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648A -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648A
KR20070090648A KR1020060020607A KR20060020607A KR20070090648A KR 20070090648 A KR20070090648 A KR 20070090648A KR 1020060020607 A KR1020060020607 A KR 1020060020607A KR 20060020607 A KR20060020607 A KR 20060020607A KR 20070090648 A KR20070090648 A KR 20070090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ddress book
communication partn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3204B1 (ko
Inventor
우주경
강현주
이자연
진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0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204B1/ko
Publication of KR20070090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는, 통신 상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통신 상대와 관련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 주소록

Description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dress list including various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제공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주소록 제공 장치
210: 송수신부
220: 저장부
230: 입력부
240: 제어부
250: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소록을 통해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나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 통신을 할 때에는 통신 상대의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통신 상대의 정보를 입력해야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통신 상대의 정보를 일일이 기억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 상대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주소록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즉, 사용자는 사전에 통신 상대의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하였다가, 특정 통신 상대와 통신을 할 때,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검색함으로써, 별다른 불편함 없이 특정인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주소록 기능은 사용자가 사전에 저장한 통신 상대의 정보나, 특정 통신 상대에 대해 사전에 설정된 그룹 정보 등의 단순 정보만을 제공하는데 그치고 있다. 때문에 주소록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나 주소록 기능 활용 측면에서 한계가 드러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소록을 통해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는, 통신 상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통신 상대와 관련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방법은, 통신 상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 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이동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60, 65), 주소록 제공 장치(200), 복수의 기지국(10, 15), 복수의 기지국 제어기(30, 35) 및 교환국(40)을 포함한다.
휴대용 단말기(60, 65)는 주소록 제공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60, 65)로서 휴대전화, PDA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주소록 제공 장치(200)는 휴대용 단말기(60, 65) 즉, 통신 상대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주소록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주소록 제공 장치(200)는, 주소록에서 특정 통신 상대를 선택하는 신호 또는 특정 통신 상대의 식별 정보를 검색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통신 상대와의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식별 정보와 함께 제공한다. 주소록 제공 장치(2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 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60, 65)와 주소록 제공 장치(2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분된 것으로서, 실제 통신 상에서 휴대용 단말기(60, 65)가 주소록 제공 장치(200)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주소록 제공 장치(200)가 휴대용 단말기(60, 65)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지국(10, 15)은 각기 소정의 전파영역을 가지고 일정 구간마다 설치되어, 휴대용 단말기(60, 65) 및 주소록 제공 장치(200)가 이동통신 서버에서 제공되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일정 영역에 대하여 신호의 중계역할을 하게된다. 예를 들면, 기지국(10, 15)은 무선 링크의 신호 포맷을 유선 링크에 적합하도록 바꾸어 주므로써, 소정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송된 메시지를 교환국(40)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기지국(10, 15)은 휴대 단말기의 송수신 전계 강도(전파 수신 세기)를 측정하여 교환국(40)에 제공해준다. 또한, 기지국은 해당 기지국이 관리하는 영역(Cell) 내의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 발신 등의 제어와 해당 기지국(10, 15) 내의 무선 채널 등을 관리한다.
기지국 제어기(30, 35)는 복수의 기지국(10, 15)을 관리한다. 즉, 기지국 제어기(30, 35)는 기지국(10, 15)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서비스 상태를 관리하고, 호 트래픽에 대한 자원의 할당과 구성, 기지국(10, 15) 운용에 관한 정보 수립, 기지국(10, 15) 운용, 감시 및 고장에 관련된 하부 장치 감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교환국(40)은 복수의 기지국 제어기(30, 35) 및 휴대용 단말기(60, 65)에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교환국(40)은 부가적인 기능으로 채널 전환 (handoff)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제공 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제공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주소록 제공 장치(200)는 송수신부(210), 저장부(220), 입력부(230), 제어부(24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수신부(210)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60, 65)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면, 송수신부(210)는 특정 휴대용 단말기(60, 65)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을 송신하거나, 특정 휴대용 단말기(60, 65)로부터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부(220)는 통신 상대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및 통신 상대와 관련된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통신 상대의 식별 정보로는 통신 상대의 이름, 닉네임,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관련 정보로는 해당 통신 상대와 주고받은 단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예로 들 수 있다.
저장부(22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와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 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23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부분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기능키 예를 들면, 저장부(220)에 기저장되어 있는 주소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키, 메뉴 선택을 위한 방향키, 선택된 메뉴를 실행시키는 실행키 및 숫자 또는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문자 입력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30)에 구비된 기능키는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경우 소정 키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는 후술될 제어부(240)로 제공된다.
