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657A -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657A
KR20070081657A KR1020060013773A KR20060013773A KR20070081657A KR 20070081657 A KR20070081657 A KR 20070081657A KR 1020060013773 A KR1020060013773 A KR 1020060013773A KR 20060013773 A KR20060013773 A KR 20060013773A KR 20070081657 A KR20070081657 A KR 20070081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ion
output
image
original image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3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1657A/ko
Publication of KR20070081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캡션의 출력위치와 관련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는 상기 캡션을 세로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캡션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재생되는 원본영상 이외의 부분에 세로로 디스플레이되거나, 블랙매트릭스의 사이즈를 조정하여 원본영상과 겹치지 않도록 세로로 출력되거나, 원본영상위에 세로로 출력되거나 원본영상의 화면 비율을 줄이고, 상기 원본영상 화면 비율을 줄임으로써 발생하는 블랙매트릭스 위에 세로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며, 모니터에 원본 영상과 함께 실제 영화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로 캡션을 출력하여 가정에서도 영화관에서 시청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 TV, 캡션

Description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및 그 방법{Caption Expression Method in Digital Video output apparutus}
도 1a, 1b, 1c는 상기에서 설명한 캡션의 출력 모드에서의 원본 영상과 캡션이 TV의 모니터상에서 보여지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변환을 위한 설정장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자동 변환 모드 설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본영상 및 캡션출력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210 : 리모컨 및 TV전면 패널 220 : 원본 소스 화면 비율 처리부
230 : 마이컴 240 : 메모리
250 : 비디오/오디오 디코더 260 : 화면 변환 및 캡션 처리부
270 : 화면 변환 및 캡션 설정 처리부
280 : 모니터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캡션의 출력위치와 관련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TV는 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4:3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TV들이 있으며, 실제 원본 영상의 소스의 경우에도 HD급은 16:9이고, SD급은 4:3으로 전송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디지털 TV 및 TV에서는 캡션을 포함한 영상을 재생할 경우에 포함된 캡션을 함께 출력함에 있어서 캡션은 재생되는 영상의 아래쪽에 출력된다. 이때, 캡션이 재생되는 영상과 겹쳐 나오게 되면 영상을 보는데 있어서 다소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재생되는 원본 영상 아래쪽의 블랙매트(10)를 만들고 블랙매트 위에 영상을 재생함과 동시에 재생되는 영상의 외부 아래쪽 블랙매트에 영상에 포함된 캡션을 재생하여 시청 상의 불편함을 해소한다.
그러나 원본 영상의 아래쪽에 블랙매트를 만들어 재생하는 경우에 원본 영상과 겹치는 부분과 블랙매트에 캡션이 나오게 되는 부분으로 이 방법 역시 시청 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원본 영상과 함께 재생되는 영상에서 캡션의 인식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재생되는 영상에 캡션을 출력하기 위한 사각형의 막대를 이용 캡션을 출력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재생되는 영상과 함께 캡션을 출력하는 방법들이 실제 디지털 TV 및 TV에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들에 대해 도면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 1b, 1c는 상기에서 설명한 캡션의 출력 모드에서의 원본 영상과 캡션이 TV의 모니터상에서 보여지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a 는 위에서 설명한 재생되는 영상에 포함된 캡션을 TV의 모니터상에서 보여지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4:3과 16:9의 모니터 비율을 가지는 TV에 있어서 재생되는 영상에 포함된 캡션을 영상 내에 함께 재생할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 1b는 4:3의 모니터 비율을 가지는 TV에서 원본 소스 영상이 16:9인 경우에 캡션이 모니터에 출력되는 화면과 겹치지 않도록 원본 영상의 아래쪽 블랙 매트에서 재생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1c는 원본 영상 내에서 캡션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서 사각형의 막대를 만들고 그 위에 캡션을 출력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 1a 내지 도 1c에서 도시된 캡션표현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도 1a와 같은 경우에는 자막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처리 방식으로 원본 영상 위에 캡션을 출력하므로 일반적으로 많은 시청자들이 각종 영상물을 볼 때 익숙한 방식이나 원본 영상 위에 캡션이 출력되므로, 원본 영상을 시청하는데 방해적인 요 소가 있다.
