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6145A - 착암 드릴 비트 - Google Patents

착암 드릴 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6145A
KR20070086145A KR1020077013349A KR20077013349A KR20070086145A KR 20070086145 A KR20070086145 A KR 20070086145A KR 1020077013349 A KR1020077013349 A KR 1020077013349A KR 20077013349 A KR20077013349 A KR 20077013349A KR 20070086145 A KR20070086145 A KR 20070086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bit
rock
guide
dril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0763B1 (ko
Inventor
페르-올라 하딘
Original Assignee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348826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8614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filed Critical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70086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36Percussion drill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7/00Drilling rods or pipes; Flexible drill strings; Kellies; Drill collars; Sucker rods; Cables; Casings; Tub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식 드릴링에 이용되는 착암 드릴 비트 (1) 에 관한 것이다. 상기 드릴 비트는 길이방향 중심축 (CL) 을 규정하는 드릴 헤드 (3) 및 비트 본체 (2) 를 포함한다. 상기 드릴 헤드 (3) 는 축방향으로 전방에 암석 분쇄면 (8) 및 상기 암섬 분쇄면 (8) 으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연장된 스커트 (5) 를 포함한다. 상기 암석 분쇄면은 여러 암석 분쇄 수단 (4, 6) 을 포함한다. 상기 스커트의 외주면은 그 사이에 랜드 (15) 를 형성하는 홈 (11) 과 이격되어 둘레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 및 상기 랜드는 일반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랜드 (15) 의 축방향 후방부에는 안내면 (19, 20) 이 제공된다. 상기 안내면 (19, 20) 은 반경방향 외측을 향한다. 상기 안내면은 하나 이상의 계단부 (22) 또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직경의 치수를 각각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감소시킨다. 상기 안내면은 상기 허리부 (15A) 의 가상 연장선 (21) 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한 제 1 안내부 (19) 및 제 2 안내부 (20) 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안내부 (19) 는 상기 드릴 비트의 상기 중심축 (CL) 에 대하여 상기 제 2 안내부 (20) 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멀리 돌출한다.
드릴, 드릴 비트, 착암기, 암석

Description

착암 드릴 비트{ROCK DRILL BIT}
본 발명은, 독립항의 전제부에 따른 충격식 드릴링, 특히 톱 해머 드릴링 (top hammer drilling) 에 이용되는 착암 드릴 비트에 관한 것이다.
US-A-5,890,551을 통해, 부속 드릴 로드를 갖는 착암 드릴 비트가 이미 공지되었다. 이 착암 드릴 비트의 전면 (front face) 에는, 동시 회전시에 암석을 충격함으로써 작용하는 초경합금 버튼이 제공된다. 전면에는 공동이 형성되며, 공동으로 플러싱 유체 (flushing fluid) 를 제공하기 위하여 유체 채널이 드릴 비트를 통해 연장된다. 공동은 무한 랜드에 의해 완전히 포위된다. 버튼 중 몇몇은 상기 랜드에 장착된다. 나머지 버튼은 공동에 장착되어, 그 공동에 형성된 플러싱 유체의 쿠션 (cushion) 에 의해 냉각 및 플러싱된다. US-A-4,598,779에는 직선형 구멍을 드릴링하기 위한, 또 다른 충격식 착암 드릴 비트가 나타나 있다. US-B2-6,494,275에는 충격식 드릴링용 착암 드릴 비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착암 드릴 비트는, 전방 암석 분쇄용 버튼 및 스커트가 제공된 비트 헤드를 포함한다. 비트 헤드에는, 스커트의 외부에 형성되어 드릴 비트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홈이 제공된다. 홈 사이에는, 역시 축방향으로 연장된 돌출 랜드가 형성된다. 랜드의 축방향 후방 단부에는, 돌출된, 부분 원통형 안내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입부에 규정된 종류의, 수명이 연장된 착암 드릴 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선형 구멍을 천공하는 착암 드릴 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호한 암석 제거가 가능한 착암 드릴 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독립항의 특징부에 규정된 특징을 갖는 착암 드릴 비트에 의해 실현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암 드릴 비트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a 는 본 발명에 따른 착암 드릴 비트의 전방 사시도이며,
도 1b 는 착암 드릴 비트의 전방 단부를 나타내며,
도 1c 는 착암 드릴 비트의 전방부의 측면도이며,
도 1d 는 도 1b 의 D-D 라인을 따라 취한 착암 드릴 비트의 단면도이며,
도 2a 는 도 1a 에 도시된 착암 드릴 비트의 측면도이며,
도 2b 는 도 1b 의 E-E 라인을 따라 취한 착암 드릴 비트의 단면도이며,
도 2c 는 도 1a 에 도시된 착암 드릴 비트의 후방 단부를 나타낸다.
