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017A -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017A
KR20070088017A KR1020060018114A KR20060018114A KR20070088017A KR 20070088017 A KR20070088017 A KR 20070088017A KR 1020060018114 A KR1020060018114 A KR 1020060018114A KR 20060018114 A KR20060018114 A KR 20060018114A KR 20070088017 A KR20070088017 A KR 20070088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ource device
analog
operand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8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8017A/ko
Publication of KR20070088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른 프레임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가 소정의 소스 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제공받는 경우,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신호 출력단자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거나, 다른 출력단자를 통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는 소스 기기와 기 정의된 소정의 출력명령 및 그 출력명령에 대한 응답을 서로 교환한다.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직렬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영상표시장치는 디지털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티브이가 적용될 수 있다.
티브이, 아날로그 영상신호, IEEE 1394, DTV

Description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른 프레임 구조{Method of controlling analog video output of source device and frame architecture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표시장치와 소스기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TV와 소스 기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출력상태명령(ANALOG OUTPUT status command)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출력상태명령에 대한 응답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상태명령을 전송하는 DTV의 동작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6은 출력제어명령(ANALOG OUTPUT control command)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출력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제어명령을 전송하는 DTV의 동작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가 소정의 소스 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제공받음에 있어,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출력단자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거나, 출력단자를 변경하도록 하는,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른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일부 디지털 티브이는 디지털 영상신호 뿐 아니라, 아날로그 영상신호도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디지털 티브이에 연결되어 소정의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소스 기기도 디지털 영상신호 뿐 아니라,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아날로그 영상신호에는 콤포넌트(Component), 콤포지트(Composite) 및 슈퍼 비디오(S-video) 등의 형태가 있으며, 이러한 형태에 따라 소정의 영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따라서 소스 기기로부터 소정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티브이는 어느 입력단자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수신해야 할지를 미리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표시장치가 소정의 소스 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제공받음에 있어,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출력단자에 대 한 정보를 파악하거나, 출력단자를 변경하도록 하는,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른 프레임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식에 따른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소스(source)기기에 연결된 영상표시장치가, 상기 출력단자 중 선택된 출력단자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출력할 것을 요청하는 출력제어명령을 별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기기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상기 전송된 출력제어명령에 대응한 제어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상기 소스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기기의 응답은, 상기 출력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소정의 수락응답, 대기응답 및 거절응답 중 하나이며, 상기 수락응답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출력단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디지털 티브이이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IEEE 1394 직렬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제어명령은, 오피코드(Opcode), Operand[0], Operand[1] 및 Operand[2]를 포함하는 AV/C(Audio/Video Control) 명령(command)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상기 Operand[1]은, 상기 선택된 출력단자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출력형식' 필드이며, 상기 Operand[2]는, 상기 선택된 출력단자 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출력번호' 필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아날로그출력형식' 및 '아날로그출력번호'필드에 대한 값은, 상기 소스 기기가 상기 선택된 출력단자를 임의로 정하도록 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기기가 상기 출력제어명령에 의한 제어를 수락하는 수락 응답은, 오피코드(Opcode), Operand[0], Operand[1] 및 Operand[2]를 포함하는 AV/C(Audio/Video Control) 명령(command)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상기 Operand[1]은, 상기 선택된 출력단자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출력형식' 필드이며, 상기 Operand[2]는, 상기 선택된 출력단자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출력번호' 필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는,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상기 소스 기기에 포함된 출력단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출력상태명령을 별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기기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출력상태명령을 