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261A - 기준면에 대해 장치를 재위치시킬 수 있는 장착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준면에 대해 장치를 재위치시킬 수 있는 장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261A
KR20070088261A KR1020067012953A KR20067012953A KR20070088261A KR 20070088261 A KR20070088261 A KR 20070088261A KR 1020067012953 A KR1020067012953 A KR 1020067012953A KR 20067012953 A KR20067012953 A KR 20067012953A KR 20070088261 A KR20070088261 A KR 20070088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istal end
actuators
proximal end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7063B1 (ko
Inventor
오성일
Original Assignee
시엘오 시스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엘오 시스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시엘오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7008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0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ably mounting
    • G09F7/205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ably mounting for adjustably raising or lowering suspended sig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0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adjustably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3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folding, e.g. pivoting or scissors to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7/22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rotatably or swingably mounting, e.g. for boards adapted to be rotated by the wi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10S248/922Angular
    • Y10S248/923Ti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동 장착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복수의 액츄에이터의 원단부를 신장시키는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의 원단부는 상기 모니터의 뒷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의 원단부는 평면을 형성하여 상기 원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신장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기준면에 대해 상기 평면의 방향을 조절하여, 이에 의해 상기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한다. 상기 전동 장착 시스템은 원격제어기로 제어될 수 있다.
장착 시스템, 모니터, 시야각 조절, 액츄에이터

Description

기준면에 대해 장치를 재위치시킬 수 있는 장착 시스템{Mounting System Capable of Repositioning an Apparatus Relative to a Reference Plane}
이 정규출원은 하기의 일련번호를 갖는 가특허출원 (1)2005년 4월 4일자 출원의 60/668,538, (2)2005년 5월 23일자 출원의 60/684,132, (3)2005년 9월 7일자 출원의 60/714,571, 및 (4)2006년 1월 4일자 출원의 60/756,414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모두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합체된다.
본 발명은 기준면에 대해 장치를 재위치시킬 수 있는 장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별한 적용에 있어, 장착 시스템은 벽과 같은 면에 모니터를 장착하고, 수동으로 또는 원격제어기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기초로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 할 수 있다.
컴퓨터 모니터, TFT, LCD, 플라즈마, 슬림 텔레비젼 등(집합적으로 "모니터"라고 함)과 같은 평면 모니터(flat panel monitor)가 매우 인기있으며, 이는 마루공간을 절약하고 미적으로 수려한 외형을 위해 벽에 장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지지암(mechanical support arm) 또는 브래킷(bracket)을 사용하여 벽에 장착되고 그런 후 모니터의 시야각을 최대화하기 위해 소정 방향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나중에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해, 시 청자는 통상적으로 모니터를 수동으로 새로운 시야각으로 기울여 시청자가 다른 위치에서 또는 시청자가 보았을 때 모니터상의 눈부심을 편향시켜 모니터를 더 편안하게 볼 수 있게 한다. 예컨대, 모니터는 거실에 있는 벽에 고정될 수 있어 가족 또는 한 시청자가 원하는 시야각으로 모니터를 볼 수 있게 한다. 시청자가 한 영역에서 다른 영역으로 예컨대 거실에서 부엌으로 이동하면, 그 시청자는 모니터를 볼 수 없게 된다. 또한, 모니터가 벽난로 선반위와 같이 먼 위치에 또는 바닥위에 높이 장착되는 상황에서, 시청자가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기가 불편할 수 있다.
지지암이 갖는 또 다른 한계는 지지암이 견딜 수 있는 무게 한계이다. 즉, 지지암이 벽으로부터 더 멀리 모니터를 지지하도록 신장되는 경우, 모니터의 무게가 지지암에 굽힘하중(bending load)을 가한다. 지지암에 대한 굽힘하중은 모니터와 벽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굽힘하중은 지지암에 큰 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암은 일반적으로 더 무거운 모니터에 사용되지 못한다. 오히려, 벽 장착대가 기설정된 방향으로 고정된 모니터를 시야각을 가지며 무거운 모니터를 벽에 부착시키는데 사용된다. 벽 장착대는 어느 정도 모니터를 기울이게 할 수 있으나, 상기 모니터가 벽으로부터 측면으로 이동되거나 신장되게 하지 못한다. 따라서, 더 크고 무거운 모니터를 벽에 장착할 수 있고 모니터의 시야각이 더 용이하게 조절되게 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기준면에 대해 장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에 지향되어 있다. 특히, 장착 시스템은 평면 텔레비젼 또는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도록 설계된다. 이 응용에서, 장착 시스템은 모니터의 뒷면에 결합되어 벽에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장착 시스템은 벽으로부터 모니터를 소정 거리로 신장시키도록 원격제어될 수 있고 모니터를 (좌우로) 회전 및/또는 (상하로) 기울일 수 있다.
장착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복수의 액츄에이터의 원단부(distal ends)를 신장시키는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 원단부는 모니터의 뒷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약츄에이터 원단부는 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원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신장하거나 수축함으로써 기준면에 대해 상기 면의 방향을 조절하여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한다.
장착 시스템은 또한 기준면에 대해 장치를 재위치시킬 수 있으며, 장치와 기준면 사이에 제 1, 2 및 3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 사이에 있고, 상기 각각의 제 1, 2 및 3 액츄에이터는 상기 기준면에 대해 신장하고 수축하도록 형성된 원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2 및 3 액츄에어터의 원단부는 삼각형의 형태를 이루어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의 신장 또는 수축이 상기 장치를 상하로 기울이게 하고 상기 제 1 및/또는 제 3 액츄에이터를 신장하거나 수축시켜 상기 장치를 좌우로 회전시키게 한다.
본 발명은 삼각형 형태를 이루는 제 1, 2 및 3 위치에서 모니터의 뒷면을 지지하는 단계; 상기 수직벽으로부터 모니터의 두께보다 더 멀리 상기 모니터를 신장시키는 단계; 상기 수직벽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제 2 위치를 신장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모니터를 기울이는 단계; 및 실질적으로 수평면을 따라 상기 제 1 및 제 3 위치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모니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제 1 및 제 3 위치 사이에 있는 수직벽에 장착된 두께를 갖는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 시스템은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해 이러한 다양한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 장착 시스템은 또한 광고판 기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광고판은 메모리에 프로그램된 기설정된 이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장착 시스템은 2개의 면 사이의 제어 이동이 필요로 하는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장착 시스템은 또한 마루 또는 천장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이점은 하기의 도면과 상세한 설명을 검토할 때 당업자에게 명백해진다. 이와 같이 모든 또 다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이점은 본 명세서내에 포함되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도면과 설명을 참조로 더 자세히 이해될 수 있다. 도면에 있는 구성요소는 반드시 비례할 필요는 없으며, 대신에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는것에 중점이 두어진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들에 대해서도 동일한 부분을 가리킨다.
도 1은 X, Y 및 Z 축에 대한 전동 장착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 2를 따른 장착 시스템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선 2를 따라 수축된 위치에 있는 장착 시스템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 4를 따른 링크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각각의 유니버셜 피벗 조인트에 선회하게 결합된 액츄에이터 중 하나에 대한 제 2 링크의 근단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에서 선 6을 따른 유니버셜 피벗 조인트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장착면에서 각각의 위치에 따라 3개의 액츄에이터의 단부와 선회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브라켓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3개의 액츄에이터의 단부를 선회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회전 조인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라운드 헤드를 수용하여 그 내에서 회전하도록 형성된 원형 공동을 갖는 소켓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모니터의 뒷면에 부착된 브라켓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장착 시스템이 아래로 기울여지는 경우 신장된 슬롯을 따라 중간 액츄에이터용 회전 조인트가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것을 예시한 도 1의 장착 시스템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장착 시스템이 위로 기울여지는 경우 신장된 슬롯을 따라 중간 액츄에이터용 회전 조인트가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것을 예시한 도 1의 장착 시스템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3은 수축된 위치에 있는 장착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위쪽으로 기울어진 위치에 있는 모니터를 지지하는 장착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위치에 있는 모니터를 지지하는 장착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오른쪽으로 회전된 모니터를 지지하는 장착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왼쪽으로 회전된 모니터를 지지하는 장착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역전된 도 1의 장착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스탠드에 부착된 장착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스탠드에 부착된 장착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스탠드에 부착된 장착 시스템의 배면도이다;
도 22는 복수의 모니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도 22의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된 복수의 모니터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전동 장착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형성된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해 수신기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원격제어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각각의 나선부에 대해 모터들에 대한 다른 장착 위치를 갖는 원격제 어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수동 장착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크랭크가 달린 수동 장착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9는 기반을 평평하게 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의 평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0은 수축된 위치에 있는 도 29의 장착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1은 신장된 위치에 있는 도 29의 장착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32는 회전된 위치에 있는 도 29의 장착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3은 기울어진 위치에 있는 도 29의 장착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X, Y 및 Z축에 대한 장착 시스템(1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장착 시스템(10)은 기준면(18)과 장착면(20) 사이에 제 1 액츄에이터(12), 제 2 액츄에이터(14) 및 제 3 액츄에이터(16)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는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제 2 장착 액츄에이터(14)는 하기에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와는 약간 다르다. 제 2 액츄에이터(14)는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 사이에 있고 실질적으로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에 대해 역전되어 있다. 3개의 액츄에이터(12, 14 및 16)는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기준면(18)에 대해 장착면(20)을 신장, 수축, (좌우)회전 및/또는 (상하)경사지게 하도록 별개로 작동될 수 있다.
각각의 액츄에이터는 제 1 링크(22) 및 제 2 링크(24)를 가질 수 있다. 제 2 링크(24)는 제 1 링크(22)의 길이보다 짧거나 약 절반일 수 있으며, 제 2 링크(24)의 원단부(distal end)(26)는 실질적으로 제 1 링크의 중간지점을 따라 상기 제 1 링크(22)에 선회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2 링크(24)의 근단부(proximal end)(36)는 하기에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Y축 주위로 선회하도록 형성된 유니버셜 조인트(30)에 결합된다.
각각의 액츄에이터는 나선부(34)에 결합되어 길이방향 축 주위로 상기 나선부를 회전시키게 하는 모터(32)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예에서, 모터(32)는 실질적으로 나선부(34)의 길이방향 축과 정렬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모터(32)는 나선부(34)와 유니버셜 피벗 조인트(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브라켓(42)이 나선부(34)를 지지할 수 있어 상기 나선부를 기준면(18)에 결합하게 한다.
