응하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패터닝 된다. 이 경우 각 화소에 대응하는 유기 발광 패턴 층(130)을 이루는 유기 발광 물질들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120)은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나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등의 투명성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양면 발광을 필요로 할 때는 제 1 전극 패턴 층(120) 및 제 2 전극 패턴 층(150)은 모두 투명성 전극이어야 한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120) 상에는 유기 발광 패턴 층(130)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130)의 적어도 하나의 층은 결정화되어 형성된 유기 결정 층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결정 층은 아몰퍼스 구조를 갖는 유기 물질 층을 열처리하거나 특정 범위의 에너지를 갖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결정화될 수 있다.
특히, 결정화되는 유기 물질 층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120)과 접촉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120)은 무기 물질 층으로서 상기 유기 물질 층이 결정질을 이루게 되면 계면 특성이 향상되어 발광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결정화 과정에서 두께가 감소하여 상기 유기 발광 소자(100)를 보다 슬림화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130)은 정공 수송 층(132), 유기 발광 층(134) 및 전자 수송 층(136)을 포함한다.
상기 정공 수송 층(132), 유기 발광 층(134) 및 전자 수송 층(136)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120) 상에 순차적으로 라미네이트 되어 형성된다. 상기 각 유기 층들(132, 134, 136)은 유기 증착 방식, 스핀 코팅 방식, 스프레이 분사 방식 등에 의하여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120)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정공 수송 층(132)은 무기 층인 제 1 전극 패턴 층(120)과 접촉하는 층으로서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120) 및 정공 수송 층 사이의 계면 특성은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 경우, 상기 정공 수송 층(132)은 정공 수송용 유기 물질이 결정화되어 형성된 결정질 층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정공 수송 층(132)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정공 수송용 유기 물질을 결정화하는 단계에서는 미세한 회전 공정을 가미하여 상기 정공 수송용 유기 물질이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정공 수송 층(132)이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120) 상에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100)는 상기 정공 수송 층(132) 및 제 1 전극 패턴 층(120) 사이에 형성된 계면의 평탄도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정공 수송 층(132)은 결정질로 이루어져 있어 무기물인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120) 사이의 접착 성능이 우수하여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정공 유동성(hole mobility)이 향상됨으로써 유기 발광 소자(100)의 발광 효율 및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130)은 상기 정공 수송 층(132), 유기 발광 층(134), 전자 수송 층(136)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정공 저지 층, 전자 주입 층 등의 다양한 부가 층 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층들(132, 134, 136)은 다양한 인광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130)의 수명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130)은 동일한 유기 발광 물질들로 이루어진 단일 패턴을 형성할 수 도 있으며, 서로 다른 이종의 색상을 발현하는 복수의 패턴들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색상이 다르면 유기 발광 패턴 층을 이루는 유기 물질들은 서로 다르다.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130) 상에는 제 2 전극 패턴 층(14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극 패턴 층(140)은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나 인듐 징크 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등의 투명성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 패턴 층(140)은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공통전극으로서 일체의 단일 패턴을 갖는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120) 및 제 2 전극 패턴 층(140)은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120) 및 제 2 전극 패턴 층(140) 사이의 유기 발광 패턴 층(130)에 전계를 형성시킨다.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130)은 전계가 인가되면 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100)는 단일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어, 백색 광원으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조명기구나 액정표시장치의 면 광원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130)은 결정화 과정 중에 두께가 감소됨으로써 보다 슬림한 디자인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의 제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에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100)는 가공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조명기구에 적용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기 발광 소자(100)는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 오각형, 별 모양 등의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 면이 곡선인 형태 등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100)는, 일반 조명 기구뿐만 아니라 형태 가공의 용이성 때문에 야간 광고판 등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소자(500)은 복수의 단위 픽셀(310)들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 픽셀들(310)은 각각 적색 서브 픽셀(301, R), 녹색 서브 픽셀(302, G) 및 청색 서브 픽셀(303, B)을 포함한다. 상기 각 서브 픽셀들(301, 302, 303)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500)의 평면 상에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상기 단위 픽셀(310)은 상기 세 개의 서브 픽셀들(301, 302, 303)의 강도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인접하는 서브 픽셀들(301, 302) 사이에는 격벽(540)이 형성되어 있어 이종의 색상을 표현하는 인접 서브 픽셀들 간의 색 혼합을 방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각 서브 픽셀들(301, 302, 303)은 각각 유기 발광 패턴 층(530)을 이루는 매트릭스 형상의 패턴 중 어느 하나의 격자 패턴에 대응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유기 발광 소자(500)는 제 1 기판(510), 제 1 전극 패턴 층(520), 유기 발광 패턴 층(530), 제 2 전극 패턴 층(550), 격벽(540) 및 제 2 기판(540)을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1 기판(510)은 제1 전극 패턴 층(520) 및 제2 전극 패턴 층(550)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형성된 어레이 소자 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어레이 소자층은, 각 서브 픽셀(301, 302, 303)에 대응한 상기 제1 전극 패턴 층(520)을 스위칭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er; TFT) 및 상기 전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배선 등을 포함한다.
