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046A -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046A
KR20070092046A KR1020060021958A KR20060021958A KR20070092046A KR 20070092046 A KR20070092046 A KR 20070092046A KR 1020060021958 A KR1020060021958 A KR 1020060021958A KR 20060021958 A KR20060021958 A KR 20060021958A KR 20070092046 A KR20070092046 A KR 20070092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urethane
heat storage
waterproof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383B1 (ko
Inventor
강한기
문기선
김시영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주)이앤이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앤이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이앤이 시스템
Priority to KR1020060021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383B1/ko
Publication of KR20070092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 구성은 축열조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벽 및 바닥면을 평탄화시켜 바탕조정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바탕조정층의 위에 단열재인 우레탄 폼을 적층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적층된 우레탄 폼의 위에 우레탄 방수제를 도포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도포된 우레탄 방수제의 위에 인테리어 필름을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부착된 인테리어 필름의 위에 마감 방수재인 폴리 우레아를 도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위와 같은 단계를 거쳐 축열조 내에 방수공정에 따른 방수재질의 물적 특성을 이용하여 시공성을 간편화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하도록 하면서도 방수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핀홀에 의해서 방수 및 단열성능이 저하되어 축열조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구조체, 바탕조정층, 우레탄방수제, 폴리우레아, 우레탄폼

Description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Storage Tank}
도 1은 일반적인 빙축열조가 설치되어 냉매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빙축열조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방수처리 단계를 도시한 일부분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빙축열조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다른 방수처리 단계를 도시한 일부분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표면에 핀홀이 발생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축열조의 콘크리트 구조체에 방수처리 단계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 방수처리단계를 도시한 구조체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축열조 20a: 콘크리트 구조체
22: 프라이머 23: 우레탄폼
24: 우레탄방수제 25: 인테리어 필름
26: 폴리 우레아 31: 우레탄 방수제
본 발명은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냉난방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건물에 시공 설치되는 축열조에 방수공정을 개선하여 공정에 따른 방수재질의 물적 특성을 이용하여 축열조내의 냉각상태에 따라 저온에서 내구성을 갖도록 하여 축열조로부터 결로현상 및 누수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기계실에 설치되는 축열조(빙축열조, 수축열조)는 건물의 냉방을 위한 설비로서 냉각매체를 일정시간 동안 저온으로 유지하면서 필요한 시간대에 차가운 냉수를 공급할 수 있는 설비시스템이다.
상기한 축열조는 통상 콘크리트의 구조체를 가지며, 종래에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를 이루는 빙축열조(1)의 체적 내에 냉매와 냉각매체인 캡슐(2)이 다량 채워지며, 빙축열조(1)로부터 순환되는 냉매흐름관(3)측에 설비되는 냉매 압축순환기(4)로부터 냉매를 순환시켜 캡슐(2)과 냉매를 냉각시켜 주도록 되어 있고, 상기 빙축열조(1)로부터 연결 설치되어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열교환 순환파이프(5)가 설치되며, 열교환 순환파이프(5)측으로부터 발생되는 차가운 냉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팬(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빙축열조(1) 내에 채워지는 냉매 및 캡슐(2)의 냉각은 주로 전기사용 요금이 낮은 심야시간에 빙축열조를 가동하여 냉각하는 예가 대부분이며, 오전 및 오후 시간대에 빙축열조로부터 저온을 유지하고 있는 냉매의 순환으로 찬 공기를 각 층별의 에어덕트에 공급하여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냉방시켜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캡슐의 냉각에 따라 빙축열조 내부는 거의 결빙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냉방을 가동하여 일정시간이 지나가는 오후 시간대에 다시 냉매는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어 빙축열조 내의 냉매는 다시 심야시간대에 냉각시켜 반복적인 순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빙축열조의 시공은 그 내벽 면에 다수의 공정처리에 의해 이루어진 방수공정을 필수로 하는 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는다.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시키되, 구조체에 양생기간을 두고 수분이 없는지의 여부를 확인 또는 측정하고, 구조체에 취약부분이 있는지의 여부도 확인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방수시공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1a)의 내벽면에 방수재인 부직포를 포함하는 스톱몰탈(1b)을 이용하여 1차적인 방수시공을 하며, 1차적 방수시공은 5회에 걸쳐 시행된다.