제 1 링크(22)의 근단부(36)는 슬리브(38)에 선회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슬리브(38)는 나선부(34)가 모터(32)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상기 나선부(34)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동하거나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38)는 나선부(34)와 맞물리게 형성된 스레드 개구(thread opening)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선부(34)가 회전함에 따라, 슬리브는 나선부(34)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인다.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에 대한 2개의 슬리브(38)는 그 각각의 나선부 주위로 Y축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제 2 액츄에이터(14)에 대한 슬리브(38)는 실질적으로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힌지(50)에 의해 측면 이동 또는 좌우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슬리브(38)가 나선부(34)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이동할 때, 제 1 링크(22)의 원단부(40)는 상기 나선부(34)의 회전방향에 따라 기준면(18)에 대해 신장 또는 수축된다. 예컨대, 제 1 액츄에이터(12)의 슬리브(38)가 양의 Y축 방향으로 나선부(34)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면, 제 1 액츄에이터(12)의 원단부(40)는 기준면(18)을 향해 수축된다. 반대로, 제 1 액츄에이터(12)의 슬리브(38)가 음의 Y축 방향으로 나선부(34)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면, 제 1 액츄에이터(12)의 원단부(40)는 기준면(18)으로부터 멀리 신장된다.
대안으로, 슬리브(38)가 고정되는 나선부(34)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전기구동될 수 있다. 샤프트, 나선부 또는 어떤 다른 라인을 따라 슬리브를 미끄러지듯이 움직이게 하기 위해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다른 장치 또는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제 2 액츄에이터(14)는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에 대해 역전되어 있어, 3개의 액츄에이터(12, 14 및 16)의 3개의 원단부(40)는 서로에 대해 삼각형 형태를 이룰 수 있다. 3개의 액츄에이터(12, 14 및 16)의 3개의 원단부(40)는 3개의 위치(44, 46 및 48)를 따라 각각 장착면(20)에 대해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3개의 위치(44, 46 및 48) 및 기준면(18) 사이의 거리를 별개로 조절함으로써, 장착면(20)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기준면(18)에 대해 수축, 신장, 회전 및/또는 기울어질 수 있다. 예컨대, 위치(44 및 48)에 대해 위치(46)를 신장시킴으로써, 장착면(20)이 아래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거나 YZ면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는 위치(44)를 신장시키 고 위치(48)를 수축시킴으로써, 장착면(20)이 XZ면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많은 응용들 중 하나로서, 기준면(18)은 벽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장착면(20)은 모니터 및 다양한 장치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장착면(20)이 벽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기준면(18)이 모니터 및 다양한 장치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면(18)은 고정면일 수 있고 장착면(20)은 이동가능한 면일 수 있다; 대안으로, 장착면(20)이 고정면일 수 있고, 기준면(18)이 이동가능한 면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선 2를 따른 장착 시스템(10)의 횡단면도이다. 링크(24)의 근단부(28)는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힌지(50)에 대해 피벗 포인트(pivot point)(200) 주위로 선회될 수 있다. 링크(22)의 근단부(28)는 슬리브(38)에 대해 피벗 포인트(202) 주위로 선회될 수 있고, 링크(33)의 원단부(40)는 피벗 포인트(204) 주위로 선회될 수 있다. 피벗 포인트(204)는 회전 조인트(rotatable joint)(206)일 수 있으며, 라운드 헤드(208)가 소켓(210)내에 있어 상기 라운드 헤드(208)가 상기 소켓(210)내에서 회전하게 한다. 라운드 헤드(208)는 제 1 링크(22)의 원단부(40)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24)는 피벗 포인트(202 및 204) 사이의 중간지점(212) 주위에서 링크(22)에 선회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피벗 포인트(202 및 204)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링크(22)의 길이는 2개의 피벗 포인트(200 및 212) 사이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링크(24) 길이의 약 2배 정도일 수 있다. 이는 장착면(20)이, 있다하더라도, Y축을 따른 이동이 거의 없고 실질적으로는 Z축을 따라 기준면(18)으로부터 신장되게 한다.
나선부(34)는 하나의 마운트 또는 지지 마운트(support mount)(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마운트(42)는 나선부(34)가 길이방향 축을 따라 또는 Y축을 따라 회전하게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모터(32)는 힌지(50)와 나선부(34) 사이에 위치될 수 있어 나선부(34)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신축성 커플러(flexible coupler)(214)가 모터(32)의 샤프트(216)를 나선부(34)의 한 단부와 결합시켜 상기 모터(32)로부터의 토크를 상기 나선부(34)에 전달할 수 있다. 모터(32)가 나선부(34)를 회전시킴에 따라, 슬리브(38)는 상기 나선부(34)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동되어 기준면(18)에 대해 링크(22)의 원단부(40)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게 할 수 있다.
도 3은 수축된 위치에 있는 장착 시스템(10)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나선부(34)와 링크(22 및 24)는 기준면(18)과 장착면(20) 사이의 거리 D를 최소화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모터(32)는 나선부(34)를 회전시켜 양의 Y축 방향으로 슬리브(38)를 이동시키면, 상기 슬리브(38)는 제 1 링크(22)상의 양의 Y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링크(22)에 가해진 힘으로 인해 피벗 포인트(204)가, 있다하더라도, Y축을 따른 이동이 거의 없고 실질적으로 Z축을 따라 기준면(18)에 대해 신장되게 한다. 다르게 말하면, 기준면(18)이 벽을 나타내는 경우, 신장되고 수축되는 제 1 링크의 원단부는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또는 XZ면을 따르게 된다. 이는 모터(32)로부터 장착면(20)에 부착된 모니터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키는데 필요한 토크를 최 소화하는데 이는 모니터의 무게가 모터(32)에 의해 들어올려지지 않기 때문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 4를 따른 링크(24)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 2 액츄에이터(14)의 근단부(28)는 힌지(50)에 선회하게 결합될 수 있고, 링크(24)의 원단부(26)는 피벗 포인트(212) 주위로 링크(22)에 선회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50)는 실린더(402)내에 핀(400)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핀(400)은 피벗 포인트(200)를 나타낼 수 있다. 핀(400)은 엔드캡(end cap)(404) 사이에 있는 실린더(402)와 함께 엔드캡(404)에 결합될 수 있다. 엔드캡(404)은 기준면(18)에 장착될 수 있다. 핀(400)의 길이방향 축은 실질적으로 X축을 따라 실린더(402)가 상기 X축 주위로 회전 또는 선회하게 할 수 있다. 핀(400)과 실린더(402)는 상기 실린더에 인가된 굽힘하중을 견디기 위한 길이 X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50) 및 링크(34) 구성으로, 제 2 액츄에이터(14)가 실질적으로 X축 방향으로 측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제 2 액츄에이터(14)의 원단부(40)가 실질적으로 기준면(18)에 대해 수직하게 이동되고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의 원단부(40)가 실질적으로 XZ면 또는 수평면 또는 공통면을 따라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제 2 링크(24)의 원단부(26)는 2개의 플랜지(408) 사이에 링크(24)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진 2개의 플랜지(408)에 의해 형성된 컷아웃(406)을 가질 수 있다. 피벗 포인트(212)는 링크(22)를 2개의 플랜지(408)에 선회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핀으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컷아웃(406)은 충분한 갭을 가지고 있어 링크(22)가 컷아웃(408)내에서 선회하게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각각의 유니버셜 조인트(30)에 선회하게 결합된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에 대한 제 2 링크(24)의 근단부(28)를 도시한 것이다. 제 2 링크(24)의 근단부(28)는 그 사이에 플랜지(502)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2개의 레그(500)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레그(500) 및 플랜지(502)는 핀(504)을 통해 서로 선회하게 결합될 수 있어 링크(24)의 근단부(36)가 X축 주위로 선회하게 한다.
도 6은 도 5에서 선 6을 따른 유니버셜 조인트(30)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유니버셜 조인트(30)는 실린더(602)내에 핀(600)을 구비한다. 핀(600)은 엔드캡(604)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엔드캡(604) 사이에 실린더(602)가 있다. 엔드캡(604)은 기준면(18)에 장착될 수 있다. 핀(600)의 길이방향 축은 실질적으로 Y축을 따라 실린더(602)가 상기 Y축 주위로 회전 또는 선회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착 시스템(10)이 XZ 면을 따라 장착면(20)을 회전시키는 경우,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에 대한 제 2 링크(24)는 Y축을 따라 각각의 유니버셜 피벗 조인트(30) 주위로 선회될 수 있다.
도 7은 제 1, 2 및 3 액츄에이터(12, 14 및 16)의 원단부(40)를 장착면(20)상의 각각의 위치(44, 46 및 48)에 선회하게 결합하도록 형성된 브라켓 시스템(700)을 도시한 것이다. 브라켓 시스템(700)은 제 1 브라켓(706) 및 제 2 브라켓(708)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바(702) 및 제 2 바(704)를 포함한다. 제 3 브라켓(710)은 제 1 및 제 2 브라켓(706 및 708) 사이에 형성되고, 제 3 브라켓(710)은 제 1 및 제 2 바(702 및 704)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제 4 브라켓(712)이 상기 제 2 및 제 3 브라켓(708 및 7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5 브라켓(714)은 상기 제 1 및 제 3 브라켓(706 및 7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4 및 제 5 브라켓(712 및 714)은 장착면(20) 상의 위치(44 및 48)에서 회전 조인트(206)에 선회하게 결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3 브라켓(710)은 장착면(20) 상의 위치(46)에서 회전 조인트(206)에 선회하게 결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위치(46)에서 회전 조인트(206)는 장착면(20)이 기울어질 때 Y축을 따라 미끄러지듯 움직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브라켓(706 및 708)은 스레드 개구와 같이 장착면(20)에 형성된 공급물(provisions)과 함께 단단히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볼트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716)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브라켓(706 및 708)은 제 1 및 제 2 바(702 및 704)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일 수 있어 브라켓 시스템(700)이 다양한 위치에서 상기 스레드 개구를 갖는 장착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는 장착 시스템(10)이 장착면(20)에 장착될 수 있게 하여 상기 장착 시스템(10)이 기준면(18)에 대해 장착면(20)을 재위치시킬 수 있다.
