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820A -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820A
KR20070082820A KR1020060015917A KR20060015917A KR20070082820A KR 20070082820 A KR20070082820 A KR 20070082820A KR 1020060015917 A KR1020060015917 A KR 1020060015917A KR 20060015917 A KR20060015917 A KR 20060015917A KR 20070082820 A KR20070082820 A KR 20070082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light source
control device
keypad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064B1 (ko
Inventor
노시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룩스
Priority to KR1020060015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1064B1/ko
Publication of KR20070082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원의 밝기 및 색깔을 미리 설정된 상태로 구현하거나 혹은 임의로 조절하기 위해, 복수의 광원을 내장한 조명등에서 방출되는 빛의 색깔 및 밝기를 소정의 범위내에서 임의로 조절하는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벽에 매립 고정되는 매립체와; 상기 광원의 밝기 및 색깔 등의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입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매립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상기 매립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전면 케이스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광원의 밝기나 색깔을 일정한 수치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복수의 업/다운 키와, 상기 광원의 밝기와 색깔을 각기 다른 형태로 상기 광원을 발광시키는 복수의 푸시버튼 키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의 일정 위치에 분할 형성되는 키 패드 및 상기 키 패드의 조작에 따른 상태 변화를 점멸 형태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조명, 광원, 업/다운 키, 푸시버튼 키, 캐 패드, 매립체, 표시장치.

Description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A CONTROL UNIT WITH MULTIPLE FUNCTION FOR ILLUMI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부호의 설명]
10 광원, 20 매립체,
40 마이크로 컨트롤러(MC), 50 키 패드,
60 표시장치, 70 무선 송수신 포트,
80 원격 제어장치.
본 발명은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또는 실외의 조명등에 내장된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태양 빛의 밝기나 색깔 혹은 구름이나 달빛의 밝기나 색깔을 출 력하거나 조절하는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는 조명등에는 점등 및 소등을 행하는 전자식이나 기계식의 온/오프 키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온/오프 키를 조작하여 온 상태로 하면, 조명등의 광원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점등 상태가 되고, 오프 상태로 하면, 조명등의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소등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조명등의 점등 및 소등시에 사용되는 온/오프 키는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혹은 리모컨을 이용하여 온/오프 조작해야 하며, 또 일단 조명등을 점등시킨 후 소등하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에는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발생된다.
한편, 사람의 존재 여부에 따라 조명등이 점등 및 소등되는 자동 조명 제어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자동 조명 제어시스템은 사람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인체 검출수단과, 소정의 파장의 빛을 방출하는 광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인체 검출수단에 의해 조명등의 광원으로 전원이 공급되거나 혹은 차단된다.
또한, 조명등이 점등된 상태에서 딤머나 조광기 등과 같은 조도 제어장치를 통해 조명등의 조도를 점진적으로 증가 혹은 감소시키는 조명용 조도 제어시스템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조명용 조도 제어시스템에서 조명등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백열 램프나 형광 램프로는 일출이나 일몰, 구름낀 날 혹은 달빛과 같이 자연스런 빛을 구현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명용 조도 제어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조도 제어장치로는 조명등의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밝기 및 색깔을 조절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을 이용하여 자연스런 빛을 출력하는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등이 점등된 상태에서도 광원의 밝기 및 색깔을 미리 설정된 상태로 구현하거나 혹은 임의로 조절하는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이외의 목적, 특징, 양상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결합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광원을 내장한 조명등에서 방출되는 빛의 색깔 및 밝기를 소정의 범위내에서 임의로 조절하는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벽에 매립 고정되는 매립체와; 상기 광원의 밝기 및 색깔 등의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입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매립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상기 매립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전면 케이스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광원의 밝기나 색깔을 일정한 수치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복수의 업/다운 키와, 상기 광원의 밝기와 색깔을 각기 다른 형태로 상기 광원을 발광시키는 복수의 푸시버튼 키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의 