도 1b와 같은 경우에는 블랙매트 위에 캡션을 출력할 경우에 대해서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블랙 매트 위에 캡션을 출력하는 방식에서는 출력되는 캡션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고, 원본 영상을 시청하는데 있어서 방해가 줄어들 수 있지만, 한 번에 출력되는 캡션의 량이 많을 경우에 원본 영상의 시청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16:9의 모니터 비율을 가질 경우 HD급의 16:9의 원본 영상은 화면 아래쪽에 블랙 매트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도 1c와 같은 경우에는 시청자가 원본 영상 내에서 출력되는 캡션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다. 원본 영상의 출력과 함께 영상 내에 사각형의 막대를 만들고 그 위에 캡션을 출력하기 때문에 캡션의 인식률은 높일 수 있으나, 원본 영상을 시청함에 있어서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앞서 설명한 원본 영상에 캡션을 출력할 경우에 생기는 원본 영상의 시청을 방해하는 문제점과 특히, 디지털 TV 화면 비율이 16:9인 경우에 캡션 출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본 영상의 비율이 4:3인 경우와 16:9인 경우에 원본 영상에 시청을 방해하지 않고 16:9의 화면 비율을 가지는 모니터에 캡션을 출력 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시청상의 불편함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는 상기 캡션을 세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션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재생되는 원본영상 이외의 부분에 세로로 디스플레이되거나, 블랙매트릭스의 사이즈를 조정하여 원본영상과 겹치지 않도록 세로로 출력되거나, 원본영상위에 세로로 출력되거나 원본영상의 화면 비율을 줄이고, 상기 원본영상 화면 비율을 줄임으로써 발생하는 블랙매트릭스 위에 세로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는 캡션 및 화면 변환에 관련된 설정 및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저장된 캡션 모드의 설정 정보에 따라 캡션 및 화면 변환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실제 원본 소스가 캡션 모드에 따라서 설정된 화면 변환 모드로 출력함과 동시에 캡션을 출력하도록 하는 화면 변환 및 캡션 처리부; 실제 원본 소스를 비디오와 오디오로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오디오 디코더; 원본 소스의 화면 비율을 체크하기 위한 원본 소스 화면 비율 처리부 및 화면 변환 및 캡션 모드 설정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방법은 소정의 입력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디지털 영상기기장치에 캡션출력이 선택되었는지 여부 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기기장치에 캡션출력이 선택된 경우 캡션 출력방식 설정상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캡션 출력방식 설정상태를 검색하고, 상기 캡션 출력방식 설정이 세로로 설정된 경우 소정의 방식으로 캡션을 세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디지털 영상기기장치에 캡션출력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캡션이 없는 오리지널 영상을 그대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션 출력방식이 가로로 설정된 경우 기본 모드로 영상 및 캡션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변환을 위한 설정장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캡션변환을 위한 설정장치는 원본 소스 화면 비율 처리부(220), 마이컴(230), 메모리(240), 비디오/오디오 디코더(250), 화면 변환 및 캡션 처리부(260) 및 화면 변환 및 캡션 설정 처리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는 다수의 영상표시기기 중 디지털 TV의 캡션출력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그 구성은 기본적으로 외부의 신호를 받아 캡션 모드 및 화면 변환 모드 설정 및 사용자 캡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리모컨 및 TV 전면 패널 인터페이스(210), 캡션 모드 설정에 따라 필요한 캡션 모드 설정 및 화면 변환 설정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40), 설정된 캡션 모드 정보 및 화면 변환 정보를 이용하여 이를 실제 화면 변환을 처리하여 캡션을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마이컴(230), 외부 신호에 의해 캡션 모드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화면 변환을 설정하도록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캡션 모드 및 화면 변환 설정 처리부(270), 실제 원본 소스를 비디오와 오디오로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오디오 디코더(C50), 영상의 원본 소스의 화면 비율이 4:3인지 16:9인지 판단하기 위한 원본 소스 화면 비율 처리부(220), 캡션 모드 설정 및 화면 변환 설정 신호를 판단하여 비디오/오디오 디코더를 통한 영상이 외부 신호에 의해 설정된 화면 변환과 함께 캡션 설정 모드로 처리되도록 하는 캡션 및 화면 변환 처리부(260), 실제 캡션 및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280)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 자동 변환 모드 설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화면 자동 변환 모드 설정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310은 리모컨 또는 TV의 전면 패널에 입력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검색한다. 일반적으로 사 용자는 리모컨이나 디지털 TV에 부착된 소정의 버튼을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신호는 다양한 신호가 존재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화면절환을 위한 채널 선택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그러한 신호가 없을 경우에 입력 신호를 계속해서 기다린다.
