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025A - Motor vehicle rear wheel braking control in breaking situation with asymmetric grip - Google Patents

Motor vehicle rear wheel braking control in breaking situation with asymmetric gr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025A
KR20070090025A KR1020077016296A KR20077016296A KR20070090025A KR 20070090025 A KR20070090025 A KR 20070090025A KR 1020077016296 A KR1020077016296 A KR 1020077016296A KR 20077016296 A KR20077016296 A KR 20077016296A KR 20070090025 A KR20070090025 A KR 20070090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wheel
braking
steering angle
vehicl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2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올리비에 까욜
스테팡 귀강
리카르 뽀뗑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0413504A external-priority patent/FR2876337B1/en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070090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0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6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 B60T8/1764Regulation during travel on surface with different coefficients of friction, e.g. between left and right sides, mu-split or between front and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5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responsive to speed and another condition or to plural spee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5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 B62D7/159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characterised by means varying the ratio between the steering angles of the steered wheels characterised by computing methods or stabilisation processes or systems, e.g. responding to yaw rate, lateral wind, load, road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60/00Interaction of vehicle brake system with other systems
    • B60T2260/02Active Steering, Steer-by-Wire
    • B60T2260/022Rear-wheel steering; Four-wheel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60/00Interaction of vehicle brake system with other systems
    • B60T2260/02Active Steering, Steer-by-Wire
    • B60T2260/024Yawing moment compensation during mu-split 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The invention concerns a method for controlling braking of the rear wheels of a motor vehicle having at least four steering wheels (103 to 106) which consists in detecting the presence of a braking situation with asymmetric grip, determining a braking pressure setpoint in the form of a maximal braking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rear wheel based on the value of the vehicle instantaneous longitudinal speed and the turn angle of the front wheels, transmitting, in case of braking situation with asymmetric grip, said braking setpoint value to the braking actuators of said rear wheels so as to correct the vehicle instability.

Description

비대칭 그립으로 제동하는 상황에 있어서 차량의 후륜 제동 제어 방법{MOTOR VEHICLE REAR WHEEL BRAKING CONTROL IN BREAKING SITUATION WITH ASYMMETRIC GRIP}MOTOR VEHICLE REAR WHEEL BRAKING CONTROL IN BREAKING SITUATION WITH ASYMMETRIC GRIP}

본 발명은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4개 이상의 조향 가능한 차륜을 구비하는 차량의 후륜의 제동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trolling braking of a rear wheel of a vehicle having four or more steerable wheels in the event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란, 차량의 우측 타이어와 좌측 타이어 사이에 있어서 마찰 계수의 차이가 발생하는 상황이며, 이러한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은 차량을 그 경로로부터 벗어나게 하거나 및/또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게 한다.An asymmetric grip braking situation is a situation where a difference in coefficient of friction occurs between a right tire and a left tire of a vehicle, which causes the vehicle to deviate from its path and / or to pivot about a vertical axis.

미국 특허 출원 제2002/0198646호에는 차량에 대한 조향 각도 설정값의 형태로 제어를 적용함으로써 외란을 보상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는데, 상기 조향 각도 설정값은 그립 계수에 따라 결정되고 소정 계수에 대해서는 일정하다. 그러나, 이러한 설정값으로는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하여 잘 순응할 수 없다.US Patent Application No. 2002/0198646 describes a method for compensating for disturbance by applying control in the form of a steering angle setting value for a vehicle, the steering angle setting value being determined according to the grip coefficient and constant for a predetermined coefficient. Do. However, these settings do not adapt well to the various situations that may occur.

프랑스 특허 출원 제03/14931호에는 조향 제어 방법 및 장치가 기술되어 있는데, 이러한 방법 및 장치는 차량의 요 레이트(yaw rate)의 외란을 모델링하는 중에 형성된 차량의 상태 모델에 따라 좌우된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상기 상태 모델에 기초한 상태 관측기의 도움을 받아, 외란의 값을 결정할 수 있고, 그리고 나 서 이 외란의 점근적 제거를 허용하는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와 외란에 좌우되는 설정값이 얻어지고, 그 결과 외란을 감지할 수 없게 되며 차량의 경로를 안정화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폐쇄 루프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상태 관측기에 다시 도입되는 이전 설정값의 함수로서 새로운 설정값을 결정한다. 이러한 폐쇄 루프 작동은 제어 시스템의 응답에 있어서 약간의 지연을 유발하며, 이러한 제어는 급작스런 상황의 변화, 예컨대 속도의 빠른 변화 또는 전륜 조향 각도의 빠른 변화에 대하여 비교적 느리게만 응답한다.French patent application 03/14931 describes a steer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which method depends on the state model of the vehicle formed during modeling the disturbance of the yaw rate of the vehicle. In this method, with the aid of a state observer based on the state mode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value of the disturbance and then to determine the set value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o allow asymptotic removal of this disturbance. Therefore, a setting value depending on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disturbance is obtained, and as a result, the disturbance cannot be detected and the path of the vehicle can be stabilized. This method is operated by closed loop control to determine the new setpoint as a function of the previous setpoint that is introduced back to the state observer. This closed loop operation causes a slight delay in the response of the control system, which responds only relatively slowly to sudden changes in the situation, such as a rapid change in speed or a fast change in front steering angle.

따라서, 전술한 2개의 특허 문헌에 기술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후륜 조향 각도만을 집중적으로 제어하여 차량의 불안정성을 보정함으로써, 4개의 조향 가능한 차륜을 구비한 차량의 안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in the above two patent documents, only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can be controlled intensively to correct the instability of the vehicle, whereby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having four steerable wheels can be improved.

그런데, 출원인은 연구를 수행하는 중에, 차륜의 비대칭 그립 제동이 발생한 경우, 조향 가능한 후륜의 제동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지배하는 제동 파라미터를 특별한 방식으로 처리하여도, 차량의 불안정성이 보정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However, the Applicant found that during the study, in the event of asymmetrical grip braking of the wheels, the instability of the vehicle can be compensated for by treating the braking parameters governing the operation of the steerable rear wheel brake actuators in a special manner. .

따라서, 본 발명은 4개 이상의 조향 가능한 차륜을 구비하는 차량의 후륜에 대한 제동 제어 방법과 제동 제어 장치로서,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에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고, 특히 차량의 경로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게 하는 제동 제어 방법과 제동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braking control method and a braking control device for a rear wheel of a vehicle having four or more steerable wheels, which are intended to be used in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in particular a braking which enables to increase the path stability of the vehicl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ontrol method and a braking control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과제는 4개 이상의 조향 가능한 차륜을 구비하는 차량의 후륜에 대한 제동 제어 방법에 의해 해결되는데, 이 방법은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solved by a braking control method for the rear wheel of a vehicle having four or more steerable wheels.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의 존재를 검지하는 단계와,Detecting the presence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 우측 후륜과 좌측 후륜 사이의 제동 압력의 최대차 형태를 갖는 상기 차량의 불안정성을 보정할 수 있게 하는 제동 압력의 설정값을,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과 전륜 조향 각도의 값의 함수로서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A setpoint of the braking pressure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rrect the instability of the vehicle in the form of a maximum difference in braking pressure between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as a function of the value of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valu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To determine, and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을 상기 후륜의 제동 액추에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vent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transmitting the setpoint of the braking pressure to the braking actuator of the rear whee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문제점은 4개 이상의 조향 가능한 차륜을 구비하는 차량의 후륜에 대한 제동 제어 장치에 의해 해결되는데, 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에 적합하고,Furthermo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solved by a braking control device for the rear wheel of a vehicle having four or more steerable wheels, which device is suitabl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의 존재를 검지하는 수단과,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 우측 후륜과 좌측 후륜 사이의 제동 압력의 최대차 형태를 갖는 상기 차량의 불안정성을 보정할 수 있게 하는 제동 압력의 설정값을,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과 전륜 조향 각도의 값의 함수로서 결정하는 수단과,A setpoint of the braking pressure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rrect the instability of the vehicle in the form of a maximum difference in braking pressure between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as a function of the value of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valu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Means for determining,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을 상기 후륜의 제동 액추에이터에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한다.Means for transmitting the setpoint of the braking pressure to the braking actuator of the rear wheel in the event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장치는, 전륜 조향 각도,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 및 비대칭 그립 상황의 존재에 의해 특징 지워지는 운전 상황에 대하여, 제동 제어가 적합화될 수 있게 한다.Thus, the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llow braking control to be adapted for driving situations characterized by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presence of an asymmetrical grip situation.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유익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은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의 지속 기간 동안에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러한 제동 상황이 발생할 때 결정되는 설정값에 상응하다.According to an advantageous feature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etpoint of the braking pressure remains constant for the duration of the asymmetric grip braking situation and corresponds to the setpoint determined when such a braking situation occurs.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유익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을 해당 차량의 제동 압력차에 대한 최소값과 최대 허용값 사이로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dvantageous feature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limiting the se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between a minimum and a maximum allowable value for the braking pressure differential of the vehicle.

