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9301A -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 - Google Patents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9301A
KR20070089301A KR1020060019111A KR20060019111A KR20070089301A KR 20070089301 A KR20070089301 A KR 20070089301A KR 1020060019111 A KR1020060019111 A KR 1020060019111A KR 20060019111 A KR20060019111 A KR 20060019111A KR 20070089301 A KR20070089301 A KR 20070089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ying
temperature
indoor
indoor air
hea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0481B1 (ko
Inventor
염상필
Original Assignee
염상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상필 filed Critical 염상필
Priority to KR1020060019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481B1/ko
Publication of KR20070089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8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temperat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집증후군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베이크 아웃 공법을 적용함에 있어 좀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새집증후군 유발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공간 각 지점의 온도를 일지점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무선온도측정장치 및 내장마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정화장치를 실내 각 지점에 설치하는 단계;
열원수단 및 송풍기기를 사용하여 실내 전체 온도를 고르게 상승시키는 단계;
실내에 설치된 정화장치가 열원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도에 의해 내장마감재에서 배출되는 새집증후군 유발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실내공기를 정화함과 아울러 실내에 설치된 무선온도측정장치가 실내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 이상일 때 시공자가 상기 열원수단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단계;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무선온도측정장치, 정화장치, 다양한 열원수단 및 송풍기기를 제거하고, 실내 공간을 환기시키는 단계; 및
화학제로 내장마감재의 표면을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이다.
베이크아웃, 무선온도측정장치, 정화장치, 화학제, 포름알데히드

Description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A method of parifying indoor air pollutants causing sick house syndro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무선온도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이며,
도 3은 무선온도측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2의 무선온도측정장치 발신수단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2의 무선온도측정장치 수신수단의 구성도이고,
도 6은 정화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7은 정화장치의 트레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정화장치의 콘트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발신수단
20 : 수신수단
30 : 케이스
40 : 트레이
50 : 흡착제
60 : 송풍팬
70 : 온이온발생기
80 : 콘트롤러
본 발명은 실내공기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집이나 새학교 및 사무실 등에 대해 행하는 베이크아웃(bake-out) 공법에 관한 것으로, 새집증후군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베이크아웃 공법을 적용함에 있어 실내 각 지점의 온도를 측정하는 무선온도측정장치와, 실내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정화장치, 열원수단 및 송풍수단을 이용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 내에 베이크아웃 공법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이크아웃 공법이란 말 그대로 보일러를 가동하여 빵을 굽듯 닷새 가량 아파트 실내 온도를 높여 접착제나 벽지 등에 스며있는 유해물질을 활성화한 뒤 환기를 통해 배출하는 공법으로, 대한주택공사는 최근 1년간 입주를 앞둔 15 개 단지 54가구를 대상으로 베이크아웃 실험을 한 결과, 아파트 실내 공기에 들어있는 포름알데히드 등 새집증후군 유발 물질의 농도가 35~71%까지 줄었다고 2005년 11월 9일 발표했다는 기사가 2005년 11월 10일자 조선일보에 기재되어 있다.
실험 결과 포름알데히드 농도는 296.37㎍/㎥에서 150.14㎍/㎥로 49% 줄었고,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인 자일렌은 871.29㎍/㎥에서 254.07㎍/㎥로 71%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베이크아웃 공법을 실시하면 포름알데히드의 농도는 296.37㎍/㎥에서 환경부 권고기준인 210㎍/㎥보다 훨씬 낮은 150.14㎍/㎥로 49%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고, 또한,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인 자일렌은 871.29㎍/㎥에서 254.07㎍/㎥으로 71%, 스티렌은 162.57㎍/㎥에서 58.43㎍/㎥로 64%, 에틸벤젠은 142.00㎍/㎥에서 62.57㎍/㎥로 56% 줄어드는 등 베이크아웃이 유해물질 농도를 떨어뜨리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입주 15-30일전 국민임대의 경우 4일간, 분양주택은 5일간 베이크 아웃 공법을 시행하며, 첫날 23-25℃, 이후에는 28-30℃를 유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베이크 아웃 공법은 보일러만으로 실내 온도를 상승시켜 실 내 각 지점의 온도를 고르게 상승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실내 온도를 높게 하면 화재의 위험이 있어 낮은 온도로 장시간 베이크 아웃 공법을 시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순히 문과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기 때문에 통풍이 잘 안되면 실내공기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 배출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크 아웃 공법을 적용함에 있어 실내 각 지점의 온도를 측정하는 무선온도측정장치와, 실내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정화장치, 열원수단 및 송풍수단을 이용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빠른 시간 내에 베이크아웃 공법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의 특징은,
실내공간 각 지점의 온도를 일지점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무선온도측정장치 및 내장마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정화장치를 실내 각 지점에 설치하는 단계;
열원수단 및 송풍기기를 사용하여 실내 전체 온도를 고르게 상승시키는 단계;