제어부(240)는 주소록 제공 장치(200) 내의 구성 요소들을 연결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40)는 주소록을 실행시키는 키신호가 제공되는 경우,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이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입력부(230)를 통해 소정 통신 상대를 검색하는 신호 또는 주소록에서 소정 통신 상대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들 중에서 해당 통신 상대와 관련된 컨텐츠들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주소록에서 '홍길동' 이라는 통신 상대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40)는 저장부(220)를 검색하여, '홍길동' 이라는 통신 상대와 관련된 컨텐츠 예를 들면, 정지영상, 동영상 및 메시지 등을 추출한다. 이 때, 단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의 메시지는 메시지를 송신한 송신자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의 전화 번호를 기준으로 하여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정지영상 및 동영상 등은 파일명을 기준으로 하여 추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지영상 및 동영상 등의 파일명은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도록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홍길동'이라는 사람에 대한 동영상 파일의 경우, '홍길동' 이라는 사람에 대하여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 정보 즉, 이름, 닉네임, 이메일 주소 또는 전화 번호 등의 일부가 파일명으로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소록에서 선택된 통신 상대와 관련된 컨텐츠들이 추출되면, 제어부(240)는 추출된 컨텐츠들을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해당 통신 상대의 식별 정보와 함께 추출된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입력부(230)에서 제공된 키신호에 따른 명령 처리 결과를 가시적인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주소록에서 특정 통신 상대가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부(250)는 선택된 통신 상대의 상세 정보 및 통신 내역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세 정보는 예를 들어, 집 전화번호, 회사 전화 번호 및 이메일 주소 등일 수 있으며, 통신 내역 정보는 예를 들어, 통신 상대로 송신한 메시지, 통신 상대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및 통신 상대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통신 상대의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310) 및 선택된 통신 상대와 관련된 관련 정보가 디 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320)을 포함한다.
도 3a는 주소록에서 선택된 통신 상대의 식별 정보로서,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등의 정보가 제1 영역(31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주소록에서 선택된 통신 상대와의 관련 정보로서, 이미지 데이터, 통신 상대로 전송한 메시지 및 통신 상대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등의 컨텐츠가 제2 영역(320)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제2 영역(320)은 관련 정보의 종류에 대응되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3a의 경우, 제2 영역(320)이 제1 서브 영역(321), 제2 서브 영역(322) 및 제3 서브 영역(323)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제1 서브 영역(321), 제2 서브 영역(322) 및 제3 서브 영역(323)에 각각 통신 상대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 통신 상대로 전송한 메시지 및 통신 상대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각 서브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는 보다 많은 컨텐츠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썸네일 방식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서브 영역에 썸네일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된 컨텐츠들은 각각 포커싱될 수 있으며, 소정 컨텐츠가 포커싱된 상태에서 이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가 확대되면서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도 3a와 같이, '홍길동'이라는 통신 상대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들 중 소정 메세지가 포커싱된 상태에서 이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메시지에 대한 상세 정보 예를 들면, 메세지 내용, 수신 날짜 등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선택된 메시지의 상세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는 서브 영역에서 선택된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이다. 도 3b는 화면 영역의 일부에 썸네일 이미지가 확대되면서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3c는 상세 정보가 화면 영역 전체에 걸쳐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소록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주소록 제공 장치(200)의 저장부(220)는 통신 상대의 식별 정보 예를 들면, 이름, 닉네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포함하는 주소록 및 통신 상대와 관련된 관련 정보 예를 들면,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정지영상 및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저장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입력부(230)를 통해 소정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40)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주소록 제공 장치(200) 내의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주소록을 디스플레이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240)는 저장부(220)에 기저장되어 있는 주소록이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S410).
만약, 주소록에서 특정 통신 상태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40)는 저장부(220)에 기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통신 상대와 관련된 관련 정보를 추출한다(S420). 예를 들어, 주소록에서 '홍길동'이라는 통신 상대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40)는 '홍길동'이라는 사람과 관련된 정지영상, 동영상, '홍길동'이라는 사람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및 '홍길동'이라는 사람에게 송신한 메시지 등의 컨텐츠를 추출한다.