단계 320은 캡션출력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써, 입력 신호가 있을 경우 먼저 캡션 출력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 가능한 것으로써 상기에서와 마찬가지로 리모컨 신호 또는 사용자가 디지털 TV의 버튼을 직접 조작함으로써 설정 가능하다. 만약, 캡션 출력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캡션이 없는 오리지널 원본 영상을 그대로 출력한다(S350).
단계 330은 캡션 출력 방식을 검색하는 과정으로써, 디지털 TV가 캡션 출력이 설정된 경우 캡션 출력 방식을 검색하는 과정이다. 상기 캡션 출력 방식은 가로 또는 세로모드의 출력이 가능하다. 만약 캡션 출력방식이 세로로 설정된 경우 기존의 일반적인 캡션 출력방식을 이용하여 영상 및 캡션을 출력한다(S360).
단계 340은 캡션에 따른 영상 출력을 선택하는 과정으로써, 상기 캡션 출력 방식이 세로로 설정된 경우 영상 및 캡션의 배치 및 출력방식을 설정한다. 사용자에 의해 영상출력 방식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오리지널 영상 및 사용자 설정 캡션을 출력하고(S370), 사용자에 의해서 원본영상 출력방법이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방법으로 원본영상 및 캡션을 출력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본영상 및 캡션출력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상기 도 3의 단계 340, 370, 및 380을 좀 더 구체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도 4a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비율은 4:3이고 원본 화면의 비율 역시 4:3인 경우의 화면 구성 방법이다. 이때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비율과 원본화면비율이 동일하므로 세로로 출력되는 캡션은 영화관에서 일반적으로 캡션이 출력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출력되어 세로로 출력되는 캡션 모드를 선택하면 안방에서 영화관에서 보는 화면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게 해준다.
도 4b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비율은 4:3이고 원본 화면의 비율은 16:9인 경우의 화면 구성 방법이다. 이 경우는 왜곡 없는 화면과 함께 세로 캡션을 출력하기 위해서 기본적은 오른쪽 블랙매트에 사이즈를 내부에서 조정하여 원본 영상과 캡션이 겹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시청상의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도 4c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비율은 16:9이고 원본 화면의 비율은 4:3인 경우의 화면 구성 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원본화면이 영상표시기기의 화면보다 큰 경우이므로 원본화면 위에 그대로 캡션을 출력한다.
도 4d는 영상표시기기의 화면 비율은 4:3이고 원본 화면의 비율 역시 4:3인 경우의 화면 구성 방법이다. 이때에는 16:9의 비율의 원본 영상에서 원본 영상에 겹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원본 영상의 화면 비율을 줄이고 오른쪽에 생긴 블랙매트에 캡션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오른쪽 블랙 매트의 크기 및 화면 비율은 사용자가 직접 기호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며, 모니터에 원본 영상과 함께 실제 영화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로 캡션을 출력하여 가정에서도 영화관에서 시청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의 비율이 16:9이고 원본 영상의 비율이 4:3인 경우에 원본 영상의 왜곡 없이 블랙매트를 활용하여 캡션의 인식률을 높임과 동시에 원본 영상과 캡션이 겹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원본 영상의 비율이 16:9인 경우에 원본 영상의 왜곡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세로 캡션이 화면에 겹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화면 비율을 줄여 오른쪽에 블랙매트를 만들어 이 블랙 매트에 캡션을 출력하도록 하여 캡션의 인식률을 높임과 동시에 캡션이 원본 영상과 겹치지 않도록 하여 원본 영상의 시청에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로 및 세로 등 다양한 방식의 캡션 출력 모드와 그에 따른 화면 변환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기호에 맞는 방식으로 캡션 및 화면 출력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자 개개인의 기호를 충족 시키는 데 있다.