실내에 설치된 정화장치가 열원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도에 의해 내장마감재에서 배출되는 새집증후군 유발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실내공기를 정화함과 아울러 실내에 설치된 무선온도측정장치가 실내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 이상일 때 시공자가 상기 열원수단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단계;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무선온도측정장치, 정화장치, 다양한 열원수단 및 송풍기기를 제거하고, 실내 공간을 환기시키는 단계; 및
화학제로 내장마감재의 표면을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무선온도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대용 사진이며, 도 3은 무선온도측정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2의 무선온도측정장치 발신수단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2의 무선온도측정장치 수신수단의 구성도이고, 도 6은 정화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7은 정화장치의 트레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정화장치의 콘트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공간 각 지점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무선온도측정장치 및 내장마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정화장치를 실내 각 지점에 설치하는 단계(S1);
열원수단 및 송풍기기를 사용하여 실내 전체 온도를 고르게 상승시키는 단계(S2);
실내에 설치된 정화장치가 열원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도에 의해 내장마감재에서 배출되는 새집증후군 유발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실내공기를 정화함과 아울러 실내에 설치된 무선온도측정장치가 실내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 이상일 때 시공자가 상기 열원수단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단계(S3);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무선온도측정장치, 정화장치, 다양한 열원수단 및 송풍기기를 제거하고, 실내 공간을 환기시키는 단계(S4); 및
화학제로 내장마감재의 표면을 도포하는 단계(S5);로 이루어진다.
상기 무선온도측정장치는 임의의 지점에서 실내 각 지점의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내장마감재의 변형이나 훼손이 발생할 수 있는 온도) 이상이 되기 전에 임의의 지점에서 실내 각 지점의 온도를 시공자가 체크 할 수 있도록 하며,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발신수단(10)과 수신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신수단(10)은 온도를 측정하고자하는 각각 지점에 설치되는 제1하우징(11)과,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제어부(12)와, 상기 제1하우징(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여 제1제어부(12)로 온도값을 보내는 센서(13)와,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13)가 감지한 온도값을 제1제어부(12)의 지령에 따라 무선신호로 발신하는 발신부(14)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건물 벽체의 전원, 배터리 중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아답터(15)와, 상기 아답터(15)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는 제1스위치(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신수단(20)은 실내 임의의 지점에 설치되는 제2하우징(21)과, 상기 제2하우징(2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제어부(22)와, 상기 제2하우징(21)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발신부(14)에서 발신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3)와, 상기 수신부(23)의 일측에 설치되며 수신된 무선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2제어부(22)로 보내는 신호전환부(24)와, 상기 제2하우징(21)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환된 디지털 신호를 제2제어부(22)의 지령에 따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25)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6)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5)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원공급부(26)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제2스위치(27) 및 상기 제2스위치(27)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의 발신수단(10)로부터 구분하여 수신한 무선신호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에 각각 표시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부품을 작동시키는 조작버 튼(28)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버튼(28)은 각 지점에 설치된 발신수단(10)을 개별적으로 선택하는 다수개의 선택버튼과, 스타트(Start)버튼, 모드(Mode)버튼, 리셋(Reset)버튼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구성임으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상기 무선온도측정장치는 실내 각 지점에 설치된 발신수단(10)이 실내 온도를 센싱한 후 이 온도값을 무선신호로 발신하고, 이 무선신호를 수신수단(20)이 수신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수신수단(20)의 조작버튼(28)을 사용자가 조작하면, 그 조작버튼(28)과 설정이 맞는 발신수단(20)에서 발신되는 온도값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부(25)에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정화장치는 내장마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며,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케이스(30), 트레이(40), 흡착제(50), 송풍팬(60), 음이온발생기(70) 및 콘트롤러(8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30)은 내부에 수용공간(31)을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31)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일측과 타측부에 흡입공(32) 및 배출공(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31)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흡입공(32) 및 배출공(33)에 걸림망(34)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31)에 후술할 트레이(4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체결돌기(3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30)의 하부에 지지다리(36)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트레이(40)는 상기 케이스(30)의 수용공간(31)에 형성된 체결돌기(35)에 고정수단(B)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몸체(41) 내부에 후술할 흡작제(50)가 탑재되도록 탑재부(4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탑재부(42)에는 실내공기가 흡착제(50)를 통해 순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공(43)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흡작제(50)는 상기 트레이(40)에 탑재되며, 후술할 송풍팬(60)에 의해 흡입되는 실내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걸러준다.