각 서브 픽셀에 대응하는 제 1 전극 패턴 층(520)마다 서로 다른 다양한 전 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520) 상에는 유기 발광 패턴 층(530)이 형성된다.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530)은 각 서브 픽셀(301, 302, 303)들에 대응하고 격자 형상을 갖는 복수의 서브 패턴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530)을 이루는 각 유기 물질 층들은 대응하는 서브 픽셀의 색상이 다를 경우, 서로 다른 유기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530)은 적색 발광 물질, 녹색 발광 물질 또는 청색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530)은 정공 수송 층(532), 유기 발광 층(534) 및 전자 수송 층(536)을 포함한다.
상기 정공 수송 층(532), 유기 발광 층(534) 및 전자 수송 층(536)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520) 상에 순차적으로 라미네이트 되어 형성된다.
상기 정공 수송 층(532)은 무기 층인 제 1 전극 패턴 층(520)과 접촉하는 층으로서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520) 및 정공 수송 층(532) 사이의 계면 특성은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 경우, 상기 정공 수송 층(532)은 정공 수송용 유기 물질이 결정화되어 형성된 결정질 층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정공 수송 층(532)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정공 수송용 유기 물질을 결정화하는 단계에서는 미세한 회전 공정을 가미하여 상기 정공 수송용 유기 물질이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정공 수송 층(532)이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520) 상에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한 다. 따라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500)는 상기 정공 수송 층(532) 및 제 1 전극 패턴 층(520) 사이에 형성된 계면의 평탄도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정공 수송 층(532)은 결정질로 이루어져 있어 무기물인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520) 사이의 접착 성능이 우수하여 접촉 저항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정공 유동성(hole mobility)이 향상됨으로써 유기 발광 소자(500)의 발광 효율 및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격벽(540)은 유기 발광 패턴 층(530)의 격자 패턴 사이마다 형성되어 인접하는 패턴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종의 색상을 갖는 광의 혼합을 방지하고 표시되는 영상의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은 각 서브 픽셀(301, 302, 303)에 대응한 제 1 전극 패턴 층(520)들간을 전기적으로 분리함으로써, 각 서브 픽셀(301, 302, 303)들의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격벽(540)은 유기막 또는 무기막을 패터닝하여 형성된다. 일 예로, 상 격벽(540)은 감광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520) 및 유기 발광 패턴 층(530)은 격벽(540)이 형성되기 전에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먼저 격벽(540)을 형성한 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 기판(510) 상에 상기 격벽(540)이 형성되면, 제 1 전극 패턴 층(520)은 증착 등의 방식으로 상기 격벽(540)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590)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530)은 잉크젯 방식 등을 통한 도포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공 수송 층(532)은 각 서브 픽셀(301, 302, 303)마다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한 각 서브 픽셀(301, 302, 303)에 대응한 정공 수송 층(532)들의 결정화도나 결정 양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해당 유기 발광 물질과의 상호 관계 등을 고려하여 각 서브 픽셀의 특성에 부합한 결정질을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각 서브 픽셀(301, 302, 303)마다 열처리 온도나 조사되는 광의 종류를 달리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레이져 등을 이용하여 결정질을 형성할 때는, 조사되는 레이져 광의 파장 범위가 결정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상기 제 2 전극 패턴 층(550)은 상기 격벽(540) 및 유기 발광 패턴 층(540)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격벽(540)은 유기 발광 패턴 층(540)의 높이보다 높아 전체적으로 요철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2 전극 패턴 층(550)은 인듐 틴 옥사이드, 인듐 징크 옥사이드 등의 투명 전극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전극 패턴 층(550)에는 각 서브 픽셀(301, 302, 303)의 종류와 상관 없이 공통된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제 2 전극 패턴 층(550)이 상기 격벽(540)과 대응하는 영역 상에는 제 2 기판(54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전극 패턴 층(550)의 상부에는 화소 공간(590)이 형성된다. 상기 화소 공간(590)에는 발생되는 광의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광학 시트 류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500)는 유기 발광 패턴 층(530)에 순방향으로 전류가 공급되면, 정공 제공 층인 양극(Anode)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1 전극 패턴 층(520))과 전자 제공 층인 음극(Cathode)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2 전극 패턴 층(540)간의 P(Positive)-N(Negative) 접합(Junction) 부분을 통해 전자와 정공이 이동하면서 서로 재결합하여, 상기 전자와 정공이 떨어져 있을 때보다 작은 에너지를 가지게 되므로, 이때 발생하는 에너지 차로 인해 광을 방출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주로 정공 수송 층(132, 532)만이 결정질 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정공 수송 층뿐만 아니라 무기 물질 층과 접촉하는 유기 물질 층이라면 어느 층이든 결정화 될 수 있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서는 층 간의 접촉관계를 불문하고 결정질 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패턴 층 내에 결정질 층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두께를 감소 시킬 수 있다.