기초로 상기 소스기기가 전송하는 응답을,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수신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상태명령에 대한 응답은, 오피코드(Opcode), Operand[0], Operand[1] 및 Operand[2]를 포함하는 AV/C(Audio/Video Control) 명령(command)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상기 Operand[0]은,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Operand[1]은, 상기 소스 기기에 의해 기 설정된 출 력단자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아날로그출력형식' 필드이며, 상기 Operand[2]는, 상기 소스 기기에 의해 기 설정된 출력단자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아날로그출력번호' 필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른 프레임 구조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식에 따른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소스(source)기기에 연결된 별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며, 상기 출력단자 중 선택된 출력단자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출력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의 프레임 구조로서 오피코드(Opcode), Operand[0], Operand[1] 및 Operand[2]를 포함하는 AV/C 명령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되, 상기 Operand[1]은, 상기 선택된 출력단자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출력형식' 필드이고, 상기 Operand[2]는, 상기 선택된 출력단자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출력번호' 필드이다.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따른 프레임 구조의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식에 따른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소스(source)기기에 연결된 별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며, 상기 소스 기기에 포함된 출력단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출력상태명령에 대한 응답의 프레임 구조로서 오피코드(Opcode), Operand[0], Operand[1] 및 Operand[2]를 포함하는 AV/C 명령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되, 상기 Operand[0]은, 상기 소스 기기가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출력할 것으로 기 설정한 출력단자를 소정의 제어명령에 의해 다른 출력단자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Operand[1]은, 상기 기 설정된 출력단자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아날로그출력형식' 필드이며, 상기 Operand[2]는, 상기 기 설정된 출력단자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아날로그출력번호' 필드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상표시장치와 소스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1)가 소스 기기(103)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1)는 소스 기기(103)로부터 소정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1)는 소스 기기(103)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1)는 다양한 아날로그 입력단자 중 어느 입력단자를 사용하여 수신해야 하는 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1)는 소정의 제어명령을 소스 기기(103)로 출력하여 다른 출력단자를 통해, 다시 말해 다른 형식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1)는 적어도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a)를 통해 소스 기기(103)와 연결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1)는 콤포넌트(Component), 콤포지트(Composite) 및 슈퍼 비디오(S-video) 아날로그 영상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처리할 수 있으며, 처리 가능한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입력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1)에 포함된 통신 인터페이스(a)는 직렬 인터페이스가 바람직하며,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규격이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1)가 디지털 티브이(Digital TeleVision, 이하 'DTV'라 함)이면, 통신 인터페이스 a는 DTV를 위한 IEEE 1394 인터페이스에 관한 규격인 CEA-775B 규격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1)가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DTV인 경우, IEEE 1394 규격을 따르는 통신 인터페이스(a)를 통해 디지털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소스 기기(103)는 소정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고, 출력 가능한 영상신호의 형식에 대응하는 출력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소스 기기(103)는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b)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1)와 연결될 수 있다. 소스 기기(103)에는 셋탑박스(STB: Set-Top Box), 디지털 브이시알(Digital VCR), 캠코더(Camcoder) 등이 해당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1)는, 소스 기기(103)로부터 소정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수신함에 있어, 소스 기기(103)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이하 '아날로그 소스'라 함)의 출력단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소정의 아날로그 소스를 출력할 소스 기기(103)의 단자를 변경토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영상표시장치(101)는 소스 기기(103)의 아날로그 소스 출력단자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출력상태명령(ANALOG OUTPUT status command)을 소스 기기(103)로 전송할 수 있다. 소스 기기(103)는 영상표시장치(101)가 전송하는 출력상태명령에 대응하여, 소정의 응답을 영상표시장치(101)로 전송한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1)는, 소스 기기(103)로 하여금 소정의 아날로그 소스를 출력할 단자를 변경토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출력제어명령(ANALOG OUTPUT control command)을 소스 기기(103)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1)가 전송하는 출력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소스 기기(103)는 소정의 응답을 전송한다.
소스 기기(103)가 출력제어명령 또는 출력상태명령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1)로 응답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거절(reject)응답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1)가 DTV이고 CEA-775B 규격을 지원하는 경우, 출력상태명령, 출력제어명령 및 그 응답을 도 2 내지 도 6을 기초로 설명한다. 먼저, 영상표시장치(101)와 소스 기기(103)간의 CEA-775B 규격에 대해 설명한다.
