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6973A - 연료 전지용 개질기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용 개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6973A
KR20070086973A KR1020077015549A KR20077015549A KR20070086973A KR 20070086973 A KR20070086973 A KR 20070086973A KR 1020077015549 A KR1020077015549 A KR 1020077015549A KR 20077015549 A KR20077015549 A KR 20077015549A KR 20070086973 A KR20070086973 A KR 20070086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ormer
chamber
fuel cell
heat pip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코 뮐너
안드리스 린더마이어
Original Assignee
베바스토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바스토 아게 filed Critical 베바스토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86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3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using catalysts
    • C01B3/386Catalytic partial combus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59Evaporative processes for the cooling of a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25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in a modular combined reactor/fuel cell structure
    • H01M8/0631Reactor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reactor/fuel cel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5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artial oxidation step
    • C01B2203/0261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artial oxidation step containing a catalytic partial oxidation step [CPO]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6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 C01B2203/066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with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8Methods of heating or cooling
    • C01B2203/0872Methods of cooling
    • C01B2203/0883Methods of cooling by indirect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 가스 혼합물의 유입을 위한 챔버 입구(20)와 개질된 가스의 유출을 위한 챔버 출구(24)를 갖는 챔버(26)를 포함하며, 촉매 활성 매체가 상기 챔버(26)에 배치되는 연료 전지용 개질기(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원통형 외부 파이프 벽(14)과 원통형 내부 획정 벽(16)을 갖는 히트 파이프(12)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26)는 상기 외부 파이프 벽(14)과 상기 내부 획정 벽(16)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개질기(10)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연료 전지용 개질기{REFORMER FOR A FUEL CELL}
본 발명은 반응 가스 혼합물의 유입을 위한 챔버 입구와 개질된 가스의 유출을 위한 챔버 출구를 가지는 챔버를 포함하며, 이 챔버 내에는 촉매 활성 매체가 배치되는 것인 연료 전지용 개질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질기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데, 특히 연료 전지에 수소-풍부 가스 혼합물을 제공하는데 이용되며, 전기화학적 반응에 기초하여 수소-풍부 가스 혼합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보조 동력 장치(APUs; auxiliary power units)로 이용될 수 있다.
개질기의 설계는 다수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반응 시스템 특성에 대한 고려에 추가하여, 경제적인 구현, 예컨대 특히 개질기를 주변 환경에 통합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여기에는 반응기에서 에너지와 물질의 입구 및 출구 유동을 조절하는 방안이 포함된다. 따라서, 개질기의 환경과 용례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개질이 적용되며, 이에 따라 개질기 구조에 대한 다양화가 필요하다.
개질 공정의 하나의 예로 소위 접촉 개질기(catalytic reformer)가 있으며, 접촉 개질기에서 공기와 연료의 혼합물은 촉매 활성 매체를 이용한 발열 반응에서 수소-풍부 개질유로 변환되는데, 수소-풍부 개질유로 연료 전지가 작동될 수 있으 며, 이를 촉매 부분 산화(CPOX; catalytic partial oxidation)라 한다. 이러한 연료/공기 혼합물의 촉매 변환에서 반응은 유동 방향에서 두 개의 개별 구역으로 나뉠 수 있다. 촉매 활성 매체에 유입되면서 격렬한 발열 산화 반응이 먼저 일어나고, 그로 인해 생긴 중간 생성물이 촉매 활성 매체의 다음 구역에서 개질된다. 개질 공정은 온도가 뚜렷하게 하강하는 흡열 반응이고, 따라서 변환 손실(conversion loss)이 발생한다.
CPOX 개질기에서 개질기의 입구 구역에서 순 발생되는 열은 포함된 물질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높은데, 예를 들어 촉매 활성 매체가 비활성화될 수 있고, 기질 물질이 파손될 수 있다. 산화 구역에서 방출된 반응열이 개질 구역으로 전달될 수 없기 때문에, 개질 공정의 제어가 문제가 되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변환 정도가 더 낮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의 폴리트로픽 조절을 피할 수 없다.
반응 가스 혼합물의 개질된 가스로의 변환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개질기는 원통형 외부 파이프 벽과 원통형 내부 획정 벽을 가지는 히트 파이프를 포함하며, 외부 파이프 벽과 내부 획정 벽 사이에는 챔버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요지는 촉매 활성 매체에서 히트 파이프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열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여 촉매 활성 매체 내 온도의 반지름 방향 및 축 방향 등온 분포 모두를 달성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챔버 입구는 히트 파이프의 제1 축방향 단부 근처에 배치되고, 챔버 출구는 히트 파이프의 제2 축방향 단부 근처에 배치되어, 히트 파이프의 축방향 범위에 걸쳐 최대한 온도가 보상될 수 있도록 한다.
