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115A -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115A
KR20070091115A KR1020077011336A KR20077011336A KR20070091115A KR 20070091115 A KR20070091115 A KR 20070091115A KR 1020077011336 A KR1020077011336 A KR 1020077011336A KR 20077011336 A KR20077011336 A KR 20077011336A KR 20070091115 A KR20070091115 A KR 20070091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logical barrier
microneedle
fluid
flexible
hollow micro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휴스휴아 예스휴런
메이어 헤페즈
요엘 세피
요탐 레빈
길란드 라비
Original Assignee
나노패스 테크놀러지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패스 테크놀러지스 엘티디. filed Critical 나노패스 테크놀러지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7009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유체를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내로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극미침 구조체를 사용하며, 생물학적 장벽(14)의 내부에 삽입된 극미침(12)의 최종 위치는 종래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배치와는 달리 일반적으로 전달 형태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극미침(12)은 전달 형태의 주-생물학적 장벽 접촉 영역(18, 26)과는 상이한 해제면(16)으로부터 돌출되며, 전형적으로 생물학적 장벽으로부터 상향으로 각도를 이룬다. 삽입중, 장벽의 스트레칭된 부분(22)과 스트레칭되지 않은 부분(24) 사이에 경계부(20)를 형성하도록, 상기 접촉 영역(18, 26)은 생물학적 장벽(14)과 접촉하여,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의 표면에 평행하게 이동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운동과 동시에, 상기 극미침(12)은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내로 관통되므로, 운동의 말기에 상기 극미침은 경계 영역(20)으로부터 상기 스트레칭되지 않은 부분(24)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후, 스트레칭되지 않은 부분을 향해 중공 극미침의 구멍을 통해 유체가 주사된다.
극미침, 인터페이스, 주사기, 실린더, 엣지, 관통팁,

Description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FLUID INTO FLEXIBLE BIOLOGICAL BARRIER}
본 발명은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를 위한 극미침(極微針)에 관한 것이다.
피내(皮內) 약물 전달은 면역, 면역제어, 유전자 전달, 피부과학, 알레르기, 과민성 및 화장품 등과 같이 상이한 투약 및 처치 범위에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피내 약물 전달은 피부 표면에 대해 얕은 각도로 경사져서 배치된 피하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숙련된 의료기술자에 의해 실행된다. 피하가 아니라 피부층내에 성공적인 주사를 보장하기 위해 정확한 관통 깊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주의가 요망된다. 바늘과 피부면이 얕은 각도로 긍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경사진 바늘 방향이 요망되며, 피하 주사바늘이 예각으로 삽입되는[예를 들어 더 깊은 층으로의 정맥천자(venipuncture)를 포함하는] 표준 규범이다. 매우 큰 바늘을 사용하면 전형적으로 진피층의 신경종말이 견디기 어렵기 때문에, 피내 전달을 위해 피하 주사바늘을 사용하면 고통스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백신 등과 같은 약물의 피내 전달은 또 다른 강화된 생물학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가정되었었다. 그 탁월한 전망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접근방식은 상 술한 바와 같은 얕은 적용을 위해서는 전달 장치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대부분 무시되었었다.
예를 들어 환자에 의한 약물의 자체관리 등과 같이 숙련된 동작을 요구하지 않는 약물 전달장치의 개발에 많은 관심이 모아졌다. 한가지 접근방식은 진피층내에 한정된 깊이로 관통되기 위해 바늘을 선택적으로 전개시키거나 후퇴시키는 작동기를 구비한 "소형 바늘"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실시예로는 벡튼 앤드 디킨슨 앤드 컴파니(미국)에 의해 사용가능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해서는 미국특허 제6.843.781호, 제6.776.776호, 제6.689.118호, 제6.569.143호, 제6.569.123호, 및 제4.494.865호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의 바늘 캐뉼러는 전형적으로 1mm 내지 2mm 돌출되어, 전달 시스템의 관통 깊이를 형성한다. 바늘팁 자체의 이미 길이가 감소되어 있는 경사부는 적어도 0.8mm의 길이를 갖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의 종래 바늘 구조에 기초한 장치(즉, 경사진 포인트를 갖는 중공의 금속 실린더)는 1mm 이하의 관통 깊이로 밀봉된 약물 전달을 위해서는 쉽게 사용될 수 없다.
종래 바늘 구조에 대한 대안으로서, 다양한 미세가공 기법 및 다양한 물질을 사용하여 "극미침" 구조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시도가 이루어졌다. "극미침" 접근방식의 초기 실시예는 거스텔 등에 허용된 미국특허 제3.964.48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특허에는 각질층을 관통하기 위해 10 미크론까지 극미침을 사용(투사)하므로써 약물이 표피에 도달하도록 약물을 경피적으로 관리하는 약물 전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한쪽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투사되는 다수의 바 늘을 갖고 있으며, 1회 실행시 저장조로부터 극미침의 중앙 구멍을 통해 약물을 전달한다.