CEA-775B는 DTV의 IEEE1394 인터페이스에 관한 규격으로써 1394 직렬 버스를 통하여 디지털 셋톱박스, 디지털 브이시알 등과 같은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소스(digital audio/video source, 이하 '디지털 소스'라 함) 기기와 DTV 간의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Stream 및 OSD(On Screen Display)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정의하고 있는 규격이다. 또한 CEA-775B는 부가적으로 소스 기기와 DTV 간의 아날로그 소스의 연결 방법에 대해서도 정의하고 있으며 그에 따 라서 DTV가 1394 연결이 아닌 아날로그 영상신호 입력단자를 통하여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소스를 받아들일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DTV가 IEEE 1394 직렬 인터페이스를 위한 CEA-775B를 지원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소스기기가 영상표시장치의 아날로그 영상 입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새로운 AV/C(Audio/Video Control) Command의 프레임 구조에 대한 제안이 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TV와 소스 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DTV(210)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1)에 대응되고, 소스 기기(230)는 도 1의 소스 기기(103)에 대응된다.
DTV(210)는 소스 기기(230)로부터 소정의 디지털 소스와 아날로그 소스를 입력받아 처리할 수 있으며, DTV(210)의 IEEE 1394 인터페이스(211)는 CEA-775B 규격을 지원한다.
DTV(210)는, 1394 인터페이스(211)를 통해 소스 기기(230)로부터 MPEG TS(Transport Stream)와 OSD(On Screen Display)를 수신할 수 있으며, 소스 기기(230)는 소정의 AV/C(Audio/Video Control) command를 이용하여 DTV(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소스 기기(230)가 DTV(210)를 제어하는 기능에는 Analog/Digital Source Selection(External Jack Selection) 기능 등이 포함된다.
소스 기기(230)는 CEA-775B에 의한 IEEE 1394 인터페이스(231)를 포함하며, CEA-775B 규격에 따른 소정의 제어 명령(Control command)을 이용하여 DTV(2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디지털 소스 뿐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통해 적어도 한 개 형식의 아날로그 소스를 DTV(21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DTV(210)가 소스 기기(230)의 아날로그 출력단자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아날로그 소스를 출력하는 소스 기기(230)의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지정하기 위한, 아날로그 출력명령(ANALOG OUTPUT command)를 정의한다. 아날로그출력명령은, 출력상태명령(ANALOG OUTPUT status command)과 출력제어명령(ANALOG OUTPUT control command)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소스 기기(230)가 DTV(210)로 전송하는 아날로그 출력명령(ANALOG OUTPUT command)을 설명한다.
이러한 출력상태명령 및 출력제어명령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V/C 명령에 따르므로, 아래의 도 3, 도 4, 도 6 및 도 7에서 제시되는 프레임 구조는, CEA-775B 규격에 따른 AV/C 명령의 프레임에 포함된다. 따라서 출력상태명령 및 출력제어명령은, AV/C 명령에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ctype(command type)' 필드, 'subunit_type'필드 및 'subunit_ID'필드를 포함하며, 이러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출력상태명령 및 출력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은 AV/C 응답(response)에 따르므로, 아래의 도 4 및 도 7에서 제시되는 프레임 구조는 AV/C 응답의 프레임에 포함된다. 따라서 출력상태명령 및 출력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은 'response'필드, 'subunit_type'필드 및 'subunit_ID'필드를 포함하며, 이러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출력상태명령(ANALOG OUTPUT status command)의 프레임을 도시한 것이다.
출력상태명령은, DTV(210)가 아날로그 소스를 출력할 상대 기기인 소스 기기(230)의 아날로그 출력단자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소스 기기(230)로 보내는 명령이다. 이 명령을 통해 DTV(210)는 소스 기기(230)가 아날로그 소스를 어떤 출력 단자로 전송할 것인지를 알 수 있다.
DTV(210)가 능동적으로 analog source selection시 사용할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정하고자 할 때 쓸 수 있는 명령이 출력제어명령이라면, 출력상태명령은 현재 소스 기기(230)가 아날로그 소스를 내보내도록 설정되어있는 아날로그 출력 단자의 정보를 DTV(210)가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DTV(210)가 출력제어명령을 전송하기에 앞서 출력상태명령을 통해, 소스 기기(230)가 출력제어명령에 의한 제어를 수용할 수 있는지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출력상태명령은, CEA-775B 규격에 따른 다른 제어명령(AV/C command)과 기본적인 프레임의 형태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의 실시 예는 그러한 기초에서 작성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태 명령은 OPcode, Operand[0] 내지 Operand[2]를 포함한다.