챔버 입구와 챔버 출구 사이에서 챔버를 나선형으로 구성하여, 작은 유동 횡단면으로 인해 반지름 방향의 온도 구배가 최소화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종속항에 나타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개질기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폴리트로픽 방식(점선)과 등온 방식(실선)에서의 개질기의 축방향 온도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개질기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0 개질기
12 히트 파이프
14 외부 파이프 벽
16 내부 획정 벽
18 히트 파이프의 제1 축방향 단부
20 챔버 입구
22 히트 파이프의 제2 축방향 단부
24 챔버 출구
26 챔버
28 통로
30 촉매 활성 매체
32 내부 챔버
34 열 교환기
36 파이프
38 연료 전지 시스템
39 연료 공급 라인
40 매체 전달 장치
42 증발기
44 혼합물 형성 장치
46 공기 공급 라인
48 연료 전지 스택
50 재연소 장치
52 캐소드 공기 공급 라인
도 1을 참조하면,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시스템용 개질기(10)가 도시되어 있으며, 개질기(10)는 외부 파이프 벽(14)과 내부 획정 벽(16)을 가지는 히트 파이프(12)를 포함하며, 외부 파이프 벽(14)과 내부 획정 벽(16)은 모두 원통형이다. 히트 파이프(12)의 제1 축방향 단부(18)에서 챔버 입구(20)가 제공되며, 챔버 입구(20)를 통해 예를 들어 공기와 증발 연료로 이루어진 반응 가 스 혼합물이 개질기에 유입될 수 있다. 히트 파이프(12)의 제2 축방향 단부(22)에 챔버 출구(24)가 배치되어 있고, 챔버 출구(24)를 통해 개질된 가스가 개질기(1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외부 파이프 벽(14)와 내부 획정 벽(16)은 챔버 입구(20)와 챔버 출구(24) 사이에서 연장되는 챔버(26)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챔버(26)는 챔버 입구(20)와 챔버 출구(24) 사이에서 나선형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원통형 내부 획정 벽(16) 내에 가공된 통로(28)에 의해 달성된다. 히트 파이프(12)의 반지름 방향에서 통로(28)의 치수(A)는 히트 파이프(12)의 반경(R)보다 작다. 촉매 활성 매체(30)가 나선형 통로(28)에 배치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촉매 활성 매체(30)는 펠릿(pellet)형이다. 내부 획정 벽(16) 내에 가공된 통로(28)는 열 전달 장치로 이용되는 내부 획정 벽(16)과 촉매 활성 매체(30) 사이에서 효과적인 열 전달 표면에 추가되는데, 이는 세 개의 접촉 표면이 모두 열 전달에 활용 가능하기 때문이다. 내부 획정 벽(16)은 액체 금속 충전재(filling)를 포함하는 내부 챔버(32)를 둘러싼다. 액체 금속 충전재는 1100℃의 온도에 특히 적합하고, 바람직하게 리튬 또는 나트륨이 이용된다. 액체 금속 충전재로 나트륨을 이용하는 경우 내부 획정 벽(16)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히트 파이프(12)의 제2 축방향 단부(22) 부위에서 열 교환기(34)가 배치되며, 열 교환기를 이용하여 열 에너지가 히트 파이프(12)로부터 연료 전지의 추가 시스템 요소로 전달될 수 있고, 특히 파이프(36)에서 유동하는 액체 또는 가스 매체로 전달되고 그 곳에서 추가 시스템 요소로 전달된다. 이하에서 이에 대해 상술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연료 공급 라인(39)에 의해 개질기(10)가 연료 전지 시스템(38)에 어떻게 통합되는지 도시되어 있는데, 연료 공급 라인(39)은 매체 전달 장치(40)에 연결되고, 증발기(42)는 매체 전달 장치(40)에 연결된다. 연료 공급 라인(39)과 공기 공급 라인(46)은 혼합물 형성 장치(44)에 연결되는데, 혼합물 형성 장치(44)는 이어서 챔버 입구(20)에 연결된다. 개질기(10)의 챔버 출구(24)는 연료 전지 스택(48)과 연결되고, 연료 전지 스택(48)은 재연소 장치(50)에 연결된다. 개질기(10)의 챔버 출구(24)에 연결되는 것에 추가하여 연료 전지 스택(48)은 캐소드(cathode) 공기 공급 라인(52)과 연결된다.