상기 미국특허 제3.964.482호 이후 30여년동안 수많은 극미침 장치가 제안되었지만, 그 어느것도 수많은 실질적 문제점으로 인해 광범위한 임상 제품으로서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여러 극미침 디자인의 주요한 문제점은 피부와의 접촉시, 특히 측방향 운동으로 인한 전단력에 노출되었을 때 부러지는 극미침의 기계적 연약함에 관련되어 있다. 두번째 문제점은 피부를 통한 삽입시 조직의 플러그의 천공으로 인해 중공의 극미침의 구멍 막힘과 연관되어 있다. 또한, 많은 바늘 디자인은 취약성을 유발시키는 매우 얇은 벽과 뭉툭한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기 때문에, 피부 탄성도를 극복하기 위해 과도한 관통력을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본 발명에 참조인용되고 함께 양도된 미국특허 제6.533.949호에 개시되어 있는 극미침 구조에 의해 효과적으로 접근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극미침 구조는 극미침 장치의 또 다른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며, 즉 매우 탄성인 피부 장벽의 효과적인 관통을 보장하게 된다. 강화된 관통을 달성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극미침 구조를 채택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 및 기법은 본 발명에 참조인용되고 함께 양도된 국제특허출원 WO 03/074102 A2호에 개시되어 있다.
극미침의 사용을 방해하는, 특히 약물의 피내 전달을 방해하는 또 다른 문제점은 극미침 주위로의 유체 누설에 대한 위험성이다. 특히, 중공의 극미침을 통한 유체의 주사는 전형적으로 절개부로부터 극미침을 배출하려는 배압을 발생시킨다. 극미침 장치상에 하향력을 인가하므로써(즉, 피부를 향해) 극미침의 배출을 방지하 려는 시도는 하부 조직을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은 유체의 주사에 대항하는 유체 임피던스를 증가시키므로써, 목표 조직으로의 유체 전달을 방해한다. 또한, 여러 디자인에 있어서, 유체 흐름 채널은 팁을 향해 모든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이러한 두 소자 사이에 구조적 의존성을 유발시킨다. 이것은 극미침을 뭉툭하게 하지 않고, 또한 관통을 달성하는데 필요로 하는 힘을 증가시키지 않고, 또한 피부에 의해 구조체상에 발휘된 반응력이 없어도, 보다 많은 흐름을 허용하게 되는 흐름 채널크기를 증가시킬 가능성을 제한한다.
따라서, 극미침과 생물학적 장벽 사이에 신뢰성있는 밀봉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극미침에 상술한 바와 같은 배압 배출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가요성의 생물학적 장벽으로의 유체 전달용 시스템 및 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은 (a)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의 스트레칭된 부분과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의 스트레칭되지 않은 부분 사이에 경계 영역을 생성하기 위하여,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의 표면에 평행한 성분을 갖는 운동으로,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과 접촉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을 운동시키는 단계와; (b)상기 운동의 말기에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이 상기 경계 영역으로부터 스트레칭되지 않은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내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을 관통시키는 단계와; (c)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을 통과하는 유체를 스트레칭되지 않은 부분을 향해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운동단계 및 관통단계는 동시에 실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이 상기 운동에 의해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내로 관통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접촉면과 기계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촉면은 물질 블럭의 엣지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블럭의 표면상에 전개되고, 상기 엣지는 상기 표면과 경계를 이룬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엣지는 블럭에 의해 제공된 두개의 직교하는 표면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엣지는 표면에 평행한 상기 운동의 성분에 수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표면은 운동중 엣지의 앞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상기 표면상에 전개된 다수의 중공 극미침의 선형 어레이로 실행되며, 상기 선형 어레이는 상기 엣지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높이를 가지며, 관통팁에서 종료되며; 상기 표면상에서 상기 엣지로부터 관통팁의 수직 돌출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높이 보다 높지 않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의 표면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생물학적 장벽내로의 유체 전달을 위한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곡 극미침은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내로 연장되고, 상기 구멍은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의 표면의 초기 평면에 대해 45°이하의 각도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은 (a)접촉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이 전개되는 해제 영역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b)상기 접촉 영역이 생물학적 장벽과 접촉하고 상기 해제 영역이 생물학적 장벽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장치를 생물학적 장벽에 이동시키는 단계와; (c)생물학적 장벽을 기계적으로 변형시켜 상기 생물학적 장벽을 적어도 하나의 해제 영역과 접촉시키므로써 적어도 하나의 극미침이 생물학적 장벽을 관통하도록, 상기 생물학적 장벽의 표면에 평행한 운동 성분으로 장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촉 영역은 평탄한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해제 영역은 평탄한 해제면을 가지며, 상기 접촉면과 해제면 사이에는 150°를 초과하지 않는 각도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촉면과 해제면 사이에는 130°를 초과하지 않는 각도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촉면 및 해제면은 직교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접촉면 및 해제면은 엣지 영역에서 만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생물학적 장벽내로의 유체 전달을 위한 구멍을 가지며, 상기 구멍은 접촉면에 대해 45°이하의 각도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높이를 가지며, 관통팁에서 종료되며; 상기 접촉면의 평면으로부터 관통팁의 거리는 상기 높이 보다 높지 않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하방으로 대면하는 유체 해제 개구를 형성하도록, 하방으로 대면하는 극미침 경사면과 교차되는 유체 흐름 개구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a)해제 영역에 수직하게 직립한 적어도 하나의 벽과, (b)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과 교차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은 해제 영역의 표면 위에서 투시하였을 때 개방된 형태를 형성하도록 전개되며, 상기 개방된 형태는 내포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과 상기 경사면과의 교차부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 엣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1mm 이하의 높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다수의 극미침 어레이로서 실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생물학적 장벽의 초기 평면 위로 생물학적 장벽의 일부를 융기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극미침이 생물학적 장벽의 융기된 부분을 관통하도록, 상기 생물학적 장벽을 기계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장치의 이동이 실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체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을 통해 유체를 생물학적 장벽의 융기된 부분내로 전달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러한 방법은 (a)장치의 표면으로부터 1mm 이하로 돌출되며, 흐름 벡터(flow vector)를 형성하는 유체 전달 구멍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b)상기 흐름 벡터가 가요성 장벽의 초기 평면에 45°내지 -15°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을 기계적으로 변형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이 가요성 장벽을 관통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내로의 삽입 이전에 그리고 삽입에 이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어 작동되는 극미침 유체 전달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3은 루어 커넥터에서 종료되는 가요성 튜브와 유체연결되는 극미침의 열(row)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어 작동되는 유체 전달용 어댑터의 사시도.