상기 부직포는 반복적으로 시공되는 스톱몰탈(1b)의 미장작업을 위해 실시되는데, 5회에 걸친 1차 방수작업은 1회 도포되어 경화하는 스톱몰탈(1b)의 경화속도가 작업환경에 따라 약 12시간 내지 18시간이 소요되어 대략 5일정도의 시간이 경과되고, 스톱몰탈(1b)이 경화된 상태에서 다음 공정의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공정이 완료되는 상태에서는 냉매의 냉각에 따라 콘크리트벽(1a)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재인 아이스그란(1c)을 시공하게 되는데 아이스그란(1c)은 일반 몰탈과 같이 용이하게 건축물에 소정두께로 발라 단열효과와 방음효과를 낼 수 있는 화합물로서 내화성, 내투습성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100mm 정도의 두께로 적층시켜 준다.
상기 단열공정의 다음 공정으로는 최종적으로 처음 시공과 같이 부직포를 포함하는 스톱몰탈(1d)를 시공하여 방수처리를 마감하는데 그 공정수는 상기 경화되는 시간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더 공정수를 가지는 7회정도의 방수처리로 시공을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업공정으로 시공되는 빙축열조 공사는 스톱몰탈(1b, 1d)의 경화되는 시간이 장시간 지연되어 공사기간이 길어지며, 스톱몰탈(1b, 1d)의 경화에 따라 스톱몰탈(1b, 1d)의 물적 특성상 시공시 온도에 영향을 받아 변형의 우려가 있고, 수작업시 경화된 스톱몰탈(1b, 1d)의 수직면의 일부가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되며, 특히 동절기에서의 시공은 스톱몰탈(1b, 1d)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열풍기의 부수적인 장비를 필요로 함으로써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빙축열조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체(10)의 내벽 및 바닥면을 평탄화시켜 바탕조정층(11)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바탕조정층(11)의 표면에 우레탄(12)을 도포시키는 단계와, 도포된 우레탄면(12)에 프라이머(13)를 도포시키는 단계와, 프라이머(13)가 도포된 면 상에 폴리우레아(14)를 도포시키는 단계와, 도포되어 건조된 폴리우레아면(14)에 우레탄폼(15)을 적층시키는 단계와, 적층되어 건조된 우레탄폼면(15)에 폴리우레아(16)를 도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위의 방법은 방수층이 도포되게 되는 콘크리트(10)의 표면에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홈(10a)이나 크랙등이 존재하게 되면, 위와 같은 홈(10a)이나 크랙의 위에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수층인 우레탄(12)이나 우레아(14)를 스프레이(17) 등에 의하여 도포하게 될 때, 상기 홈(10a)이나 크랙등이 형성된 부위가 메워지지 아니하고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은 기포를 포함하는 공기층(10b)이 형성되게 된다.