앞서 정의한 방법은, 차량의 조향 가능한 휠의 조향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단계와 병행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는데, 그 결과 비대칭 그립 제동이 발생한 경우에 차량의 불안정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병행은 후술하는 세가지 변형 실시예 중 하나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The previously defined method may be advantageous in parallel with the step aimed at steering control of the steerable wheels of the vehicle, resulting in a more effective correction of vehicle instability in the event of asymmetric grip braking. This parallelism may be advantageously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one of three variants described below.

제1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According to a first variant embodimen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과 전륜 조향 각도의 값에 기초하여,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을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의 함수로서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a setting value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as a function of the setting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based on the value of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valu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을 상기 후륜의 조향 액추에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the event of an asymmetric grip braking situation, transmitting the set value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o the steering actuator of the rear wheel.

제2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According to a second variant embodimen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과 전륜 조향 각도의 값에 기초하여, 후륜 조향 각도의 제1 중간 설정값을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의 함수로서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based on the value of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valu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a first intermediate setpoint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as a function of the setpoint of the braking pressure,

- 차량의 요 레이트의 외란을 후륜 조향 각도의 이전 설정값의 함수로서 추정하는 단계와,Estimating the disturbance of the yaw rate of the vehicle as a function of the previous setpoint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 후륜 조향 각도의 제2 중간 설정값을 상기 외란의 함수로서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a second intermediate setpoint of rear wheel steering angle as a function of said disturbance;

- 후륜 조향 각도의 상기 제1 중간 설정값을 후륜 조향 각도의 상기 제2 중간 설정값으로 보정함으로써, 후륜 조향 각도의 현재 설정값을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the current set point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by correcting the first intermediate set point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o the second intermediate set point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후륜 조향 각도의 상기 현재 설정값을 상기 후륜의 조향 액추에이터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In the event of an asymmetric grip braking situation, transmitting said current set value of rear wheel steering angle to said steering wheel steering actuator, and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후륜 조향 각도의 상기 제1 중간 설정값을 상기 후륜의 조향 액추에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the absence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transmitting the first intermediate setpoint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o the steering actuator of the rear wheel.

제3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According to a third variant embodimen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 차량의 요 레이트의 외란을 후륜 조향 각도의 이전 설정값의 함수로서 추정하는 단계와,Estimating the disturbance of the yaw rate of the vehicle as a function of the previous setpoint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 후륜 조향 각도의 현재 설정값을 상기 외란의 함수로서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a current setpoint of rear wheel steering angle as a function of said disturbance,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후륜 조향 각도의 상기 현재 설정값을 상기 후륜의 조향 액추에이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the event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transmitting the current set value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o the steering actuator of the rear wheel.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특징에 따르면, 차량의 요 레이트의 외란은,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 차량의 요 레이트, 전륜 조향 각도 및 후륜 조향 각도를 포함하는 차량의 상태 모델에 의해 결정되고, 이 상태 모델에서는 단계적 변화 타입의 외란이 차량의 요 레이트에 작용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disturbance of the yaw rate of the vehicle includes a state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the yaw rate of the vehicle,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and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Determined by the model, in this state model, the disturbance of the step change type acts on the yaw rate of the vehicle.

바람직하게는, 외란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후륜 조향 각도의 상기 설정값은, 요 레이트에서 외란을 점근적으로 제거하도록 결정된다.Preferably, the set value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determined based on the disturbance is determined to asymptotically remove the disturbance at the yaw rate.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외란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후륜 조향 각도의 상기 설정값은, 요 레이트의 상기 외란에 비례하고, 후륜 조향 각도의 제2 중간 설정값과 상기 외란 사이의 비례 계수는 다음 식과 같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set value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disturbance is proportional to the disturbance of the yaw rate and is the second intermediate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he proportional coefficient between the set value and the disturbance is as follows.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1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1

이 식에서 M은 차량의 총 질량,Where M is the total mass of the vehicle,

L1은 무게 중심으로부터 전방 차축까지의 거리,L 1 i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front axle,

L2는 무게 중심으로부터 후방 차축까지의 거리,L 2 i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rear axle,

D1은 전방 드리프트의 강성,D 1 is the stiffness of the forward drift,

D2는 후방 드리프트의 강성, 및D 2 is the stiffness of the rear drift, and

V는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V is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제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According to a feature of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apparatus comprises:

-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과 전륜 조향 각도의 값에 기초하여,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을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의 함수로서 결정하는 수단과,Means for determining, based on the value of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valu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a set value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as a function of the se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을 상기 후륜의 조향 액추에이터에 전송하는 수단를 더 포함한다.Means for transmitting the set value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o the steering actuator of the rear wheel in the event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는Preferably, the device is

- 상기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과 상기 전륜 조향 각도의 값의 함수로서,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1의 2차원 테이블과,A first two-dimensional table for determining a se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as a function of the value of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valu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 상기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과 상기 전륜 조향 각도의 값의 함수로서, 상기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을 결정하기 위한 제2의 2차원 테이블A second two-dimensional table for determining a set value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as a function of the value of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valu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의 2차원 테이블과 제2의 2차원 테이블은,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과 전륜 조향 각도의 값으로 이루어진 쌍에 있어서, 제동 압력의 상기 설정값이 클수록 후륜 조향 각도의 상기 설정값이 크도록 결정된다.The first two-dimensional table and the second two-dimensional table, wherein the pair consisting of the value of the instantaneous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valu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the greater the se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rear wheel steering The set value of the angle is determined to be large.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을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의 지속 기간 동안에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means for maintaining the setpoint of the braking pressure constant for the duration of the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장치는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을 상기 차량의 제동 압력차에 대한 최소값과 최대 허용값 사이로 제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means for limiting the se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between a minimum and a maximum allowable value for the braking pressure differential of the vehicle.

상기 장치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을 후륜의 제동 액추에이터에 전송하는 수단은, 잠김 방지 제동 모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device, the means for transmitting the se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to the braking actuator of the rear wheel comprises an antilock braking module.

끝으로, 본 발명의 대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제동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다.Finall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comprising a braking control device in which the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전적으로 비제한적인 예로서 취한 것이며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invention is now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aken by way of non-limiting example and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갖춘 차량의 모식도.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시스템의 기능도.2 is a functional diagram of a system in accordance with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도 2의 시스템 중 제1 부분의 기능도.3A, 3B, 3C and 3D are functional diagrams of a first portion of the system of FIG.

도 4는 도 2의 시스템 중 제2 부분의 기능도.4 is a functional diagram of a second portion of the system of FIG.

도 1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을 갖춘 차량의 모식도이다. 이 차량은 섀시(100), 2개의 조향 가능한 전륜(103 및 104) 및 2개의 조향 가능한 후륜(105 및 106)을 포함하고, 이들 차륜은 도시 생략된 서스펜션 기구에 의해 섀시(10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차량은 전륜(103 및 104) 사이에 배치된 랙(108)과, 조향 휠(도시 생략)로부터 기계식 또는 전기식으로 받은 명령에 따라 차량 운전자의 뜻대로 랙(108)을 이용하여 전륜(103 및 104)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랙 액추에이터(109)를 구비하는 조향 시스템을 포함한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omprises a chassis 100, two steerable front wheels 103 and 104 and two steerable rear wheels 105 and 106, which are connected to the chassis 100 by a suspension mechanism not shown. have. In addition, the vehicle uses the rack 108 disposed between the front wheels 103 and 104 and the front wheel 103 using the rack 108 at the will of the vehicle driver in accordance with a mechanical or electric command from a steering wheel (not shown). And a rack actuator 109 capable of setting the direction of 104.

조향 보조 제어 시스템은 제어 유닛(101)과, 예컨대 랙 액추에이터(109) 상에 배치되는 전륜(103 및 104)의 조향 각도의 센서(113)와, 예컨대 상기 전륜 중 하나에 대한 회전 센서 형태로 실시되는 차량의 순간 속도의 센서(115)와, 차량의 요 레이트, 즉 차량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 축에 대한 차량의 회전 속도의 센서(114)를 포함한다.The steering assistance control system is embodied in the form of a control unit 101, for example a sensor 113 of the steering angle of the front wheels 103 and 104 arranged on the rack actuator 109, and a rotation sensor for one of the front wheels, for example. Sensor 115 of the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sensor 114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vehicle about a vertical axis passing through the yaw rate of the vehicle, i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또한 후륜(105 및 106)의 제동 압력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예컨대 센서(116 및 117) 형태로 포함한다. 또한, 전륜의 제동 압력은 다른 측정 물리량에 기초하여, 예컨대 차량의 모델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 varian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also comprises means for determining the braking pressure of the rear wheels 105 and 106, for example in the form of sensors 116 and 117. In addition, the braking pressure of the front wheel can be estimated based on other measured physical quantities, for example by a model of the vehicle.