여기서, 상기 흡착제(50)는 일반적으로 망용기(51)의 내부에 활성탄 등의 흡착부재(52)가 수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송풍팬(60)은 상기 흡입공(32) 일측에 설치되며, 실내공기가 흡착제(50)를 통과하도록 강제 흡입을 유도한다.
이러한, 송풍팬(60)은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일반적인 구조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음이온발생기(70)는 상기 배출공(33) 일측에 설치되며, 음이온을 발생하여 실내 공기중에 존재하는 양이온 활성물질을 정화제거한다.
상기 콘트롤러(80)는 상기 케이스(30)의 전면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60)과 음이온발생기(70)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콘트롤러(80)는 송풍팬 온(on)버튼(81), 송풍팬 오프(off)버튼(82), 음이온발생기 온(on)버튼(83), 음이온발생기 오프(off)버튼(8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송풍팬(60)과 음이온발생기(7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발생부(미도시)는 일반적인 구성임으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습니다.
이러한, 상기 정화장치는 시공자가 콘트롤러(80)를 조작하여 송풍팬(60)과 음이온발생기(70)를 작동시키면, 상기 송풍팬(60)에 의해 실내공기가 케이스(30) 일측에 형성된 흡입공(32)을 통해 수용공간(31)으로 들어오고, 이 실내공기는 흡착제(50)를 통해 정화되어 배출공(33)을 통해 배출되며, 이때, 음이온발생기(70)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이 실내로 분산되어 실내공기 중에 존재하는 양이온 유해물질을 정화제거한다.
상기 다양한 열원수단(미도시함)은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하는 보일러, 히터, 열풍기를 이용한다.
상기 송풍기기(미도시함)는 일반적인 구성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화학제(미도시함)는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TiO2광촉매 코팅제, 제올라이트(zeolite), 피톤치드(Phytoncide)를 포함한 처리제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먼저, 공법을 시행하고자 하는 실내에 무선온도측정장치 및 정화장치를 설치한다.
그리고, 다양한 열원수단(보일러와 히터와 열풍기 등등) 및 송풍팬을 이용하여 실내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정화장치는 실내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정화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온도측정장치는 실내 각 지점의 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내장마감재의 변형이나 훼손이 발생할 수 있는 온도)(40℃~45℃) 이상일 때 시공자가 상기 열원수단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한다.
계속해서, 일정시간(3~5시간) 경과 후, 상기 무선온도측정장치, 정화장치, 다양한 열원수단 및 송풍기기를 제거하고, 창문 및 문을 열어 실내 공간을 환기시킨다.
그런 다음에, 화학제로 내장마감재의 표면을 도포한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새집증후군 유발 오염물질의 제거방법의 시행 전, 시행 후의 실내 오염물질 농도 중에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오염물질인 포름알데히드의 농도 및 제거율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112006014485361-PAT00001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크 아웃 공법을 적용함에 있어 실내 각 지점의 온도를 일지점에서 모니터링하는 무선온도측정장치와, 실내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정화장치, 열원수단 및 송풍수단을 이용하여 실내 온도를 높은 온도로 유지함과 아울러 실내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내장마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극대화하여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화장치를 이용하여 공법 시행중 실내를 정화함으로써, 환기하는 시간도 단축됨으로써, 전체적인 공법 시행 시간이 단축된다.