일정 위치에 분할 형성되는 키 패드 및 상기 키 패드의 조작에 따른 상태 변화를 점멸 형태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면 케이스의 일정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포트 및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숫자나 문자 키, 각종 기능 키 및 무선 포트 등을 포함하는 리모컨 등으로 구성되는 원격 제어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 포트를 통해서, 상기 원격 제어부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데이터가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광원은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방출하는 2개 이상의 백열 램프, 형광 램프 및 할로겐 램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표시장치는 LED 또는 꼬마전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 상기 키 패드의 조작에 따른 상태 변화를 그래픽이나 숫자 형태로 표시하는 LCD 또는 O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키 패드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 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10)을 내장한 조명등에서 방출되는 빛의 색깔 및 밝기를 소정의 범위내에서 임의로 조절하는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에 있어서, 매립체(20)와; 마이크로 컨트롤러(MC)(30)와; 전면 케이스(40)와; 키 패드(50) 및 표시장치(6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광원(10)은,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방출하는 2개 이상의 백색 또는 황색 계통의 빛을 방출하는 백열 램프, 백색 또는 황색 계통의 빛을 방출하는 형광 램프 및 황색 계통의 빛을 방출하는 할로겐 램프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전원의 공급에 따라 태양 빛에 가까운 빛을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매립체(20)는 금속재료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벽에 형성되는 홈에 매립되어 나사 등과 같은 보조기구에 의해 상기 홈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MC)(30)는 상기 매립체(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는 기록 및 소거 가능한 집적회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광원(20)의 밝기 및 색깔 등의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 미리 설정 된 일출 및 일몰, 주간, 흐린날, 달이 밝거나 어두운 날의 빛의 밝기와 색깔을 복수, 예컨대 6개 정도의 레벨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프로세서는 입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성되며, 빛의 밝기와 색깔을 조절하는 디밍 기능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전면 케이스(40)는 합성수지 등에 의해 상기 매립체(2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매립체(20)에 나사 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 패드(50)는 상기 전면 케이스(40)의 일정 위치에 분할 형성되는 복수의 업/다운 키(51, 52) 및 복수의 푸시버튼 키(54, 55, 56, 57, 58, 59)로 구성되며, 합성수지 등에 의해 상기 전면 케이스(4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복수의 업/다운 키(51, 52)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복수 광원(10)의 밝기나 색깔을 일정한 수치로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또, 상기 복수의 푸시버튼 키(54, 55, 56, 57, 58, 59)는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일출 및 일몰, 주간, 흐린날, 달이 밝거나 어두운 날의 빛의 밝기와 색깔, 예컨대 6개의 레벨에 따라 상기 복수의 광원(10)을 발광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업/다운 키(51)는 백색 계통의 광원(C)의 밝기(조도)를 일정 수치마다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마찬가지로, 상기 업/다운 키(52)는 주황색 계통의 광원(W)의 밝기(조도)를 일정 수치마다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또, 푸시버튼 키(54, 55, 56, 57, 58, 59)는 1회 클릭된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일출 및 일몰, 주간, 흐린날, 달이 밝거나 어두운 날의 빛의 밝 기와 색깔, 즉 소정 레벨로 3초간에 걸쳐 상기 복수의 광원(10)을 발광시키고, 더블 클린된 경우에는 즉시 소정 레벨로 상기 복수의 광원(10)을 발광시킨다. 그리고, 상기 푸시버튼 키(54, 55, 56, 57, 58, 59)가 3초 이상 계속 눌려진 경우에는 현재 상태의 레벨이 그대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장치(60)는 상기 업/다운 키 및 푸시버튼 키에 대응하는 갯수만큼(61, 62, 64~69) LED 또는 꼬마전구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업/다운 키(51, 52) 및 복수의 푸시버튼 키(54, 55, 56, 57, 58, 59)에 대응해서 바로 옆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60)는 상기 키 패드(50)의 조작에 따른 각종 상태 변화를 그래픽, 숫자나 문자 혹은 기호 등의 형태로 표시하는 LCD 또는 OLED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본 발명은 무선 송수신 포트(70) 및 원격 제어장치(8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 송수신 포트(70)는 상기 전면 케이스(40)의 일정 부분, 예컨대 좌측이나 우측 상단에 설치되어, 송수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MC)(30)로 전달한다. 또한, 원격 제어장치(80)는,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숫자나 문자 키, 각종 기능 키 및 상기 무선 송수신 포트(70)와 대응해는 무선 포트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무선 포트 및 무선 송수신 포트(70)를 통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MC)(30)와 무선 방식, 예컨대 적외선 또는 RF 방식 등으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마이크로 컨트롤러(MC)(30)는 키 패드(50)가 조작되었는지를 판정한다(S10).