또한, 제어 시스템은 후륜(105 및 106)의 조향 각도(차량의 종축에 대한 차륜의 각도)의 센서(118 및 119)와, 상기 후륜(105 및 106)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 게 하는 조향 액추에이터(120 및 121)를 포함한다. 그러나, 조향 각도를 검지하고 후륜(105 및 106)의 방향을 설정하기에는 단일 센서(118) 및 단일 액추에이터(120)로도 충분할 수 있다. 위치 및 속도 센서는 광학 타입 또는 자기 타입의 것일 수 있고, 예컨대 홀-효과 타입의 것일 수 있으며, 가동 부품에 고정된 코더(coder)와 협동하지만 상기 센서는 회전하지 않는다. 전륜 또는 후륜 근방에 설치된 센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순간 속도의 평균을 구함으로써,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V)가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륜 또는 후륜 당 하나의 센서(115)를 마련하는 것이 고려된다. 별법으로서, 제어 유닛(101)은 차륜 잠김 방지 모듈(ABS) 등과 같은 다른 제어 모듈에서 나오는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V)의 값을 받는데, 이러한 다른 제어 모듈은 이러한 속도 값을 그 자체의 사용을 위해 결정할 필요가 있다.The control system also provides sensors 118 and 119 for steering angles (angle of the whee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of the rear wheels 105 and 106, and steering actuators for enabling the direction of the rear wheels 105 and 106 to be set. And 120 and 121. However, a single sensor 118 and a single actuator 120 may be sufficient to detect the steering angle and orient the rear wheels 105 and 106. The position and speed sensors may be of the optical or magnetic type, for example of the hall-effect type, and cooperate with a coder fixed to the moving part but the sensor does not rotate. By averaging the instantaneous speeds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ors installed near the front wheels or the rear wheels,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V of the vehicle can be obtained. In this case, it is contemplated to provide one sensor 115 per front wheel or rear wheel.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01 receives a value of the vehicle's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V coming from another control module, such as a wheel lock prevention module ABS, which other control module uses its own speed value. You need to decide for that.

제어 유닛(101)은 램(random access memory)과, 롬(read only memory)과, 중앙 처리 장치, 그리고 센서(113 내지 119)로부터 측정값을 받고 명령을 특히 액추에이터(120 및 121)에 급송(急送)할 수 있게 하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를 갖춘 마이크로프로세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1 receives measurements from the random access memory, read only memor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sensors 113 to 119 and sends commands to the actuators 120 and 121 in particular (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rocessor with an input / output interface that allows for;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유닛(101)은 입력 모듈(202)과, 상태 관측기(203)와, 외란 제거 모듈(204)과, "피드포워드(feedforward)" 모듈이라고도 하는 직접 결정 모듈(205)과, 가산기(208)와, 시간 지연 모듈(225)과, 잠김 방지 제동 모듈(207)("잠김 방지 시스템"에 대한 영문 약자인 ABS로 더 잘 알려져 있음), 그리고 ABS 모듈(207)에 대한 제어 모듈(206)을 포함한다. 상기 다양한 모듈은 하나의 동일한 제어 유닛으로 실행될 수 있고, 또는 개별적이지만 서로 통신하는 제어 유닛으로 실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101 includes an input module 202, a state observer 203, a disturbance removal module 204, and a direct determination module (also known as a " feedforward " module). 205, adder 208, time delay module 225, antilock braking module 207 (better known as ABS, abbreviation for "antilock system"), and ABS module 207 To a control module 206. The various modules may be implemented in one and the same control unit or may be implemented as control units which are separate but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입력 모듈(202)은 모듈(203, 204, 205 및 206)에서 각각 필요로 하는 물리량의 값을 이들 모듈에 전달한다. 모듈(203, 204, 205 및 206)의 작동 방식 및 종속성을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직접 결정 모듈(205)은 후륜 조향 각도의 제1 설정값(218)을 결정하고, 외란 제거 모듈(204)은 후륜 조향 각도의 제2 설정값(219)을 결정한다. 이들 두 설정값(218 및 219)은 가산기(208)에 의해 합산된다. 가산기(208)의 출력(220)은 시간 지연 모듈(225)을 통해 입력 모듈(202)에 다시 도입된다. 출력(220)은 후륜의 조향 액추에이터(120, 121)에 대한 제어량의 형태로 전송되는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에 상응한다.The input module 202 delivers to these modules the values of the physical quantities required by the modules 203, 204, 205 and 206, respectively. The manner and dependencies of the modules 203, 204, 205 and 206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The direct determination module 205 determines the first setpoint 218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and the disturbance removal module 204 determines the second setpoint 219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hese two setpoints 218 and 219 are summed by an adder 208. The output 220 of the adder 208 is introduced back to the input module 202 through the time delay module 225. The output 220 corresponds to a set value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control amount for the steering actuators 120, 121 of the rear wheels.

입력 모듈(202)은 센서(113 내지 119)로부터 다양한 측정값, 즉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212), 요 레이트(213), 전륜 조향 각도의 값(214)을 받는다. 입력 모듈(202)은 또한 시간 지연 모듈(225)로부터의 출력(215)을 받는데, 이 출력은 후륜 조향 각도의 이전 설정값에 상응한다. 또한, 입력 모듈(202)은 ABS 모듈(207)로부터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의 검지 플래그(FL 216)를 수신한다. 이 플래그는 대개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 없음, 우측으로의 비대칭 그립 제동, 또는 좌측으로의 비대칭 그립 제동을 각각 의미하는 3개의 값, 예컨대 0, +1, -1을 취할 수 있다. 잠김 방지 제동 모듈, 즉 ABS 모듈(207)에는 공지의 방식대로 다양한 측정량(요 레이트, 차륜 조향 각도 등)에 기초하여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의 존재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수단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후술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101)은 또한 입력 모듈(202)을 통하여 우측 전륜 및 좌측 전륜의 제동 압력의 측정값(210, 211)을 받는다.The input module 202 receives from the sensors 113 to 119 various measurements, ie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212 of the vehicle, the yaw rate 213 and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214. The input module 202 also receives an output 215 from the time delay module 225, which corresponds to the previous setting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In addition, the input module 202 receives the detection flag FL 216 of the asymmetric grip braking situation from the ABS module 207. This flag can usually take three values, 0, +1, -1, respectively, meaning asymmetric grip braking, no asymmetric grip braking to the right, or asymmetric grip braking to the left. The antilock braking module, ie the ABS module 207, is provided with means for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presence of an asymmetric grip braking situation based on various measured quantities (yaw rate, wheel steering angle, etc.) in a known manner. These mea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herein. According to a particula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01 also receives the measured values 210, 211 of the braking pressure of the right front wheel and the left front wheel via the input module 202.

직접 결정 모듈(205)은 후륜 조향 각도의 제1 설정값(218)을 종방향 순간 속도(212), 요 레이트(213) 및 전륜 조향 각도의 값(214)에 기초하여, 또는 변형 실시예에 따르면 우측 전륜의 제동 압력(210)과 좌측 전륜의 제동 압력(211)에 기초하여 결정한다. 이 제1 설정값은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에 있는 차량에 대하여 수행된 시뮬레이션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이상적인 설정값의 제1 근사치에 상응한다. 상기 직접 결정 모듈(205)에 대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제공되어 있으며, 도 3a 내지 도 3d에 나타내어져 있다.The direct determination module 205 uses the first setpoint 218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based on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212, the yaw rate 213 and the valu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214, or in a variant embodiment. According to this, 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braking pressure 210 of the right front wheel and the braking pressure 211 of the left front wheel. This first setpoint is determined based on simulations performed on the vehicle in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and corresponds to a first approximation of the ideal setpoint. Various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direct determination module 205 are provided herein and are shown in FIGS. 3A-3D.