도 8은 제 1, 2 및 3 액츄에이터(12, 14 및 16)의 원단부(40)에 사용될 수 있는 회전 조인트(206)를 도시한 것이다. 회전 조인트(216)는 라운드 헤드(802)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소켓(800)을 포함한다. 라운드 헤드(802)는 또한 제 1 링크(22)의 원단부(40)에 부착되는 스레드부(804)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라운드 헤드(802)가 그 내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원형 공동(900)을 가질 수 있다. 소켓(800)이,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조인트(206)를 그 각각의 위치(44, 46 및 48)에서 제 3, 4 및 5 브라켓(710, 712 및 714)에 부착시키기 위해 볼트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스레드 개구(902)를 가질 수 있다. 회전 조인트(206)는 각각의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어 상기 회전 조인트(206)가 스레드 개구(902)의 길이방향 축 주위로 선회될 수 있다.
예로서, 장착면(20)은 편리한 원격제어기를 사용하여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한 모니터의 뒷면일 수 있다. 도 10은 모니터(1000)의 뒷면에 부착된 브라켓 시스템(700)의 사시도이다. 제 3 브라켓(710)은 일단에 회전 조인트(206)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신장된 슬롯(1002)을 구비하여 피벗 포인트(902)가 상기 신장된 슬롯(1002)을 따라 미끄러지듯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이는 장착 시스템(10)이 상하로 모니터(1000)를 기울임에 따라 제 2 액츄에이터의 원단부(40)가 신장된 슬롯(1002)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이게 한다. 제 4 및 제 5 브라켓(712 및 714)에 결합된 회전 조인트(206)는 스레드 개구(902)의 각각의 길이방향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으나 미끄러지듯이 움직일 수는 없다. 이와 같이, 제 1, 2 및 3 액츄에이터(12, 14 및 16)의 원단부는 각각의 위치(44, 46 및 48) 주위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위치(46)에서 상기 제 2 액츄에이터용 회전 조인트(206)가 신장된 슬롯(1002)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일 수 있다. 대안으로, 신장된 슬롯이 제 3 브라켓(710)이 아니라 제 4 및 제 5 브라켓(712 및 714)에 형성될 수 있어 제 1 및 제 3 브라켓의 원단부가 제 3 브라켓이 아니라 제 4 및 제 5 브라켓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이게 한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브라켓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음을 유의하라. 예컨대, 장착 브라켓(10)이 먼저 벽에 부착될 수 있고 그런 후 모니터(100)가 브라켓 시스템(70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장착 시스템(10)이 장착면(20)을 기울이는 경우 신장된 슬롯(1002)을 따라 제 2 액츄에이터(14)용 회전 조인트(206)가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는 것을 도시한 장착 시스템(10)의 개략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에 대해 제 2 액츄에이터(14)가 더 신장됨으로써 YZ 면을 따라 제 1 위치(1100)에서 제 2 위치(1102)로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진 장착면(20)을 도시한 것이다. 제 1 위치(1100)에서, 제 2 액츄에이터(14)의 원단부(40)는 위치(1104)에 있다. 제 2 위치에서, 제 2 액츄에이터(14)의 원단부(40)는, 설령 있다하더라고, X 및 Y축으로의 이동이 거의 없이 양의 Z 방향에 있는 위치(1106)에 있다. 이와 같이, 제 2 액츄에이터(14)의 원단부(40)와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의 원단부 사이의 거리는 제 1 위치(1100)에서보다 제 2 위치(1102)에서 더 길다. 마찬가지로, 도 12는 장착면(20)이 제 1 위치(1100)에서 제 2 위치(1200)로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제 2 액츄에이터(14)의 원단부(40)와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의 원단부 사이의 거리는 제 1 위치(1100)에서보다 제 2 위치(1200)에서 더 긴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액츄에이터(14)의 원단부(40)가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의 원단부(40) 및 제 2 액츄에이터(14)의 원단부(40)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키게 하기 위해, 제 2 액츄에이터(14)용 회전 조인트(206)가 제 3 브라켓(710)의 신장된 슬롯(1002)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대해, 모니터(1000)의 무게는 실질적으로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에 의해 지지된다. 제 2 액츄에이터(14)는 YZ면으로 모니터(1000)를 기울이기 위해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에 대해 신장 또는 수축되거나 그 반대로 될 수 있다.
도 13은 수축된 위치에 있는 장착 시스템(1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장착 시스템(10)을 벽내의 목재 스터드(stud)(1300)에 결합시키기 위해, 기준면(18)과 장착 시스템(10)이 장착될 수 있는 벽 사이에 벽 브라켓(1302)이 형성될 수 있다. 벽 브라켓(1302)은 벽내에 목재 스터드(1300)에 장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벽 브라켓(1302)은 복수의 구멍을 가질 수 있어 상기 구멍 중 적어도 일부가 중심 대 중심이 약 16인치로 이격된 목재 스터드(1300)와 정렬되어 나선부가 벽 브라켓(1302)을 벽에 장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일단 벽 브라켓(1302)이 벽에 장착된 후에, 기준면(18)을 나타내고 하나 이상의 후크(1306)를 갖는 기저판(1304)이 벽 브라켓(1302) 위에 위치되어 상기 기저판(1304)을 상기 벽 브라켓(1302)에 부착시킬 수 있다.
도 14는 Z축을 따라 제 2 액츄에이터(14)에 대해 기저판(1304)으로터 멀리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를 신장시킴으로써 모니터(1000)가 YZ 면을 따라 위쪽 경사방향 또는 시계 방향에 있는 장착 시스템(1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반대로, 도 15는 Z축을 따라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에 대해 기저판(1304)으로터 제 2 액츄에이터(14)를 신장시킴으로써 모니터(1000)가 YZ 면을 따라 아래쪽 경사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에 있는 장착 시스템(10)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 및 15에서, 회전 조인트(206)는 모니터(100)가 실질적으로 기저판(1304)과 평행할 때에 비하면 제 2 액츄에이터(14)의 원단부(40) 사이의 거리가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의 원단부(40)로부터 더 먼 것을 나타내는 신장된 슬 롯(1002)의 위쪽부분에 위치해 있음을 유의하라.
일단 모니터(1000)의 시야각이 고정된 후에, 장착 시스템(10)에 결합된 모니터(1000)의 무게는 실질적으로 압축하중 또는 신장하중으로서 3개의 액츄에이터(12, 14 및 16)에 의해 지탱된다. 빔이 굽힘하중에 대한 압축하중 및 신장하중을 더 양호하게 받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시스템(10)은 더 많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5를 참조하면, 장착 시스템(10)에 부착된 모니터(1000)의 중력 중심이 위치(1500)에 있을 수 있다. 모니터(1000)와 장착 시스템(10)의 결합된 무게 "W"가 3개의 액츄에이터(12, 14 및 16)에 전달된다. 이 예에서, 3개의 액츄에이터(12, 14 및 16)에 대한 제 1 링크(22)는 일반적으로 신장하중을 받게 된다. 즉, 회전가능한 원단부를 갖는 제 1 링크(22)로 인해, 있다하더라도, 제 1 링크상에서 굽힘하중 및/또는 토크하중이 최소화된다. 이는 장착 시스템(10)이 제 1 링크(22)에 과응력(overstress)을 가하지 않으면서 Z축을 따라 제 1 장착면(102)으로부터 멀리 모니터(1000)를 이동시키게 한다.
도 16은 모니터(1000)가 Z축을 따라 제 3 액츄에이터(16)보다 기저판(1304)으로부터 더 멀리 제 1 액츄에이터(12)를 신장시킴으로써 XZ 면을 따라 오른쪽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장착 시스템(1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또한 2개의 목재 스터드(1300)에 장착된 백플레이트(back plate)(1302)와 상기 백플레이트(1302)에 걸리는 기저판(1304)을 도시하고 있다. 반대로, 도 17은 모니터(1000)가 제 3 액츄에이터(16)에 대해 기저판(1304)에 더 가까이 제 1 액츄에이터(12)를 수축시킴으로써 XZ 면을 따라 왼쪽으로 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장 착 시스템(10)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 2 액츄에이터(14)는 도 14 및 도 15에 대해 논의한 바와 같이 기저판(1304)에 대해 신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어, 회전 이동을 따라 모니터를 상하로 각각 기울이게 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중력 방향은 음의 Y 방향일 수 있다. 그러나, 장착 시스템(10)은 또한 양의 Y 방향으로 중력 방향과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8은 3개의 액츄에이터(12, 14 및 16)가 X, Y 및 Z축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3개의 대응하는 액츄에이터에 대해 역전되어 있는 장착 시스템(1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도 1에서, 제 2 액츄에이터(14)의 제 1 링크(22)는 근단부에서 원단부로 양의 기울기를 형성하는 반면에, 도 18에서, 제 2 액츄에이터(14)의 제 1 링크(22)는 근단부에서 원단부로 음의 기울기를 형성한다. 다시, 3개의 액츄에이터(12, 14 및 16)는 제 2 액츄에이터(14)의 제 2 링크(24)가 도 4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의 제 2 링크와는 다를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8은 중간지점(212) 주위로 제 2 링크(24)에 선회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 1 링크(22)를 갖는 제 1 액츄에이터(12)를 도시한 것이다. 제 1 링크(22)의 원단부(40)는 소켓(210)내에 회전하도록 형성된 라운드 헤드(208)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제 1 링크(22)의 근단부(28)는 슬리브(38)에 선회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제 2 링크(24)의 근단부(36)는 유니버셜 조인트(30)에 선회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슬리브(38)는 나선부(34)를 수용하기 위한 스레드 개구를 가질 수 있어 슬리브가 나선부(34)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나선부(34)는 기저판(1304)에 부착된 2개의 지지 브라켓(42)에 의해 지지된다. 각각의 지지 브라켓(42)내에는 나선부(34)를 원만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베어링(1800)이 있을 수 있다. 커플러(214)가 모터(32)의 샤프트에 나선부(34)의 일단을 결합시킬 수 있고, 상기 모터는 모터 브라켓(1802)을 통해 기저판(1302)에 부착된다. 슬리브(38)가 그 한계에 도달하는 지를 검출하기 위해, 제한 스위치(1808)가 나선부(34)의 대향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나무 스터드 또는 콘크리드 벽에 삽입되는 나선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갖는 벽 브라켓(1302)을 도시한 것이다. 기저판(1304)은 예컨대 장착 시스템(10)을 벽에 부착시키기 위해 벽 브라켓(1302) 위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고리(1306)를 갖는다. 브라켓 시스템(700)은 도 7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3개의 액츄에이터(12, 14 및 16)의 원단부에 선회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브라켓(706 및 708)은 제 1 및 제 2 바(702 및 704)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이게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들은 모니터의 뒷면에 부착되도록 복수의 구멍(1806)을 갖는다. 컨트롤 박스(1810)는 하기에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모니터를 회전 및/또는 기울이도록 3개의 액츄에이터(12, 14 및 16)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기저판(1304)상에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3개의 액츄에이터(12, 14 및 16)를 둘러싸도록 벨로스(bellows)(1812)가 기저판(1304) 및 브라켓 시스템(7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어, 실질적으로 이물질이 상기 3개의 액츄에이터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벨로스(1812)의 근단부(1814)가 기저판(1304)에 부착될 수 있다. 벨로스(1812)의 원 단부(1816)는 제 1 및 제 2 바(702 및 704)에 결합될 수 있어 벨로스(1812)의 원단부(1816)가 상기 제 1 및 제 2 바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좌우로 미끄러지듯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벨로스의 원단부(1816)는 장착 시스템(10)이 모니터를 회전 및/또는 기울일 때 상하로 미끄러지듯 움직일 수 있어 벨로스가 일정하게 접히게 한다. 오디오 및 비디오 선들은 기저판(1304)과 브라켓 시스템(700) 사이에 선들이 보이지 않도록 벨로스를 지날 수 있다.