이 결과, 상기 키 패드(50) 중 복수의 푸시버튼 키(54~59) 중 어느 것이라도 조작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복수의 광원(10)을 소등 상태로 유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복수의 광원(10)을 점등시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30)의 메모리에 저장된 소정 레벨, 즉 6개의 레벨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레벨로 발광시킨다(S20). 또,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위해 6개의 레벨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30)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소정 레벨은 일출 및 일몰, 주간, 흐린날, 달이 밝거나 어두운 날의 빛의 밝기와 색깔, 예컨대 6개의 레벨로서 각각 복수의 푸시버튼 키(54~59)에 할당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푸시버튼 키(54~59) 중 푸시버튼 키(54)가 조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30)의 메모리에 저장된 레벨 중 주간의 빛의 밝기와 색깔, 예컨대 상기 광원(10)에서 백색 계통의 광원(C)의 레벨이 16, 상기 광원(10)에서 주황색 계통의 광원(W)의 레벨이 16의 비율로 발광하게 된다. 또한, 일출의 경우에는 백색 계통의 광원(C)의 레벨이 1, 주황색 계통의 광원(W)의 레벨이 11의 비율, 일몰의 경우에는 백색 계통의 광원(C)의 레벨이 0, 주황색 계통의 광원(W)의 레벨이 1의 비율, 흐린 날의 경우에는 백색 계통의 광원(C)의 레벨이 16, 주황색 계통의 광원(W)의 레벨이 2의 비율, 달이 밝은 날의 경우에는 백색 계통의 광원(C)의 레벨이 8, 주황색 계통의 광원(W)의 레벨이 1의 비율, 달이 어두운 날의 경우에는 백색 계통의 광원(C)의 레벨이 1, 주황색 계통의 광원(W)의 레벨이 0의 비율로 각각 발광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키 패드(50) 중 업/다운 키(51, 52)가 조작되었는지를 판정한다(S30).
이 결과, 상기 업/다운 키(51, 52)가 조작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푸시버튼(59)의 조작여부를 판정하고(S70), 그렇지 않으면 상기 광원(10)의 밝기 및 색깔을 조정한다(S40). 여기에서도, 상기 업/다운 키(51, 52)가 - 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광원(10)의 밝기 레벨이 낮아지고, + 방향으로 조작되면 상기 광원(10)의 밝기 레벨이 높아져 발광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푸시버튼 키(54~59)가 3초 이상 길게 눌려졌는지를 판정하여 현재 상태의 레벨을 저장할 것인지를 판정한다(S50).
이 결과, 상기 푸시버튼 키(54~59)가 3초 이상 길게 눌려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푸시버튼(59)의 조작여부를 판정하고(S70), 그렇지 않으면 현재 상태의 레벨을 상기 메모리에 그대로 저장시킨다(S60).
다음에, 상기 푸시버튼(59)의 조작여부를 판정한다(S70).
