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935A - 보일러 응축 모듈 - Google Patents

보일러 응축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935A
KR20070090935A KR1020077013899A KR20077013899A KR20070090935A KR 20070090935 A KR20070090935 A KR 20070090935A KR 1020077013899 A KR1020077013899 A KR 1020077013899A KR 20077013899 A KR20077013899 A KR 20077013899A KR 20070090935 A KR20070090935 A KR 20070090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heat
condensation module
ga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파노 반디니
Original Assignee
스테파노 반디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테파노 반디니 filed Critical 스테파노 반디니
Publication of KR2007009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4/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eat pumps
    • F24H4/02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24D2200/046Condensing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2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6Waste heat
    • F24D2200/18Flue gas recu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70Hybrid systems, e.g. uninterruptible or back-up power supplies integrating renewable ener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2Heat recovery pumps, i.e. heat pump based systems or units able to transfer the thermal energy from one area of the premises or part of the facilities to a different one, improving the overall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 Air Supply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 응축 모듈에 관한 것이며, 상기 보일러 응축 모듈은 물/가스 열교환기(E)와 밀폐 회로 압축성 열역학적 냉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2)은 시스템에 대한 열과 동일하게 물을 생성하도록 보일러의 가스에 대해 증발 잠열과 현열을 차감시키기 위하여 물의 흐름과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는 보일러(1)와 연통되고, 이에 따라 연소 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일러 응축 모듈{BOILER CONDENSATION MODULE}
본 발명은 보일러 응축 모듈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메탄올 또는 G. P. L. 또는 디젤 오일 공급 가열 보일러, 또는 다른 종류의 보일러와 연결되거나 또는 내측에 설치될 때, 능동적으로 잔여열(residual heat)을 활용하여 연소과정으로부터 배기 가스(exhaust fume)를 픽업(pick up)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보일러는 소위 "고효율 보일러"들이다. 상기 장치들은 가연성 발열량의 95 % 까지 활용할 수 있으며 전체 열의 단지 5 %의 손실이 있다. 상기 보일러는 고온 시스템 즉, 표준 방열기 및/또는 팬 코일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상기 팬 코일은 적절한 작동을 위해 70 ℃ 이상의 열벡터(물) 온도를 요구하는 요소들이다. 상기 보일러는 증발 잠열(latent heat of vaporisation)의 연소를 회복할 수 없으며 이는 연소 시에 생성된 증기를 액체 형태로 변형시킴으로써 회복될 수 있음을 뜻한다.
가장 뛰어난 가스 보일러 제조업체들 중 몇몇 업체는 "응축 보일러"를 생산 하며 즉, 상기 응축 보일러는, 일반적으로 업셋(upset), 특정 버너(burner) 및 효율성이 증가된 스모크/물 열교환기에 의해, 소위 "이슬점" 하에서 연소가스(combustion fume)를 25 ℃ 및 55 ℃ 온도 사이에서 가변(가연성에 따라, 배출된 CO2와 공기-연소 혼합물에서 가변적인)되도록 형성되는 특정 보일러를 뜻하며, 상기 온도 하에서 상기 가스 내에 포함된 증기는 응축을 시작하여 많은 양의 열을 발생시킨다. 메탄 연소로 인해 응축 잠열이 전열(total heat)의 11 % 와 동등하게 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이유로, 열의 어떠한 분산도 없이 응축 보일러는 이론상 발열량(100 % 의 현열 + 11 % 의 응축 잠열)에 대해 111 % 의 열량 효율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35 ℃ 내지 40 ℃ 사이의 온도를 가진 순환식 열벡터(물)의 온도로 오직 저온 시스템(플로어 코일)에 제공될 때 또는 몇몇의 특정 해결책(보일러 전력을 제한하면서 열벡터의 흐름율 및/또는 온도를 감소시키는)들을 제공할 때, 상기 장치들은 103 % 내지 106 % 의 매우 높은 효율에 도달한다. 아무튼, 상기 보일러 온도가 60 ℃ 내지 80 ℃(팬 코일 또는 방열기를 포함한 상기 시스템을 적절하게 작동하도록 하기에 필요한)로 유지할 때, 물의 유입 온도가 가스의 이슬점 온도에 너무 근접하거나 또는 이슬점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음으로 인하여 응축 보일러는 증발 잠열을 수용할 수 없으며, 이 경우, 응축 보일러는 표준 고효율성 보일러(효율 85 % 내지 95 %)로서 작동한다.