Opcode는 DTV(201)에서 소스 기기(203)로 전송되는 아날로그출력명령(ANALOG OUTPUT command)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 정의되어있는 제어명령(AV/C command)과 중복되지 아니하는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Opcode로 2716 할당한다.
Operand[0]은 출력상태명령의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AV/C 명령으로서의 기본적인 형식을 맞추기 위한 것이며, 데이터로서의 의미는 없다. 도 3의 실시 예에서, Operand[0]의 LSB(Least Significant Bit)부터 2개 비트는 '선택(selectable)' 필드로 할당하고, 그 나머지 비트는 예비로 할당하였으며, 이것은 출력상태명령에 대한 응답의 프레임의 형식을 가져온 것이다. 선택 필드는, DTV(210)가 출력제어명령을 사용하여 소스 기기(230)의 특정 아날로그 소스의 출력 단자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필드는 무슨 값을 포함하더라도 무방하다. Operand[0]에서 선택필드를 제외한 나머지는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기 위해 예비로 둔다. 다만, Operand[0]에서 선택필드를 제외한 나머지, 즉 예비는 3F16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필드는 아래의 출력상태명령에 대한 응답을 설명할 때 다시 자세히 설명한다.
Operand[1]와 operand[2]은 예비로서, 각각 FF16로 채워질 수 있다.
DTV(210)가 CEA-775B 규격에 따라 소스 기기(230)로 출력상태명령을 전송하면, 소스 기기(230)는 이에 대응하여 소정의 응답을 DTV(210)로 전송한다.
도 4는 출력상태명령에 대한 응답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소스 기기 (230)가 DTV(210)로 전송하는 출력상태명령에 대한 응답은, CEA-775B 규격에 따른 다른 AV/C 응답과 기본적인 프레임의 형태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의 실시 예는 그러한 기초에서 작성된 것이다. 또한, 도 4의 실시 예는, 도 3의 출력상태명령을 기초로 한 것이다. 따라서 도 4에서 제시되지 아니한'response'필드, 'subunit_type'필드 및 'subunit_ID'필드를 포함하며, 이러한 필드의 값을 기초로, 도 4의 프레임이 응답임을 알 수 있다.
소스 기기(230)는 출력상태명령에 대한 응답에 현재 지정된 아날로그 출력 단자에 대한 정보(selectable_analog_output_type 필드, selectable_analog_output_no 필드)와 함께 다른 형식의 출력 단자로 바꿔서 선택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선택' 필드)도 실어서 되돌려준다. DTV(210)는 이 정보를 통해 어떠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야 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출력상태명령에 대한 응답은 지정된 아날로그 출력단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응답(stable response)과 해당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거절응답(rejected response)을 포함한다. 도 4는 상태응답을 기초로 도시되었으며, 설명도 상태응답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4을 참조하면, 출력상태명령에 대한 응답은 OPcode, Operand[0] 내지 Operand[2]을 포함한다. 출력상태명령에 대한 응답에 포함된 OPcode는 도 3의 출력상태명령에 포함된 OPcode와 동일한 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perand[0]의 '선택' 필드에는 DTV(210)가 아래에서 설명될 '출력제어명령'을 사용하여 소스 기기(230) 자신의 특정 아날로그 소스의 출력 단자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표 1은 '선택' 필드의 값을 보인다.
Value '선택'필드의 값
016 선택불가 (Not selectable)
116 선택가능 (Selectable)
216 Reserved
316 Invalid (거절응답의 경우)
'선택' 필드의 값이 0이면, 소스 기기(230)가 출력제어명령를 사용하여 특정 아날로그 출력 단자를 선택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의미하고, 1은 선택 가능함을 의미한다. 2는 예비로 두고, 3은 '거절'응답용으로 사용된다.
Operand[1]은 '설정아날로그출력형식(selected_analog_output_type)'필드로서, 소스 기기(230)에 의해 기 지정된 아날로그 출력단자의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다음의 표 2는 '설정아날로그출력형식' 필드 값의 일 예를 보인다.