도 3a에 도시된 직접 결정 모듈(205)의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직접 결정 모듈(205)은,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direct decision module 205 shown in FIG. 3A, the direct decision module 205 may,

- 조향 각도의 기준값(예컨대, 3.5 rad/s)을 생성하는 기준값 생성 요소(310)와,A reference value generating element 310 for generating a reference value (eg 3.5 rad / s) of the steering angle,

- 기준값 생성 요소(310)의 출력부에 접속되어 기준값 생성 요소(310)의 출력에 0, +1, 또는 -1의 게인(gain)을 각각 인가하는 3개의 가중 요소(302, 303, 304)와,Three weighting elements 302, 303, 304 which are connected to the output of the reference value generating element 310 and respectively apply a gain of 0, +1 or -1 to the output of the reference value generating element 310. Wow,

- 3개의 게인(302, 303, 304)의 출력을 입력으로서 받는 3개의 입력부를 구비하고 플래그(FL 216)의 값에 의해 출력이 제어되는 선택 스위치(305)와,A selection switch 305 having three inputs for receiving the outputs of the three gains 302, 303, 304 as inputs and whose output is controlled by the value of the flag FL 216,

-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212)과 전륜 조향 각도의 값(214)을 입력으로서 갖는 2차원 테이블(301), 그리고A two-dimensional table 301 having as input the value of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velocity 212 and the valu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214, and

- 선택 스위치(305) 및 테이블(301)로부터 각각 발생되는 신호(311, 312)를 곱셈하여 후륜 조향 각도의 제1 설정값(218)을 출력하는 곱셈기(306)를 포함한다.A multiplier 306 which multiplies the signals 311 and 312 generated from the selector switch 305 and the table 301 respectively and outputs a first setpoint 218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이 직접 결정 모듈(205)은 기준값 생성 요소(310)에서 발생된 조향 각도 기준값에 비례하는 제1 설정값(218)을 생성할 수 있게 하는데, 이 제1 설정값의 비례 계수는 종방향 순간 속도와 전륜 조향 각도의 값에 의존한다. 2차원 테이블은, 예컨대 조향 각도의 최대 가능값을 고려한 비례 계수를 종방향 순간 속도와 전륜 조향 각도의 값으로 이루어진 각 쌍에 경험적이고 실험적인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시뮬레이션의 결과이다. 선택 스위치(305)는 비대칭 그립 제동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제로 기준값을 생성할 수 있게 하고, 비대칭 그립 제동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립에 있어서의 비대칭이 우측 혹은 좌측에 있는가에 따라, 즉 플래그(FL 216)의 값에 따라, 적절한 기호를 2차원 테이블(301)에서 얻어지는 기준값에 할당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준값은 일정하고, 바람직하게는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으로 용납될 수 있는 최대값에 상응한다. 직접 결정 모듈(205)의 제1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설정값이 생성되고, 이 상수는 종방향 순간 속도와 전륜 조향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The direct determination module 205 enables the generation of a first setpoint 218 proportional to the steering angle reference value generated at the reference value generation element 310, wherein the proportional coefficient of the first setpoint is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velocity. And the valu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The two-dimensional table is the result of a simulation aimed at providing, for example, a proportional coefficient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possible value of the steering angle to each pair of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s and values of front wheel steering angles in an empirical and experimental manner. The selector switch 305 makes it possible to generate a zero reference value in the absence of asymmetrical grip braking, and in the case of asymmetrical grip braking, depending on whether the asymmetry in the grip is on the right or left side, i.e. the flag FL 216 According to the value of), it is possible to assign an appropriate symbol to the reference value obtained in the two-dimensional table 301.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the reference value is constant and preferably corresponds to the maximum value that can be tolerated by the set value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irect determination module 205 a constant setpoint is produced, which consta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and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도 3b에 도시된 직접 결정 모듈(205)의 제2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하의 관계를 따르는 우측 전륜 및 좌측 전륜에 대한 제동 압력값(PD 210, PG 211)의 함수로서 기준값을 결정하는 모듈(410)로 기준값 생성 요소(310)를 대체한 점에서 도 3a에 도시된 것과 다르다.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direct determination module 205 shown in FIG. 3B determines the reference value as a function of the braking pressure values P D 210 and P G 211 for the right front wheel and the left front wheel according to the following relationship. It differs from that shown in FIG. 3A in that the reference value generating element 310 is replaced with the module 410.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2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2

여기서, PD와 PG는 우측 전륜과 좌측 전륜의 제동 압력이고,Where P D and P G are the braking pressures of the right front wheel and the left front wheel,

μ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 계수이며,μ is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the brake pads,

φ는 브레이크 피스톤의 표면적이고,φ is the surface of the brake piston,

Re는 유효 반경, 즉 중심으로부터 브레이크 패드가 디스크에 접하게 되는 영역까지의 평균 거리이며, 그리고R e is the effective radius, ie the average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area where the brake pads come into contact with the disc, and

e는 차량의 궤간(軌間), 즉 우측 차륜과 좌측 차륜 사이의 거리이다.e is the gauge of the vehicle,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right wheel and the left wheel.

구체적으로, 디스크 브레이크의 경우에 제동 토크(Cbrake)는 다음 관계에 의해 주어진다.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disc brake, the braking torque C brake is given by the following relationship.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3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3

따라서, 우측/좌측 비대칭 그립 제동에 의해 야기되는 요 토크는 다음 식을 통해 추정된다.Therefore, yaw torque caused by right / left asymmetric grip braking is estim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4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4

제동 압력을 바아(bar)로 표현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If the braking pressure is expressed in bar, it is approximately as follows.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5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5

또한, 요 토크(Cyaw)를 보정하는데 적용되는 후륜 조향 각도는 다음과 같다.Further,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applied to correct yaw torque C yaw is as follows.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6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6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후륜 조향 각도와 제동 압력 사이의 관계(1)가 얻어진 다. 따라서, 직접 결정 모듈(205)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전륜에 인가되는 제동 압력 사이의 차에 따라 결정되는 설정값이 생성된다.Thus, ultimately, the relationship 1 between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and the braking pressure is obtained. Thu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direct determination module 205, a set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braking pressures applied to the front wheels is generated.

도 3c에 도시된 직접 결정 모듈(205)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는, 요소(511 및 512)에 의해 각각 생성되는 2개의 일정한 값 사이에서 시간적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기준값을 결정하는 모듈(510)로 기준값 생성 요소(310)를 대체한 점에서 도 3a에 도시된 것과 다르다. 상기 2개의 일정한 값은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의 최소 초기값(대개 0 rad/s)과 최종 최대값(예컨대 3.5 rad/s)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직접 결정 모듈(205)의 제3 실시예에서는 설정값이 상기 2개의 일정한 값 사이에서 도출되며, 도출 속도는 시간적 필터(510)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A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direct determination module 205 shown in FIG. 3C is a module 510 for determining a reference value by performing temporal filtering between two constant values generated by elements 511 and 512, respectively. Is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3A in that it replaces the reference value generating element 310. The two constant values are preferably the minimum initial value (usually 0 rad / s) and the final maximum value (eg 3.5 rad / s) of the set value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hus,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is direct decision module 205, a setpoint value is derived between the two constant values, and the derivation speed can be adjusted by the temporal filter 510.

도 3d에 도시된 직접 결정 모듈(205)의 제4 예시적인 실시예는, 우측 전륜 및 좌측 전륜에 대한 제동 압력값(PD 210 및 PG 211)의 함수로서 기준값 또는 최대 설정값을 결정하는 도 3b에서 이미 설명한 모듈(410)과 동일한 모듈(612)로 요소(512)를 대체한 점에서 도 3c에 도시된 것과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직접 결정 모듈(205)의 제4 실시예에서는 설정값이 일정한 초기값과 최종 최대값 사이에서 도출되고, 최종 최대값은 전륜 간의 제동 압력차에 따라 결정되며, 마찬가지로 최종값으로의 수렴 속도는 시간적 필터(510)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direct determination module 205 shown in FIG. 3D is to determine a reference value or a maximum set value as a function of the braking pressure values P D 210 and P G 211 for the right front wheel and the left front wheel. It differs from that shown in FIG. 3C in that the element 512 is replaced by the same module 612 as the module 410 previously described in FIG. 3B. Therefore,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is direct determination module 205, the set value is derived between a constant initial value and a final maximum value, and the final maximum valu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braking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wheels, and likewise converges to the final value. The speed can be adjusted by the temporal filter 510.

도 2에 도시된 상태 관측기(203)는, 측정되지는 않고 제어에는 필요한 정보,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작용하는 외란을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상태 관측기(203)는, 예컨대 단계적 변화 타입의 시간적 외란(d)이 한정된 시간 간격에 걸쳐서 차량의 요 레이트에 직접 작용할 수 있다고 가정함으로써, 2개의 조향 가능한 차륜을 구비하는 차량의 상태 모델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향 액추에이터(120)의 거동을 모델링한 변수가 상기 모델에 추가될 수 있다. 요 레이트의 외란을 포함하는 상태 모델과 관련된 상태 방정식은 예컨대 다음과 같다.The state observer 203 shown in FIG. 2 makes it possible to estimate the information that is not measured and necessary for control, specifically disturbance acting on the vehicle. The state observer 203 is based on a state model of a vehicle with two steerable wheels, for example by assuming that a temporal disturbance d of step change type can act directly on the yaw rate of the vehicle over a defined time interval. Can be configured. Variables modeling the behavior of the steering actuator 120 may be added to the model. The state equation associated with the state model, including disturbance of the yaw rate, is, for example: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7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7

상기 식은 이하의 기호를 사용하고,The formula uses the following symbols,

X : (n, 1) 차원의 상태 벡터X: state vector in (n, 1) dimension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8
: (n, 1) 차원의 상태 벡터의 시간 도함수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8
: Temporal derivative of state vector of dimension (n, 1)

X1 : (m, 1) 차원의 제1 입력 벡터X 1 : First input vector in (m, 1) dimension

X2 : (m, 1) 차원의 제2 입력 벡터X 2 : Second input vector in (m, 1) dimension

Y : (p, 1) 차원의 출력 벡터Y: output vector in (p, 1) dimension

A : (n, n) 차원의 상태 행렬A: state matrix of dimensions (n, n)

B : (n, m) 차원의 제1 입력 행렬B: first input matrix of dimension (n, m)

C : (n, m) 차원의 제2 입력 행렬C: second input matrix of dimension (n, m)

D : (p, n) 차원의 출력 행렬D: output matrix with dimensions (p, n)

여기서, p, n 및 m은 1 이상의 정수이다.Here, p, n and m are integers of 1 or more.