상기의 관점에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연소에 의해 생성된 많은 양 의 증기 내에 포함된 응축 잠열(또한 증발 잠열로도 공지됨)의 일부분과 현열의 일부분을 회복할 수 있다.
기술된 장치에 의해 회복된 열은 가열 시스템(일반적으로 물에 의한)의 튜브 내에 포함된 열벡터를 예비가열하도록 사용될 것이며, 상기 가열 시스템은, 최종 유저(방열기, 환기-컨벡터, 방열 튜브 등)로부터 가열되어야 하는 보일러 내에 재유입된 뒤 다시 최종 유저로 보내진다(그 외의 다른 분야에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보일러가 세팅된 온도에서 열벡터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며, 이에 따라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동일한 에너지를 구현할 때 연료를 절약할 수 있음을 뜻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압축성 열역학적 사이클을 포함한 물/가스 교환기를 제공하며, 상기 사이클은 상기 가스를 냉각(심지어 대략 35 ℃ 이상까지)하고 상기 열을 다른 온도(심지어 80 ℃ 이상)로 열벡터에 전달할 때까지 많은 양의 열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정 목적에 따르면 보일러 응축 모듈은 물/가스 열교환기와 밀폐 회로 압축성 열역학적 냉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시스템에 대한 열과 동일하게 물을 생성하도록 보일러의 가스에 대해 증발 잠열과 현열을 차감시키기 위하여 물의 흐름과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는 보일러와 연통(communicated)되고, 이에 따라 연소 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는 물/가스 플레이트 또는 층류 유닛 타입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냉각 장치는 압축성 열역학적 냉각 장치이며, 특히 가스-냉각제 또는 증발기 열교환기, 교환기, 냉각제 컴프레서, 팽창 또는 적층 부재, 제어 전기-전자식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밀폐 회로 압축성 열역학적 냉각 장치는 12 ℃ 와 20 ℃ 사이에 포함된 증발 온도와 50 ℃ 와 95 ℃ 사이에서 가변되는 응축 온도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냉각 기계는 튜브 번들 및/또는 층류 유닛 및/또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냉각제 열교환기, 튜브 번들 및/또는 층류 유닛 및/또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스-냉각제 열교환기, R12, R134, R404, R407, R125 의 냉각제 유체 및 열과 같이 이와 유사한 것들을 압축하기에 적합하고 심지어 인버터 타입으로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프레서, 압력 이퀄라이저 및/또는 측정 초크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으며 열동식 팽창 밸브 및/또는 모세관 타입으로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적층 부재 및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금속성 튜브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서, 가스 응축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부분들은 상기 동일한 응축물로 인해 내산화부식성 재료, 예컨대, AISI 316L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그 외의 다른 적합한 재료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가스 플레이트 또는 층류 유닛 타입의 열교환기는 카부런트 에어를 포함한 열적 교환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고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서, 공기, 대기, 물 및 가스들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물-가스 열교환기와 상기 가스-냉각제 열교환기(냉각 회로를 위한 증발기)는, 상기 2개의 열교환기들에 의해 생성된 응축물들이 상기 금속성 룸 외측으로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도록 가스가 순환되는 금속성 룸 내측에 설치된다.