위와 같이 방수층(12)에 작은 기포를 포함하는 공기층(10b)이 형성되게 되면, 상기 공기층(10b)의 공기는 도포되는 방수제(12)와 반응하여 기공이 확대되면서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다란 구멍과 같은 핀홀(10c)을 형성하게 되고 그러한 상태에서 방수층이 경화되게 되므로 위의 핀홀(10c)이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소망하는 방수재로서의 기능을 할 수가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방수재 위에 적층시키는 우레탄폼(15)은 원료에 발포제를 혼합하여 스프레이하는 발포성형제품이므로 그 표면에는 수 많은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고, 위와 같이 공기층이 형성된 표면에 방수제인 폴리우레아(16)를 도포하게 되면, 상기 폴리우레아(16)는 공기층을 메우지 아니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포되는 폴리우레아(16)는 공기층과 반응하여 핀홀을 형성시키거나 공기층이 방수층 내부에 존재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방수층인 폴리우레아(16) 표면에 핀홀이 형성되게 되면, 축열조 내부의 냉매가 방수가 되지 못하고 단열재인 우레탄폼(15)과 직접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방수기능도 상실하게 될 뿐만 아니라 단열재료의 물성이 현저히 떨어져 단열성능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축열조 내에 방수공정에 따른 방수재질의 물적 특성을 이용하여 시공성을 간편화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하도록 하면서도 방수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핀홀에 의해서 방수 및 단열성능이 저하되어 축열조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은 축열조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내벽 및 바닥면을 평탄화시켜 바탕조정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바탕조정층의 위에 단열재인 우레탄 폼을 적층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적층된 우레탄 폼의 위에 우레탄 방수제를 도포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도포된 우레탄 방수제의 위에 인테리어 필름을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부착된 인테리어 필름의 위에 마감 방수재인 폴리 우레아를 도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바탕조정층의 위에 우레탄 폼을 적층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바탕조정층의 위에 프라이머를 도포시키고, 그 위에 다시 우레탄 방수제를 도포시키는 단계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열조(20)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체(20a)의 내벽 및 바닥면을 평탄화시켜 바탕조정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바탕조정층의 위에 단열재인 우레탄폼(23)을 적층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적층된 우레탄폼(23)의 위에 우레탄 방수제(24)를 도포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도포된 우레탄 방수제(24)의 위에 인테리어 필름(25)을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부착된 인테리어 필름(25)의 위에 마감 방수재인 폴리우레아(26)를 도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축열조는 빙축열조와 수축열조를 포함한다.
상기 바탕조정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에서는 콘크리트 구조체(20a)의 마감표면에 형성되는 함몰부위(Cavity), 거칠게 일어난 면 등에 우레탄 실런트, 시멘트 몰탈이나 에폭시 시멘트의 마감재를 사용하여 바탕조정층을 형성한다.
상기 우레탄 실런트 및 시멘트 몰탈의 경우는 미장작업으로 경화제를 배합하여 함몰부위를 메꾸어 주고, 상기 에폭시 시멘트의 경우는 접착성 프라이머와 혼합하여 그 함몰된 자리를 메꾸어 축열조 내 표면 부위의 지적되는 곳을 찾아 조정한다.
상기 우레탄폼(23)은 폴리올 및 기타 첨가제가 혼합된 수지와 보통 크루드(Crude) M. D. I를 액상으로 혼합시켜 고체반응을 일으켜 형성된 발포재로 후레온 가스를 사용하여 단열재 중 가장 낮은 열전도율을 갖고 있다. 여기서 우레탄폼(23)의 열전도율은 0.016∼0.018Kcal/mh℃ 정도의 열전도율을 가지며, 그 밀도는 0.025∼0.06 g/cm3 정도를 가지며, 단면적 상 모세관현상이 없어 빙축열조 내에서 냉매 및 캡슐의 냉각상태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방수제(24)를 도포하는 단계에 있어서, 우레탄 방수제(24)는 우레탄 폼(23) 위에 액상으로 도포되어 후속 공정인 인테리어 필름(25)이 우레탄 폼(23)과의 접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착제로서 기능을 하면서 동시에 1차 방수층으로서의 기능을 겸한다.