본 명세서에 주어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n=4, p=m=1이고, 벡터와 행렬은 그에 따라 정의된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given herein, n = 4, p = m = 1 and the vectors and matrices are defined accordingly.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9
Figure 112007051613467-PCT00009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0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0

상기 모델에 사용된 여러 상수는 각각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지고,Several constants used in the model are each represented as

M (kg) : 차량의 총 질량,M (kg): the total mass of the vehicle,

Iz (N.m) : 차량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 축에 대한 차량의 관성 모멘트,I z (Nm): moment of inertia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vehicle,

L1 (m) : 무게 중심으로부터 전방 차축까지의 거리,L 1 (m): distance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front axle,

L2 (m) : 무게 중심으로부터 후방 차축까지의 거리,L 2 (m): distance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rear axle,

D1 (N/rad) : 전방 드리프트의 강성,D 1 (N / rad): stiffness of the front drift,

D2 (N/rad) : 후방 드리프트의 강성,D 2 (N / rad): rigidity of the rear drift,

τ : 액추에이터(120)의 응답 시간,τ: response time of the actuator 120,

상기 모델에 사용된 다양한 변수는 각각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진다.The various variables used in the model are each represented as follows.

V (m/s) :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212),V (m / s): longitudinal instantaneous velocity of the vehicle (212),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1
(rad/s) : 요 레이트(213),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1
(rad / s): yaw rate (213),

d (rad/s) : 요 레이트의 외란(217),d (rad / s): disturbance of yaw rate (217),

αc1 (rad) : 측정되는 값이며, 현재의 전륜 조향 각도의 값(214),α c1 (rad): measured value, the value of the current front wheel steering angle (214),

αc2 (rad) : 현재의 후륜 조향 각도의 값(220)이며, 즉 제어 유닛(101)의 액추에이터(120)에 대한 출력(220)으로서 적용되는 설정값,α c2 (rad): the value 220 of the current rear wheel steering angle, i.e., the set value applied as the output 220 to the actuator 120 of the control unit 101,

αp2 (rad) : 시간 지연 모듈(225)에 의해 출력되는 이전의 후륜 조향 각도의 값(215),α p2 (rad): value 215 of the previous rear wheel steering angle output by the time delay module 225,

β (rad) : 드리프트의 각도, 즉 차량의 순간 속도 벡터가 차량의 종축과 이 루는 각도.β (rad): The angle of drift, that is, the angle between the vehicle's instantaneous velocity vector and the vehicle's longitudinal axis.

이러한 상태 모델에 기초하여, 선형 관측기에 관한 전형적인 이론을 적용한다. 상기 상태 모델에 기초한 상태 관측기(203)는 다음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Based on this state model, we apply the typical theory of linear observers. The state observer 203 based on the state model may be configured in the following manner.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2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2

이고,ego,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3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3

이며, 여기서 K(V)는 (4, 1) 차원의 행렬이고,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V)에 의존하는 상태 관측기의 조정 파라미터를 구성하며, 이들 관계식에서 기호 "^"는 해당 값이 추정된 값이라는 것을 뜻한다. 파라미터 K(V)는 상태 모델에서 갖는 신뢰도를 나타낸다. 예컨대, K(V)=0인 경우에, 신뢰도는 최대이며 상태 모델은 상태 관측기로서 확보된다.Where K (V) is a matrix of dimensions (4, 1) and constitutes an adjustment parameter of the state observer that depends on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velocity (V) of the vehicle, where the symbol "^" It is an estimated value. The parameter K (V) represents the confidence in the state model. For example, when K (V) = 0, the confidence is maximum and the state model is secured as a state observer.

이 행렬 K(V)의 계수는 자동 제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수치 근사 절차에 의해, 예컨대 소위 리카티(Ricatti) 미분 방정식의 해법을 적용하여 계산한다.The coefficients of this matrix K (V) are calculated by numerical approximation procedures known in the field of automatic control, for example by applying a solution of the so-called Ricatti differential equation.

또한, 상태 관측기(203)에 대한 미분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기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fferential equation for the state observer 203 can be recorded as follows.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4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4

이러한 상태 관측기는 측정값 혹은 추정값을 기초로 하여 결정된 차량의 상태와, 차량에 작용하는 외란의 전체 집합 사이의 관계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태 관측기는 방정식 (2)에 라플라스 변환을 적용하여 X, X1c2, X2c1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5
의 함수로서 외란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6
를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7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식이 얻어진다.This state observer makes it possibl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of the vehicl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measured or estimated value and the entire set of disturbances acting on the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state observer applies the Laplace transform to equation (2), where X, X 1 = α c2 , X 2 = α c1 and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5
Disturbance as a function of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6
To determine. Accordingly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7
The following equation is obtained.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8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8

여기서, s는 라플라스 변수이고, 여기서 H1, H2 및 H3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변환 함수이다.Where s is a Laplace variable, where H 1 , H 2 and H 3 are transformation functions defined as follows.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9
Figure 112007051613467-PCT00019

그리고, 여기서And here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0
.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0
.

실제로, 미분 방정식 (2) 또는 (3)은 이산화되고, 관계식 (4)에 의해 주어지는 해는 잘 알려진 수치 해법, 예컨대 오일러(Euler) 방법에 의해 근사화된다.Indeed, the differential equation (2) or (3) is discretized and the solution given by the relationship (4) is approximated by well-known numerical solutions, such as the Euler method.

외란 제거 모듈(204)은 외란의 점근적 제거를 허용하는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을 결정한다. 이러한 설정값을 적용하면, 고려하는 물리량에 관한 외란, 이 경우에는 요 레이트에 관한 외란은 관측할 수 없게 되며, 이는 차량의 경로가 안정화되고 차량의 노면 접지성이 향상되는 것을 통해서도 명백히 드러난다.The disturbance removal module 204 determines a set value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o allow asymptotic removal of the disturbance. By applying this setting, disturbances regarding the physical quantity under consideration, in this case disturbances about yaw rate, cannot be observed, which is also evident through the stabilization of the vehicle's path and the improved road grounding of the vehicle.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1
에 대한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2
의 편도함수를 제로로 하여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3
가 요 레이트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4
에 미치는 영향 을 제거하는 조건을 전술한 행렬 방정식에 부가하면, 상기 설정값은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5
의 함수로서 표현된다. 결국, 안정화된 상태에서는 외란의 값이 어떠하더라도, 구체적으로는 외란의 값이 제로이거나 제로가 아니더라도, 요 레이트는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2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에 대해, 외란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6
에 대한 비례성의 관계를 다음과 같은 형태로 부가하면,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1
For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2
With the partial derivative of zero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3
Flexible rate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4
Adding a condition to remove the effect on the matrix equation described above,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5
Is expressed as a function of As a result, even in the stabilized state, even if the disturbance value is specifically, even if the disturbance value is zero or non-zero, the yaw rate is determined to be the same. Disturbance with respect to setting value of the second rear wheel steering angle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6
If we add the relation of proportional to, in the form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7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7

다음과 같은 식이 얻어진다.The following equation is obtained.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8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8

따라서, 제2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은 상태 관측기(203)에 의해 추정되는 외란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9
에 비례하고, 비례 계수(G)는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V)에 좌우된다.Accordingly, the set value of the second rear wheel steering angle is disturbed estimated by the state observer 203.
Figure 112007051613467-PCT00029
In proportion to, the proportional factor G depends on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velocity V of the vehicle.