추가적으로, 압력 스위치, 서모서탯 , 플로-미터, 마노미터, 서모미터, 변환기, 가스 추출기, 경로 지시기, 팬, 액체 주입 시스템, 액체 리시버 및 드라이버, 필터, 전기식/전자식 보드, 압력 이퀄라이저 및 리듀서, 차단 및 조절 밸브, 혼합 밸브, 응측물 배기 사이펀 등과 같은 보호 및 제어용 부속물들은 일반적으로 냉각 회로에 사용되도록 제공된다.
특히 유체 R134A는 냉각제 유체로 제공되며 또는, 대안으로서, 다양한 냉각제 유체(R404, R407, R410, R125)들은 냉각 회로 내에서 순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밀폐식, 반밀폐식 또는 개방식 타입으로 구성된 용적형 또는 원심형 컴프레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항상, 또 다른 유체 또는 글리콜 또는 또 다른 부동액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은 물 대신 시스템의 열벡터로서 사용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라서, 예를 들어 위생 온수를 가열하고 및/또는 또 다른 가열 시스템를 공급하며 및/또는 공기를 직접적으로 가열시키기 위하여, 가스로부터 회복된 열은 주수 시스템(main water system)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또 다른 시스템의 유체에 전달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라서 대향류식 열교환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응축 보일러 모듈"은 표준 고효율성 보일러(응축 보일러가 아닌)를 위하여 응축 보일러의 동일한 장점(낮은 전력소모, 매우 높은 효율성 및 낮은 배기 가스량)을 구현하는 동시에 2가지의 주요 결점들 즉, 고비용 및 오직 시스템 내부 물의 온도가 낮을 때에만 실질적으로 잘 작동하는 결점을 해결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심지어 높은 열벡터 온도(60 ℃ 내지 80 ℃)를 유지하도록 응축 잠열을 회복할 수 있다. 이는 응축 보일러의 설치에 있어서, 현존하는 가열 시스템에 요구되는 최종 장치(방열기-팬 코일)와 열벡터를 전달하기 위하여 시스템을 값비싸게 개조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현존하는 가열 시스템의 오직 작은 부분들만이 플로어 디퓨전(floor diffusion)을 구현하며, 응축 보일러의 제공이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 상기 시스템들의 95% 는 주철 또는 알루미늄 방열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들에 따라서, 첨부된 도면들의 특정적인 특징들에 대해 도시되나 제한적이지 않는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축 모듈을 포함하여 제공된 보일러를 도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응축 모듈의 특정 부분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응축 유닛(condensation unit, 2)을 포함한 보일러(1)가 도시된다. 실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은 보일러(1), 보일러 응축 모듈(2), 방열기(3), 유저(user)에 대한 물 전달 튜브(water delivery tube, 4), 유저로부터의 물 회수 튜브(water return tube, 5), 보일러 가스 출구(6), 연통(7), 응축물 배기구(condensate exhaust, 8)에 따른 외부 구성요소들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응축 모듈(2)이 도시되며, 상기 모듈은 물/가스 플레이트 또는 층류 유닛 타입(laminar unit type)의 열교환기(E)와 압축성 열역학적 타입의 냉각 장치(frigorific apparatus)를 실질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냉각 장치는 가스-냉각제 또는 증발기 열교환기(G)(증발기), 냉각제 컴프레서(H), 팽창 또는 적층 부재(lamination member, L), 제어 전기-전자 시스템 및 본 발명의 특정 목적은 아니지만 냉각 시스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기능적인 부속품(fitting)으로 구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보일러로부터 도달한 가스는 대략 150 ℃의 온도에서 홀(hole, C)을 통해 보일러 응측 모듈(2) 내의 금속성 룸(metallic room, P) 내로 유입되고, 잇달아, 물을 이용한 열교환으로 인해 가스/물 열교환기(E)를 거쳐 90 ℃로 냉각된 뒤 가스-냉각제 열교환기(G)로 도달하며, 20 ℃보다 낮은 온도로 냉각제가 순환함에 따라 상기 위치에서 가스는 추가적으로 냉각된다.