상기 인테리어 필름(25)의 부착단계에서 사용되는 인테리어 필름(25)은 전 단계에서 도포된 우레탄 방수제(24)의 위에 부착되며, 상기 인테리어 필름은 우레탄 폼(23)의 위에 도포된 우레탄 방수제(24)의 표면층이 매끈하게 도포되지 못하고 우레탄 폼(23)의 표면에 있는 공극이나 기공을 완전하게 메우지 못한 부분이 있다 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공극이나 기공이 위치하는 부분의 위에 인테리어 필름을 부착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우레탄 폼(23)의 표면이 매끈하게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위와 같은 매끈한 표면을 갖는 인테리어 필름(25)은 후속 공정인 폴리 우레아(26)가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 층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또 인테리어 필름(25)이 부착되지 않은 우레탄 폼(23)의 표면 더 구체적으로는 우레탄 방수제(24)의 위에 폴리 우레아(26)를 도포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상기 폴리 우레아(26)는 표면이 평탄하지 않은 우레탄 방수제(24)의 위에 분사하게 되므로 도포되는 폴리 우레아(26)는 작은 기포를 포함하는 공기층이 형성되게 되므로 위와 같은 공기층은 추후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핀홀을 형성하게 되고 따라서 방수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원인이 되므로 위와 같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테리어 필름(25)이 사용된다.
상기 인테리어 필름은 두께가 0.2mm 내외인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예로서는 LG화학에서 생산하는 LG 베니프(FW69, FW 77 등)이나 한국프라스틱에서 생산하는 골든엠보(303 등)와 같은 것들이 이용될 수 있고, 또 동등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인테리어 필름인 경우에는 위에서 예시된 것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아(26)의 도포단계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아(26)는 마감방수재로서, 2mm정도로 분사되어 도포되어진다.
상기 폴리우레아(26)는 물적 특성상 도포 처리되어 경화되는 과정에서 이음매가 없이 평활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기존의 방수재인 스톱몰탈 방수막 보다 매끄럽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시공 시 작업환경 온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아 폴리우레아의 경화속도는 빠르게 진행되며 다음 공정의 처리를 원만하게 시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폴리우레아(26)의 경화성에 대해 형성시킨 방수막은 내마모성, 내후성, 내약품성 및 내구성이 있어, 특히 콘크리트 건축물의 방수 방식도장이나 철골구조물의 방식도장 및 내화학성이 요구되는 곳에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축열조내의 방수재 사용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에 대한 단면도로서,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바탕조정층의 위에 단열재인 우레탄폼(23)을 적층시키는 단계 이전에 즉, 상기 바탕조정층의 위에 프라이머(22)와 우레탄 방수제(31)을 도포시키는 단계가 더 추가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프라이머(22)를 도포하는 단계에 있어서, 프라이머(22)는 차후 공정에서 실시하는 우레탄 방수제(31)가 콘크리트 벽면에 접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착제로서 기능을 하며, 시멘트와 혼합하여 도포시킬 수 있다.
상기 우레탄 방수제(31)는 주제(Isocyanate 화합물)와 경화제(착색된 폴리올 혼합물)로 구성되며, 주제와 부제를 일정한 배합비(1:3)로 혼합하여 원하는 부분에 일정한 두께로 시공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 6의 단면도에서와 같이 프라이머(22)의 위에 방수층을 형성하게 되면, 콘크리트 외표면을 통해서 습기나 수분이 침투해 들어와서 단열재인 경질우레탄 폼(23)에 접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축열조가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기에 노출되거나 지중에 설치된다 하더라도 축열조의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축열조 내부표면에 부착된 분진 등을 에어블로 제거기 등의 방법으로 제거한 후 방수 작업 전 콘크리트 표면의 함수율을 측정기로 확인하며, 함수율은 8 % 이내 이어야 하고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은 150mm×150mm 비닐부착간이시험으로 비닐내부에 결로가 없을 때 후속공정을 진행한다. 이때의 바탕조정은 에폭시 수지계, 우레탄 수지계,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재료로써 Loose particle 등이 표면에 남지 않는 재료로 하여 부착력이 보장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의 기포, 요철, 미세한 균열 등을 메우고 콘크리트 표면을 평활하게 한다.