연료 전지 시스템(38)의 개질기(10)의 기능뿐만 아니라 개질기(10)가 전체적으로 어떻게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료는 연료 공급 라인(39)을 통해 매체 전달 장치(40)를 거쳐 증발기(42)로 공급되는데, 증발기(42)에서 연료가 기화된다. 그 후 증발된 연료는 혼합물 형성 장치(44) 내로 유동하고, 공기는 공기 공급 라인(46)에 의해 혼합물 형성 장치(44) 내로 공급되어 증발된 연료와 혼합된다. 그 후 연료/공기 혼합물은 챔버 입구(20)를 통해 개질기(10) 내로 유입되고(도 1), 그 후 연료/공기 혼합물은 촉매 활성 매체(30)에 유도되는데, 촉매 활성 매체(30)는 연료/공기 혼합물을 중간 생성물로 개질한다. 산화 반응으로부터 시작되어 방출된 반응열은 히트 파이프(12)에 의해 내부 챔버(32)의 충전재로 전달된다. 그 후, 히트 파이프(12)의 제1 축방향 단부(18) 영역에서 방출된 반응열은 내부 챔버(32)의 충전재를 경유하여 히트 파이 프(12)의 제2 축방향 단부(22) 영역으로 전달된다. 이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히트 파이프(12) 전체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 프로파일을 얻는 과정에서(도 2 참조, 실선) 히트 파이프(12)의 제1 축방향 단부(18)에 핫 스폿(hot spot)이 생기는 것을 피하기 위함인데, 이러한 핫 스폿은 폴리트로픽 반응(도 2 참조, 점선)에서는 통상적으로 발생한다. 히트 파이프(12)의 제1 축방향 단부(18)에서 생긴 중간 생성물은 그 후 히트 파이프(12)의 제2 축방향 단부(22) 영역의 통로(28)에 전달되는데, 이 곳에서 중간 생성물의 개질이 일어난다. 내부 챔버(32) 내에서 히트 파이프(12)의 제1 축방향 단부(18)로부터 히트 파이프(12)의 제2 축방향 단부(22) 영역으로 열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은 열역학적 평형에 이르는 데에 중대한 기여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서 폴리트로픽 반응으로 발생하는 핫 스폿이 챔버 입구(20) 영역에서 히트 파이프(12)의 제1 축방향 단부(18)에 생기지 않도록 하는 방법과(도 2 참조, 점선), 히트 파이프(12)를 이용하여 챔버 입구(20)와 챔버 출구(24) 사이에서 히트 파이프(12)의 전체 축방향 범위에 걸쳐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 프로파일을 얻는 방법이(도 2 실선 참조) 도시되어 있다. 촉매 활성 매체와 기질 물질의 수명을 단축시키지 않기 위해 초과되지 않아야 하는 최대 온도(Tmax)는 히트 파이프(12)의 어떤 부위에서도 초과되지 않고, 따라서 안전하게 핫 스폿을 배제한다.
챔버 출구(24)에서 방출되는 개질된 가스는 그 후 연료 전지 스택(48)으로 공급되는데(도 3 참조), 연료 전지 스택(48)에서 공지된 방법과 수단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방출된다. 연료 전지 스택(48)으로부터 가스가 유출되어 재연소 장치(50)로 향하는데, 이 가스는 재연소 장치(50)에서 추가적으로 이용된다.
챔버 입구(20)에서 반응 가스 혼합물의 유량의 함수로서 연료 전지 시스템(38)은 전체적으로 잉여 열 에너지를 가지기 때문에, 이는 연료 전지 시스템(38)의 추가 시스템 요소를 위하여 열 교환기(34)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요소는 연료 전지 스택(48)의 캐소드 공기 공급 라인(52)의 캐소드 공기 또는 혼합물 형성 장치(44)일 수 있다. 그 후 열 교환기(34)의 파이프(36)는 공기 공급 라인(46) 또는 캐소드 공기 공급 라인(52)에 상응하여 연결된다. 또한, 전기 에너지와 열을 공급하는 복합 시스템의 경우 열 교환기(34)로부터의 열 에너지는 가열 시스템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히트 파이프(12)에서의 등온 온도 분포에 추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질기에서는 개질의 제어가 상당히 단순화되며, 아울러 개질된 가스의 수율이 상당히 증가하면서도 재료 유동에 관한 조절 용량이 향상된다. 또한, 통로(28)에서 다양한 촉매 활성 매체를 이용함으로써 반응 조절은 더욱 최적화된다. 적합한 배관과 밸브를 통해 두 개의 개질기(10)를 결합함으로써 두 개의 개질기를 교대로 이용하고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데, 다시 말해 두 개의 개질기 중 하나가 재생되는 경우 다른 개질기가 연료 전지 시스템(38)을 작동시키기 위해 개질된 가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개질기가 재생되고 다른 개질기가 소모되고 난 후에는 전환되어, 제1 개질기가 연료 전지 시스템(38)을 위한 개질된 가스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훨씬 높은 가스 처리량이 필요한 경우 다수의 개질기(10)가 병렬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이는 또한 액체 및 가스 형태 모두에서 유용한 다양한 연료의 이용을 가능케 한다.