여기서, 단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의 메세지는 예를 들어, 메시지를 송신한 송신자 또는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자의 전화 번호를 기준으로 하여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정지영상 및 동영상 등은 파일명을 기준으로 하여 추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지영상 및 동영상 등의 파일명은 사전에 사용자에 의해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도록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홍길동'이라는 사람에 대한 동영상 파일의 경우, '홍길동' 이라는 사람에 대하여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 정보 즉, 이름, 닉네임, 이메일 주소 또는 전화 번호 등의 일부가 파일명으로 지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주소록에서 선택된 통신 상대와 관련된 컨텐츠들이 추출되면, 제어부(240)는 추출된 컨텐츠들을 종류에 따라 분류한다(S430). 예를 들어, '홍길동' 이라는 통신 상대와 관련된 컨텐츠로서, 정지영상 및 송수신한 메시지가 추출된 경우, 제어부(240)는 추출된 컨텐츠를 정지영상, 송신 메시지 및 수신 메시지로 분류한다.
이 후, 제어부(240)는 주소록에서 선택된 통신 상대의 식별 정보 및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440). 이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통신 상대의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310) 및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320)으로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320)은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해당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서브 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홍길동' 이라는 통신 상대와의 관련 정보로서, 정지영상, 송신 메시지 및 수신 메시지가 검출된 경우, 제2 영역(320)은 제1 서브 영역(321), 제2 서브 영역(322) 및 제3 서브 영역(323)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각 서브 영역에는 정지영상, 송신 메시지 및 수신 메시지가 각각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서브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들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컨텐츠들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주소록에서 선택된 통신 상대에 대한 식별 정보 및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후, 소정 서브 영역의 컨텐츠를 포커싱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240)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컨텐츠를 포커싱한다.
만약, 소정 컨텐츠가 포커싱된 상태에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40)는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가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 영역(320)에서 '홍길동' 이라는 사람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40)는 선택된 메시지에 대한 상세 정보 즉, 메시지 내용, 수신 날짜 등이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세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도 3b와 같이, 화면 영역의 일부에 선 택된 썸네일 이미지가 확대되면서 상세 정보가 표시되거나 또는 도 3c와 같이, 화면 영역 전체에 상세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통신 상대와 관련된 관련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주소록 기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5)

  1. 통신 상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통신 상대와 관련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통신 상대와 주고받은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인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컨텐츠는 상기 분할된 영역에 썸네일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
  4. 통신 상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와 관련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식별 정보와 상기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식별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관련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통신 상대와 주고받은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이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상기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방법.
KR1020060020607A 2006-03-03 2006-03-03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63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607A KR100763204B1 (ko) 2006-03-03 2006-03-03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607A KR100763204B1 (ko) 2006-03-03 2006-03-03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648A true KR20070090648A (ko) 2007-09-06
KR100763204B1 KR100763204B1 (ko) 2007-10-04

Family

ID=38689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607A KR100763204B1 (ko) 2006-03-03 2006-03-03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20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0218A (ko) 2003-06-18 2004-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폰북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
KR20050096747A (ko) 2004-03-31 2005-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폰북 검색 표시방법
KR20060015362A (ko) 2004-08-14 2006-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목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
KR20060016426A (ko) 2004-08-17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KR20060055237A (ko) 2004-11-18 2006-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최근 문자 메시지 정보가 저장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204B1 (ko)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193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бора канала связи
CN103124283B (zh) 可协同复数个行动装置进行协同编辑的电子装置与方法
US201201357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communications with contacts based on a communication specification
KR101302599B1 (ko)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서 그룹 관리 방법 및 그룹 관리 서버
CN104158985B (zh) 通话方法、装置和系统
CN1902575A (zh) 在小屏幕设备上预览新事件
CN101523337A (zh) 具有可用状态指示符的统一联系人数据库
US20110161358A1 (en) Mobile phone apparatus, confirmation information displaying program, confirmation 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transmitting method of mobile phone apparatus
KR10152084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설정된 환경에 따른 이벤트 표시 방법
CN109525629A (zh) 信息推送方法、装置和存储介质
JP2004178294A (ja) 関連する電子メールを表示する携帯端末、電子メール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1522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63204B1 (ko)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2790830B (zh) 扩展移动通信终端的功能的方法和装置
CN111447236B (zh) 基于区块链的通信鉴权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KR2013001223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97683B1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연동서비스 메뉴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
KR20080095051A (ko) 핫키를 통하여 다양한 통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14294B1 (ko) 발신자정보 안내 방법
KR101163486B1 (ko)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60073033A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관리 방법
KR100816640B1 (ko) 폰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5637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동보전송을 위한전화번호 입력 방법
KR102307526B1 (ko) 사용자 정보 관리 시스템
KR100640425B1 (ko) 단문메시지 송수신을 태스크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