도4는 극미침 유체 전달 형태를 갖는 예비충진된 주사기와 조합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어 작동되는 장치의 단면도.
도5는 도4의 원형 부분(B)의 확대도.
도6은 도4에 도시된 장치의 극미침 유체 전달 형태의 말단부를 도시한 도면.
도7은 생물학적 인터페이스에 대해 극미침 유체 전달 형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기계적 삽입 안내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어 작동되는 도4에 도시된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8은 관통 이전에 도7에 도시된 장치의 부분 확대단면도.
도9는 관통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8과 유사한 도면.
도10은 관통 이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어 작동되는 기계적 삽입 안내장치와의 또 다른 극미침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11은 관통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10과 유사한 도면.
도12 및 도13은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장치의 단면도.
도14는 유체를 장치에 로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외부 주사기와 함께 도시된,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어 작동되는 극미침 유체 전달장치의 또 다른 실행을 도시한 사시도.
도15는 로딩 주사기가 없는, 도14의 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16은 도15의 선B-B를 따른 단면도.
도17A 내지 도17D는 로딩 이전, 로딩 이후, 전달 개시 직후, 전달 말기의 장치를 각각 도시하는, 도16에 원형 부분(C)으로 도시된 영역의 확대단면도.
본 발명은 유체를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전달하기 위한 극미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의 원리와 작동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 양호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1 및 도2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집단과 이에 대응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도면은 극미침 구조를 채택한 전달 인터페이스(10)가 도시되어 있으며, 생물학적 장벽(14)의 내부로 삽입되는 하나이상의 중공 극미침(12)의 최종 위치는 종래처럼 하방으로 돌출되는 배열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전달 형태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특히, 극미침은 해제면(16)으로부터 돌출되며, 전형적으로 생물학적 장벽으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해제면은 전달 형태의 주-생물학적 장벽 접촉 영역(18)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것은 주사를 위한 유체 흐름 벡터가 조직의 가압되지 않은 영역을 향하는 것을 보장하므로써, 유체 주사를 방해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조직 압력이라는 문제점을 피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러한 형태는 정착 효과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정착 효과는 피부내로의 전달 형태를 로킹하므로써 바늘 주위로의 누설이나 배압에 의한 주사바늘의 배출이라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피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주로 절단 형태의 삽입을 위한 작동 시컨스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 영역(18)은 생물학적 장벽과 접촉되어,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의 표면과 평행한 성분을 갖는 운동으로 이동되므로,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의 스트레칭된 부분(22)과 스트레칭되지 않은 부분(24) 사이에 경계 영역(20)을 발생시킨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운동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그리고 대부분 이러한 운동의 직접적인 결과로서,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내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12)이 관통되므로, 운동의 말기에 중공 극미침(12)은 스트레칭되지 않은 부분(24)을 향한 방향으로 경계 영역(20)으로부터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14)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후, 다량의 유체가 스트레칭되지 않은 부분(24)을 향해 중공 극미침(12)의 구멍을 통해 주사된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은 극미침이 피부면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종래의 접근방식에 비해, 상당한 장점을 제공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구조와 대응의 삽입 방법은 종래기술의 누설 및 바늘 배출을 피할 수 있는 방식으로, 중공 극미침의 신뢰성있는 밀봉 관통과의 극미침 유체 전달 인터페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장점 및 기타 다른 장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적 실행의 특징을 상세히 언급하기 전에,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들을 한정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먼저, 장치는 유체를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내부 기관의 벽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생물학적 장벽을 통해 유체를 전달하는데 장점을 갖지 만, 본 발명은 주로 살아있는 생물의 피부층내로의 유체 전달을 위한 것이며, 특히 인체 피부내로의 피내 또는 표피내 전달을 위한 것이다. 전달된 유체는 그 어떤 유체라도 관계없다. 양호한 실시예는 피부처치, 백신, 화장용 기타 유체, 치료용 또는 진단용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피내 유체 전달에 특별한 중요성을 감안하더라도, 본 발명은 경피 유체 전달 및/또는 진단 샘플링 등과 같은 유체 흡인이라는 장점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의 표면과의 기하학적 연관성에 대해서도 기준이 이루어졌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의 청구범위를 위해,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의 "표면"과의 모든 기하학적 연관성은 생물학적 장벽의 초기 안착상태에서, 즉 극미침 유체 전달 형태의 삽입에 의해 유발된 장벽의 형성 이전에, 장벽의 표면에 접근하는 평면에 관해 한정된다. 보다 기술적으로 한정한다면, 상당한 곡률을 갖는 피부 영역인 경우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이러한 표면은 관심 위치에서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대한 두개의 접선을 갖는 평면으로 한정된다.