상기 바탕조정이 완료되면 콘크리트 벽면에 경질우레탄 폼(밀도 60 kg/㎥ )을 스프레이 분사하되 한 층의 두께는 10mm로 하고 총 경질우레탄 폼 두께는 50mm두께로 발포한다. 경질우레탄 폼의 스프레이 분사가 완료되면 우레탄 고무방수제를 상기 경질우레탄 폼 표면에 도포하여 1mm의 방수피막을 형성하고 경질우레탄 폼 표면의 기공이나 핀홀을 메운다. 상기 우레탄 방수제가 경화하기 전에 인테리어 필름을 벽면에 부착 시공한 후에 폴리우레아 방수제를 분사하여 마감한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아는 1회 분사 두께를 0.6mm로 분사 한 후에 핀홀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재차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총 두께는 2mm로 시공 완료한다.
실시예2
콘크리트 축열조가 외부에 노출되거나 지중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외부표면을 통해 수분이나 습기가 침투해 들어와서 단열재인 경질우레탄 폼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할 때에는 콘크리트 표면에 0.2mm정도의 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킨 후에 우레탄 고무방수제를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한다.
축열조 내부표면에 부착된 분진 등을 에어블로 제거기 등의 방법으로 제거한 후 방수 작업 전 콘크리트 표면의 함수율을 측정기로 확인하며, 함수율은 8 % 이내 이어야 하고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은 150mm×150mm 비닐부착간이시험으로 비닐내부에 결로가 없을 때 후속공정을 진행한다. 이때의 바탕조정은 에폭시 수지계, 우레탄 수지계,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재료로써 Loose particle 등이 표면에 남지 않는 재료로 하여 부착력이 보장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표면의 기포, 요철, 미세한 균열 등을 메우고 콘크리트 표면을 평활하게 한다.
상기 바탕조정이 완료되면 콘크리트 표면에 0.2mm정도의 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킨 후에 우레탄 고무방수제를 도포하여 1mm 방수피막을 형성 시킨 후에 핀홀 검측기를 이용하여 핀홀을 보수,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우레탄 고무방수제 도포 작업이 완료된 후에 우레탄 고무방수제 위에 경질우레탄 폼(밀도 60 kg/㎥ )을 스프레이 분사하되 한 층의 두께는 10mm로 하고 총 경질우레탄 폼 두께는 50mm두께로 발포한다. 경질우레탄 폼의 스프레이 분사가 완료되어 경화되면 우레탄 고무방수제를 상기 경질우레탄 폼 표면에 도포하여 1mm의 방수피막을 형성하고 경질우레탄 폼 표면의 기공이나 핀홀을 메운다. 상기 우레탄 방수제가 경화하기 전에 인테리어 필름을 벽면에 부착 시공한 후에 폴리우레아 방수제를 분사하여 마감한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아는 1회 분사 두께를 0.6mm로 분사한 후에 핀홀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고 재차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총 두께는 2mm로 시공 완료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 은 축열조 내에 방수공정에 따른 방수재질의 물적 특성을 이용하여 시공성을 간편화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방수재의 표면에 형성되는 핀홀이 발생되지 않게 하고, 축열조 외부 표면으로부터 침투해 오는 습기나 수분을 차단하여 축열조의 결로현상이나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 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 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2)

  1. 축열조(20)를 이루는 콘크리트 구조체(20a)의 내벽 및 바닥면을 평탄화시켜 바탕조정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바탕조정층의 위에 단열재인 우레탄 폼(23)을 적층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적층된 우레탄 폼(23)의 위에 우레탄 방수제(24)를 도포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도포된 우레탄 방수제(24)의 위에 인테리어 필름(25)을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부착된 인테리어 필름(25)의 위에 마감 방수재인 폴리 우레아(26)를 도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조정층의 위에 우레탄 폼(23)을 적층시키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바탕조정층의 위에 프라이머(22)를 도포시키고, 그 위에 다시 우레탄 방수제(31)를 도포시키는 단계를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
KR1020060021958A 2006-03-08 2006-03-08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 KR101142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958A KR101142383B1 (ko) 2006-03-08 2006-03-08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958A KR101142383B1 (ko) 2006-03-08 2006-03-08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046A true KR20070092046A (ko) 2007-09-12