도 1a ~ 1d 및 도 2a ~ 2c 에 도시된 충격식 착암 드릴 비트 (1) 는, 헤드부 또는 드릴 헤드 (3) 를 갖는 비트 본체 (2) 및 섕크 또는 스커트 (5) 를 포함한다. 드릴 헤드 (3) 및 스커트 (5) 는 서로 강하게 일체화되어 있다. 드릴 로드 (미도시) 는 나사 커플링을 통해 착암 드릴 비트 (1) 에 연결된다. 드릴 로드에는, 관통 (through-going) 플러시 덕트가 기존 방식으로 배치된다. 도 1d 및 도 2b 에는, 착암 드릴 비트 (1) 의 길이방향 중심축 (CL) 이 도시되어 있다. 착암 드릴 비트 (1) 에는, 로드 또는 튜브 등의 긴 드릴 요소의 일 단부에서 외부 수나사 (미도시) 를 수용하는 내부 암나사 (16) 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착암 드릴 비트 (1) 의 드릴 헤드 (3) 에는, 바람직하게는 초경합금 버튼 형태의, 예컨대 전방 버튼 (4) 및 주변 버튼 (6) 등의 암석 제거 부재가 제공된다. 대안으로, 암석 제거 부재는 치젤 인서트 (chisel insert) 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냉각 매체 채널 (7) 은, 착암 드릴 비트 (1) 의 내부 공간과 드릴 헤드 (3) 의 암석 분쇄면 (8)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내부 공간은 내부 암나사 (16) 사이에 형성된다. 전면 (8) 은 중심축 (CL) 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 (P) 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공간에서는, 소위 바닥 스톱이라 불리는, 드릴 로드의 자유 단부를 위하여 제 1 스톱면 (17) 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리트랙 에지 (9) 가 착암 드릴 비트 (1) 의 후방 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 및 도 2a 에서 가장 명확히 보이는 바와 같이, 착암 드릴 비트 (1) 에 는 실질적으로 직선형인, 착암 드릴 비트 (1) 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절삭을 위한 다수의 외부 전방 홈 (10) 및 후방 홈 (11) 이 제공된다. 각 전방 홈 (10) 은, 관련된 후방 홈 (11) 으로 연결되어, 드릴 비트 (1) 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 절삭 홈을 제공한다. 각 전방 절삭 홈 (10) 은 중심축 (CL) 과 평행하게 대칭으로 배치된다. 전방 홈 (10) 은, 비트 본체의 각 주변 버튼 (6) 의 짝 사이에 제공된다. 대안으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드릴 비트에는 5 ~ 10개의 버튼이 배치될 수 있지만, 각 주변 버튼 (6) 은 드릴 헤드 (3) 에 장착된다. 각 주변 버튼 (6) 은 중심축 (CL) 에 대하여 외측으로 기울어져, 드릴 비트의 최대 직경을 형성한다. 주변 버튼 (6) 의 직경은 전방 버튼 (4) 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각 주변 버튼 (6) 은 드릴 비트의 축 방향으로 평면 (P) 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한 상승부 (12) 또는 강재 (steel) 부분에 배치된다. 