생물학적 장벽의 표면에 평행한 성분을 갖는 이동방향에 있어서, 이것은 피부면에 수직하지 않은 운동을 포함한다. 이러한 운동은 45°이하의 각도에서 피부면에 평행한 주성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피부와 접촉하여 실행되는 운동의 대부분은 피부면에 평행하게 실행된다. 즉, 운동 벡터는 안착시 피부면 위아래에서 약 ±15°를 초과하지 않는다.
피부면에 대한 각도에 있어서, 각도는 피부에 평행한 벡터에 대해 제로의 각도로 언급될 것이며, 피부를 향하는 각도는 포지티브이고, 피부로부터의 (외측을 향하는) 각도는 네거티브로 표시된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해, 피부의 초기 평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은 "상향"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피부의 초기 평면의 내측이나 이러한 평면을 향하는 방향은 "하향"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생물학적 장벽의 다양한 물리적 상태에 대해서도 언급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장벽상에 형성된 두개의 지점 사이의 거리가 피부가 해제되었을 때 상기 두 지점 사이의 거리 보다 클 때, 생물학적 장벽은 "스트레칭된" 것으로 설명된다. 최대 스트레인의 방향은 단순히 스트레칭 방향으로 언급된다. "스트레칭되지 않은"이라는 용어는 스트레칭된 피부의 인접 영역에서 스트레칭이 스트레칭 방향에 평행하게 제공되지 않는 피부 상태를 의미한다. 피부 조직의 가압은 국부적인 조직 팽창이나 절첩을 유도하며 스트레칭의 정도는 조직의 표면 왜곡을 수용하기 위해 가압 벡터에 수직하게 발생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직은 스트레칭 방향으로 신장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스트레칭되지 않은"으로 언급된다. 피부가 해제되었을 때, 두 지점 사이의 거리가 이러한 두 지점에 대해 감소된 조직은 해제되었을 때의 피부 보다 낮은 표면장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완된(relaxed)" 조직으로 언급된다.
장벽의 "함몰" 영역 또는 "융기" 영역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함몰 영역은 전형적으로 장치에 의해 피부에 가해진 하향의 접촉 압력으로 인해, 피부의 초기 평면 아래에 놓인 영역으로 한정되며; 융기 영역은 전형적으로 피부의 인접 영역의 평면내 가압으로 인해 피부의 초기 평면 위에 놓인 영역으로 한정된다.
본 발명은 하나이상의 극미침을 사용하는 것으로 언급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극미침"이라는 용어는 하부면으로부터 겨우 1mm의 높이로 돌출되며, 50 내지 500 미크론 범위의 높이를 갖는 구조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극미침은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 유체 흐름 채널이 형성된 중공 극미침이다. 극미침의 높이는 하부면의 평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측정된 극미침 팁의 높이로 한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행은 함께 양도된 미국특허 제6.533.949호에 개시된 형태의 극미침을 사용하며, 상기 미국특허 제6.533.949호에 개시된 형태의 극미침은 하부면에 수직하게 직립된 적어도 하나의 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로부터 투시하였을 때 개방된 형태를 형성하도록 전개되며; 상기 개방된 형태는 내포된 영역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과 교차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며, 이러한 경사면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과의 교차부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 엣지를 형성한다. 상기 유체 흐름 채널은 경사면과 교차하는 구멍으로서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극미침 구조의 특별한 강건함과 그 특별한 기하학적 특성은 본 발명의 구조체 및 삽입 방법과 상당한 시너지를 나타내서, 극미침이 그 인가된 전단력에 견딜 수 있게 하며 생물학적 장벽내로의 유체 전달을 위해 최적으로 지향되게 한다. 이러한 장점은 하기에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물질의 블럭"에 의해 제공된 다양한 표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블럭"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기계적 관계로 언급된 표면을 제공하도록 협력하는 하나의 일체형 소자 또는 다수의 일체형 소자의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블럭"은 고형 블럭, 중공 블럭, 얇은 시트형 블럭, 블럭으로서 작용하도록 기계적으로 상호연결된 개방된 표면 배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 되지 않는다. 블럭의 일부 또는 전부는 극미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기판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장벽내로의 유전 전달통로를 생성하기 위해 생물학적 장벽과 인터페이스되는 극미침 장치의 구조 및 작동과 연관된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를 기준으로 설명된다. 상기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는 자체내장된 유체 전달장치의 일부로서 일체화되어 있거나, 또는 외부 유체 공급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어댑터 장치로서 일체화되어 있다.
용어에 대한 마지막 설명에 있어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동시에"라는 용어는 중복된 시간 주기에 발생되는 두가지 처리과정을 의미한다. "동시에"라는 용어는 필수적으로 완벽한 동시성을 부여할 필요는 없으며; 다음과 같은 사항의 경우의 범위, 즉 두가지 처리과정의 동시 발생, 다른 처리과정의 주기내에 속하는 시간중에 하나의 처리과정의 발생, 제2처리과정이 시작된 후 이어서 제1처리과정이 연속되는 부분적인 중첩의 발생을 포함한다.