상기 열교환기(G)에서 가스는 대략 35 ℃ 까지 냉각되며, 따라서 증기(vapour)가 동일한 응축과정에 포함되어 증발 잠열을 연속적으로 회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스는 저온으로 인해 통풍(draft)의 결손(lack)과 상대적으로 높은 흐름 저항(flow resistance)을 상쇄하는 팬/환풍기(extractor, N)에 의해 홀(D)을 통해 금속성 룸(P)으로부터 배출된다.
대략 60 ℃에서 시스템으로부터 나온 물은 조인트(A)를 통해 유입되며, 물-냉각제 열교환기(F) 내를 우선 통과하고, 그 뒤 냉각제의 고온으로 인해(대략 110 ℃) 대략 62 ℃ 내지 64 ℃ 로 예비가열되며, 이 후 물-가스 열교환기(E) 내를 통과하고, 상기 물이 가스와 함께 150 ℃ 까지 열교환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최대 64 ℃ 내지 67 ℃ 까지) 가열된다.
마지막으로, 물은 조인트(B)에 의해 튜브(Q)를 통해서 보일러 응축 모듈로부터 배출된다. 표준 상태 하에서, 상기 예비가열된 물은 보일러 내로 재유입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이전 예비가열을 위해 온도를 증가시키기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연료를 필요로 하게 될 것이다.
냉각제(일반적으로 R134A 또는 이와 유사한 유체)는 수밀식 회로(watertight circuit) 내에 포함된다. 컴프레서(H)는 증기가 최종 유저(final user) 내로 재유입될 때의 물 온도를 가지도록 구현하기에 필요한 압력(16 bar 내지 22 bar)에서 압축된다.
과열된 증기는 고압 튜브(I)를 통해 물-냉각제 열교환기(F) 내에 유입되며, 냉각제는 물에 대해 열을 발생(yield)시키며 냉각제가 (특정 압력에서) 포화 온도 하에서 냉각될 때 상기 온수난방(water heating)의 상태는 가변되어 액체 형태가 된다. 이제, 냉각제는 포화 온도(12 ℃ 내지 18 ℃)를 낮추고 동시에 실제 온도를 낮추기 위해 압력(3.5 bar 내지 4.5 bar)을 감소시키도록 적층 부재(L)에 도달한다.
따라서, 냉각제는 용액-증기가 포화된 혼합 상태가 되며, 저압 튜브(M)를 통해 가스-냉각제 열교환기(G) 내로 유입되며, 이 경우, 냉각제는 가스로부터 열을 수용하여(35 ℃ 내지 40 ℃ 까지 냉각) 냉각제의 잔여 용액 부분을 기체 상태로 변화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제는 사이클을 재시작하기 위하여 컴프레서(H)에 의해 흡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응축 모듈"은, 제조 시에, 불어진 공기 버너(blown air burner) 내로 또는 가압된 통풍 보일러(forced draught boiler) 내에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보일러의 입구 물 튜브(inlet water tube) 및 보일러 가스를 차단하여 현존하는 가열 시스템 내에 제공될 수 있다.
가스는 오직 상기 모듈(2) 내측에서만 응축되어 응축물 산성화(condensate acidity)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일러를 보전할 수 있다.
회복된 열이 보일러의 예비가열된 물 또는 보일러의 물에 대해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응축 모듈"은 다양한 연료들을 제공하고 다양한 크기의 보일러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전력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실, 저발열량(lower calorific power)에는 동일하지만 고발열량(upper calorific power)에는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타입의 연료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법의 전력(power)에 영향을 끼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 응축 모듈"은 일반적으로 대기로 흩어지는 열(현열과 잠열)의 거의 완전한 회복으로 인해 표준 보일러를 최고효율 보일러로 전환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사실,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고, 연료의 소모는 최저 수준으로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연료 소비 감소에 따라 그에 대한 배기량도 비례적으로 감소된다.