각 상승부는 일반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즉 드릴 비트의 작업 이송 방향으로 본체 (2) 와 일체화된다. 상승부에는 구멍 (미도시) 이 형성되어, 하나의 주변 버튼 (6) 을 수용한다. 대안으로, 각 상승부에 위치한 2개의 버튼이 있을 수 있다. 각 상승부 (12) 는, 전면 (8) 또는 추가 전방 홈 (13) 에 의해 인접한 또 다른 상승부로부터 주변 버튼의 외부 또는 리스 (wreath) 형태로 이격된다. 외부는 다수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된, 주변 버튼 (6) 과 동수의 상승부 (12) 를 포함하며, 다시 말해 각 상승부 (12) 는 주변 버튼 (6) 한 개를 수반한다. 각 주변 버튼 (6) 은 모든 전방 버튼 (4) 외곽에서 축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돌출한다. 전방 버튼 (4) 의 공통의 평면형, 축방향 최외각 높이는, 주변 버튼 (6) 의 공통의 평면 형, 축방향 최외각 높이에 대해 후방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주변 버튼 (6) 의 리스를 전면 (8) 및 전방 버튼 (4) 보다 높아지게 상승시킴으로써, 더 큰 안내 모멘트가 얻어진다. 상승부 (12) 는 전면 (8) 의 부분 (14) 또는 반경방향 통로에 의해 이격되어, 그 사이에서 플러싱 매체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주변 버튼 (6) 은, 일반적으로 드릴 비트 (1) 의 중심축 (CL) 주변에 환형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플러싱 채널 (7) 및 2개 이상의 전방 버튼 (4) 을 관통하는, 드릴 헤드 (3) 의 가상의 원 (C) 의 반경방향 외측에 장착된다. 전방 버튼 (12) 은 주변 버튼 (6) 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전면 (8) 에 장착된다. 유체 채널 (7) 의 오리피스는 상승부 (12) 아래의 평면 (P) 에 배치된다. 상승부 (12) 는, 일반적으로 드릴 비트 (1) 의 중심축 (CL) 주변에 환형으로 배치된 2개 이상의 또는 4개의 플러싱 채널 (7) 및 2개 이상의 또는 4개의 전방 버튼 (4) 을 관통하는 가상의 원 (C) 의 반경방향 외측에 장착된다. 전면 (8) 은 비트 본체 (2) 의 주변 홈 (10) 에서 종결된다. 유체 채널 (7) 을 관통하는 가상의 원 (C) 은 동수의 전방 버튼 (4) 을 또한 관통한다. 통상 5 ~ 10 개 정도인 주변 버튼 (6) 의 주요 부분은, 가상의 원 (C) 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전면 (8) 에 장착된다. 각 전방 홈 (10) 과 전면 (8) 사이에는, 전방 홈이 추가로 형성된다. 전방 홈은, 길이방향 중심축 (CL) 에 대하여 외측으로, 전면에 대하여 후방으로 기울어진 경사 (13, bevel) 이다. 대안으로, 전방 홈은, 일반적으로 중심축 (CL) 에 대하여 외측 및 후방으로 기울어진 커브를 이룰 수 있다.
실제로, 모든 버튼은 초경합금, 가능하다면 다이아몬드 처리된 것으로 제조 되는 것이 유리하다. 버튼의 형상은 구형, 원추형, 탄도형 (ballistic), 반탄도형 또는 치젤형이 될 수 있다.