도1 및 도2에 있어서, 피부와 접촉이동하기 위한 접촉면은 여러가지 상이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접촉면은 전달 형태의 하향면의 일부(18)일 수도 있으며, 및/또는 표면(16, 18) 사이의 엣지 영역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엣지는 매우 예리한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으며, 또는 곡률반경이나, 예를 들어 피부면과의 마찰결합을 증가시키는 구조변경 등과 같이 기타 달리 원하는 변경에 의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법의 특히 양호한 실행은 극미침의 관통팁을 피부면에 대해 부드럽게 가압한 후 상기 팁을 피부에 정착시키므로써 시작된다. 이러한 동작은 관통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며, 본 발명의 평면내에서의 운동중 피부면의 포지티브 결합을 보장한다. 이 경우, 극미침 자체는 "접촉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칭된 피부(22)와 스트레칭되지 않은 피부(24)는 전형적으로 레벨의 차이에 의해 서로 구별된다. 장치 하부의 조직 영역은 일반적으로 인가된 접촉 압력으로 인해 함몰된다. 장치의 하부에 놓인 스트레칭된 피부의 영역은 피부면의 초기 레벨 보다 약간 함몰되려는 경향을 띈다. 상기 스트레칭되지 않은 피부(24)는 장치 하부의 표면에 대해 융기되고, 전형적으로 초기의 피부면 레벨 보다 약간 높다. 피부 영역(24)의 융기 및/또는 스트레칭되지 않거나 이완된 조직 특성은 본 발명의 여러가지 양호한 특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가 주사되는 영역에서의 하방 압력의 결여는 유체 주사를 방해하는 배압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평면내 가압 및 최종적인 조직 융기는 진피층 사이의 피내 흐름 통로의 개방을 촉진시키며, 이에 따라 다량의 주사된 유체의 수용을 촉진시키며, 진피층내에서의 분산을 강화시킨다. 도시된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는 장치가 수동에 의해 피부로부터 빠질 때까지, 삽입후 극미침의 후퇴에 대항하는 로킹 효과를 생성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언급한 것 이외의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지 않고, 이러한 로킹 효과는 하부 조직(20)에 접촉면(18)을 가압하는 극미침(12)에서의 융기된 조직(24)에 의해 인가되는 하방력에 의한 것이다.
극미침(12)은 스트레칭되지 않은 영역(24)을 향해 경계 영역(20)으로부터 연 장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사용된 접촉면(들)의 디자인에 따라, 관통은 경계 영역의 내부에 또는 경계 영역에 인접하여 발생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상기 경계 영역 자체는 장치 표면이 가압되는 상당한 영역으로부터 협소한 라인으로 가압되며, 또는 이러한 경계 영역을 따라 극미침 자체가 정착된다.
도1 및 도2에서는 오직 하나의 극미침(12)이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행에서는 생물학적 장벽과 접촉하여 운동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극미침(12)의 선형 어레이(열)를 채택하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도3 및 도6에서는 극미침의 선형 어레이를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다수의 독특한 유체를 동시에 또는 원하는 순서대로 전달하기 위해, 별도의 극미침이 별도의 유체 공급 흐름 통로/저장조와 유체연결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다수의 극미침들이 동일한 유체 공급부에 연결되어, 조직내로의 개선된 유체 전달 및/또는 개선된 전단율을 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선택에 따르면, 유체 공급은 흡인을 실행하는 또 다른 극미침을 갖는 극미침 서브세트를 통해서만 실행될 수 있으며, 또는 장치를 조직내에 더욱 양호한 신뢰성으로 정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중공의 극미침(12)은 접촉면(18)과 기계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므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접촉면의 운동에 의해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내로 관통된다. 최대한의 신뢰성 및 최소한의 제조경비를 위하여, 본 발명의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의 양호한 실행은 필요한 모든 소자들이 기계적으로 단단히 결합되어 있는 가동부없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접촉면(18)의 적어도 일부는 물질의 블럭(16, 18)의 엣지(26)에 의해 제공되며, 극미침(12)은 엣지(26)에 의해 경계된 블럭의 표면(16)에 전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16)은 "해제면"이며, 이러한 해제면은 장치가 장벽과 접촉하였을 때 생물학적 장벽과 완전히 접촉되지 않는 표면을 의미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표면(16)은 표면(18)의 평면에 대해 각도가 형성되어 있다. 블럭에 대해 내측으로 측정된 표면(16, 18) 사이의 각도는 약 15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약 13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다. 양호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엣지(26)는 직교하는 표면(16, 18) 사이에 형성된다. 엣지(26)는 표면(16, 18)의 평면들이 예리하게 교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사항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엣지(26)는 적절한 곡률반경으로 둥굴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극미침(12)이 돌출되는 표면(16)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해제면이지만, 극미침은 피부 변형이 발생되었을 때 피부면과의 극미침 관통을 촉진시키기 위해 장치의 접촉면에 매우 근접하는 것이 중요하다. 