Value 아날로그출력형식(Analog Output Type)
0016 Composite
0116 S-Video
0216 Component
0316 ~ FD16 Reserved
FE16 임의로 사용 가능한 출력 단자
FF16 Invalid (거절응답의 경우)
표 2에는 composite, S-Video 및 component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출력 단자의 형식에 대한 값이 정의되어 있다.
또한, '예비' 항목을 두어 여기에 정의되지 않은 형식의 아날로그 출력 단자에 대한 값도 추가로 정의할 수 있도록 한다.
필드 값 FE16은 임의의 사용 가능한 출력 단자를 뜻하는 것으로, 출력제어명령을 전송하는 DTV(210)가 특정 아날로그 출력단자의 형식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 사용한다. 다시 말해, DTV(210)가 소스 기기(230)로 출력제어명령을 보낼 때, 특정 출력 단자를 지정하지 않고, 소스 기기(230)가 선택하는 임의의 출력 단자를 지정하고자 할 경우 사용된다.
한편 필드 값이 FF16는, 소스 기기(230)가 출력상태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거절응답을 전송하는 경우 사용된다.
Operand[2]는 '설정아날로그출력번호(selected_analog_output_no)'필드로서, 아날로그 출력 단자의 번호를 나타내는 값이다.
여기서, 아날로그출력번호는 하나의 소스 기기(230)에 형식이 같은 아날로그 출력 단자가 두 개 이상 존재할 경우, 각각을 구분하기 위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어떤 소스 기기가 component 출력 단자를 두 개 가지고 있을 경우, 해당 단자를 각각 component 1, component 2로 구분하여 할당한다.
아날로그출력번호는 같은 형식에 대해서만 할당되며, 형식이 같은 아날로그 출력 단자가 하나일 경우에는 번호를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특정 형식의 아날로그 출력 단자가 한 개일 경우, '설정아날로그출력번호(selected_analog_output_no)'필드 값은 0이며, 두 개 이상일 경우는 1에서부터 순서대로 매겨진 번호가 아날로그출력번호 필드의 값이 된다. 다음의 표 3은 '설정아날로그출력번호' 필드 값의 일예를 보인다.
Value '아날로그출력번호'필드의 값
0016 기본 (default)
0116 ~ FD16 출력단자 1 ~ 출력단자 253
FE16 임의로 사용 가능한 번호
FF16 Invalid (거절응답의 경우)
필드 값 FE16은 임의의 사용 가능한 출력 단자를 뜻하고, 필드 값 FF16은 거절응답 용으로 사용된다.
소스 기기(230)는 Operand[1] 및 Operand[2]의 값을 할당함에 있어, 스스로 설정한 출력 단자 하나의 형식 및 그 단자의 번호 값을 추출하여 상태응답을 할 수 있다.
소스 기기(230)는 상태응답이 아닌 거절응답을 보낼 수 있다. 거절응답은, 소스 기기(230)가 어떠한 아날로그 영상신호도 출력할 수 없는 경우를 포함하여 소스 기기(230)의 측면에서 상태응답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거절응답의 경우에는, 선택 필드, Operand[1] 및 Operand[2]의 값이 표 1 내지 표 3과 같이 FF16으로 채워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상태명령을 전송하는 DTV의 동작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로서, DTV(210)는, 소스 기기(230)의 아날로그 출력단자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출력상태명령을 소스 기기(230)로 보내고(S501), 이에 대응하여 소스 기기(230)로부터 소정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S503).
출력상태명령을 소스 기기(230)로 보내 현재 지정된 출력단자를 확인한 DTV(210)가, 만일 자신이 원하는 형식의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통해 아날로그 소스를 받아들이고 싶다면, 출력제어명령을 소스 기기(230)로 보내어 소스 기기(210)로 하여금 해당 아날로그 출력 단자로 전환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도 6은 출력제어명령(ANALOG OUTPUT control command)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출력제어명령은, 상대 기기인 소스 기기(230)가 아날로그 소스를 출력할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특정 형식의 출력단자로 정하기 위해 소스 기기(230)로 보내는 명령이다.
출력제어명령은, CEA-775B 규격에 따른 다른 제어명령(AV/C command)와 기본적인 프레임의 형태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6의 실시 예는 그러한 기초에서 작성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태 명령은 OPcode, Operand[0] 내지 Operand[2]를 포함한다. Operand[0] 내지 Operand[2]는 각각 선택(selectable)필드, 아날로그출력형식(analog_output_type)필드 및 아날로그출력번호(analog_output_no) 필드로 할당된다.