KR101142383B1 KR101142383B1 (ko) 2012-05-18

Family

ID=38689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958A KR101142383B1 (ko) 2006-03-08 2006-03-08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38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682B1 (ko) * 2009-05-15 2010-01-19 (주)우원디아이씨 축열조의 측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12010B1 (ko) * 2011-05-06 2012-02-13 신계호 난연성 우레탄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단열 방수 시공방법
CN103114683A (zh) * 2013-02-05 2013-05-22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弧圆双线屋面泛水施工结构
CN107355011A (zh) * 2017-08-14 2017-11-17 陈五二 高效的住房防潮方法
CN107355012A (zh) * 2017-08-14 2017-11-17 陈五二 底层住房的防潮方法
CN111308601A (zh) * 2018-12-12 2020-06-19 日东电工株式会社 偏光薄膜制造用的处理槽及偏光薄膜的制造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818B1 (ko) 2020-10-19 2021-09-15 뉴그린텍 주식회사 빙축열조용 방수시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0615A (ja) 1998-06-08 1999-12-21 Dyflex:Kk 蓄熱槽などの断熱防水施工法
KR20060014901A (ko) * 2004-08-12 2006-02-16 (주)아텍스 폴리우레아수지와 바탕조정재를 이용한 방수코팅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682B1 (ko) * 2009-05-15 2010-01-19 (주)우원디아이씨 축열조의 측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12010B1 (ko) * 2011-05-06 2012-02-13 신계호 난연성 우레탄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단열 방수 시공방법
CN103114683A (zh) * 2013-02-05 2013-05-22 中天建设集团有限公司 弧圆双线屋面泛水施工结构
CN107355011A (zh) * 2017-08-14 2017-11-17 陈五二 高效的住房防潮方法
CN107355012A (zh) * 2017-08-14 2017-11-17 陈五二 底层住房的防潮方法
CN111308601A (zh) * 2018-12-12 2020-06-19 日东电工株式会社 偏光薄膜制造用的处理槽及偏光薄膜的制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383B1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383B1 (ko)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
CN105711208B (zh) 一种聚氨酯改性无机材料保温装饰一体化板及其生产方法
CN102116078A (zh) 一种保温防水一体化建筑屋面及其施工方法
CN201512872U (zh) 环保保温外墙
WO2019101277A1 (en) Composite thermal wall element
CN110080473B (zh) 一种平屋面防水保温系统及其施工方法
KR20130096927A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와 고분자 복합시트의 일체화 방수 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0315524B1 (ko)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빙 축열조의 방수 시공방법
JP6329884B2 (ja) 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の養生方法
JP2862486B2 (ja) 排水脱気機構付き鉄骨耐火被覆積層構造
KR102177134B1 (ko) 우레탄 발포 방수 몰타르 시공장치 및 방법
CN207959588U (zh) 一种外墙保温房
CN208415711U (zh) 一种凹形曲面屋面防水结构
KR10073903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기능 복합 방수 공법
CN101377085B (zh) 蓄冷槽的防水方法
KR200207048Y1 (ko) 단열 및 방수층을 갖는 슬라브
KR10073904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기능 복합 방수 공법
KR102127899B1 (ko) 경질우레탄 단열재와 세라믹계 무기질 단열 흡음재를 복합 적층 형성하는 단열시공방법
KR20200010779A (ko) 골판형 우레탄 폼보드와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화재 안전성이 뛰어난 외단열재
CN108979017A (zh) 一种凹形曲面屋面防水结构及其建造工艺
JPS62211436A (ja) 外部断熱施工の方法
US20240109810A1 (en) Filling material
JP5351374B2 (ja) 建築物の外装仕上げ構造とその施工方法
CN112177248A (zh) 一种屋面防水保温一体化工艺
CN207761239U (zh) 一种自粘型耐磨地面卷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