접촉면(18)의 평면으로부터 극미침(12)의 관통팁까지의 거리는 표면(16)에 대해 수직으로 측정된 극미침(12)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16)에 평행하게 측정하였을 때 엣지(26)로부터 관통팁까지의 거리는 극미침의 높이 보다 적은 것이 가장 양호한 경우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에 평행하게 측정된 두 지점 사이의 거리는 의문시되는 표면상에서의 지점의 수직한 돌출 사이의 거리로 한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호한 특징은 유체 전달을 위한 흐름 벡터와 관련되어 있다. 먼저, 각각의 중공 극미침은 생물학적 장벽내로의 유체 전달을 위한 구멍(28)을 갖는 것으로 가정할 경우, 구멍의 연장 방향은 극미침의 방향을 한정하는 데 사용된다. 삽입 운동의 말기에 상기 구멍은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의 표면의 초기 평면에 대해 45°이하의 각도로 생물학적 장벽으로 연장되는 것이 본 발명의 양호한 특징이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극미침의 최종 위치는 상기 구멍이 장벽의 초기 평면에 대해 30°이하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이며, 일부 경우에 있어서 특히 양호한 경우는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의 초기 평면에 대해 ±15°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의 또 다른 독특한 특징은 본 발명의 극미침(12)은 피하 주사바늘 사용시 채택된 "상향" 방향과는 달리, 피부에 대해 "하방으로" 전개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각각의 극미침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함께 양도된 미국특허 제6.533.94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하향의 "경사면" 또는 경사진 표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경사면과 유체 흐름 구멍(28)과의 교차부는 유체 해제 개구를 형성하며, 이러한 개구는 일반적으로 하방을 향한다(즉, 조직의 깊이를 향한다). 이러한 방향으로 인해, 더 많은 직립의 극미침 벽면은 상향으로 대면한다. 이것은 조직내에 극미침의 강화된 정착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장치의 운동 앞에서 조직의 상술한 바와 같은 리프팅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하향으로 개방된 유체 해제 개구는, 극미침상에서 조직에 의해 발휘된 하향력이 유체 해제 개구를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극미침 팁의 바로 아래의 층을 개방하여 방해없는 유체 전달 또는 흡인을 촉진시키는 것을 보장한다. "상향 대면형" 실행은 본 발명의 광범위한 범주내에 속하며 이러한 경우 특히 얕은 주사 등에 장점을 갖는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삽입 운동에 대해, 본 발명의 방법은 접촉면(들)이 피부면에 수직한 운동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와 접촉하여 운동을 받는한, 그 형성된 극미침의 삽입을 위한 다양한 상이한 운동 통로로 실행된다. 상기 운동은 선형 통로, 순수한 회전, 또는 수동의 도움을 받지 않고 수동으로 작동되는 삽입 안내장치를 사용하여 실행되거나 또는 로봇 장치에 의해 완전히 자동화된 더욱 복잡한 운동이다. 도1에는 직선형 화살표 및 회전형 화살표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운동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엣지(26)가 접촉면으로 사용되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엣지는 표면에 평행한 운동 성분에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침이 돌출되는 표면(16)은 운동 방향으로 엣지(26)의 앞에 전개된다. 극미침의 어레이가 사용되며, 선형 어레이는 상기 엣지(26)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일반적인 특징이 서술되었지만, 도3 내지 도17D에는 여러 특정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3과, 도4내지 도6과, 도14내지 도17D를 참조하여 안내되지 않는 수동삽입을 위한 3개의 장치가 서술될 것이며, 이러한 장치는 그 사용될 유체 전달장치의 실행이라는 점에서 주로 상이하다. 도7내지 도9와, 도10 내지 도13은 안내 장치가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의 삽입 운동 통로를 한정하는 두가지의 또 다른 실행을 도시하고 있더.
도3에는 도1 및 도2의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유체 전달 어댑터의 간단한 실행이 도시되어 있으며; 접촉면(18)과, 해제면(16)과, 극미침(12)은 신장된 블럭(30)의 일부로서 실행된다. 모두 4개의 극미침을 연결하는 유체 흐름 통로(도시않음)는 루어 커넥터(32)로서 도시되어 있는 연결포트를 갖는 가요성 유체 공급도관(31)과 상호연결된다. 이것은 전달될 유체를 제공하기 위한 주사기, 주입 세트, 또는 가압 저장조 등과 같은 표준형 유체 공급장치의 사용을 촉진시킨다.
사용시, 블럭(30)은 피부에 대해 약 60°의 각도로 유지되며, 피부를 부드럽게 가압하여 극미침의 팁이 피부에 머무르게 한다. 이러한 예비단계는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단계는 아니지만, 전형적으로 장치의 작동을 강화시킨다. 그후 장치는 피부에 대해 전형적으로 10°내지 30°의 얕은 각도로 하강되며, 전형적으로 약 5mm 내지 15mm 의 통로를 통해 피부와 함께 이동하도록 피부를 횡단하여 상향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운동은 피부의 변형과 본 발명의 극미침 관통을 동시에 달성한다. 그후, 장치는 신장된 블록(30)의 본체를 횡단하는 수술용 테이프의 인가 등에 의해 전형적으로 피부에 대해 고정되며, 주사기 또는 주입세트 등과 같이 그 전달될 적절한 유체원에 루어 커넥터를 연결하므로써 사용준비할 상태가 된다. 극미침의 관통을 달성하기 위해 피부의 측방향 변형이 이용되지만, 일반적으로 유체 전달 처리과정시 측방향 변형을 유지할 필요는 없음을 인식해야 한다.