출력제어명령도 출력상태명령과 같이, 아날로그출력명령에 포함되므로, Opcode는 도 3의 출력상태명령의 Opcode와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Opcode는 DTV(201)에서 소스 기기(203)로 전송되는 아날로그출력명령(ANALOG OUTPUT command)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며, 바람직하게는 Opcode로 2716 할당한다.
DTV(201)에서 소스 기기(203)로 전송되는 해당 명령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에 정의되어있는 제어명령(AV/C command)과 중복되지 아니하는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출력제어명령도 출력상태명령과 같은 출력명령이므로, Opcode로 2716 할당한다.
우선 Operand[0]은, 도 3의 출력상태명령의 Operand[0]과 마찬가지로, 출력제어명령의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AV/C 명령으로서의 기본적인 형식을 맞추기 위한 것이며, 데이터로서의 의미는 없다. 다만, Operand[0]의 LSB()부터 2개 비트는 '선택(selectable)' 필드로서, 대상 기기, 즉 DTV(210)가 출력제어명령을 사용하여 소스 기기(230)의 특정 아날로그 소스의 출력 단자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필드는 무슨 값을 포함하더라도 무방하다. Operand[0]에서 선택필드를 제외한 나머지는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기 위해 예비로 둔다. 다만, Operand[0]에서 선택필드를 제외한 나머지는 3F16인 것이 바람직하다.
Operand[1] 및 Operand[2]는 각각 '아날로그출력형식' 및 '아날로그출력번호' 필드에 해당하며, 소스 기기(230)의 아날로그 출력단자 형식 및 번호에 대한 값으로 DTV(210)가 정한 것이다. '아날로그출력형식' 및 '아날로그출력번호' 필드 값은 표 2 및 표 3을 사용할 수 있다.
DTV(210)는 소정의 방법으로, 소스 기기(230)의 아날로그 출력단자 중 하나를 지정할 수 있으며, 소스 기기(230)에 의해 임의의 출력단자로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소스 기기(230)가 출력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여 DTV(210)로 전송할 수 있는 응답에는 수락(ACCEPTED)응답, 거절응답 및 대기(Interim) 응답을 포함한다.
도 7은 출력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소스 기기(230)가 DTV(210)로 전송하는 상태 명령에 대한 응답은, CEA-775B 규격에 따른 AV/C 응답과 기본적인 프레임의 형태를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7의 실시 예는 그러한 기초에서 작성된 것이다. 따라서 도 7에서 제시되지 아니한 'response'필드, 'subunit_type'필드 및 'subunit_ID'필드를 포함하며, 이러한 'response'필드의 값을 기초로, 도 7의 프레임이 응답인지 여부와 응답 중에서도 수락응답인지, 거절응답 또는 대기응답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도 7의 실시 예는, 도 6의 출력제어명령을 기초로 한 것이다.
출력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은, 수락응답(AV/C 응답의 'response'필드값이 916), 거절응답(AV/C 응답의 'response'필드값이 A16) 및 대기응답(AV/C 응답의 'response'필드값이 F16)을 포함하고, 도 7은 수락응답을 기초로 도시되었으며, 설명도 수락응답을 기초로 설명된다.
수락응답은 DTV(210)의 출력제어명령에 따른 아날로그 출력단자의 전환을 수락하는 것으로, 수락응답을 받은 DTV(210)는 아날로그 소스가 어떠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될 것인지 알 수 있게 되므로 외부 입력 전환을 정확히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출력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은 OPcode, Operand[0] 내지 Operand[2]을 포함한다. 출력제어명령에 대한 응답에 포함된 OPcode는 도 6의 출력제어명령에 포함된 OPcode와 동일한 값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perand[0]의 '선택' 필드에는 DTV(210)가 출력제어명령을 사용하여 소스 기기(230) 자신의 특정 아날로그 소스의 출력 단자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상태명령에 대한 응답으로만 유효한 값이다. '선택' 필드의 값은 어떠한 것도 무방하나, 316(Invalid)을 사용할 수 있다.