가산기(208)는 직접 결정 모듈(205)과 외란 제거 모듈(204)에 의해 각각 생성되는 설정값[(αc2 _ ff)(218) 및 (αc2 _ rp)(219)]을 합산한다. 가산기(208)는 조향 각도의 설정값을 나타내는 값(αc2)(220)을 출력(220)으로서 생성하고, 상기 값은 조향 액추에이터(120)에 전송되어 차량의 후륜에 부가될 것이다. 또한, 상기 값(αc2)은 상태 관측기(203)에 대해 입력값을 제공하는 입력 모듈(202)에 시간 지연 모듈(225)을 통하여 다시 도입된다. 따라서, 상태 관측기(203)는 외란

Figure 112007051613467-PCT00030
의 결정에 사용된 이전 설정값(αp2)(215)을 입력으로서 갖는다.The adder 208 sums the set values ((α c2 _ ff ) 218 and (α c2 _ rp ) 219) generated by the direct determination module 205 and the disturbance removal module 204, respectively. The adder 208 generates as output 220 a value α c2 220 representing the set value of the steering angle, which value will be transmitted to the steering actuator 120 and added to the rear wheel of the vehicle. The value α c2 is also introduced via the time delay module 225 to the input module 202 which provides an input value to the state observer 203. Thus, the state observer 203 is disturbed
Figure 112007051613467-PCT00030
It has as input the previous set value α p2 215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플래그(FL 216)의 값이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만, 가산기(208)는 외란 제거 모듈(204)의 출력값을 감안한다. 또는, 다시 말하자면,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태 관측기(203) 및/또는 점증적 외란 제거 모듈(204)이 제로 출력값을 생성하고, 이러한 경우에는 직접 결정 모듈(205)에 의해 생성된 설정값(219)만이 조향 액추에이터(120)에 전송된다.Only when the value of flag FL 216 indicates that the asymmetric grip braking situation is not present, adder 208 considers the output value of disturbance removal module 204. Or, in other words, the state observer 203 and / or the incremental disturbance removal module 204 generate a zero output in the absence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in which case it is generated directly by the determination module 205. Only the set value 219 is transmitted to the steering actuator 120.

따라서, 제어 유닛(101)은 한편으로는 제1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을 결정할 수 있게 하는 개방 루프 부품[모듈(202, 205)]을 포함하고, 이와 더불어 제2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을 추정할 수 있게 하는 폐쇄 루프 부품[모듈 (202, 203, 204, 205)]을 겸비한다. 제1 설정값은 시뮬레이션의 결과이고 제1 근사 설정값을 나타내는 반면에, 제2 설정값은 제1 설정값에 적용되는 보정을 나타내며, 이러한 보정은 차량의 정확한 상태 모델을 기초로 하고 이전에 결정해 놓은 보정된 설정값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시스템은 상태 관측기 및 외란 제거 모듈에 의해 적용되는 보정으로 인하여 매우 정확하게 유지되고, 또한 근사한 것이지만 응답 지연 없이 즉각적으로 적용되는 제1 설정값을 결정하는 개방 루프 부품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상황의 변화(종방향 순간 속도의 변화 또는 전륜 조향 각도의 변화)에 대해 매우 신속하게 순응한다.Thus, the control unit 101 comprises on the one hand an open loop component (modules 202, 205) which makes it possible to determine the set value of the first rear wheel steering angle, together with the set value of the second rear wheel steering angle. And a closed loop component (modules 202, 203, 204, 205) that allows estimation. The first setpoint is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and represents the first approximate setpoint, while the second setpoint represents the correction applied to the first setpoint, which correction is based on the exact state model of the vehicle and previously determined It is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corrected set point. Thus, the system remains very accurate due to the corrections applied by the state observer and disturbance rejection module, and also changes in the situation due to the presence of an open loop component that determines the first setpoint that is approximate but immediately applied without a response delay. Very quickly to changes in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r front wheel steering angle).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에 따르면, 제어 모듈(206)은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우측 후륜과 좌측 후륜 간의 제동 압력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최대차에 상응하는 설정값(230)을 생성한다. 이러한 설정값(230)은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212)와 차량의 전륜 조향 각도의 값(214)에 따라 좌우된다. 이 예(도 4)에서, 제어 모듈(206)은 값(212 및 214)을 입력으로서 받는 2차원 테이블(701)과, 2개의 입력을 갖는 제1 선택 스위치(703)를 포함하는데, 상기 2개의 입력 중 제1 입력은 2차원 테이블(701)의 출력이고, 나머지 입력은 상수 생성 요소(702)의 출력값이며, 이 예에서 상기 상수는 제로값을 취하고 있다. 선택 스위치(703)는 플래그(FL 216)의 값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플래그가 제로가 아니면 2차원 테이블(701)의 출력이 선택되고, 상기 플래그가 제로이면 상수 생성 요소(702)의 출력이 선택된다.According to an essential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206 generates a setpoint 230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allowable difference in braking pressure between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in the event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This setpoint 230 depends on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212 of the vehicle and the value 214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of the vehicle. In this example (FIG. 4), the control module 206 includes a two-dimensional table 701 that receives values 212 and 214 as inputs and a first selection switch 703 having two inputs, wherein 2 The first of the three inputs is the output of the two-dimensional table 701, and the remaining inputs are the outputs of the constant generating element 702, in which the constant takes a zero value. The selection switch 703 is controlled by the value of the flag FL 216, and if the flag is not zero, the output of the two-dimensional table 701 is selected, and if the flag is zero the output of the constant generating element 702 is Is selected.

또한, 제어 모듈(206)은 2개의 입력을 갖는 제2 선택 스위치(705)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2 선택 스위치의 출력은 시간 지연 모듈(704)을 통해 제1 입력에 루프 백(loop back)되고, 제2 선택 스위치의 제2 입력은 제1 선택 스위치(703)의 출력이다. 제2 선택 스위치(705)도 또한 플래그(FL 216)에 의해 제어되고,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값을 플래그(FL 216)가 취하는 경우, 제2 선택 스위치의 기능은 출력값을 소정값으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선택 스위치의 출력값은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발생한 순간에는 2차원 테이블(701)에 의해 결정된 값으로 고정되고, 제동 단계 동안에 차량의 속도 또는 전륜 조향 각도가 변화하더라도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반대의 상황에서는, 제1 선택 스위치(703)의 출력이 선택된다.The control module 206 also includes a second select switch 705 having two inputs, the output of the second select switch being looped back to the first input via the time delay module 704. The second input of the second selection switch is the output of the first selection switch 703. The second selection switch 705 is also controlled by the flag FL 216, and when the flag FL 216 takes a value indicating that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condition exists, the function of the second selection switch is to determine the output value. To fix it. Therefore, the output value of the second selection switch is fixed to the value determined by the two-dimensional table 701 at the moment of the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and remains fixed even if the vehicle speed or front wheel steering angle changes during the braking step. . In the opposite situation, the output of the first selection switch 703 is selected.

제어 모듈(206)은 제2 선택 스위치(705)의 출력에서 리미터 요소(706)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리미터 요소는 제어 모듈(206)의 출력값이 최소값과 최대 허용값 사이에 놓인다는 것을 보장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 모듈의 출력값은, 설정값(230)이 압력차 설정값의 최대값에 대한 비례 계수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상대적 스케일(예컨대 0 내지 100% 사이의 백분율)에 따라 주어지는 값일 수도 있고, 또는 절대 압력 스케일에 따라 주어지는 값일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모듈(206)은 플래그(FL 216)의 값이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라는 것을 나타낸 경우에만 활성화되고,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로값을 출력한다.The control module 206 preferably includes a limiter element 706 at the output of the second selector switch 705 which indicates that the output value of the control module 206 lies between the minimum and maximum allowable values. Function to ensure. The output value of the control module may be a value given according to a relative scale (for example, a percentage between 0 and 100%) when the setpoint 230 is used as a proportional factor with respect to the maximum value of the pressure difference setpoint, or the absolute pressure It may be a value given depending on the scale.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06 is activated only when the value of the flag FL 216 indicates that the asymmetric grip braking situation is output, and outputs a zero value when there is no asymmetric grip braking situation.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차량은 잠김 방지 제동(ABS) 모듈(207)을 갖추고 있고, 압력차 설정값은 ABS 모듈에 전송되어, 이를 통해 액추에이터의 제동 제어 명령이 체계화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ABS 모듈(207)은 제동 액추에이터에 작용하여, 제동 압력의 설정값이 차량의 후륜에 적용되어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n anti-lock braking (ABS) module 207, and the pressure difference setting value is transmitted to the ABS module, thereby organizing the braking control command of the actuator. Thus, in this case the ABS module 207 acts on the braking actuator to ensure that the se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rear wheel of the vehicle.