상기 장치의 이러한 실시예는 여러곳에서 나타나는 출혈 등과 유사한 가요성의 피내 또는 경피 유체 전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극미침 칫수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도4 내지 도6은 도1 및 도2와 유사하게 주사기(33)와 극미침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34)를 조합한 유체 전달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원칙적으로, 주사기(33)는 예비충진된 주사기이며, 일회용 제품의 일부로서 인터페이스(34)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특히, 극미침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34)는 표준형 주사기의 범위에 부착 하도록 형성된 피하 주사바늘을 위한 모듈형 교체부이다. 이 경우에도,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34)는 일회용 제품이다.
도4 내지 도6의 주사기 실행의 작동 모드는 주사기 주사에 일상적인 것처럼 장치를 피부에 고정하지 않고 전형적으로 유체 전달이 삽입후 즉시 실행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도3과 유사하다.
도7 내지 도9는 도4의 장치의 변형예로서, 생물학적 인터페이스에 대해 극미침 유체 전달 형태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기계적 삽입 안내장치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34)는 일반적으로 피부면에 수직으로 전개되는 주사기와 결합된다. 인터페이스(34)는 안내 하우징(36)내로 전개되며; 이러한 안내 하우징은 적절한 의료용 접착제 등에 의해 피부면에 유지되거나 일시적으로 고정되며, 극미침 전달 인터페이스의 삽입을 위한 운동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및/또는 주사기의 특징부와 연합한다.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인터페이스(34)는 다수의 측방향 돌기(도시않음)를 가지며; 이러한 돌기는 상기 안내 하우징의 대향측 벽에 형성되어 있는 수평 안내 슬롯(40)과 수직 안내 슬롯(38)을 포함하므로써, 도8의 초기 위치로부터 도9의 최종 위치까지 인터페이스(34)와 안내 하우징(36) 사이에 상대운동 통로를 형성한다. 인터페이스(34)와 안내 하우징(36) 사이에 간단한 피봇 결합은 매우 유사한 운동 통로를 제공하며; 피부면에 수평한 불필요한 후퇴 운동에 대한 로킹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수직 안내 슬롯(38)의 사용이 고려된다. 유체 전달이 완료되었을 때, 주사기는 도8의 위치를 향하여 후방으로 경사지므로써, 로킹 효과를 해제하여 도8의 위치로 극미침 조립체의 후퇴를 허용한다.
도10 내지 도13에는 기계적 삽입 안내장치를 갖는 또 다른 극미침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안내 하우징(42)은 도10 및 도12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부터 도11 및 도13에 도시된 최종 위치까지 극미침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의 운동 이전에 피부면에 유지되거나 일시적으로 고정된다. 이 경우, 전달 인터페이스(44)는 아암(46)에 피봇장착되며, 상기 아암은 하우징(42)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달 인터페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측방향 핀은 운동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에서 대응의 슬롯내로 미끄러진다. 이러한 구조 또한 도11 및 도13의 전개 상태에 기계적 로킹 상태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요성 튜브 및 루어 커넥터로의 부착, 주사기로의 직접 연결, 또는 자체내장된 유체 공급 저장조의 첨가 등을 포함하는 원하는 형태의 유체 공급(도시않음)을 위해 적용된다.
도14 내지 도17D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어 작동되는 극미침 유체 전달 장치의 또 다른 실행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장치는 자체내장된 유체 저장조를 가지며, 이러한 저장조는 극미침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용 가압 유체 공급을 제공한다.
특히 도17A 내지 도17D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도1 및 도2에서처럼 스프링식 피스톤(54)이 운동하는 실린더(52)와 유체연결된 극미침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50)를 포함한다. 밸브(56)는 밀봉 위치(도17A 및 도17B)로부터 개방 위치(도17C 및 도17D)까지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어서, 실린더로부터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까지 유체 흐름을 허용한다.