Operand[1] 및 Operand[2]는 '업데이트아날로그출력형식(Updated_analog_output_type)' 필드 및 '업데이트아날로그출력번호(Updated_analog_output_no)' 필드로서, 응답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다. 수락응답의 경우, DTV(210)의 출력제어명령에 포함된 아날로그출력형식 및 아날로그출력번호로의 전환을 인정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변경된 아날로그 출력단자의 형식 및 번호를 입력한다.
또한, 출원제어명령의 Operand[1] 및 Operand[2]에 '임의의 사용 가능'을 나타내는 FE16이 포함된 경우, 소스 기기(230)는 자신의 출력단자 중 하나를 정하여 해당 출력단자의 형식 및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소스 기기(230)는 기 지정한 출력단자가 아닌 새로운 출력단자를 정하고, 새롭게 정해진 출력단자의 형식과 번호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스 기기(230)는, 수신한 출력제어명령에 대응하여, DTV(210)로 거절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거절응답은 AV/C 응답의 형태로 보낼 수 있으며, response 필드의 값을 A16 하여 보낸다. 거절응답의 경우, 거절응답을 보내는 것 자체가 의미가 있을 뿐 그 Operand에 포함된 값은 무의미하며, 출력제어명령과 동일한 값을 보낼 수 있다.
또한, 소스 기기(230)는, 수신한 출력제어명령에 대응하여, DTV(210)로 대기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대기응답은, DTV(210)의 출력제어명령을 수락하는 경우이나, 출력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소정 시간 이내에 수락응답을 보낼 수 없는 경우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0.1(100 msec)초가 바람직하다.
수락응답에 의해 출력제어명령이 받아들여질 경우, DTV(210)는 소스 기기(230)가 처음 설정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대신 자신이 원하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제어명령을 전송하는 DTV의 동작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로서, DTV(210)는, 소스 기기(230)가 소정의 출력단자로 아날로그 소스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 출력제어명령을 소스 기기(230)로 보내고(S801), 이에 대응하여 소스 기기(230)로부터 소정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S803).
본 발명은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필요한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코드 세그먼트(code segment)로 대치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나 코드 세그먼트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전송매체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반송파(carrier waves)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로서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매체는 전자회로, 반도체 메모리 소자, 롬(ROM), 플래시(Flash)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로피 디스크, 광학적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섬유, 무선 네트워크 등과 같이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데이터는 전기적 네트워크 채널, 광섬유, 전자기장, 무선 네트워크 등을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소정의 소스 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제공받는 경우, 소정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출력단자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거나, 출력단자를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표시장치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규격에 관한 CEA-775B 규격을 지원하는 디지털 티브이인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Analog/Digital Source Selection 기능을 수행코자 하는 DTV(Digital TV) 입장에서 어떤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스 기기가 지원할 경우 DTV가 원하는 형식의 아날로그 출력 단자로 전환할 수도 있으므로 DTV가 능동적으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식에 따른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소스(source)기기에 연결된 영상표시장치가, 상기 출력단자 중 선택된 출력단자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출력할 것을 요청하는 출력제어명령을 별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기기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상기 전송된 출력제어명령에 대응한 제어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상기 소스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기의 응답은,
    상기 출력제어명령에 대응하는 소정의 수락응답, 대기응답 및 거절응답 중 하나이며, 상기 수락응답을 전송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출력단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디지털 티브이이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IEEE 1394 직렬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제어명령은, 오피코드(Opcode), Operand[0], Operand[1] 및 Operand[2]를 포함하는 AV/C(Audio/Video Control) 명령(command)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상기 Operand[1]은, 상기 선택된 출력단자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출력형식' 필드이며,
    상기 Operand[2]는, 상기 선택된 출력단자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출력번호'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아날로그출력형식' 및 '아날로그출력번호'필드에 대한 값은, 상기 소스 기기가 상기 선택된 출력단자를 임의로 정하도록 하는 정보에 대응하는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기기가 상기 출력제어명령에 의한 제어를 수락하는 수락 응답은, 오피코드, Operand[0], Operand[1] 및 Operand[2]를 포함하는 AV/C 명령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상기 Operand[1]은, 상기 선택된 출력단자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출력형식' 필드이며,
    상기 Operand[2]는, 상기 선택된 출력단자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출력번호'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상기 소스 기기에 포함된 출력단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출력상태명령을 별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소스 기기에게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출력상태명령을 기초로 상기 소스기기가 전송하는 응답을, 상기 영상표시장치가 수신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디지털 티브이이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IEEE 1394 직렬 인터페이스이며,