오염 물질들은 작동 시에 형성된 응축수(condensation water) 내에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이는 몇몇 오염 물질들의 요소들이 용해가능하며 상기 동일한 응축수의 특정 계면활성력(specific surface-active power) 때문이다.
35 ℃보다 따뜻한 입구 물 온도로 시스템을 작동시킴으로써, "보일러 응축 모듈"로 제공된 보일러는 종래의 응축 보일러보다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보일러 응축 모듈은 저렴하며 구현하기 용이하고 주목할 만한 성능대비 가격 비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본 발명은 도시적이지만 제한되지 않는 목적으로 기술되나, 개조사항들 및/또는 변경사항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해당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어야 한다.

Claims (16)

  1. 보일러 응축 모듈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 응축 모듈은
    물/가스 열교환기(water/fume heat exchanger)와 밀폐 회로 압축성 열역학적 냉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시스템에 대한 열과 동일하게 물을 생성하도록 보일러의 가스에 대해 증발 잠열과 현열을 차감시키기 위하여 물의 흐름과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는 보일러와 연통(communicated)되고, 이에 따라 연소 효율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응축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물/가스 플레이트 또는 층류 유닛 타입의 열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응축 모듈.
  3.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장치는 압축성 열역학적 냉각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응축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장치는 가스-냉각제 또는 증발기 열교환기, 교환기, 냉각제 컴프레서, 팽창 또는 적층 부재, 제어 전기-전자식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응축 모듈.
  5.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회로 압축성 열역학적 냉각 장 치는 12 ℃ 와 20 ℃ 사이에 포함된 증발 온도와 50 ℃ 와 95 ℃ 사이에서 가변되는 응축 온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응축 모듈.
  6.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기계(frigorigen machine)는
    -플레이트 및/또는 층류 유닛 및/또는 튜브 번들 타입으로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냉각제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플레이트 및/또는 층류 유닛 및/또는 튜브 번들 타입으로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스-냉각제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R12, R134, R404, R407, R125 의 냉각제 유체 및 열과 같이 이와 유사한 것들을 압축하기에 적합하고 심지어 인버터 타입으로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컴프레서를 포함하고,
    -압력 이퀄라이저(pressure equaliser) 및/또는 측정 초크(calibrated choke)를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으며 열동식 팽창 밸브(thermostatic expansion valve) 및/또는 모세관 타입으로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적층 부재를 포함하며,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금속성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응축 모듈.
  7.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 응축물(fume condesate)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부분들은 상기 동일한 응축물로 인해 내산화부식성 재료, 예컨 대, AISI 316L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그 외의 다른 적합한 재료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응축 모듈.
  8.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가스 플레이트 또는 층류 유닛 타입의 열교환기는 카부런트 에어(carburant air)를 포함한 열적 교환(thermal exchange)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고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응축 모듈.
  9.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 대기, 물 및 가스들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물-가스 열교환기와 상기 가스-냉각제 열교환기(냉각 회로를 위한 증발기)는, 상기 2개의 열교환기들에 의해 생성된 응축물들이 금속성 룸 외측으로 용이하게 배출(outflow)될 수 있도록 가스가 순환되는 금속성 룸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응축 모듈.
  10.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 스위치, 써모서탯(thermostat), 플로 미터(flow meter), 마노미터(manometer), 서모미터(thermometer), 변환기(transducer), 가스 추출기(fume extractor), 경로 지시기(passage indicator), 팬, 액체 주입 시스템, 액체 리시버 및 드라이버, 필터, 전기식/전자식 보드, 압력 이퀄라이저 및 리듀서(reducer), 차단(interception) 및 조절 밸브, 혼합 밸브, 응축물 배기 사이펀(condensate exhaust siphon) 등과 같은 보호 및 제어용 부속물들 은 냉각 회로에 사용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응축 모듈.
  11.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유체 R134A는 냉각제 유체로 제공되며 또는, 대안으로서, 다양한 냉각제 유체(R404, R407, R410, R125)들은 냉각 회로 내에서 순환되도록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응축 모듈.