유체를 장치에 로딩하기 위해, 가요성 튜브(58)의 단부에서 루어 커넥터에는 외부 주사기가 연결된다. 상기 가요성 튜브는 피스톤(54)에서 일방향 흐름을 유도하는 피스톤의 축선을 따라 도관을 공급한다. 따라서, 가요성 튜브를 따라 주사된 유체는 피스톤에서 일방향 밸브를 통해 그 방향으로 가압되고, 피스톤을 지나 실린더의 측부를 충진하므로써, 도17A의 위치로부터 도17B의 위치까지 스프링의 편의력에 대항하여 피스톤을 구동시켜 후퇴시킨다. 그후, 외부 주사기는 제거되며, 장치는 사용준비 상태가 된다. 선택적으로, 로딩된 장치는 필요로 할 때까지 연장된 시간주기동안 이 상태로 저장된다.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장치의 적용은 기본적으로 도3과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유사하다. 선택적으로, 도7 내지 도9 또는 도10 내지 도13과 유사한 삽입 안내장치가 제공될 수도 있다. 극미침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가 생물학적 장벽내로의 극미침 관통과 함께 전개되었다면, 밸브의 작동기 버튼이 가압되고(도17C), 유체는 스프링식 피스톤에 의해 발생된 전달 압력하에서 유체 전달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되기 시작한다. 그후, 유체 전달은 도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가 빌 때까지 계속된다. 피스톤(54)과 결합된 스프링은 운동의 말기까지 효과적인 전달 압력을 보장하기 위해 예비하중된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서술되었기에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의 일탈없이 본 발명에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25)

  1.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의 스트레칭된 부분과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의 스트레칭되지 않은 부분 사이에 경계 영역을 생성하기 위하여,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의 표면에 평행한 성분을 갖는 운동으로,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과 접촉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을 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운동의 말기에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이 상기 경계 영역으로부터 스트레칭되지 않은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내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을 관통시키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을 통과하는 유체를 스트레칭되지 않은 부분을 향해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단계 및 관통단계는 동시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이 상기 운동에 의해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내로 관통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접촉면과 기계적으로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물질 블럭의 엣지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블럭의 표면상에 전개되고, 상기 엣지는 상기 표면과 경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는 블럭에 의해 제공된 두개의 직교하는 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는 표면에 평행한 상기 운동의 성분에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은 운동중 엣지의 앞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상기 표면상에 전개된 다수의 중공 극미침의 선형 어레이로 실행되며, 상기 선형 어레이는 상기 엣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높이를 가지며, 관통팁에서 종료되며; 상기 표면상에서 상기 엣지로부터 관통팁의 수직 돌출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높이 보다 높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의 표면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생물학적 장벽내로의 유체 전달을 위한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곡 극미침은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내로 연장되고, 상기 구멍은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의 표면의 초기 평면에 대해 45°이하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12.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촉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이 전개되는 해제 영역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접촉 영역이 생물학적 장벽과 접촉하고 상기 해제 영역이 생물학적 장벽과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장치를 생물학적 장벽에 이동시키는 단계와,
    생물학적 장벽을 기계적으로 변형시켜 상기 생물학적 장벽을 적어도 하나의 해제 영역과 접촉시키므로써 적어도 하나의 극미침이 생물학적 장벽을 관통하도록, 상기 생물학적 장벽의 표면에 평행한 운동 성분으로 장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영역은 평탄한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해제 영 역은 평탄한 해제면을 가지며, 상기 접촉면과 해제면 사이에는 150°를 초과하지 않는 각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과 해제면 사이에는 130°를 초과하지 않는 각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및 해제면은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및 해제면은 엣지 영역에서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생물학적 장벽내로의 유체 전달을 위한 구멍을 가지며, 상기 구멍은 접촉면에 대해 45°이하의 각도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높이를 가지며, 관통팁에서 종료되며; 상기 접촉면의 평면으로부터 관통팁의 거리는 상기 높이 보다 높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하방으로 대면하는 유체 해제 개구를 형성하도록, 하방으로 대면하는 극미침 경사면과 교차되는 유체 흐름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해제 영역에 수직하게 직립한 적어도 하나의 벽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과 교차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은 해제 영역의 표면 위에서 투시하였을 때 개방된 형태를 형성하도록 전개되며, 상기 개방된 형태는 내포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벽과 상기 경사면과의 교차부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 엣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1mm 이하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은 다수의 극미침 어레이로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23. 제12항에 있어서, 생물학적 장벽의 초기 평면 위로 생물학적 장벽의 일부를 융기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극미침이 생물학적 장벽의 융기된 부분을 관통하도록, 상기 생물학적 장벽을 기계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장치의 이동이 실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을 통해 유체를 생물학적 장벽의 융기된 부분내로 전달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25.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유체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장치의 표면으로부터 1mm 이하로 돌출되며, 흐름 벡터를 형성하는 유체 전달 구멍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을 포함하는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흐름 벡터가 가요성 장벽의 초기 평면에 45°내지 -15°의 각도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을 기계적으로 변형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공 극미침이 가요성 장벽을 관통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전달 방법.
KR1020077011336A 2004-11-18 2005-05-19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KR200700911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PCT/IL2004/001065 2004-11-18
IL40106504 2004-11-18
US65186105P 2005-02-11 2005-02-11
US60/651,861 2005-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115A true KR20070091115A (ko) 2007-09-07

Family

ID=3868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336A KR20070091115A (ko) 2004-11-18 2005-05-19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11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81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fluid into flexible biological barrier
CA2587216C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fluid into flexible biological barrier
US20090054842A1 (en) Enhanced pene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liding microneedles
US758855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fluid across a biological barrier
CA2631882C (en) Microneedle adapter for dosed drug delivery devices
JP4469610B2 (ja) 皮膚アクセス部材
US7896837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tradermally delivering a substance
JP4892166B2 (ja) 微小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5486211B2 (ja) 経皮投薬装置及びその装置に使用するニードル形成体
MXPA04002283A (es) Dispositivo de pluma a base de microaguja para el suministro de farmaco y metodo para utilizar el mismo.
WO2008047360A2 (en) Microneedle device
EP2806939A2 (en) Microneedle adapter for dosed drug delivery devices
KR20070091115A (ko) 가요성 생물학적 장벽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JP5026980B2 (ja) 可撓性の生体障壁内へ流体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
US20240024566A1 (en) Delivery Device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CN101060870A (zh) 输送液体进入柔软生物屏障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