도 19는 장착 시스템(10)이 스탠드(1900)에 부착될 수 있고 수축된 위치(1906)로부터 신장된 위치(1908)로 모니터(1000)를 신장시킬 수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스탠드(1900)는 기부(1904)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 링크(1902)를 포함할 수 있다. 기부(1904)는 신장된 위치(1908) 및 수축된 위치(1906)에 있을 때 모니터(1000)의 무게를 지지할 정도로 충분히 넓을 수 있다. 도 20은 2개의 크로스바(2002)에 의해 함께 부착된 2개의 레그(20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은 기저판(1304) 또는 기준면(18)이 부착될 수 있는 수직 링크(1902)를 지지하는 크로스바(2002)를 도시한 것이다. 스탠드(1900)는 테이블 위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원격제어기를 통해 모니터(1000)의 시야각을 조절하게 할 수 있다. 대안으로, 장착 시스템(10)은 장식장에 부착되거나 장식장내에 넣어질 수 있다.
도 22는 모니터(2202 내지 2218)와 같이 복수의 모니터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2200)을 도시한 것이다. 제어 시스템(2200)은 통신 링크(2220)를 통해 복수의 모니터에 통신가능하게 링크될 수 있다. 통신 링크(2220)는 하드와이어(hard wires)일 수 있거나 무선으로 통신될 수 있다. 각각의 모니터(2202 내지 2218)에는 상술한 장착 시스템(10)과 같은 전동 장착 시스템 또는 모니터가 벽에 대해 신장되고 수축되게 하며 모니터를 회전(모니터를 좌우로 회전시킴) 및/또는 기울이게 하는(모니터를 상하로 회전시킴) 임의의 다른 전동 장착대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2200)은 각각의 모니터에 부착된 각각의 전동 장착 시스템의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어 소정의 패턴으로 복수의 모니터 중 하나 이상의 이동을 동기화한다. 모니터(2202 내지 2218)의 이동은 복수의 모니터(2202 내지 2218)를 볼 때 시각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동기화될 수 있다.
도 23은 전동 장착 시스템(2302)을 통해 벽(2300)에 장착된 복수의 모니터(2202 내지 2218) 각각을 예시한 도 22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제어 시스템(2300)은 파와 같이 움직이게 모든 모니터의 이동을 동기화하도록 모든 전동 장착 시스템(2302)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모니터(2202, 2204 및 2206)의 바닥면(2202B, 2204B 및 2206B) 각각과 모니터(2208, 2210 및 2212)의 상단면(2208T, 2210T 및 2212T) 각각을 일치하게 기울임으로써 달성될 수 있어 모니터(2202, 2204 및 2206)의 바닥면이 벽으로부터 신장되도록 기울어질 때, 모니터(2208, 2210 및 2212)의 상단면도 또한 벽(2300)으로부터 신장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동시에, 모니터(2202, 2204 및 2206)의 바닥면과 모니터(2214, 2216 및 2218)의 상단면이 일치하게 움직이도록 동기화되어, 모니터(2208, 2219 및 2212)의 바닥면이 벽(2200)에 대해 수축되도록 기울어질 때, 모니터(2214, 2216 및 2218)의 상단면도 또한 벽(2200)에 대해 수축되도록 기울어지며, 그 반대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제어 시스템(2200)은 또한 모니터를 좌우 로 회전시킴으로써 파와 같이 이동하도록 모니터의 이동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제어 시스템(2200)은 복수의 모니터(2202 내지 2218)를 제어하여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와 함께 하나 이상의 모니터의 이동을 동기화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시스템(2200)은 틱택토(tic-tac-toe) 게임을 디스플레이하도록 복수의 모니터를 제어할 수 있다. 초기에, 제어 시스템(2200)은 벽(2300)에 대하여 모든 모니터를 수축시킬 수 있다. 제 1 플레이어가 모니터(2210)의 중앙 위치를 선택하여 "O"로 두는 경우, 제어 시스템(2200)은 시간 주기동안 벽으로부터 모니터(2210)를 신장시킬 수 있어, 이에 의해 모니터(2210)로 주의를 끌게 되고, 그리고 벽에 대하여 모니터(2210)를 수축시킬 수 있다. 제 2 플레이어가 모니터(2202)의 좌상단위치를 선택하여 "X"로 두는 경우, 제어 시스템(2200)은 시간 주기동안 벽으로부터 모니터(2202)를 신장시키고 모니터(2202)를 수축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플레이어들이 3개의 모니터를 가로지르는 직선을 형성하도록 조종하는 경우, 3개의 모니터 모두가 벽으로부터 신장될 수 있고 그런 후 3개의 모니터를 회전 및/또는 기울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승자 플레이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24는 전동 장착 시스템(2302)과 통신하도록 형성된 제어 시스템(2200)을 도시한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 제어 시스템(2200)은 전동 장착 시스템(2302)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비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전동 장착 시스템(2302)은 유니버셜 직렬 버스(USB) I/O 카드(2400)와 같이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제어 시스템(2200)과 통신할 수 있다. USB I/O 버스(2302)는 제어 시스템(2200)으로부터의 제어 데이터를 컨트롤보드(2402)로 전송하며, 상기 컨트롤보드는 인코더 센서(encoder sensor)(2404, 2406 및 2408) 및 홈 센서(home sensor)(2410, 2412 및 2414)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액츄에이터(12)에는 인코더 센서(2404)와 홈 센서(24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액츄에이터(14)에는 인코더 센서(2406)와 홈 센서(24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액츄에이터(16)에는 인코더 센서(2408)와 홈 센서(2414)가 형성될 수 있다.
홈 센서는 대응하는 나선부상의 슬리브가 나선부의 원단부에, 즉, 대응하는 액츄에이터가 홈 또는 수축된 위치에 있도록 모터로부터 멀리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8에 대해 논의된 제한 스위치(1808)는 홈 센서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임의의 다른 방법 또는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인코더 센서는 대응하는 나선부에 의해 회전수를 검출하고 정보를 컨트롤보드(2402)로 전송할 수 있어 슬리브가 나선부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동할 때 슬리브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인코더가 가변자기저항센서(variable reluctance sensor)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컨트롤보드(2402)는 제 1 모터(2416), 제 2 모터(2418) 및 제 3 모터(2420)에 통신가능하게 링크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모터(2416)는 제 1 액츄에이터(12)용 모터를 나타낼 수 있고, 제 2 모터(2418)는 제 2 액츄에이터(14)용 모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제 3 모터(2420)는 제 3 액츄에이터(16)용 모터를 나타낼 수 있다. 3개의 액츄에이터(12, 14 및 16) 각각으로부터 인코더 센서 및 홈 센서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컨트롤보드(2402)가 모니터의 시야각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3개의 액츄에이터에 대한 각 나선부(34)상에 있는 3개의 슬리브(38)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기준면(18)으로부터의 거리에 대한 장착면(20)의 위치, 회전 및 경사가 판단될 수 있다. 컨트롤보드(2402)가 제어 시스템(2200)으로부터 새로운 시야각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컨트롤보드(2402)는 3개의 액츄에이터에 대한 모터(2416, 2418 및 2320) 중 하나 이상을 작동시킬 수 있어 모니터의 시야각을 새로운 시야위치로 조절하게 한다.
도 24는 또한 장착 시스템(10)이 벽에 대하여 지지되는 모니터의 크기를 사용자가 선택하게 하는 선택기 스위치(2404)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예컨대, 사용자가 50인치 플라즈마 TV를 장착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위치를 "50"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50인치 TV의 외부 테두리가 벽을 밀어내거나 부딪히지 않도록 컨트롤보드(2402)가 모니터의 회전이동 및 경사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60인치 TV의 회전 및 경사이동은 42인치 TV의 이동보다 더 제한적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컨트롤보드(2402)와 선택기 스위치(2404)는 컨트롤박스(1810)에 둘러싸여 질 수 있다.
도 25는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수신기(2502)에 전송할 수 있는 원격제어기(2500)를 도시한 것이다. 수신기(2502)는 컨트롤보드(2402)에 통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원격제어기(250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처리하고 모터(2416, 2418, 및 2420)를 작동시켜 이에 따라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한다. 원격제어기(2500)는 또한 상향버튼(2506), 하향버튼(2508), 좌향버튼(2510), 우향버트(2512) 및 신장/수축 버튼(2514)을 포함한다. 예컨대, 초기 수축된 위치로부터, 사용자가 버튼(2514)를 누르면, 컨트롤보드(2402)는 도 19에 도시된 신장된 위 치(1908)와 같이 소정 위치로 3개의 액츄에이터를 신장시킴으로써 모니터(1000)를 신장시킬 수 있다.