이 결과, 상기 푸시버튼(59)이 조작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다시 스텝(S70)을 반복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광원(10)을 소등시킨다(S80).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형태에 의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서 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방출하는 복수의 광원의 밝기 및 색깔을 제어함으로태양 빛이나 달빛 등과 같이 자연스런 빛을 출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등이 점등된 상태에서도 광원의 밝기 및 색깔을 미리 설정된 상태, 예컨대 일출 및 일몰, 주간, 흐린날, 달이 밝거나 어두운 날의 빛의 밝기와 색깔로 광원을 발광시킬수 있는 동시에 상기 광원에서 발광되는 빛의 빛의 밝기와 색깔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복수의 광원(10)을 내장한 조명등에서 방출되는 빛의 색깔 및 밝기를 소정의 범위내에서 임의로 조절하는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벽에 매립 고정되는 매립체(20)와;
    상기 광원(20)의 밝기 및 색깔 등의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메모리와, 입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매립체(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C)(30)와;
    상기 매립체(2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전면 케이스(40)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광원(10)의 밝기나 색깔을 일정한 수치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복수의 업/다운 키(51, 52)와, 상기 광원의 밝기와 색깔을 각기 다른 형태로 상기 광원을 발광시키는 복수의 푸시버튼 키(54, 55, 56, 57, 58, 59)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40)의 일정 위치에 분할 형성되는 키 패드(50) 및;
    상기 키 패드(50)의 조작에 따른 상태 변화를 점멸 형태로 표시하는 표시장치(60)를 구비하는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케이스(40)의 일정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MC)(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 포트(70) 및;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숫자나 문자 키, 각종 기능 키 및 무선 포트 등을 포함하는 리모컨 등으로 구성되는 원격 제어장치(8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 포트(70)를 통해서, 상기 원격 제어부(80)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MC)(30)의 데이터가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10)은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방출하는 2개 이상의 광원(W, C)으로 구성되며,
    상기 광원(10)은 백열 램프, 형광 램프 및 할로겐 램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60)는 LED 또는 꼬마전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60)는 상기 키 패드(50)의 조작에 따른 상태 변화를 그래픽이나 숫자 형태로 표시하는 LCD 또는 OLE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케이스(40)와 상기 키 패드(50)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다기능 제어장치.
KR1020060015917A 2006-02-18 2006-02-18 조명용 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951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917A KR100951064B1 (ko) 2006-02-18 2006-02-18 조명용 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917A KR100951064B1 (ko) 2006-02-18 2006-02-18 조명용 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820A true KR20070082820A (ko) 2007-08-22
KR100951064B1 KR100951064B1 (ko) 2010-04-05

Family

ID=3861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917A KR100951064B1 (ko) 2006-02-18 2006-02-18 조명용 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10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217B1 (ko) * 2008-12-05 2009-02-24 (주)세광산업조명 Led 조명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141B1 (ko) * 2019-06-25 2021-04-2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불쾌 글레어 제거 기능을 가지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59829B1 (ko) * 2020-04-08 2020-09-24 주식회사리소스랩 조도센서없이 집광채광루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조명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6737B2 (ja) * 1994-12-28 2003-02-10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217B1 (ko) * 2008-12-05 2009-02-24 (주)세광산업조명 Led 조명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1064B1 (ko) 201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51899U (zh) 具有自动与手动调光功能的发光二极管灯具系统
US20070165406A1 (en) Display with an illuminating light
US8963432B2 (en) Light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and lighting control device
TW201011597A (en) User interface device for controlling a connected consumer load and light system using such user interface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a consumer load using
EP2454522A1 (en) Luminaire with touch pattern control interface
KR100723928B1 (ko) 지능형 조명 장치
US11800618B2 (en)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comprising the lighting device
KR20070097603A (ko) Led를 이용한 조명장치
KR100951064B1 (ko) 조명용 제어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70087269A (ko) 복합 광원의 제어장치
WO2018157837A1 (zh) 照明灯具
KR20120110073A (ko) 천장 조명 시스템
KR101185373B1 (ko) 조명 유닛
US9288881B2 (en) Control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n atmosphere generating device
KR200450186Y1 (ko) Led와 시계를 이용한 조명 장치
JP5311635B2 (ja) 照明装置
JP2011159391A (ja) 直管蛍光灯型led照明灯と、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
KR200369703Y1 (ko) 장식구 조명장치
CN211429566U (zh) 一种新型led照明电路控制装置
JP2004111205A (ja) 点灯ゲージつき照明用リモコン送信器
KR20110020009A (ko) 조명용 제어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0165592A (ja) 調光装置
KR100822330B1 (ko) 보조등을 갖는 조명장치 및 조명방법
KR20160048746A (ko) 조명용 제어기
KR200481985Y1 (ko) 조명등의 스위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