드릴 비트의 후방 단부는, 일반적으로 착암 드릴 비트의 암석 제거 단부의 반대편 (facing away from) 단부에서, 드릴 비트의 최대 직경에 위치하고, 그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리트랙 치형 (9, retrac teeth) 을 포함한다. 드릴 비트의 후방 단부의 목적은, 보어 구멍에서의 드릴 비트 (1) 의 안내가 착암 드릴 비트 (1) 의 단부와 관련되어 위치한 부분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여, 절삭 분진 (cutting dust) 의 방출에 대한 저항성을 감소시키는 데 있다. 절삭홈 (10, 11) 은 착암 드릴 비트 (1) 의 전방에서 생성된 드릴 분진을 멀리 치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커트의 외주면은, 그 사이에서 랜드 (15) 를 형성하는 홈 (11) 과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드릴 비트 (1) 는 그 중간부분에 허리부 (15A) 를 갖는다. 허리부 (15A) 의 치수는, 드릴 비트가 안내되는 후방부 (1A) 보다 작다. 허리부 (15A) 는 후방 홈 (11) 또는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원통형상이 될 수 있다. 홈과 랜드는 일반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하나 이상의 랜드 (15) 의 축방향 후방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안내면이 제공된다. 안내면은, 허리부 (15A) 의 가상 연장선 (21) 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한, 제 1 안내부 (19) 및 제 2 안내부 (20) 를 포함한다. 제 1 안내부 (19) 는, 드릴 비트의 중심축 (CL) 에 대하여 제 2 안내부 (20) 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멀리 돌출한다. 각 안내부 (19, 20) 는 부분 원통형이다. 제 1 안내부 (19) 는 제 1 직경 (DG1) 에 의해 형성되며, 제 2 안내부 (20) 는 제 2 직경 (DG2) 에 의해 형성된다. 헤드부 (3) 의 직경은, 제 1 안내부 (19) 의 제 1 직경 (DG1) 보다 3 ~ 6 %, 바람직하게는 약 4 % 크다. 안내부 (19, 20) 의 연장선은 주변 버튼 (6) 을 통과한다.
후방부 (1A) 또는 안내부의 안내 직경은 종래 기술의 드릴 비트 (예컨대, US-B2-6,494,275) 에서 더욱 마모되는데, 환언하면 상기 비트가 안내부의 제 1 직경 (DG1) 과 공칭 직경 (DN1) 사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드릴 비트보다 더 큰 틈이 생긴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 비트 (1) 의 안내부의 제 1 직경 (DG1) 과 공칭 직경 (DN1) 사이의 틈 (23) 은, 2.5 mm 초과가 바람직하며, 약 4 mm 미만이 바람직하고, 약 3 mm 미만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 비트의 안내부 (1A) 의 구성은, 버튼 형상이 더욱 장기간의 드릴링동안 유지되도록 하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 비트가 재연마가 용이하며, 수명이 증가하고, 직선으로 드릴링하는지의 이유를 설명해 준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 비트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드릴 비트에서는, 8개의 랜드 모두가 안내면이 되었으며, 이를 원 (circle) 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는, 구멍의 직진성, 공구 수명 및 재연마의 단순성에 이점을 제공한다.
안내부 (19, 20) 는 랜드 (15) 의 반경방향 외측 계단부 (step) 에 제공된다. 각 안내부의 축방향 길이는 20 ~ 30 mm 이다. 안내부의 수는 2개 이상이 되어,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드릴 비트의 후방부 (1A) 에서, 마모를 최적화하고 공칭 직경 (DN1, DN2, 도 2b 에 도시됨) 및 직경 (DG1, DG2) 사이의 정확한 틈을 유지할 수 있다. DN1 은 드릴 비트 헤드부 (3) 의 공칭 직경을 표시한 것으로, 주변 버튼 (6) 의 반경방향 외부에 형성된 최대 직경이 된다. DN2 는, 버튼 (6) 이 재연마 되었을 때의 드릴 비트 헤드부의 직경을 나타낸다. DG1 은, 지적한 바와 같이, 드릴 비트 후방부 (1A) 에서의 제 1 직경을 표시한 것으로, 제 1 안내부 (19) 의 반경방향 외부에 형성된 최대 직경이 된다. DG2 는, 지적한 바와 같이, 드릴 비트 후방부 (1A) 에서의 제 2 직경을 표시한 것으로, 제 1 안내부 (20) 의 반경방향 외부에 형성된 최대 직경이 된다. 랜드 (15) 에 의해 형성된 직경은 DG1 및 DG2 보다 작다. 안내부 (19, 20) 를 연결하는 (bridging) 계단부 (22) 의 높이는 드릴 비트의 반경방향으로 2 ~ 3 mm 가 되어, 균형있는 마모를 허용한다. 이러한 특히 "기밀한" 안내부는, 그 수명동안 더욱 직선형 구멍을 드릴링하는 드릴 비트를 제공한다. 대안으로, 계단부 (22) 대신에, 바람직하게는 볼록형 또는 원추형인 경사면이 제공되어, 제 1 직경 (DG1) 으로부터 허리부 (15A) 의 직경까지, 직경의 치수가 축방향 전방으로 헤드부 (3) 를 향해 연속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드릴 헤드를 기계가공 또는 밀링하여, 전면 (8) 및 상승부 (12)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링 시험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드릴 비트의 전방의 밀링에 소요되는 시간이 종래의 드릴 비트에 비하여 약 20 % 감소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 비트에는 많은 장점이 있다. 