  12.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폐식, 반밀폐식 또는 개방식 타입으로 구성된 용적형(volumetric) 또는 원심형 컴프레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응축 모듈.
  13.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 다른 유체 또는 글리콜(glycol) 또는 또 다른 부동액을 포함하는 혼합용액은 물 대신 시스템의 열벡터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응축 모듈.
  14.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예를 들어 위생 온수를 가열하고 및/또는 또 다른 가열 시스템을 공급하며 및/또는 공기를 직접적으로 가열시키기 위하여, 가스로부터 회복된 열은 주수 시스템(main water system)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또 다른 시스템의 유체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응축 모듈.
  15.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향류식 열교환기(counter current flow heat exchanger)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응축 모듈.
  16.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술되고 도시된 보일러 응축 모듈.
KR1020077013899A 2004-12-20 2005-12-15 보일러 응축 모듈 KR200700909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DP2004A000005 2004-12-20
IT000005A ITDP20040005A1 (it) 2004-12-20 2004-12-20 Modulo condensante per caldai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935A true KR20070090935A (ko) 2007-09-06

Family

ID=36123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899A KR20070090935A (ko) 2004-12-20 2005-12-15 보일러 응축 모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80110601A1 (ko)
EP (1) EP1828690A1 (ko)
JP (1) JP2008524552A (ko)
KR (1) KR20070090935A (ko)
CN (1) CN101080598A (ko)
CA (1) CA2591258A1 (ko)
EA (1) EA011442B1 (ko)
IT (1) ITDP20040005A1 (ko)
NO (1) NO20073373L (ko)
WO (1) WO2006067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68767B (zh) * 2007-04-29 2010-09-15 东北电力大学 采用并联正、逆制冷循环的工质的间接空气冷却方法和系统
FR2921717A1 (fr) * 2007-10-02 2009-04-03 En Et Patrimoine Sarl Dispositif de recuperation de calories des gaz chauds dans une installation de chauffage avec une chaudiere
NL1035288C2 (nl) * 2008-04-14 2009-10-15 Hans Beumer Verbeterde verwarmingsketel.
CH700750A1 (it) * 2009-04-15 2010-10-15 Roberto Gianfrancesco Sistema per la produzione de energia termica.
EP2336652B1 (de) * 2009-12-17 2016-11-23 Vaillant GmbH Heizgerät
WO2011095845A1 (en) * 2010-02-05 2011-08-11 Densworth Limited Improvements to heat recovery in a domestic heating system
FI122935B (sv) * 2011-01-07 2012-09-14 Johan Holger Karlstedt Förfarande och apparat för att anordna effektivt värme
US20130256423A1 (en) * 2011-11-18 2013-10-03 Richard G. Lord Heating System Including A Refrigerant Boiler
FR2991756B1 (fr) * 2012-06-12 2014-09-05 Yahtec Dispositif de chauffage hybride a recuperation d'energie
ITMI20121766A1 (it) 2012-10-18 2014-04-19 Thermo Recovery S R L Apparato condensante per il recupero del calore sensibile e latente dalle caldaie
FR3011917B1 (fr) * 2013-10-14 2018-02-16 Suez Environnement Procede et installation de recuperation de chaleur sur des fumees humides
FR3019273A1 (fr) * 2014-04-01 2015-10-02 Bosch Gmbh Robert Installation de chauffage monobloc a ventilateur deporte
DE102014207540A1 (de) * 2014-04-22 2015-10-22 Vaillant Gmbh Heizgerät mit Wärmepumpe