Claims (9)

  1. 반응 가스 혼합물의 유입을 위한 챔버 입구(20)와 개질된 가스의 유출을 위한 챔버 출구(24)를 갖는 챔버(26)를 포함하며, 촉매 활성 매체가 상기 챔버(26)에 배치되는 연료 전지용 개질기(10)로서,
    상기 개질기(10)는 원통형 외부 파이프 벽(14)과 원통형 내부 획정 벽(16)을 갖는 히트 파이프(12)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26)는 상기 외부 파이프 벽(14)과 상기 내부 획정 벽(16)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개질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 입구(20)는 상기 히트 파이프(12)의 제1 축방향 단부(18)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 출구(24)는 상기 히트 파이프(12)의 제2 축방향 단부(22) 근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개질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챔버(26)는 상기 챔버 입구(20)와 상기 챔버 출구(24) 사이에서 나선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개질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26)는 상기 원통형 내부 획정 벽(16) 내에 가공된 통로(28)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개질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획정 벽(16)은 내부 챔버(32)를 둘러싸고, 상기 내부 챔버(32)는 액체 금속 충전재(fillin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개질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액체 금속은 리튬 또는 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개질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교환기(34)가 상기 히트 파이프(12)의 제2 축방향 단부(22)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열 교환기(34)에 의하여 상기 히트 파이프(12)로부터 상기 연료 전지의 추가 시스템 요소(44)로 열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개질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는 혼합물 형성 장치(44)를 포함하고 상기 열 교환기(34)에 의하여 상기 히트 파이프(12)로부터 상기 혼합물 형성 장치(44)로 열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개질기.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에 캐소드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열 교환기(34)에 의해 상기 히트 파이프(12)로부터 상기 캐소드 공기로 열 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용 개질기.
KR1020077015549A 2004-12-22 2005-12-12 연료 전지용 개질기 KR200700869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63151A DE102004063151A1 (de) 2004-12-22 2004-12-22 Reformer für eine Brennstoffzelle
DE102001063151.4 2004-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973A true KR20070086973A (ko) 2007-08-27

Family

ID=3603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549A KR20070086973A (ko) 2004-12-22 2005-12-12 연료 전지용 개질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253005A1 (ko)
EP (1) EP1836744A1 (ko)
JP (1) JP2008524817A (ko)
KR (1) KR20070086973A (ko)
CN (1) CN101088188A (ko)
CA (1) CA2589785A1 (ko)
DE (1) DE102004063151A1 (ko)
EA (1) EA010329B1 (ko)
WO (1) WO20060665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9527A1 (de) * 2006-08-23 2008-02-28 Enerday Gmbh Brennstoffzellen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rennstoffzellensystems
DE102006051740B4 (de) * 2006-11-02 2012-03-08 Enerday Gmbh Verfahren zum Regenerieren eines Reformers und Klimaanlage
DE102006051741B4 (de) * 2006-11-02 2010-05-06 Enerday Gmbh Verfahren zum Regenerieren eines Reformers
DE102006051748A1 (de) * 2006-11-02 2008-05-08 Enerday Gmbh Verfahren zum Regenerieren eines Reformers
AU2008338509B2 (en) * 2007-12-17 2011-08-18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Fuel cell-based process for generating electrical power
WO2011124240A1 (en) 2010-04-09 2011-10-1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ngewandten Forschung E.V. System having high-temperature fuel cells
SG194016A1 (en) * 2011-02-28 2013-11-29 Nicolas Kernene Energy unit with safe and stable hydrogen storage
CN104203397A (zh) * 2011-12-06 2014-12-10 Hy9公司 催化剂容纳反应器系统以及相关方法
WO2013095025A1 (ko) * 2011-12-23 2013-06-27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가습 열교환기
KR101509021B1 (ko) 2013-04-01 2015-04-07 주식회사 싸이텍 합성가스 대량생산을 위한 개질장치
JP6169939B2 (ja) * 2013-10-08 2017-07-26 京セラ株式会社 燃料電池装置
US9145299B2 (en) 2013-12-13 2015-09-29 King Fahd University Of Petroleum And Minerals Steam methane reforming reactor of shell and tube type with cylindrical slots
US11667728B1 (en) 2022-03-02 2023-06-06 David T. Camp Reactor and processes for endothermic reactions at high temperatur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9705A (en) * 1976-04-24 1977-10-31 Nissan Motor Co Ltd Methanol-reforming apparatus
US4315893A (en) * 1980-12-17 1982-02-16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Reformer employing finned heat pipes
JPS63162503A (ja) * 1986-12-25 1988-07-06 Toyo Eng Corp ガスの製造装置
FR2633635B1 (fr) * 1988-06-29 1993-05-07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reformage catalytique avec circulation d'un fluide caloporteur dans une pluralite d'espaces internes creux
JPH02124701A (ja) * 1988-11-01 1990-05-14 Toshiba Corp 多管式改質装置
JP2601707B2 (ja) * 1988-12-13 1997-04-16 東洋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触媒反応装置
ATE105854T1 (de) * 1989-06-30 1994-06-15 Inst Francais Du Petrole Katalytisches reformierungsverfahren mit zirkulation von wärmeübertragungsmittel in ein vielfaches von inneren aushöhlungen.