제동 압력의 설정값을 결정하는 모듈(206)은, 보정되지 않은 조향 설정값만을 생성하는 직접 결정 모듈(205)과만 동등하게 잘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또는 모델링으로부터 얻어지며 보정할 필요가 없는 설정값을 생성하는 루프 시스템에서는 모듈(203 및 204)의 조합, 또는 모듈(203, 204 및 205)의 조합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모듈(203 및 204)은 모듈(205)에 의해 전달된 값을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어느 조합을 선택하는가에 따라, 조향 액추에이터에 전송되는 조향 설정값은 제1 중간 설정값(218)[모듈(205) 단독], 제2 중간 설정값(219)[모듈(203 및 204) 조합], 또는 보정된 설정값(220)[모듈(203, 204 및 205) 조합]이다.The module 206 for determining the setpoint of the braking pressure can be used equally well with the direct determination module 205, which produces only the uncorrected steering setpoint, or is obtained from modeling and does not need to be calibrated. In a loop system that generates a combination of the two components, a combination of modules 203 and 204, or a combination of modules 203, 204 and 205 may be used, in which case the modules 203 and 204 are delivered by the module 205. It serves to correct the value. Depending on which combination is selected, the steering setpoint transmitted to the steering actuator may be the first intermediate setpoint 218 (module 205 alone), the second intermediate setpoint 219 (module 203 and 204 combination). Or a corrected setpoint 220 (combination of modules 203, 204 and 205).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인 경우에 허용 제동 압력차가 클수록 조향 각도의 설정값(220)이 커질 수 있으므로, 제어 모듈(206)의 2차원 테이블(701)과 직접 결정 모듈(205)의 2차원 테이블(301) 사이에 관계가 맺어지고, 상기 두 모듈(205, 206) 이 동시에 사용될 때 하나의 테이블은 다른 테이블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제동 압력차의 값(230)은 직접 결정 모듈(205)에 의해 결정된 제1 제동 압력 설정값(218)의 함수로서 결정된다. 따라서, 전술한 2차원 테이블을 결정하는 시뮬레이션은 모듈(205)의 실시예와 모듈(206)의 실시예 사이에서 선택된 조합을 감안하여야 한다. 이러한 특징은, 전술한 두 파라미터, 즉 제동 압력과 조향 각도의 통합 제어 및 동시 제어를 통해 더 나은 차량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In the case of an asymmetric grip braking situation, the larger the allowable braking pressure difference may be, the larger the setting value 220 of the steering angle is. Therefore, the two-dimensional table 701 of the control module 206 and the two-dimensional table 301 of the direct determination module 205. ), And when the two modules 205 and 206 are used simultaneously, one table must consider the other. Thus, the value 230 of the braking pressure differential is determined as a function of the first braking pressure setpoint 218 determined by the direct determination module 205. Thus, the simulation of determining the two-dimensional table described abov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combination chosen between the embodiment of module 205 and the embodiment of module 206. This feature makes it possible to ensure better vehicle stability through the integrated control and simultaneous control of the two parameters described above, namely the braking pressure and the steering angle.

본 발명은, 후륜 조향 각도 설정값과 함께 사용될 때 차량의 노면 접지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그에 따라 운전자가 느끼는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운전 상황(요 레이트, 종방향 속도,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의 존재 등)에 잘 순응하는 제동 압력 설정값을 통해 유익을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greatly improves the road foldability of the vehicle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setting value and thus improves the riding comfort felt by the driver, and in driving situations (yaw rate, longitudinal speed, presence of asymmetrical grip braking conditions, etc.). Benefit from a well-adapted braking pressure setpoint.

Claims (17)

4개 이상의 조향 가능한 차륜을 구비하는 차량의 후륜에 대한 제동 제어 방법으로서,A braking control method for a rear wheel of a vehicle having four or more steerable wheels,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의 존재를 검지하는 단계와,Detecting the presence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 우측 후륜과 좌측 후륜 사이의 제동 압력의 최대차 형태를 갖는 상기 차량의 불안정성을 보정할 수 있게 하는 제동 압력의 설정값(230)을,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과 전륜 조향 각도의 값의 함수로서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A se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230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rrect the instability of the vehicle in the form of a maximum difference in braking pressure between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the value of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valu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Determining as a function of, and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을 상기 후륜의 제동 액추에이터에 전송하는 단계In the event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transmitting the setpoint of the braking pressure to the braking actuator of the rear whee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의 제동 제어 방법.Braking control method of the rear wheel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은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의 지속 기간 동안에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러한 제동 상황이 발생할 때 결정되는 설정값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의 제동 제어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remains constant for the duration of the asymmetric grip braking situation and corresponds to a set value determined when such a braking condition occur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을 해당 차량의 제동 압력차에 대한 최소값과 최대 허용값 사이로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의 제동 제어 방법.3. The method of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limiting the se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to between a minimum and a maximum allowable value for the braking pressure differential of the vehicl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212)과 전륜 조향 각도의 값(214)에 기초하여,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218)을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의 함수로서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a setpoint value 218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as a function of the setpoin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based on the value 212 of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value 214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218)을 상기 후륜의 조향 액추에이터(120)에 전송하는 단계In the event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transmitting the setpoint 218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o the steering actuator 120 of the rear wheel.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의 제동 제어 방법.Braking control method of the rear wheel further comprising.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212)과 전륜 조향 각도의 값(214)에 기초하여, 후륜 조향 각도의 제1 중간 설정값(218)을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의 함수로서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a first intermediate setpoint 218 of rear wheel steering angle as a function of the setpoin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based on the value 212 of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value 214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Wow, - 차량의 요 레이트(yaw rate)(213)의 외란(217)을 후륜 조향 각도의 이전 설정값(215)의 함수로서 추정하는 단계와,Estimating the disturbance 217 of the vehicle's yaw rate 213 as a function of the previous setpoint 215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 후륜 조향 각도의 제2 중간 설정값(219)을 상기 외란의 함수로서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a second intermediate setpoint 219 of rear wheel steering angle as a function of said disturbance, - 후륜 조향 각도의 상기 제1 중간 설정값(218)을 후륜 조향 각도의 상기 제2 중간 설정값(219)으로 보정함으로써, 후륜 조향 각도의 현재 설정값(220)을 결정하는 단계와,Determining the current setpoint 220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by correcting the first intermediate setpoint 218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o the second intermediate setpoint 219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후륜 조향 각도의 상기 현재 설 정값(220)을 상기 후륜의 조향 액추에이터(120)에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In the event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transmitting the current setting value 220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o the steering actuator 120 of the rear wheel, and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후륜 조향 각도의 상기 제1 중간 설정값(218)을 상기 후륜의 조향 액추에이터(120)에 전송하는 단계In case no asymmetric grip braking situation exists, transmitting the first intermediate setpoint 218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o the steering actuator 120 of the rear wheel.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의 제동 제어 방법.Braking control method of the rear wheel further comprising.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 차량의 요 레이트(213)의 외란(217)을 후륜 조향 각도의 이전 설정값(215)의 함수로서 추정하는 단계와,Estimating the disturbance 217 of the yaw rate 213 of the vehicle as a function of the previous setpoint 215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 후륜 조향 각도의 현재 설정값(219)을 상기 외란의 함수로서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Determining a current setpoint 219 of rear wheel steering angle as a function of said disturbance, and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후륜 조향 각도의 상기 현재 설정값(219)을 상기 후륜의 조향 액추에이터(120)에 전송하는 단계In the event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transmitting the current set point 219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o the steering actuator 120 of the rear wheel.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의 제동 제어 방법.Braking control method of the rear wheel further comprising.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차량의 요 레이트의 외란(217)은,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 차량의 요 레이트, 전륜 조향 각도 및 후륜 조향 각도를 포함하는 차량의 상태 모델에 의해 결정되고, 이 상태 모델에서는 단계적 변화 타입의 외란이 차량의 요 레이트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의 제동 제어 방법.The vehicle yaw rate disturbance 217 is determined by a state model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the yaw rate of the vehicle,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and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In this state model, the step change type disturbance acts on the yaw rate of the vehicle. 제7항에 있어서, 외란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후륜 조향 각도의 상기 설정 값(219)은, 요 레이트에서 외란을 점근적으로 제거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의 제동 제어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said set value (219) of rear wheel steering angle determined on the basis of disturbance is determined to asymptotically remove disturbance at yaw rate.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란을 기초로 하여 결정되는 후륜 조향 각도의 상기 설정값(219)은, 요 레이트의 상기 외란에 비례하고, 후륜 조향 각도의 제2 중간 설정값과 상기 외란 사이의 비례 계수는 9. The second intermediate setting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set value 219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disturbance is proportional to the disturbance of the yaw rate. The proportional coefficient between the value and the disturbance
Figure 112007051613467-PCT00031
Figure 112007051613467-PCT00031
(여기서 M은 차량의 총 질량, L1은 무게 중심으로부터 전방 차축까지의 거리, L2는 무게 중심으로부터 후방 차축까지의 거리, D1은 전방 드리프트의 강성이며, D2는 후방 드리프트의 강성, 그리고 V는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임)(Where M is the total mass of the vehicle, L 1 i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front axle, L 2 i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rear axle, D 1 is the stiffness of the front drift, D 2 is the stiffness of the rear drift, And V is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velocity of the vehicl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의 제동 제어 방법.Braking control method of the rear wheel,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은, 차량의 요 레이트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의 제동 제어 방법.The braking control method for a rear whee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wherein the se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 yaw rate of the vehicle. 4개 이상의 조향 가능한 차륜을 구비하는 차량의 후륜에 대한 제동 제어 장치로서, 이러한 장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방법을 실시하기에 적합하고,A braking control device for a rear wheel of a vehicle having four or more steerable wheels, the device being suitabl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1 to 10,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의 존재를 검지하는 수단과,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 우측 후륜과 좌측 후륜 사이의 제동 압력의 최대차 형태를 갖는 상기 차량의 불안정성을 보정할 수 있게 하는 제동 압력의 설정값(230)을,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과 전륜 조향 각도의 값의 함수로서 결정하는 수단(206)과,A se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230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rrect the instability of the vehicle in the form of a maximum differential of the braking pressure between the right rear wheel and the left rear wheel; Means 206 for determining as a function of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을 상기 후륜의 제동 액추에이터에 전송하는 수단(207)Means (207) for transmitting the setpoint of the braking pressure to the braking actuator of the rear wheel in the event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의 제동 제어 장치.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rear wheel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제4항의 방법을 따르는 경우,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ethod of claim 4 is -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212)과 전륜 조향 각도의 값(214)에 기초하여,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218)을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의 함수로서 결정하는 수단(205)과,Means 205 for determining, based on the value 212 of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velocity of the vehicle and the value 214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a set value 218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as a function of the se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and, -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218)을 상기 후륜의 조향 액추에이터(120)에 전송하는 수단Means for transmitting the setpoint 218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to the steering actuator 120 of the rear wheel in the event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의 제동 제어 장치.Braking control device of the rear wheel further comprises.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 상기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과 상기 전륜 조향 각도의 값의 함수로서,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230)을 결정하기 위한 제1의 2차원 테이블(701)과,A first two-dimensional table 701 for determining the setpoint 230 of braking pressure as a function of the value of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valu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 상기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과 상기 전륜 조향 각도의 값의 함수로 서, 상기 후륜 조향 각도의 설정값(218)을 결정하기 위한 제2의 2차원 테이블(301)A second two-dimensional table 301 for determining the setpoint 218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as a function of the value of the longitudinal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valu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의 2차원 테이블과 제2의 2차원 테이블은, 차량의 종방향 순간 속도의 값과 전륜 조향 각도의 값으로 이루어진 쌍에 있어서, 제동 압력의 상기 설정값(230)이 클수록, 후륜 조향 각도의 상기 설정값(218)이 크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의 제동 제어 장치.Wherein the first two-dimensional table and the second two-dimensional table, the pair of values of the instantaneous instantaneous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value of the front wheel steering angle, wherein the set value 230 of the braking pressure is And the larger the set value (218) of the rear wheel steering angle is, the larger the rear wheel braking control device is.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230)을 비대칭 그립 제동 상황의 지속 기간 동안에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단(704, 70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의 제동 제어 장치.14. 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further comprising means (704, 705) for maintaining the setpoint of braking pressure (230) constant for the duration of an asymmetrical grip braking situation. Braking control device of rear wheel.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을 상기 차량의 제동 압력차에 대한 최소값과 최대 허용값 사이로 제한하기 위한 수단(70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의 제동 제어 장치.15.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further comprising means (706) for limiting the se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between a minimum and a maximum allowable value for the braking pressure differential of the vehicle. Rear wheel brake control device.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압력의 설정값을 후륜의 제동 액추에이터에 전송하는 수단은, 잠김 방지 제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의 제동 제어 장치.The rear wheel brak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5, wherein the means for transmitting the set value of the braking pressure to the braking actuator of the rear wheel includes an antilock braking module.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후륜의 제동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A vehicle comprising the rear wheel brak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6.
KR1020077016296A 2004-12-17 2005-12-01 Motor vehicle rear wheel braking control in breaking situation with asymmetric grip KR2007009002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13504 2004-12-17
FR0413504A FR2876337B1 (en) 2004-10-08 2004-12-17 BRAKE CONTROL OF REAR WHEELS OF A MOTOR VEHICLE IN A BRAKING CONDITION WITH ASYMMETRIC ADHE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025A true KR20070090025A (en) 2007-09-04