Claims (13)

  1.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션을 세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션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재생되는 원본영상 이외의 부분에 세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션은 블랙매트릭스의 사이즈를 조정하여 원본영상과 겹치지 않도록 세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션은 상기 원본영상위에 세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션은 원본영상의 화면 비율을 줄이고, 상기 원본영상 화면 비율을 줄임으로써 발생하는 블랙매트릭스 위에 세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6.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에 있어서,
    캡션 및 화면 변환에 관련된 설정 및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저장된 캡션 모드의 설정 정보에 따라 캡션 및 화면 변환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실제 원본 소스가 캡션 모드에 따라서 설정된 화면 변환 모드로 출력함과 동시에 캡션을 출력하도록 하는 화면 변환 및 캡션 처리부; 실제 원본 소스를 비디오와 오디오로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오디오 디코더; 원본 소스의 화면 비율을 체크하기 위한 원본 소스 화면 비율 처리부 및 화면 변환 및 캡션 모드 설정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방법.
  7.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입력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디지털 영상기기장치에 캡션출력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영상기기장치에 캡션출력이 선택된 경우 캡션 출력방식 설정상태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캡션 출력방식 설정상태를 검색하고, 상기 캡션 출력방식 설정이 세로로 설정된 경우 소정의 방식으로 캡션을 세로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캡션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재생되는 원본영상 이외 의 부분에 세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캡션은 블랙매트릭스의 사이즈를 조정하여 원본영상과 겹치지 않도록 세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캡션은 상기 원본영상위에 세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캡션은 원본영상의 화면 비율을 줄이고, 상기 원본영상 화면 비율을 줄임으로써 발생하는 블랙매트릭스 위에 세로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기기장치에 캡션출력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캡션이 없는 오리지널 영상을 그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방법.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캡션 출력방식이 가로로 설정된 경우 기본 모드로 영상 및 캡션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방법.
KR1020060013773A 2006-02-13 2006-02-13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81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773A KR20070081657A (ko) 2006-02-13 2006-02-13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773A KR20070081657A (ko) 2006-02-13 2006-02-13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657A true KR20070081657A (ko) 2007-08-17

Family

ID=38611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773A KR20070081657A (ko) 2006-02-13 2006-02-13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165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585A (ko) * 1996-03-21 1997-10-13 배순훈 문자 분리의 화면표시 기능을 가진 텔레비젼
KR970078490A (ko) * 1996-05-03 1997-12-12 김광호 시청자 선택형 자막 표시 위치 조정 방법
KR970078487A (ko) * 1996-05-03 1997-12-12 김광호 세로쓰기의 열/행간격 조정기능을 갖는 시청자 선택형 자막 표시방법
KR19990060493A (ko) * 1997-12-31 1999-07-26 구자홍 캡션 데이터 처리 장치
KR20000074244A (ko) * 1999-05-19 2000-12-15 구자홍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585A (ko) * 1996-03-21 1997-10-13 배순훈 문자 분리의 화면표시 기능을 가진 텔레비젼
KR970078490A (ko) * 1996-05-03 1997-12-12 김광호 시청자 선택형 자막 표시 위치 조정 방법
KR970078487A (ko) * 1996-05-03 1997-12-12 김광호 세로쓰기의 열/행간격 조정기능을 갖는 시청자 선택형 자막 표시방법
KR19990060493A (ko) * 1997-12-31 1999-07-26 구자홍 캡션 데이터 처리 장치
KR20000074244A (ko) * 1999-05-19 2000-12-15 구자홍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63870B (zh) 用於依據客製化格式顯示視頻串流之方法
EP1897368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ata content
TWI520610B (zh) 電視控制裝置與相關方法
KR20080032524A (ko) 화면 분할 탐색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2519022A2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processing method
JP2007318431A (ja) 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10081639A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70121010A1 (en) Method of setting video device in accordance with video input and video device that uses the method
US9204079B2 (en) Method for providing appreciation object automatically according to user's interest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CN113132769A (zh) 显示设备及音画同步方法
KR10252367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JP2007295100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6108750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8627400B2 (en) Moving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moving image reproducing apparatus
JP2008122507A (ja) 画面表示処理装置、映像表示装置、osd表示方法
JP200729320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70081657A (ko)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및 그 방법
US20080284913A1 (en) Audio-visual system, reproduc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JP2008252746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14082737A (ja) 表示制御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23185129A1 (zh) 显示设备、服务器、媒资连播方法及投屏方法
KR20100047764A (ko) 텔레비전의 피벗 기능을 이용한 주화면 및 부화면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00072681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동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195134B1 (ko) 픽쳐서치 모드에서의 상 사이즈 자동 보정방법
JP2005295262A (ja) 番組受信システム及び番組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