이 드릴 비트는, 재연마가 용이하고, 수명이 증가하며, 직선 드릴링이 가능하다. 추가적인 장점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릴 비트의 계단식 구성이 드릴 비트의 더 작은 스톡 (stock) 을 허용한다는 것인데, 이는 계단식 구성이 단단한 암석용 비트 및 강하지 않은 암석용 비트 모두에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 비트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전면 (8) 이 상대적으로 개방되어, 상승부 (12) 사이에서의 플러싱 매체 (공기 및/또는 물) 의 유동이 방해받지 않을 것이다. 이는, 전면 (8) 의 플러싱이 효율적임을 의미한다. 전방 버튼보다 멀리 돌출하는 주변 버튼을 가짐으로써, 드릴링시에 안내 암석 중심설정이 향상되어, 더욱 직선형 구멍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전면의 상대적 대칭성은, 각각 상부 해머 드릴링 및 다운홀 드릴링의 경우에, 전면 (8) 을 오른손 드릴링 및 왼손 드릴링 모두에 사용되는 드릴 비트에 적합하게 하여준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드릴 비트의 전방의 기계가공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 비트는 종래 기술의 드릴 비트와 비교할 때, 적어도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드릴 비트의 수명이 연장되고, 더 직선형 구멍을 드릴링할 수 있다.

Claims (9)

  1. 충격식 드릴링에 적합한 착암 드릴 비트로서, 길이방향 중심축 (CL) 을 규정하는 드릴 헤드 (3) 및 비트 본체 (2) 를 포함하며, 상기 드릴 헤드 (3) 는 축방향으로 전방에 암석 분쇄면 (8) 및 상기 암섬 분쇄면 (8) 으로부터 축방향 후방으로 연장된 스커트 (5) 를 포함하며, 상기 암석 분쇄면은 여러 암석 분쇄 수단 (4, 6) 을 포함하며, 상기 스커트의 외주면은 그 사이에 랜드 (15) 를 형성하는 홈 (11) 과 이격되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홈 및 상기 랜드는 일반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랜드 (15) 의 축방향 후방부에는 안내면 (19, 20) 이 제공되며, 상기 안내면 (19, 20) 은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며, 상기 드릴 비트 (1) 는 중간부에 허리부 (15A) 를 갖는 드릴 비트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하나 이상의 계단부 (22) 또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직경의 치수를 각각 단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감소시키며, 상기 안내면은 상기 허리부 (15A) 의 가상 연장선 (21) 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한 제 1 안내부 (19) 및 제 2 안내부 (20)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안내부 (19) 는 상기 드릴 비트의 상기 중심축 (CL) 에 대하여 상기 제 2 안내부 (20) 보다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멀리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내부 (19, 20) 는 부분 원통형상이며, 상기 제 1 안내부 (19) 는 제 1 직경 (DG1) 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 2 안내부 (20) 는 제 2 직경 (DG2) 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비트의 공칭 직경 (DN1) 은 상기 제 1 안내부 (19) 의 제 1 직경 (DG1) 보다 3 ~ 6 %, 바람직하게는 약 4 %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몇 개의 랜드의 축방향 후방부 (1A) 는 구멍에서 비트를 철수하는 동안 암석을 분쇄하는 리트랙 치형을 형성하며, 하나 이상의 유체 채널 (7) 이 상기 헤드부를 통해 연장되어 플러싱 매체의 전달을 위하여 상기 전면 (8) 과 소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3) 는 외부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는 다수의 둘레방향으로 이격된 강재의 상승부 (12) 를 포함하며, 상기 각 상승부 (12) 는 최대 2개의 주변 버튼 (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상승부 (12) 는 하나 이상의 주변 버튼 (6) 을 수반하며, 상기 안내 부 (19, 20) 의 연장선은 주변 버튼 (6) 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부 (12) 는 전면 (8) 의 반경방향 통로 (14) 에 의해 이격되어, 그 사이에서 플러싱 매체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8) 은 상기 비트 본체의 주변 홈 (10) 에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전방 홈 (10) 과 전면 (8) 사이에 전방 홈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 홈은 일반적으로 외측 및 후방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 비트.