Family

ID=3660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296A KR20070090025A (en) 2004-12-17 2005-12-01 Motor vehicle rear wheel braking control in breaking situation with asymmetric grip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827931A2 (en)
JP (1) JP2008524061A (en)
KR (1) KR20070090025A (en)
WO (1) WO2006067340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6180B1 (en) 2007-05-14 2009-07-03 Renault Sas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 STEERING SETTING APPLIED TO AT LEAST ONE REAR WHEEL ROTATING ACTUATOR OF A MOTOR VEHICLE
FR2918337B1 (en) * 2007-07-02 2009-08-21 Renault Sas METHOD FOR IDENTIFYING THE MOMENT OF VERTICAL INERTIA AND RIGIDITIES OF DERIVATIVE OF A MOTOR VEHICLE
FR2969564B1 (en) 2010-12-22 2012-12-28 Renault Sa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MOTOR VEHICLE IN A BRAKING CONDITION WITH ASYMMETRIC ADHESION
FR3019125B1 (en) 2014-03-25 2017-07-21 Renault Sas DRIVING ASSISTANCE FOR A VEHICLE WITH INHIBITION OF THE REAR WHEEL ROTATION CONTROL
FR3054987A1 (en) * 2016-08-09 2018-02-1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BRAKE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FOR BOTH WHEELS OF A MOTOR VEHICLE REAR AXLE
CN110304139A (en) * 2019-07-04 2019-10-08 北京华力兴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Wheel steering control method, control device, more wheel walking arrangements and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26982C2 (en) * 1987-08-10 2000-11-30 Denso Corp Auxiliary steering system connected to an anti-lock control system for use in motor vehicles
US5316379A (en) * 1990-11-29 1994-05-31 Robert Bosch Gmbh Vehicle with an antilock controller
DE4225983C2 (en) * 1992-08-06 2002-03-14 Bosch Gmbh Robert Method for braking vehicle wheels
JPH08142841A (en) * 1994-11-17 1996-06-04 Aisin Seiki Co Ltd Vehicle stability control device
US6681167B2 (en) * 1999-12-15 2004-01-20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chassis control with coordinated brake and steering control on split coefficient surface
JP3915871B2 (en) * 2000-09-25 2007-05-1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Counter steer determination device
US7072755B2 (en) * 2001-04-10 2006-07-04 Continental Ag & Co., Ohg Electronically programmable method for improving the control behavior of an anti-lock braking control system
US7661772B2 (en) * 2001-11-15 2010-02-16 Robert Bosch Gmbh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braking behavior
FR2876339B1 (en) * 2004-10-08 2008-02-29 Renault Sas AUTOMOTIVE VEHICLE REAR WHEEL TURNING CONTROL IN BRAKING CONDITION WITH ASYMMETRIC ADHE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24061A (en) 2008-07-10
WO2006067340A2 (en) 2006-06-29
WO2006067340A3 (en) 2006-12-07
EP1827931A2 (en) 200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2282B2 (en) Steering control during split μABS braking
JP5154004B2 (en) Vehicle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in marginal driving situations
JP49267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a vehicle operator in stabilizing a vehicle
US8068967B2 (en) Method of controlling an inhomogeneous roadway
KR20070090025A (en) Motor vehicle rear wheel braking control in breaking situation with asymmetric grip
CZ158697A3 (en) Brake system for motor vehicle
US9340187B2 (en) Method for operating a brake device of a vehicle with a brake pressure difference on an axle adapted as a function of a steer input
JP5219514B2 (en) Steering control method of the rear wheel of an automobile in the state of grip force of asymmetric brake
JP2004505855A (en) Method for controlling yaw and lateral dynamics in road vehicles
JP2006062644A (en) Electromechanical steering wheel operating device by dynamic steering recommendation
JP2007515347A (en) Brake pressure control method for roads with non-uniform friction values
JP2005534558A (en) Method for determining steering torque acting during steering in an automobile
JP6679801B1 (en) Steering device, steering control device, and steering device
JP2006501094A5 (en)
JP53987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eering of a steering wheel of an automobile in a braking state with asymmetric adhesion
US6721636B1 (en) Method and system for unified vehicle dynamics control
US20030011241A1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manoeuvrability or driving stability of a vehicle during cornering
JP5332700B2 (en) Steer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6151318B2 (en) Vehicle stabilization device
KR100907868B1 (en) Control method of vehicle stability control system
KR101361405B1 (en) steering control method using ABS, ESC and EPS for a car
JP2022021178A (en) Steering controller and warning device
KR20170114660A (en) Understeer/oversteer compensating control method of vehicle
JP2021091255A (en) Steering retaining determination device, steering control device, and steering device
KR20070060471A (en)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stability program in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