SI25059A (sl) * 2015-09-11 2017-03-31 Univerza V Mariboru Metoda in naprava za izrabo nizkotemperaturnih virov plinskih kotlov z visokotemperaturno toplotno črpalko po konceptu voda/voda
CN106287622B (zh) * 2016-08-21 2023-05-19 侴乔力 竖管升膜凝汽源热泵驱动蒸汽锅炉
CN107339118B (zh) * 2017-06-30 2018-05-08 西安科技大学 一种利用深井地热的矿井降温系统及方法
CN109794077A (zh) * 2019-03-15 2019-05-24 南京碧林环保科技有限公司 利用高压天然气余压的烟气脱白装置及烟气脱白方法
FR3098571B1 (fr) * 2019-07-11 2022-07-2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ystème de récupération thermique d'un condenseur de distillation et procédé associé
IT201900020946A1 (it) * 2019-11-12 2021-05-12 Pio Cacciavillani Caldaia e impianto di riscaldamento
KR102552434B1 (ko) * 2021-08-27 2023-07-1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배가스 내의 오염물질 및 백연의 통합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 시스템
CN116772416A (zh) * 2021-12-29 2023-09-19 中印恒盛(北京)贸易有限公司 一种有效降低锅炉显热的冷凝处理模块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32270A1 (de) * 1980-08-27 1982-03-04 Wolfgang Prof. Dipl.-Ing. 4790 Paderborn Bartmuß Einrichtung zur energierueckgewinnung aus den abgasen von feuerstaetten und nutzung fuer heiz- und waermezwecke
GB8311260D0 (en) * 1983-04-26 1983-06-02 Patscentre Benelux Nv Sa Boiler
US5607011A (en) * 1991-01-25 1997-03-04 Abdelmalek; Fawzy T. Reverse heat exchanging system for boiler flue gas condensing and combustion air preheating
US5320166A (en) * 1993-01-06 1994-06-14 Consolidated Natural Gas Service Company, Inc. Heat pump system with refrigerant isolation and heat storage
NL1016063C2 (nl) * 2000-08-31 2002-03-01 Gastec Nv Een gasdoorvoer voorzien van een inpandige warmtewisselaar behorende bij een warmtepomp.
CA2437032C (en) * 2001-12-03 2007-05-15 The Tokyo Electric Power Company, Incorporated Exhaust heat recove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011442B1 (ru) 2009-02-27
EP1828690A1 (en) 2007-09-05
CN101080598A (zh) 2007-11-28
CA2591258A1 (en) 2006-06-29
ITDP20040005A1 (it) 2005-03-20
EA200701095A1 (ru) 2007-12-28
US20080110601A1 (en) 2008-05-15
NO20073373L (no) 2007-09-07
JP2008524552A (ja) 2008-07-10
WO2006067820A1 (en)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0935A (ko) 보일러 응축 모듈
US4301662A (en) Vapor-jet heat pump
US8366014B2 (en) Tank-tankless water heater
US6481234B2 (en) Heat pump system for air conditioning adaptable to cold regions
US89255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inducer in a modulating furnace
CH700750A1 (it) Sistema per la produzione de energia termica.
US7028490B2 (en) Water-heating dehumidifier
CA1262411A (en) Flue gas heat pump
CN109595844B (zh) 一种自复叠二氧化碳空气源热泵
CN108088103A (zh) 空调系统及控制方法
CN105115089B (zh) 空调系统
CN218955175U (zh) 燃气壁挂炉
CN112682957A (zh) 空气能热泵
KR100376220B1 (ko) 보일러를 이용한 냉난방장치
CN116772416A (zh) 一种有效降低锅炉显热的冷凝处理模块
WO1982004115A1 (en) A boiler arrangement
CN220958914U (zh) 一种燃气热水系统
US11530824B2 (en) Packaged water-cooled air turnover unit
US12000620B2 (en) Packaged water-cooled air turnover unit
CN215002255U (zh) 空气能热泵
CN219318419U (zh) 一种集成低氮冷凝燃气真空锅炉
JP5262428B2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KR970008009B1 (ko) 다단식 열펌프를 이용한 냉난방겸용 시스템
KR200178063Y1 (ko) 순간온수기 겸용 에어콘
CN206361935U (zh) 高效变频直热整体式家用热泵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