소정 위치에서, 컨트롤보드(2402)는 3개의 모터(2416, 2418, 및 2420)에 동력을 공급하여 슬리브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나선부의 중간지점에 멈추어지게 할 수 있다. 이는 3개의 액츄에이터가 모니터를 회전 또는 기울이기 위해 각각의 원단부(40)를 더 신장 또는 수축시키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제어기(2500)의 상향버트(2506)이 눌러지는 경우, 모니터(1000)는 여러 방식으로 위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모니터를 위로 기울이게 하는 한가지 방법은 제 2 액츄에이터(14)를 수축시키고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를 신장시키는 것이다. 대안으로, 제 2 액츄에이터(14)는 소정 위치로부터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를 이동시키지 않게 하면서 수축될 수 있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를 위로 기울이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제어기(2500)의 하향버튼(2508)이 눌러지면, 모니터(1000)는 여러 방식으로 아래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모니터를 아래쪽으로 기울이는 한가지 방식은 제 2 액츄에이터(14)를 신장시키고 제 1 및 3 액츄에이터(12 및 16)를 수축시키는 것이다. 대안으로, 제 2 액츄에이터(14)는 소정 위치로부터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를 이동시키지 않게 하면서 신장될 수 있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를 아래로 기울이게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원격제어기(2500)의 우향버튼(2512)이 눌러지면, 모니터(1000)는 여러 방식으로 오른쪽으로 회전될 수 있다. 모니터를 오른쪽으로 회전 시키는 한가지 방식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위치로부터 제 2 액츄에이터(14)를 움직이지 않게 하면서 제 1 액츄에이터(12)를 신장시키고 제 3 액츄에이터(16)를 수축시키는 것이다. 원격제어기(2500)의 좌향버튼(2510)이 눌러지면, 모니터(1000)는 여러 방식으로 왼쪽으로 회전될 수 있다. 모니터를 왼쪽으로 회전시키는 한가지 방식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위치로부터 제 2 액츄에이터(14)를 움직이지 않게 하면서 제 1 액츄에이터(12)를 수축시키고 제 3 액츄에이터(16)를 신장시키는 것이다.
컨트롤보드(2402)는 또한 기설정된 소정의 시야각이 저장될 수 있는 메모리(2516)에 링크될 수 있다. 원격제어기(2500)는 또한 입력 신호를 컨트롤보드(2402)에 제공하여 모니터(1000)의 시야각을 소정의 저장된 시야각으로 조절하게 하는 사전설정버튼(2518)을 구비할 수 있다. 소정의 시야각을 사전설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모니터(1000)의 시야각을 소정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그런 후, 사용자는 사전설정버튼(2518)을 작동시켜 상기 사전설정버튼(2518)을 소정의 시야각과 연동시키며, 상기 소정 각도가 메모리(2516)에 저장될 수 있다. 일단 사전설정버튼(2518)이 프로그램된 후에, 상기 사전설정버튼(2518)의 연이은 작동이 컨트롤보드(2402)에 지시되어 장착면(20)의 시야각을 메모리(2516)에 저장된 소정의 시야각으로 조절하게 한다. 컨트롤보드(2402)로의 입력 신호는 인터넷, 하드와이어, 컴퓨터 네트워크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유의하라.
상술한 장착 시스템(10)은 다양한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 예술작품(art piece), 사진, 스피커, 카메라, 스테레오 장비 등이 장착 시스템(10) 에 부착되어 상기 물품들을 재위치시킬 수 있다. 장착 시스템은 또한 광고판 기기에 사용될 수 있으며, 광고판의 시야각이 운전자가 상기 광고판을 지나갈 때 변할 수 있다.
장착 시스템(10)은 또한 위성수신기(satellite dish)를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응용에서, 제어 시스템(2200)은 위성수신기가 실질적으로 지구 주위를 궤도를 그리며 도는 위성을 향하고 있도록 위성경로를 따르게 프로그램될 수 있다. 장착시스템(10)의 기저판(1304)은 위성수신기를 지지하기 위해 마루 또는 벽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장착 시스템(10)은 위성수신기를 갖는 차량에 부착될 수 있다.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장착 시스템(10)은 위성수신기가 실질적으로 지구 주위를 궤도를 그리며 도는 위성을 향하고 있도록 상기 위성수신기를 재위치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장착 시스템(10)의 적용은 태양 전지판(solar panel)을 지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 전지판의 성능은 태양에 수직하거나 태양을 향하고 있도록 태양 전지판을 위치시킴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이 응용에서, 제어 시스템(2200)은 태양 전지판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태양의 경로를 따르도록 장착 시스템(10)에 제어신호를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장착 시스템(10)의 기저판(1304)은 태양 전지판을 지지하기 위해 마루, 벽, 또는 차량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장착 시스템(10)은 장치가 태양광에 노출되지 않도록 지지되는 장치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태양광으로부터 자외선은 예술작품 그림에 손상을 끼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시스템(2200)은 그림 또는 예술작품을 직사 태양광으로 부터 이동시키기 위해 제어신호를 장착 시스템(10)에 제공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장착 시스템(10)은 또한 기저판(1304)에 대하여 장착면(20)을 재위치시키기 위해 천장 또는 다른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6은 도 1에서 상술한 장착 시스템(10)과 유사한 장착 시스템(2600)을 도시한 것이다. 장착 시스템(2600)은 각각 3개의 모터(2608, 2610 및 2612)가 달린 3개의 액츄에이터(2602, 2604 및 2606)를 포함한다. 장착 시스템(2600) 및 장착 시스템(10) 간의 차이 중 하나는 3개의 모터(2608, 2610 및 2612)가 도 1에 도시된 3개의 모터(32)와는 다른 위치에 있다는 것이다. 장착 시스템(2600)에서, 3개의 모터(2608, 2610 및 2612)는 그 각각의 나선부(2614, 2616 및 2618)의 길이방향 축과 정렬되지 않는다. 예컨대, 3개의 모터(2608, 2610 및 2612)는 그 각각의 나선부(2614, 2616 및 2618)의 길이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다. 이는 3개의 나선부(2614, 2616 및 2618)가 더 길 수 있어 3개의 각 슬리브(2620, 2622 및 2624)가 더 긴 행정거리를 가질 수 있게 하며, 차례로 3개의 액츄에이터(2602, 2604 및 2606)가 기준면(18)으로터 더 멀리 그 각각의 원단부를 신장시키게 한다. 3개의 액츄에이터 원단부의 더 먼 신장으로, 장착면(20)에 부착된 모니터의 회전 및 경사도 더 커질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중력이 음의 Z 방향으로 있어 기저판(1304)이 마루에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방향에서, 장착 시스템(10)은 장착면(20)에 제공된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기울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장착 시스템(10)은 침대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도록 마루에 대해 침대 밑바닥을 지탱할 수 있다. 한 사용 자가 침대위에 있고, 침대는 소정 위치로 들어올려지고 기울어질 수 있다. 특히, 장착 시스템(10)은 수술실에 있는 수술대를 지지할 수 있다. 제어장치가 마루에 있을 수 있어 의사가 자신의 발을 통해 수술대의 높이, 경사 및 회전이 조절되게 한다. 이는 의사가 수술대위에 있는 환자를 재위치시키게 하여 환자 및 의사를 위해 수술을 더 편하게 하도록 한다. 예컨대, 의사가 환자의 머리 부근에 환자의 피를 머무르게 하고 싶은 경우, 의사는 수술대를 회전시켜 다리가 환자의 머리에 대해 들어올려지게 또는 그 반대로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의사가 수술동안 환자의 특정 장기를 더 잘 보고 싶어하는 경우, 의사는 수술대를 기울이거나 회전시켜 의사가 더 양호하게 접근하여 장기를 보게 한다.
도 27은 모니터(1000)의 시야각이 상술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모터의 사용을 통해서라기 보다는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장착 시스템(2700)을 도시한 것이다. 장착 시스템(2700)은 3개의 액츄에이터(2702, 2704 및 2706)를 가질 수 있고, 중간 액츄에이터(2704)는 2개의 외부 액츄에이터(2702 및 2706)에 대해 역전되어 있다. 각각의 액츄에이터는 샤프트(2708)와 슬리브(2710)를 구비할 수 있다. 샤프트(2708)는 대응하는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완만한 내부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모니터(1000)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는 모니터(1000)를 잡고 소정 각도로 재위치시켜 모니터(1000)를 놓아둘 수 있다. 일단 모니터(1000)가 놓아진 후에, 모니터의 무게는 슬리브와 각각의 샤프트 사이의 마찰을 이용하여 모니터를 적소에 유지시킨다.
도 28은 모니터(1000)의 시야각이 수동으로 조절될 수 있는 장착 시스 템(2800)을 도시한 것이다. 장착 시스템(2800)은 장착 시스템(2700)과 유사하나, 3개의 액츄에이터(2702, 2704 및 2706)에 대해 각각 나선부의 일단에 수동 크랭크(manual cranks)(2802, 2804 및 2806)가 추가되어 있다. 수동 크랭크는 각각의 액츄에이터를 수동으로 신장 또는 수축시켜 장착면(20) 또는 모니터(1000)를 재위치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 나선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각각의 크랭크에 결합된 모터를 갖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도 29는 XY면을 따라 장착 시스템(2900)의 개략도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장착 시스템(2900)은 도 1에 도시된 액츄에이터와 유사하나, 서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3개의 액츄에이터(2902, 2904 및 2906)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3개의 액츄에이터는 서로 약 120도 이격될 수 있다. 기준면(18) 또는 기저판(1304)은 장착 지지면(20)에 부착된 장치를 들어올리기, 회전 및/또는 기울이기 위해 마루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0은 수축된 위치에 있는 장착 시스템(290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1은 신장된 위치에 있는 장착 시스템(2900)을 도시한 것이다. 3개의 액츄에이터(2902, 2904 및 2906)가 장착 지지면(20)와 기준면(18)이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할 수 있도록 기준면(18)으로부터 대략 동일 거리로 신장된다. 3개의 액츄에이터(2902, 2904 및 2906)의 원단부는 신장된 슬롯(3102, 3104 및 3106)을 따라 미끄러지듯 움직일 수 있어 장착 시스템(2900)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고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진다. 상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형태로 배열된 3개의 액츄에이터로, 장착 지지면(20)의 위치가 더 양호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이 실질적으로 수평이 되는 것이 요구되는 응용에서, 3 개의 액츄에이터(2902, 2904 및 2906)는 실질적으로 수평면 또는 작업대(work bench)를 제공하도록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0을 참조하면, 기준면(18)에 대한 장착면(20)의 위치는 각각의 나선부를 따라 슬리브의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회전 및 경사에 따른 장착면(20)과 기준면 사이의 거리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면에 대해 장착면(20)을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장착면(20)으로부터 돌출한 핸들(3108)이 형성될 수 있다. 기준면(18)에 대한 장착면(20)의 위치를 기초로, 슬리브가 각각의 나선부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이고, 각각의 나선부를 따른 슬리브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기준면(18)에 대한 장착면(20)의 위치가 정확하게 판단될 수 있다. 그런 후, 위치 정보가 전동 동작을 수행하는 또 다른 전동장치에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바늘이 달린 수술용 로봇이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정확하게 환자를 뚫고들어갈 수 있고 정확한 위치에 약물을 수송할 수 있다. 대안으로, 핸들(3108)은 비디오 게임 등에 사용되는 조이스틱(joy stick)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많은 실시예들과 수단들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을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필요하다면 더 무거운 모니터를 지지하기 위해 추가 액츄에이터들이 기저판(1304)에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및 균등물의 고려를 제외하고는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됨.