KR1020077013349A 2004-11-17 2005-10-24 착암 드릴 비트 KR101240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402806-4 2004-11-17
SE0402806A SE530602C2 (sv) 2004-11-17 2004-11-17 Bergborrkrona för slående borrning
PCT/SE2005/001596 WO2006054933A1 (en) 2004-11-17 2005-10-24 Rock drill b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145A true KR20070086145A (ko) 2007-08-27
KR101240763B1 KR101240763B1 (ko) 2013-03-07

Family

ID=3348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349A KR101240763B1 (ko) 2004-11-17 2005-10-24 착암 드릴 비트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281594B2 (ko)
EP (1) EP1815103B1 (ko)
JP (1) JP4709226B2 (ko)
KR (1) KR101240763B1 (ko)
CN (1) CN101061290B (ko)
AU (1) AU2005307146B2 (ko)
CA (1) CA2585564C (ko)
RU (1) RU2378480C2 (ko)
SE (1) SE530602C2 (ko)
WO (1) WO2006054933A1 (ko)
ZA (1) ZA2007039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0135C2 (sv) 2004-09-21 2008-03-1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Bergborrkrona anpassad för slående borrning
SE530602C2 (sv) 2004-11-17 2008-07-15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Bergborrkrona för slående borrning
SE530650C2 (sv) * 2007-11-21 2008-07-29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Slagborrkrona för bergborrning och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en dylik borrkrona
US10907417B2 (en) * 2008-01-22 2021-02-02 William J Brady Polycrystalline diamond chisel type insert for use in percussion drill bits even for use in large hole percussion drilling of oil wells
IES20120176A2 (en) * 2012-04-05 2013-03-27 Mincon Internat Ltd Symmetrical bit for directional drilling tool
JP2014196655A (ja) * 2013-03-05 2014-10-1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掘削ビット
JP2014196615A (ja) * 2013-03-29 2014-10-1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掘削ビット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掘削チップ
EP2902583B1 (en) * 2014-01-31 2017-04-12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Percussive rock drill bit with flushing grooves
US10487588B2 (en) 2014-05-15 2019-11-26 Dover Bmcs Acquisition Corp. Percussion drill bit with at least one wear insert, related systems, and methods
EP2990589B1 (en) * 2014-08-25 2017-05-03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Drill bit with recessed cutting face
USD872142S1 (en) * 2015-05-21 2020-01-07 Center Rock Inc. Drill bit for a down-the-hole drill hammer
CA165394S (en) 2015-05-29 2016-06-16 Atlas Copco Secoroc Ab Rock drill bit
AU363298S (en) * 2015-07-17 2015-08-11 The State Of Queensland Through Its Dept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Drill corer
USD805114S1 (en) * 2016-01-26 2017-12-12 Roy Jones Traveling rotary valve
JP1569599S (ko) * 2016-07-14 2017-02-20
JP1569597S (ko) * 2016-07-14 2017-02-20
JP1569589S (ko) * 2016-07-14 2017-02-20
USD870168S1 (en) 2018-03-13 2019-12-17 Robit Oyj Drill bit
USD861051S1 (en) * 2018-03-13 2019-09-24 Robit Oyj Drill bit
EP3690180A1 (en) * 2019-01-30 2020-08-05 Sandvik Mining and Construction Tools AB Percussion drill bit with wear inserts
US11821048B2 (en) 2019-03-19 2023-11-21 Jfe Steel Corporation Hole-opening bit and tap hole opening method using same