JPH03232703A (ja) * 1989-12-26 1991-10-1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炭化水素の改質装置
CN2077087U (zh) * 1990-08-03 1991-05-15 中国石油化工总公司湖北化肥厂 大型氨厂转化炉燃烧空气节能装置
JP3066244B2 (ja) * 1994-04-28 2000-07-17 三洋電機株式会社 ガス改質装置及びガス改質方法
US5763114A (en) * 1994-09-01 1998-06-09 Gas Research Institute Integrated reformer/CPN SOFC stack module design
AU3277097A (en) * 1996-06-28 1998-01-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odification apparatus
DE19716470C1 (de) * 1997-04-19 1998-10-01 Mtu Friedrichshafen Gmbh Integriertes Brennstoffaufbereitungsmodul für eine Brennstoffzellenanlage
JP3625770B2 (ja) * 1999-04-20 2005-03-02 東京瓦斯株式会社 単管円筒式改質器およびその運転方法
CA2357960C (en) * 2000-10-10 2007-01-30 Tokyo Gas Co., Ltd. Single-pipe cylinder type reformer
CN1261200C (zh) * 2001-08-10 2006-06-28 德士古发展公司 把烃类燃料转变为富氢气体的装置
EP1427668B9 (de) * 2002-03-25 2007-07-04 Viessmann Werke GmbH & Co KG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wassersto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24817A (ja) 2008-07-10
WO2006066545A1 (de) 2006-06-29
US20090253005A1 (en) 2009-10-08
EA200701352A1 (ru) 2007-10-26
WO2006066545A8 (de) 2007-08-09
CN101088188A (zh) 2007-12-12
DE102004063151A1 (de) 2006-07-06
EP1836744A1 (de) 2007-09-26
CA2589785A1 (en) 2006-06-29
EA010329B1 (ru) 200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6973A (ko) 연료 전지용 개질기
EP1473272B1 (en) Apparatus for reforming fuel
US6096286A (en) System for steam reformation of a hydrocarbon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7311986B2 (en) Multi-function energy system operable as a fuel cell, reformer, or thermal plant
US8795916B2 (en) Fuel cell system having heat exchanger and preliminary reform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fuel cell system
US6254848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rich gas
JP4820404B2 (ja) 外部燃焼器を有する改質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848047B1 (ko) 낮은 전원 범위에서 기상 탄화수소로부터 수소를 생성하기위한 고효율, 소형 개질 장치
JP2006523603A (ja) 燃料改質反応物の迅速加熱用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50188618A1 (en) Reformer and process for reacting fuel and oxidizer into reformate
EP3336946B1 (en) Solid oxide fuel cell system
JP5908746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8404394B2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fuel cell system
WO2005077821A1 (ja) 選択酸化反応装置
KR101422316B1 (ko) 개질기 및 간접 내부 개질 형 고온 형 연료전지.
JP5140443B2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及び燃料電池モジュールの運転方法
US757230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ferential oxidation of carbon monoxide
WO2005077820A1 (ja) 燃料改質装置
JP2007317544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システム
JPH11189401A (ja) 燃料反応器
JP7144369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7481856B2 (en) Reactor for autothermal reforming of hydrocarbons
JP5244488B2 (ja) 燃料電池用改質器
JP5160796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4872760B2 (ja) 燃料処理装置の運転制御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