Claims (53)

  1.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착 시스템에 있어서,
    기저판(18, 1304)과,
    모니터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브라켓 시스템(20,700)과,
    상기 기저판과 상기 브라켓 시스템 사이에 복수의 액츄에이터(actuator)(12, 14 및 16)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 각각은
    길이방향 축을 가지고 상기 기저판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샤프트(34, 2614)와,
    근단부(proximal end)(36) 및 원단부(distal end)(40)를 가지며, 상기 근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이게 형성되고, 상기 원단부는 상기 브라켓 시스템에 선회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제 1 링크와,
    근단부(28) 및 원단부(26)를 가지며, 상기 근단부(28)는 상기 기저판(18,1304)에 선회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원단부(26)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링크의 중간지점에서 상기 제 1 링크(22)에 선회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링크의 근단부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 링크의 원단부가 상기 기저판에 대해 신장 및 수축되는 제 2 링크(24)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의 제 1 링크(22)의 원단부(40) 중 적어도 하나를 신 장 및/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기저판에 대해 상기 모니터의 시야각이 조절되는 장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22)는 상기 제 2 링크(24) 길이의 약 2배인 장착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4)의 길이방향 축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링크(22)의 근단부(36) 및 상기 제 2 링크(24)의 근단부(28)와 정렬되는 장착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스레드 외부면(threaded outer surface)을 갖는 나선부이고,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 각각은 상기 나선부에 결합되어 상기 나선부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모터(32)를 포함하는 장착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제어신호를 컨트롤보드(control board)(2402)에 제공하도록 형성된 원격제어기(2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컨트롤보드는 상기 기저판에 대해 상기 브라켓 시스템을 재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로부터 상기 모터(32)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게 형성되는 장착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은 벽에 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착 시스템은 상기 컨트롤보드(2402)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선택기(selector)(2404)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기는 컨트롤보드가 선택된 모니터의 크기에 따라 브라켓 시스템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크기가 다른 모니터들에 대한 복수의 설정을 가져 상기 모니터의 뒷면이 벽에 부딪히지 않게 하는 장착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25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형성된 수신기(2502)를 포함하는 장착 시스템.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32)는 길이방향 축을 가지고, 상기 모터의 길이방향 축과 상기 제 2 링크(24)의 근단부(28)는 실질적으로 상기 나선부의 길이방향 축과 정렬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나선부와 상기 제 2 링크의 근단부 사이에 있는 장착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의 길이방향 축이 상기 제 2 링크(24)의 근단부(28)와 정렬되는 장착 시스템.
  10.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 각각의 모터(2608, 2610, 2612)는 실질적으로 상기 나선부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한 길이방향 축을 갖는 장착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는 제 1 액츄에이터(12), 제 2 액츄에이터(14) 및 제 3 액츄에이터(16)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액츄에이터(14)는 상기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 사이에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에 대해 역전되어 있어 상기 제 1, 2 및 3 액츄에이터의 3개의 원단부(40)가 평면을 형성하는 삼각형 형태를 이루는 장착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츄에이터(14)의 제 1 링크(22)의 원단부(40)가 상기 브라켓 시스템을 상하로 기울이기 위해 신장 또는 수축되는 장착 시스템.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16)의 제 1 링크(22)의 원단부(40)가 상기 브라켓 시스템을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해 신장 또는 수축되는 장착 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12)의 제 2 링크(24)와 상기 기저판(1304) 사이에 제 1 유니버셜 조인트(30) 및 상기 제 3 액츄에이터(16)의 제 2 링크(24)와 상기 기저판(1304) 사이에 제 2 유니버셜 조인트(30)를 포함하는 장착 시스템.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16)의 제 1 링크(22)는 각각의 근단부로부터 원단부(36)로 음의 기울기를 형성하고, 제 2 액츄에이터(14)의 제 1 링크(22)는 근단부로부터 원단부로 양의 기울기를 형성하는 장착 시스템.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16)의 제 1 링크(22)는 각각의 근단부로부터 원단부로 양의 기울기를 형성하고, 제 2 액츄에이터(14)의 제 1 링크(22)는 근단부로부터 원단부로 음의 기울기를 형성하는 장착 시스템.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츄에이터(14)의 제 2 링크(24)는 힌지(50)에 선회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 2 액츄에이터(14)의 제 1 링크(22)의 원단부(40)가 상기 기저판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신장 및 수축되는 장착 시스템.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304)은 수직벽에 부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의 제 1 링크의 원단부는 상기 기저판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평하게 신장 및 수축되는 장착 시스템.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의 원단부 각각과 상기 브라켓 시스템 사이에 회전 조인트(rotatable joint)(206)를 포함하여 상기 제 1 링크의 원단부가 상기 브라켓 시스템에 대해 회전하게 하는 장착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인트(206)는 상기 제 1 링크(22)의 원단부(40)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라운드 헤드(round head)(802)와 상기 브라켓 시스템(700)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소켓(socket)(800)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상기 라운드 헤드를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라운드 헤드가 그 내에서 회전하게 하는 장착 시스템.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과 상기 브라켓 시스템 사이에 상기 복수의 엑츄에이터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벨로스(bellows)(1812)를 포함하고, 상기 벨로스는 상기 복수의 액 츄에이터와 함께 신장 및 수축되도록 형성되는 장착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벨로스(1812)를 통해 오디오선, 비디오선 및 전원 케이블이 지나가는 장착 시스템.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2902, 2904 및 2906)가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장착 시스템.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2902, 2904 및 2906)가 약 120도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장착 시스템.
  25. 기준면(10)에 대해 장착면(20)을 재위치시킬 수 있는 장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장착면(20)과 상기 기준면(18) 사이에 일체로 형성된 제 1, 2 및 3 액츄에이터(12, 14 및 16)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액츄에이터(14)는 상기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 사이에 있으며, 상기 제 1, 2 및 3 액츄에이터(12, 14 및 16) 각각은 상기 기준면에 대해 수축 및 신장하도록 형성된 원단부(40)를 가지며, 상기 제 2 액츄에이터(14)의 원단부는 상기 기준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신장 및 수축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의 원단부는 실질적으로 공통면을 따라 상기 기준면에 대해 신장 및 수축하며, 상기 제 1, 2 및 3 액츄에이터(12, 14 및 16)의 원단부는 삼각형 형태를 이루어 상기 제 1, 2 및 3 액츄에이터(12, 14 및 16)의 원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신장 및/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기준면(18)에 대해 상기 장착면(20)을 재위치시키는 장착 시스템.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및 3 액츄에이터 각각은
    길이방향 축을 가지며, 상기 기준면(18)에 대해 나란한 샤프트(24, 2614);
    근단부(36)와 원단부(40)를 가지고, 상기 원단부는 상기 각 액츄에이터의 원단부에 해당하며, 상기 근단부(36)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이게 형성되고, 상기 원단부는 상기 장착면(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링크(22); 및
    근단부(28)와 원단부(26)를 가지고, 상기 근단부는 상기 기준면(18)에 나란하게 선회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원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링크의 중간지점에서 상기 제 1 링크(22)에 선회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링크의 근단부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 링크의 원단부가 상기 기준면에 대해 신장 및 수축되는 제 2 링크(24)를 포함하는 장착 시스템.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22)는 상기 제 2 링크(24) 길이의 약 2배인 장착 시스템.
  28.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링크(22)의 근단부(36)및 상기 제 2 링크(24)의 근단부(28)와 정렬되는 장착 시스템.
  29. 제 26 항 내지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4)는 스레드 외부면을 갖는 나선부이고,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 각각은 상기 나선부에 결합하여 상기 나선부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모터(32)를 포함하는 장착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제어신호를 컨트롤보드(2402)에 제공하도록 형성된 원격제어기(2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컨트롤보드는 상기 장착면(20)을 재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도록 상기 복수의 액츄에이터용의 상기 모터(32)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게 형성되는 장착 시스템.
  31. 제 26 항 내지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16)의 제 1 링크(22)는 각각의 근단부에서 원단부로 음의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액츄에이터(14)의 제 1 링크(22)는 근단부에서 원단부로 양의 기울기를 형성하는 장착 시스템.
  32. 제 26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16)의 제 1 링크(22)는 각각의 근단부에서 원단부로 양의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액츄에이터(14)의 제 1 링크(22)는 근단부에서 원단부로 음의 기울기를 형성하는 장착 시스템.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18)이 수직벽, 마루 또는 천장에 부착되도록 형성된 기저판(1304)인 장착 시스템.
  34. 제 1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18)이 모니터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착면(20)이 수직벽, 마루 또는 천장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장착 시스템.
  35. 제 1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18)은 고정면이고 상기 장착면은 이동가능한 면(20)인 장착 시 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면은 벽, 천장, 마루, 스탠드 또는 장식장을 포함하는 장착 시스템.
  37. 제 1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18)은 이동가능한 면이고 상기 장착면(20)은 고정면인 장착 시스템.
  38. 제 1 항 내지 제 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18)이 모니터에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착면(20)이 수직벽, 마루 또는 천장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장착 시스템.
  39. 제 1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및 3 액츄에이터(2902, 2904, 2906)는 서로 반경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장착 시스템.
  40. 제 1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면은 모니터, 광고판, 그림 또는 스피커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장 착 시스템.
  41. 제 1 항 내지 제 4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액츄에이터(14)의 원단부를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장착면(20)을 기울이게 하는 장착 시스템.
  42. 제 1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츄에이터(12)의 원단부를 신장시키고 상기 제 3 액츄에이터(16)의 원단부를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모니터를 회전시키는 장착 시스템.