특히, 전극 층과 접촉하는 유기 층을 결정질 층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전극 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전극 층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접촉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어 유기 발광 소자의 수명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패턴 중, 정공 수송 층을 결정질 층으로 구성할 경우, 정공 유동성(hole mobility)가 증가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패턴 층을 이루는 각 층들간의 계면 평탄도가 우수하여 외 부로부터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고 광학적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께가 감소됨으로써, 박막 특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여 조명기기나 광고판 등을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패턴 층;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 상에 형성되고, 유기 물질이 결정화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결정질 층을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광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패턴 층;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 패턴 층; 및
    상기 제 2 전극 패턴 층 상에 형성된 제 2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결정질 층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과 접촉하는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 상에 각각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정공 수송 층, 유기 발광 층 및 전자 수송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 층은 정공 수송용 유기 물질이 결정화 되어 형성된 결정질 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패턴 층 및 정공 수송 층 사이의 계면은 평탄화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평탄 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소다라임 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 패턴 층은 단일 색상을 발현하는 단일 패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패턴 층은 서로 다른 색상을 발현하는 복수의 서브 패턴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서브 패턴들 사이에 각 서브 패턴들이 발현하는 색상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한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다각형 형상의 평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소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 측면이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유기 발광 소자.
KR1020060024931A 2006-03-17 2006-03-17 결정질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20070094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931A KR20070094347A (ko) 2006-03-17 2006-03-17 결정질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931A KR20070094347A (ko) 2006-03-17 2006-03-17 결정질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347A true KR20070094347A (ko) 2007-09-20

Family

ID=3868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931A KR20070094347A (ko) 2006-03-17 2006-03-17 결정질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43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85672B (zh) 有机发光显示装置
US11063244B2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N107565043B (zh) 有机发光显示装置
KR10120904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2858064B1 (en) Display device
US20160013251A1 (en) El display device
US1074914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CN1886014A (zh) 配线基底和显示装置
WO2017043243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の製造方法、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13009318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704925B2 (en) EL display device
KR100970482B1 (ko) 유기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6098725B (zh) 有机发光显示装置
KR100829497B1 (ko) 요철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조명장치
JP2004152699A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KR100781594B1 (ko) 능동행렬 유기전기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82938B1 (ko) 능동행렬 유기전기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7349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94347A (ko) 결정질 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618926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0866886B1 (ko) 오엘이디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834345B1 (ko) 유기전기발광소자
KR100770579B1 (ko)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0744633B1 (ko)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57632A (ko) 능동행렬 유기전기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