DE102020005128A1 (de) 2020-08-21 2022-02-24 Tracto-Technik Gmbh & Co. Kg Bohrkopf für eine schlagend verdrängende Erdbohrvorrichtung und Verwendung eines Borhkopfs für eine schlagend verdrängende Erdbohrvorrichtung
USD1009108S1 (en) * 2020-09-21 2023-12-26 Kyocera Unimerco Tooling A/S Drill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7507A (en) 1965-10-24 1967-12-12 Mission Mfg Co Percussion bit
JPS477361Y1 (ko) * 1969-04-18 1972-03-18
US3955635A (en) 1975-02-03 1976-05-11 Skidmore Sam C Percussion drill bit
SE452636B (sv) * 1983-09-20 1987-12-07 Santrade Ltd Bergborrkrona
US4862976A (en) * 1988-11-22 1989-09-05 Sandvik Rock Tools, Inc. Spline drive for percussion drilling tool
JP2543575Y2 (ja) * 1989-03-06 1997-08-0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ロックビット
BR9502857A (pt) * 1995-06-20 1997-09-23 Sandvik Ab Ponteira para perfuração de rocha
SE508490C2 (sv) * 1996-03-14 1998-10-12 Sandvik Ab Bergborrkrona för slående borrning
US5743345A (en) * 1996-05-16 1998-04-28 Ingersoll-Rand Company Drill bit for reverse drilling
JP4043667B2 (ja) * 1999-09-28 2008-02-06 古河機械金属株式会社 さく孔用ドリルビット構造
SE514931C2 (sv) * 2000-03-02 2001-05-21 Sandvik Ab Bergborrkrona samt förfarande för dess tillverkning
CA2429862C (en) 2000-11-27 2009-10-13 Shell Canada Limited Drill bit
SE523913C2 (sv) 2002-04-04 2004-06-01 Sandvik Ab Slående borrkrona och ett stift därför
SE522152C2 (sv) * 2002-05-17 2004-01-20 Sandvik Ab Bergborrprodukt och metod att härda denna
SE520036C2 (sv) * 2002-06-26 2003-05-13 Sandvik Ab Bergborrkrona samt förfarande för dess tillverkning
JP2004036260A (ja) * 2002-07-04 2004-02-05 Mitsubishi Materials Corp 掘削工具
US20050072602A1 (en) * 2003-03-05 2005-04-07 Numa Tool Company Integral bit retention system
AR044550A1 (es) * 2003-05-26 2005-09-21 Shell Int Research Cabeza de perforacion y sistema y metodo para perforar un pozo de perforacion en una formacion de tierra
SE526344C2 (sv) * 2003-12-09 2005-08-30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Bergborrkrona
SE530135C2 (sv) 2004-09-21 2008-03-1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Bergborrkrona anpassad för slående borrning
SE530602C2 (sv) 2004-11-17 2008-07-15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Bergborrkrona för slående borrning
US7308955B2 (en) * 2005-03-22 2007-12-18 Reedhycalog Uk Limited Stabilizer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5103B1 (en) 2015-04-01
JP2008520870A (ja) 2008-06-19
US20060162965A1 (en) 2006-07-27
CN101061290A (zh) 2007-10-24
WO2006054933A1 (en) 2006-05-26
SE530602C2 (sv) 2008-07-15
SE0402806D0 (sv) 2004-11-17
SE0402806L (sv) 2006-05-18
CA2585564A1 (en) 2006-05-26
EP1815103A1 (en) 2007-08-08
AU2005307146B2 (en) 2010-06-10
AU2005307146A1 (en) 2006-05-26
US7281594B2 (en) 2007-10-16
RU2378480C2 (ru) 2010-01-10
KR101240763B1 (ko) 2013-03-07
EP1815103A4 (en) 2012-10-31
RU2007122508A (ru) 2008-12-27
CA2585564C (en) 2013-02-12
JP4709226B2 (ja) 2011-06-22
ZA200703953B (en) 2010-08-25
CN101061290B (zh)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763B1 (ko) 착암 드릴 비트
EP1794406B1 (en) Rock drill bit
EP1694939B1 (en) Rock drill bit
AU2012327283B2 (en) Drill bit having a sunken button and rock drilling tool for use with such a drill bit
EP3960981B1 (en) Carved out drill bit
OA21130A (en) Carved out drill b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