  43. 기저판에 대해 모니터를 재위치시킬 수 있는 장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저판(1304)에 나란한 길이방향 축을 갖는 제 1 샤프트(34)와,
    근단부(36)와 원단부(40)를 가지고, 상기 근단부는 상기 제 1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이게 형성되며, 상기 원단부는 상기 기저판에 대해 모니터를 신장 및 수축시키도록 형성된 제 1 긴 링크(elongated link)를 포함하는 제 1 액츄에이터(12)와,
    상기 기저판에 나라한 길이방향 축을 갖는 제 2 샤프트(34)와,
    근단부(36)와 원단부(40)를 가지고, 상기 근단부는 상기 제 2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이게 형성되며, 상기 원단부는 상기 기저판에 대해 모니터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신장 및 수축시키도록 형성된 제 2 긴 링크를 포 함하는 제 2 액츄에이터(14)와,
    기저판에 나란한 길이방향 축을 갖는 제 3 샤프트(34)와,
    근단부와 원단부를 가지고, 상기 근단부는 상기 제 3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이게 형성되며, 상기 원단부는 상기 기저판에 대해 모니터를 신장 및 수축시키도록 형성된 제 3 긴 링크를 포함하는 제 3 액츄에이터(16)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액츄에이터(14)는 상기 제 1 및 제 3 액츄에이터(12 및 16) 사이에 위치되며 각각의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상기 제 1, 2 및 3 긴 링크의 원단부 중 적어도 하나를 신장 및/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기저판에 대해 상기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는 장착 시스템.
  44. 제 43 항에 있어서,
    근단부(28)와 원단부(26)를 가지며, 상기 제 1 긴 링크(22)의 길이의 약 절반이고, 상기 근단부는 상기 기저판에 선회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원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긴 링크의 중간지점에서 상기 제 1 긴 링크에 선회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긴 링크의 근단부가 상기 제 1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 긴 링크의 원단부가 실질적으로 상기 기저판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을 따라 신장 및 수축되는 제 1 짧은 링크(24)와,
    근단부(28)와 원단부(26)를 가지며, 상기 제 2 긴 링크의 길이의 약 절반이 고, 상기 근단부는 상기 기저판에 선회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원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긴 링크의 중간지점에서 상기 제 2 긴 링크에 선회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2 긴 링크의 근단부가 상기 제 2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2 긴 링크의 원단부가 실질적으로 상기 기저판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을 따라 신장 및 수축되는 제 2 짧은 링크(24)와,
    근단부(28)와 원단부(26)를 가지며, 상기 제 3 긴 링크(22)의 길이의 약 절반이고, 상기 근단부는 상기 기저판에 선회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원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3 긴 링크의 중간지점에서 상기 제 3 긴 링크에 선회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3 긴 링크의 근단부가 상기 제 3 샤프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3 긴 링크의 원단부가 실질적으로 상기 기저판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을 따라 신장 및 수축되는 제 3 짧은 링크(24)를 포함하는 장착 시스템.
  45. 제 43 항 또는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 1, 2 및 3 샤프트(34)는 스레드 외부면을 갖는 나선부이고, 상기 각각의 제 1, 2 및 3 액츄에이터(12, 14 및 16)는 상기 나선부에 결합하여 상기 나선부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모터(32)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제 1, 2 및 3 액츄에이터용 모터가 상기 나선부와 상기 각 제 1, 2 및 3 짧은 링크의 근단부 사이에 있는 장착 시스템.
  46. 기준면에 대해 장치를 신장 및 수축시킬 수 있는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모터(32)와
    길이방향 축을 가지며, 상기 모터에 결합되는 나선부(34)와,
    근단부(28)와 원단부(26)를 가지며, 상기 근단부는 상기 나선부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이게 형성되고, 상기 원단부는 장치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 1 링크(22)와,
    근단부(28)와 원단부(26)를 가지며, 상기 제 1 긴 링크의 길이의 약 절반이고, 상기 근단부는 상기 기준면(18)에 나란하게 선회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원단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링크의 중간지점에서 상기 제 1 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링크의 근단부가 상기 나선부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 링크의 원단부가 실질적으로 상기 기준면(18)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을 따라 신장 및 수축되는 제 2 링크(24)를 구비하는 액츄에이터.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32)와 상기 제 2 링크(24)의 근단부(28)는 실질적으로 상기 나선부(34)의 길이방향 축을 따르고, 상기 모터는 상기 나선부와 상기 제 2 링크의 근단부 사이에 있는 액츄에이터.
  48. 수직벽에 장착된 두께를 갖는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삼각형 형태를 이루는 제 1, 2 및 3 위치(44, 46 및 48)에서 모니터의 뒷면을 지지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의 두께 보다 더 수직벽으로부터 멀리 소정 거리(1908)로 상기 모니터를 신장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위치(46)를 수직벽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신장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모니터를 기울이는 단계; 및
    실질적으로 수평면을 따라 상기 제 1 및 제 3 위치(44 및 48)를 신장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모니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위치(46)는 상기 제 1 및 제 3 위치(44, 48) 사이에 있는 모니터의 시야각 조절 방법.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의 크기에 따라 상기 모니터의 경사 및 회전을 제한하는 단계(2404)를 포함하는 모니터의 시야각 조절 방법.
  50. 제 48 항 또는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의 뒷면과 상기 수직벽 사이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단계(1812)를 포함하는 모니터의 시야각 조절 방법.
  51. 제 48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의 경사 및 회전을 원격제어하는 단계(2500)를 포함하는 모니터의 시야각 조절 방법.
  52. 복수의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모니터를 신장, 경사 및 회전시킬 수 있는 전동 장착 시스템(10)에 상기 복수의 모니터 각각을 결합시키는 단계와,
    소정의 패턴으로 상기 복수의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전동 장착 시스템에 제어 신호(200)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니터의 시야각 조절 방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니터 시야각을 상기 복수의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와 동기화시키는 단계(2200)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니터의 시야각 조절 방법.
KR1020067012953A 2005-04-04 2006-04-04 기준면에 대해 장치를 재위치시킬 수 있는 장착 시스템 KR100797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6853805P 2005-04-04 2005-04-04
US60/668,538 2005-04-04
US68413205P 2005-05-23 2005-05-23
US60/684,132 2005-05-23
US71457105P 2005-09-07 2005-09-07
US60/714,571 2005-09-07
US75641406P 2006-01-04 2006-01-04
US60/756,414 2006-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261A true KR20070088261A (ko) 2007-08-29
KR100797063B1 KR100797063B1 (ko) 2008-01-23

Family

ID=3707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953A KR100797063B1 (ko) 2005-04-04 2006-04-04 기준면에 대해 장치를 재위치시킬 수 있는 장착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80131B2 (ko)
EP (1) EP1727951A2 (ko)
KR (1) KR100797063B1 (ko)
WO (1) WO20061079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4233553A1 (en) 2004-03-15 2005-09-29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ribbon cartridge
JP2006308006A (ja) * 2005-04-28 2006-11-09 Sony Corp 固定機構およびモニタ固定装置
US20070053151A1 (en) * 2005-08-11 2007-03-08 Richard Capoferri Display mounting system
US7663868B1 (en) * 2005-09-10 2010-02-16 Peter Ar-Fu Lam Display devices mounting apparatus
WO2007081673A2 (en) * 2006-01-03 2007-07-19 Csav, Inc. Motorized mount for electronic display
US20070158627A1 (en) * 2006-01-04 2007-07-12 Jay Dittmer Motorized lift for electronic display device
US20070252919A1 (en) * 2006-04-27 2007-11-01 Mcgreevy Roy L Remotely controlled adjustable flat panel display support system
KR100776897B1 (ko) * 2006-11-02 2007-11-19 남선오 평판형 디스플레이의 전동식 시청각 조정장치
PL381736A1 (pl) * 2007-02-12 2008-08-18 Bober Wiesław Wysięgnik dwuramienny do mocowania ekranu wyświetlającego, zwłaszcza płaskiego ekranu telewizyjnego
PL384694A1 (pl) * 2008-03-14 2009-09-28 Furniture In Motion, Inc. Głowica ekranu wyświetlającego, zwłaszcza płaskiego ekranu telewizyjnego
KR20080105402A (ko) * 2007-05-30 2008-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0844423B1 (ko) * 2007-07-06 2008-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모니터
KR100908729B1 (ko) * 2007-07-23 2009-07-22 (주)센트로닉스 틸팅장치
US20090032656A1 (en) * 2007-07-31 2009-02-05 Oh Sung I Actuator with a safety cover
US20090087293A1 (en) * 2007-09-27 2009-04-02 Earsley Craig A Apparatus and a system for lifting and storing an article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090159768A1 (en) * 2007-12-20 2009-06-25 Oh Sung I Mount System Utilizing One Motor to Extend/Retract and Tilt a Monitor
US20090173860A1 (en) * 2008-01-04 2009-07-09 Bell'o International Corp. Mounting system for flat panel display
US7661643B2 (en) * 2008-02-04 2010-02-16 Clo Systems Swivel mount system for a monitor
KR200449493Y1 (ko) 2008-07-09 2010-07-14 주식회사 모든넷 강의대의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CN101845876B (zh) * 2009-03-27 2014-04-02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高精密连接件组合调节装置及其调节方法
CN102062280A (zh) * 2009-11-13 2011-05-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支架
KR101698309B1 (ko) * 2010-01-07 2017-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EP2383506A1 (en) * 2010-04-29 2011-11-02 Bang & Olufsen A/S Mounting arrangement for a screen
US20120061543A1 (en) * 2010-09-09 2012-03-15 Landa Juan Adjustable flat-panel display mount
WO2012056260A1 (en) * 2010-10-25 2012-05-03 Jin Fang Flat panel display remote-controlled viewing angle adjustment system
NL2005867C2 (nl) * 2010-12-16 2012-06-19 Er Wonen Televisiemeubel.