Claims (3)

  1. 실내공간 각 지점의 온도를 일지점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무선온도측정장치 및 내장마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정화장치를 실내 각 지점에 설치하는 단계;
    열원수단 및 송풍기기를 사용하여 실내 전체 온도를 고르게 상승시키는 단계;
    실내에 설치된 정화장치가 열원수단에 의해 가열된 온도에 의해 내장마감재에서 배출되는 새집증후군 유발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실내공기를 정화함과 아울러 실내에 설치된 무선온도측정장치가 실내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 이상일 때 시공자가 상기 열원수단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단계;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무선온도측정장치, 정화장치, 다양한 열원수단 및 송풍기기를 제거하고, 실내 공간을 환기시키는 단계; 및
    화학제로 내장마감재의 표면을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온도는 4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수단에 의해 설정온도로 유지되는 일정시간은 3~5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
KR1020060019111A 2006-02-28 2006-02-28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 KR100770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111A KR100770481B1 (ko) 2006-02-28 2006-02-28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111A KR100770481B1 (ko) 2006-02-28 2006-02-28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301A true KR20070089301A (ko) 2007-08-31
KR100770481B1 KR100770481B1 (ko) 2007-10-25

Family

ID=3861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111A KR100770481B1 (ko) 2006-02-28 2006-02-28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4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593B1 (ko) * 2010-05-14 2011-01-17 주식회사 용우테크 자동 베이크 아웃 시스템
KR101312248B1 (ko) * 2011-08-16 2013-09-26 주식회사 이지코퍼레이션 실내공기 오염물질 저감방법
KR20190074752A (ko) * 2017-12-20 2019-06-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새집증후군 방지를 위한 시공방법
KR102290123B1 (ko) * 2020-04-02 2021-08-17 김영민 베이크아웃 기반의 실내 공기 정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10436A (ja) * 2019-01-15 2020-07-27 野崎 淳夫 脱臭工法及び脱臭施工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6033A (ja) 1997-04-24 1998-11-10 Hitachi Chem Co Ltd 建材からの揮発性有機化合物の除去方法
JP3467547B2 (ja) 1997-11-04 2003-11-17 パルカ技研株式会社 室内空気汚染物質の減少工事方法
KR100607860B1 (ko) * 2004-06-17 2006-08-08 정진희 건축물 내외장용 코팅재의 제조방법
KR20060076998A (ko) * 2004-12-29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새집증후군 진단장치 및 방법
KR200416174Y1 (ko) 2006-02-28 2006-05-11 염상필 새집증후군 처리 시공용 무선온도측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593B1 (ko) * 2010-05-14 2011-01-17 주식회사 용우테크 자동 베이크 아웃 시스템
KR101312248B1 (ko) * 2011-08-16 2013-09-26 주식회사 이지코퍼레이션 실내공기 오염물질 저감방법
KR20190074752A (ko) * 2017-12-20 2019-06-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새집증후군 방지를 위한 시공방법
KR102290123B1 (ko) * 2020-04-02 2021-08-17 김영민 베이크아웃 기반의 실내 공기 정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481B1 (ko)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91363T3 (es) Sistema de ventilación
KR100770481B1 (ko)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정화방법
JP2018501459A (ja) 部屋の空気管理のための構成及び方法
US200501451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umidity and mold
KR101191756B1 (ko)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한 고청정 광살균 공기조화 시스템
CA2918085A1 (en) An hvac system and an hvac controller configured to operate the hvac system based on air pollutant data and user comfort
KR101238958B1 (ko) 공기 청정 및 에너지 저감 시스템
US10207017B2 (en) Deodorizer
KR102243305B1 (ko) 가정용 에어 샤워기
KR20190012295A (ko) 공간 환기 제어 시스템
KR101301811B1 (ko) 창호형 환기장치를 활용한 실내 공기 환기장치 및 환기방법
KR20180123382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EP3088808B1 (en) Climate system, and building, vehicle or cooking facility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for filtering air
CN105990796B (zh) 一种变电站开关柜的防潮除湿装置
JP7187926B2 (ja) 換気装置及び換気システム
CN107062424A (zh) 一种门式可净化空气与换新风装置
KR101513538B1 (ko) 자체 공기 정화 흡연부스
KR20160008279A (ko) 방범 기능 및 제습 기능이 구비된 공기 순환형 환풍장치
JP6287965B2 (ja) 臭気除去システム
KR102237636B1 (ko) 실내 공기 정화방법
KR101276864B1 (ko) 대기전력을 이용한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환기장치
KR100698516B1 (ko) 창문형 열교환 환기장치
KR200417106Y1 (ko) 실내공기 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676256B1 (ko) 환기시스템의 운전제어방법
JP4401189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