    상기 출력상태명령에 대한 응답은, 오피코드, Operand[0], Operand[1] 및 Operand[2]를 포함하는 AV/C 명령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상기 Operand[0]은,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제어에 의해 상기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출력단자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Operand[1]은, 상기 소스 기기에 의해 기 설정된 출력단자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아날로그출력형식' 필드이며,
    상기 Operand[2]는, 상기 소스 기기에 의해 기 설정된 출력단자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아날로그출력번호'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9.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식에 따른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소스(source)기기에 연결된 별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며, 상기 출력단자 중 선택된 출력단자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출력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의 프레임 구조로서 오피코드(Opcode), Operand[0], Operand[1] 및 Operand[2]를 포함하는 AV/C 명령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되,
    상기 Operand[1]은, 상기 선택된 출력단자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출력형식' 필드이고,
    상기 Operand[2]는, 상기 선택된 출력단자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날로그출력번호'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
  10. 적어도 하나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식에 따른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소스(source)기기에 연결된 별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며, 상기 소스 기기에 포함된 출력단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는 출력상태명령에 대한 응답의 프레임 구조로서 오피코드(Opcode), Operand[0], Operand[1] 및 Operand[2]를 포함하는 AV/C 명령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되,
    상기 Operand[0]은, 상기 소스 기기가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출력할 것으로 기 설정한 출력단자를 소정의 제어명령에 의해 다른 출력단자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선택'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Operand[1]은, 상기 기 설정된 출력단자의 아날로그 영상신호의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아날로그출력형식' 필드이며,
    상기 Operand[2]는, 상기 기 설정된 출력단자의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설정아날로그출력번호'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
KR1020060018114A 2006-02-24 2006-02-24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KR20070088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114A KR20070088017A (ko) 2006-02-24 2006-02-24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114A KR20070088017A (ko) 2006-02-24 2006-02-24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017A true KR20070088017A (ko) 2007-08-29

Family

ID=3861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114A KR20070088017A (ko) 2006-02-24 2006-02-24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80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8330B2 (ja) 表示装置
US20060267741A1 (en) Integrated remote control system
US7676824B2 (en) Method for the processing of remote control signals within a home audiovisual network, corresponding signal,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KR20160132843A (ko) Hdmi를 사용한 데이터 송수신 기기 및 방법
KR20010096581A (ko) 전송 방법, 전송 시스템, 전송 제어 유닛 및 입력 유닛
JP5161599B2 (ja) 電子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信号処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278262A (ja) 中継装置、および中継方法
WO2007077774A1 (ja) 映像音声システム、制御装置、出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69762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s between devices
US744806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signal path
KR100520118B1 (ko) 다수개의 피제어 기기 제어를 위한 통합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6023352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graphic data between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external apparatus, and information frame structur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graphic data
KR100826885B1 (ko) 멀티 사용자 게임 기능을 갖는 셋탑박스 및 셋탑박스에서의 멀티 사용자 게임 지원 방법
KR20070088017A (ko) 소스 기기의 아날로그 영상 출력에 대한 제어방법
US8451377B2 (en) Image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home network system
US8233802B2 (en) Portable infrared control liaison
KR100677069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기기들간의 커넥션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명령 구조
US2011006108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bined data set relating to program information
EP257956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bined data set relating to program information
US20010046231A1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US7032024B1 (en)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for devices connected digital interface and command structure therefor
JP2000253463A (ja) 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及びこのネットワーク制御システムに用いるターゲット、コントローラ、並びにコンシューマ
US20020016882A1 (en) Digital device, data input-output control method, and data input-output control system
JP4584809B2 (ja) 制御装置及び被制御装置
US7372821B2 (en) Signal processing system, signal receiving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