CN102778892A (zh) * 2011-05-12 2012-11-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及该显示装置的转动方法
US8746642B2 (en) * 2012-02-15 2014-06-10 Peerless Industries, Inc. Mounting system for use with audio/visual devices or the like
DE202012003790U1 (de) * 2012-04-13 2013-07-17 Joseph Vögele AG Straßenfertiger mit verstellbarem Bedienpult
TW201407567A (zh) * 2012-08-09 2014-02-16 Hon Hai Prec Ind Co Ltd 展示板調整系統、方法及具有該調整系統的廣告板
US20140070963A1 (en) * 2012-09-12 2014-03-13 Jack Z. DeLorean Traffic controlled display
TWM460317U (zh) * 2013-04-24 2013-08-21 Quanta Comp Inc 顯示面板裝置
CN103411104B (zh) * 2013-07-26 2016-02-17 国家电网公司 可调倾斜角度的显示屏支架
US9837002B2 (en) * 2013-08-16 2017-12-05 Graphic Resource Group Universal column display system
US9454917B1 (en) * 2015-09-30 2016-09-27 Todd S. King Display wall mount
US9933107B2 (en) * 2015-09-30 2018-04-03 Todd S. King Display wall mount
CN105735657B (zh) * 2015-12-28 2017-11-07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适用于竖向预制构件的自适应斜撑调垂装置
CN105569363B (zh) * 2016-02-06 2018-02-13 上海建工五建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预制构件斜撑的旋转接头连接装置及使用方法
US10220797B2 (en) * 2016-11-23 2019-03-05 Joseph Newman Anti-vibration mount for an in-vehicle video display
EP3396226B1 (en) * 2017-04-27 2023-08-23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A method and a device for adjusting a position of a display screen
US10625688B2 (en) * 2017-11-06 2020-04-21 Global Ip Holdings, Llc Assembly capable of deploy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play screen in a vehicle
PL424552A1 (pl) * 2018-02-09 2019-09-23 Edbak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Urządzenie montażowe dla paneli audiowizualnych
PL424553A1 (pl) * 2018-02-09 2019-09-23 Edbak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Modułowy segment montażowy dla urządzeń audiowizualnych
CN109545091B (zh) * 2018-12-28 2024-02-06 深圳市创显光电有限公司 一种拼接式led显示屏支架结构及其拼接方法
US11079996B2 (en) * 2019-03-22 2021-08-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ellular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98813A (en) * 1924-06-24 Collapsible elevator
US4025053A (en) * 1976-05-10 1977-05-24 Stickle Jr Warren Edward Screw actuated scissor jack with a self adjusting bearing surface
US4203636A (en) * 1978-05-24 1980-05-20 Wells Theodore W Rockable TV mount
CH653464A5 (en) 1980-04-22 1985-12-31 Bend S A Device for pivoting and inclining a video display unit (VDU)
US4712653A (en) * 1985-08-14 1987-12-15 Lift-R Technologies, Inc. Energy-recycling scissors lift
US4720805A (en) * 1985-12-10 1988-01-19 Vye Scott R Computerized control system for the pan and tilt functions of a motorized camera head
US5124805A (en) * 1988-12-08 1992-06-23 Daewoo Electronics, Co., Ltd. Remote control operated moving television receiver
US4959645A (en) * 1988-12-23 1990-09-25 Balz Richard C Remotely activated television swivel base
US5261645A (en) * 1989-07-31 1993-11-16 Huffman Charles E Projector ceiling lift
US5366203A (en) * 1989-07-31 1994-11-22 Safety Lock And Lift, Ltd. Projector ceiling lift
US5305435A (en) * 1990-07-17 1994-04-19 Hewlett-Packard Company Computer window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off-screen document storage and retrieval
US5321579A (en) * 1991-07-19 1994-06-14 Teknion Furniture Systems Office panelling system with a monitor screen mounted on a cantilevered adjustable arm
US5474376A (en) * 1992-03-09 1995-12-12 Saunders; Donald W. Support linkage apparatus assembly
US5668570A (en) * 1993-06-29 1997-09-16 Ditzik; Richard J. Desktop computer with adjustable flat panel screen
DE4336662A1 (de) * 1993-10-27 1995-05-04 Stamm Johann Scherenhubtisch
US5583735A (en) * 1994-01-18 1996-12-10 Hollingsead International, Inc. Aircraft video monitor deployment and retraction apparatus
US5592724A (en) * 1994-02-14 1997-01-14 Batesville Casket Company, Inc. Mechanism for lifting and tilting the bed of a casket
US5525019A (en) * 1994-11-23 1996-06-11 Lantis Corporation Rear platform lift
JP3260589B2 (ja) 1995-05-23 2002-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取り付け装置
US5618995A (en) * 1995-07-05 1997-04-08 Ford Motor Company Vehicle vibration simulator
US5634622A (en) * 1995-09-18 1997-06-03 Pye; Craig D. Remote controllable television viewing stand
KR100208985B1 (ko) * 1995-10-19 1999-07-15 전주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페널의 스탠드형 설치 장치
US5842672A (en) * 1996-06-07 1998-12-01 Ergotron, Inc. Mounting system for flat panel display, keyboard and stand
US6288891B1 (en) * 1996-11-21 2001-09-11 Canon Kabushiki Kaisha Movable display apparatus
CA2265639A1 (en) * 1997-07-14 1999-01-21 Vertical Mobility, Llc Convertible lift mechanism
CA2249526C (en) * 1997-10-06 2002-07-09 Elevator News Network, Division Of Verticore Communications Ltd. Hinged brackets
US6095476A (en) * 1998-02-12 2000-08-01 Mathis; Virgil Adjustable television stand
US6149253A (en) * 1998-04-27 2000-11-21 Talasani; Raghuram Reddy Video display positioning system
US6586854B1 (en) * 1998-08-10 2003-07-01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Vibrating apparatus and simulator apparatus using vibrating apparatus
WO2000035192A1 (en) * 1998-12-04 2000-06-15 Transdigital Communications Corporation Video display positioning system
KR100279633B1 (ko) * 1998-12-08 2001-02-01 구자홍 2축 동력회전장치와 그 제어방법
US6186279B1 (en) * 1999-07-14 2001-02-13 Ron Darrell Blocker Low-rise vehicle lift for use over a pit
US6257372B1 (en) * 1999-07-15 2001-07-10 Kelley Company, Inc. Scissor lift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6532147B1 (en) * 1999-09-24 2003-03-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exible monitor/display on mobile device
US6170408B1 (en) * 1999-10-28 2001-01-09 Scott Anthony Gombrich Adaptive stand for a video monitor
US6633276B1 (en) * 1999-12-09 2003-10-14 Sony Corporation Adjustable viewing angle flat panel display unit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US6389623B1 (en) * 2000-03-23 2002-05-21 Ferno-Washington, Inc. Ambulance stretcher with improved height adjustment feature
US6633286B1 (en) * 2000-09-01 2003-10-14 Rockwell Colli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monitor deployment
US6357768B1 (en) * 2000-09-19 2002-03-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Straight line linkage mechanism
GB2370171A (en) 2000-10-10 2002-06-19 Ned Kandeh Sesay Monitor mount with motor-driven adjustment
US6484993B2 (en) * 2000-12-14 2002-11-26 Safety Lock & Lift, Ltd. Pivotal arm lift for television display
US6619960B1 (en) * 2001-02-06 2003-09-16 Aviation Simulation Trainers, Inc. Linear control loading system
US6585214B1 (en) * 2001-03-28 2003-07-01 Chief Manufacturing Incorporated Extended travel lift mechanism for a flat panel display
KR100406487B1 (ko) * 2001-06-05 2003-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DE10224764B4 (de) 2001-06-05 2005-03-10 Lg Electronics Inc Apparat zur Winkeleinstellung eines Displaymittels
US6637818B2 (en) * 2001-08-24 2003-10-28 Jerry Wayne Williams Portable lift seat apparatus
US6604722B1 (en) * 2002-06-10 2003-08-12 Seng-Ling Tan Display support
US6679479B1 (en) * 2002-06-27 2004-01-20 Steel Equipment Specialists, Llc Scissor lift mechanism
KR100482007B1 (ko) * 2002-09-28 200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US6831829B2 (en) * 2002-10-11 2004-12-14 Sharut Furniture Furniture with vertically movable flat panel display screen
KR100521359B1 (ko) 2002-12-03 2005-10-14 강태욱 Tv수상기 위치제어장치
US6655645B1 (en) * 2002-12-31 2003-12-02 Shin Zu Shing Co., Ltd. Automatically adjusting support for an LCD monitor
KR100506519B1 (ko) * 2003-01-06 200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각도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US20040211870A1 (en) * 2003-04-11 2004-10-28 Jeff Bremmon Universal mount bracket
US20040232298A1 (en) * 2003-04-11 2004-11-25 Jeff Bremmon Flat panel display mounting system
US7317611B2 (en) * 2003-07-23 2008-01-08 Chief Manufacturing Inc. Under-cabinet mount for flat-panel displays
US20050110911A1 (en) * 2003-11-25 2005-05-26 Childrey Joseph B. Remotely controlled wall-mounted television bracket
KR20050083030A (ko) 2005-05-23 2005-08-24 주식회사 엘엠디 평판 디스플레이용 벽면 거치대
KR20050080139A (ko) 2005-07-15 2005-08-11 한국소니전자(주) 텔레비젼 거치대의 원격 자동 각도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07916A3 (en) 2008-10-30
US20060219856A1 (en) 2006-10-05
US7780131B2 (en) 2010-08-24
EP1727951A2 (en) 2006-12-06
KR100797063B1 (ko) 2008-01-23
WO2006107916A2 (en)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063B1 (ko) 기준면에 대해 장치를 재위치시킬 수 있는 장착 시스템
US6149253A (en) Video display positioning system
US20090057514A1 (en) Mounting system adapted to extend and retract in a straight line
CN102869287B (zh) 端正姿势用书桌和包括该书桌的系统家具
US7607620B2 (en) Support for one or more flat panel displays
US7967271B2 (en) Viewing angle adjustment system for a monitor
US20060238661A1 (en) Mounting system capable of adjusting viewing angle of a monitor
US20070030405A1 (en) Remotely controlled wall-mounted television bracket
US11959583B2 (en) Adjustable display mounting system
GB2502150A (en) A visual display unit mount
US20090159768A1 (en) Mount System Utilizing One Motor to Extend/Retract and Tilt a Monitor
US20080149795A1 (en) Mount system for a monitor having a motorized tilt
CN101915351A (zh) 万向遥控式液晶电视挂架
KR100585552B1 (ko) 모니터의 시야각을 조정할 수 있는 마운팅 시스템
US20060050239A1 (en) Crane for shooting
US20230016050A1 (en) Display mounting system with adjustable weight counterbalance
JP2004191601A (ja) 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及びマルチディスプレイ並びにマルチディスプレイの使用方法
CN101375007A (zh) 可相对参考平面重新定位装置的安装系统
WO2000073697A1 (en) Support arrangement for a display device
US10619789B1 (en) Height-adjustable stand for a flat-screen television
CN109330544A (zh) 一种腔镜支架及腔镜系统
KR200428025Y1 (ko) 카메라용 크레인
US20070279851A1 (en) Flexible enclosure for a motorized mount
KR20080006657A (ko) 카메라용 크레인
CN209695156U (zh) 一种腔镜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