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241A -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241A
KR20070081241A KR1020060013047A KR20060013047A KR20070081241A KR 20070081241 A KR20070081241 A KR 20070081241A KR 1020060013047 A KR1020060013047 A KR 1020060013047A KR 20060013047 A KR20060013047 A KR 20060013047A KR 20070081241 A KR20070081241 A KR 20070081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signal
input
outpu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1241A/ko
Publication of KR20070081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10Steel gratings ; Gratings made of material other than st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 F16S3/08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forming frameworks, e.g.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입력 영상 신호를 제1 출력 영상 신호와 변환 표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제1 출력 영상 신호와 상기 변환 표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2 출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표시판에 인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비트 전이(bit transition) 횟수가 소정 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제1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고,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비트 전이 횟수가 소정 값 미만이면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상기 제1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며, 상기 변환 표시 신호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변환 여부를 나타낸다.
표시장치, 비트, LVDS, 신호전송

Description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여러 가지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변환 전의 영상 신호의 비트 전이 횟수와 변환 후의 비트 전이 횟수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컴퓨터의 탁상용 모니터나 노트북 컴퓨터의 시각 인터페이스로서 널리 사용되며, 최근, 무겁고 큰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을 대신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플라스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은 평판 표시 장치가 활발히 개발 중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특정 유기물 또는 고분자들의 전계 발광을 이용하여 문자 또는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두 표시판의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에 전기장을 인가하고, 이 전기장의 세기를 조절하여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얻는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 중에서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판, 표시판에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및 데이터 구동 회로,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 등을 포함한다.
표시판에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행렬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와 게이트선과 데이터선 등 각종 신호선이 구비되어 있다. 게이트 구동부는 게이트선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여 화소의 스위칭 소자를 턴온/오프시키며, 데이터 구동부는 데이터선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화소가 영상을 표시하도록 한다.
신호 제어부는 외부에서 입력된 영상 신호를 외부에서 들어온 입력 제어 신호에 따라 처리하여 데이터 구동부로 공급하며 입력 제어 신호를 기초로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의 제어를 위한 다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신호 제어부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 및 제어 신호를 LDVS 방식 등으로 전송되는데, 예를 들어 8비트 영상 신호의 경우, 적색, 녹색, 청색의 각 색상에 대하여 8비트씩 24비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1비트, 수평 동기 신호 1비트, 수직 동기 신호 1비트 및 기타 더미 신호 1비트 등 전부 28비트씩 전송된다.
그러나 액정 표시 장치의 제품에 따라서 이들 신호를 모두 필요한 것은 아니 므로 신호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이들을 적절하게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영상 신호는 전송선을 통하여 한 비트씩 차례로 전송되는데 하나의 전송선을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의 값이 자주 변화하는 경우 노이즈가 커지고 전자기 간섭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영상 신호의 비트 변경(bit transition), 즉 신호 값의 변경을 줄이고 신호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입력 영상 신호를 제1 출력 영상 신호와 변환 표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제1 출력 영상 신호와 상기 변환 표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2 출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표시판에 인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비트 전이(bit transition) 횟수가 소정 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제1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고,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비트 전이 횟수가 소정 값 미만이면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상기 제1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며, 상기 변환 표시 신호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변환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보정 영상 신호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와 소정 기준 신호를 배타논리곱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 및 더미 신호를 인가 받으며,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상기 수직 동기 신호, 및 상기 더미 신호 의 자리에 상기 표지 신호를 실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 영상 신호는 8비트이며 상기 입력부와 상기 신호 제어부는 4 개의 전송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판부(300) 및 이에 연결된 게이트 구동부(400)와 데이터 구동부(500), 데이터 구동부(500)에 연결된 계조 신호 생성부(800), 게이트 구동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와 연결되어 이들을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600), 그리고 신호 제어부(600)에 연결되어 있 는 입력부(700)를 포함한다.
표시판부(300)는 등가 회로로 볼 때 복수의 표시 신호선(G1-Gn, D1-Dm)과 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표시 신호선(G1-Gn, D1-Dm)은 게이트 신호("주사 신호"라고도 함)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선(G1-Gn)과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D1-Dm)을 포함한다. 게이트선(G1-Gn)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선(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각 화소(PX), 예를 들면 i번째(i=1, 2, …, n) 게이트선(Gi)과 j번째(j=1, 2, …, m) 데이터선(Dj)에 연결된 화소(PX)는 신호선(Gi Dj)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Q)와 이에 연결된 화소 회로(pixel circuit)를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Q)는 하부 표시판(100)에 구비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로서, 그 제어 단자는 게이트선(Gi)과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Dj)과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액정 축전기(CLC) 및 유지 축전기(CST)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소자(Q)는 박막 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며, 특히 비정질 규소를 포함할 수 있다.
평판 표시 장치의 대표 격인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판부(300)는 하부 표시판(100)과 상부 표시판(200) 및 그 사이의 액정층(3)을 포 함하며, 표시 신호선(G1-Gn, D1-Dm)과 스위칭 소자(Q)는 하부 표시판(100)에 구비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 회로는 스위칭 소자(Q)에 연결된 액정 축전기(liquid crystal capacitor)(CLC) 및 유지 축전기(storage capacitor)(CST)를 포함한다. 유지 축전기(CST)는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액정 축전기(CLC)는 하부 표시판(100)의 화소 전극(191)과 상부 표시판(200)의 공통 전극(270)을 두 단자로 하며 두 전극(191, 270) 사이의 액정층(3)은 유전체로서 기능한다. 화소 전극(191)은 스위칭 소자(Q)와 연결되며 공통 전극(270)은 상부 표시판(20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압(Vcom)을 인가받는다. 도 2에서와는 달리 공통 전극(270)이 하부 표시판(100)에 구비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에는 두 전극(191, 270) 중 적어도 하나가 선형 또는 막대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액정 축전기(CLC)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유지 축전기(CST)는 하부 표시판(100)에 구비된 별개의 신호선(도시하지 않음)과 화소 전극(191)이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이루어지며 이 별개의 신호선에는 공통 전압(Vcom) 따위의 정해진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나 유지 축전기(CST)는 화소 전극(191)이 절연체를 매개로 바로 위의 전단 게이트선과 중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색 표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각 화소(PX)가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고유하게 표시하거나(공간 분할) 각 화소(PX)가 시간에 따라 번갈아 기본색을 표시하게(시간 분할) 하여 이들 기본색의 공간적, 시간적 합으로 원하는 색상이 인 식되도록 한다.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청색 등 삼원색을 들 수 있다. 도 2는 공간 분할의 한 예로서 각 화소(PX)가 화소 전극(191)에 대응하는 상부 표시판(200)의 영역에 기본색 중 하나를 나타내는 색 필터(230)를 구비함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와는 달리 색 필터(230)는 하부 표시판(100)의 화소 전극(191) 위 또는 아래에 둘 수도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판부(300)의 두 표시판(100, 200) 중 적어도 하나의 바깥 면에는 빛을 편광시키는 편광자(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판부(300)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는 비틀린 네마틱(twisted nematic, TN) 방식일 수 있으며, 특히 두 전극(191, 270) 사이에 전기장이 없을 때 가장 밝은 노멀리 화이트 방식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계조 신호 생성부(800)는 화소의 휘도와 관련된 복수의 계조 신호(또는 기준 계조 신호)를 생성한다.
게이트 구동부(400)는 표시판부(300)의 게이트선(G1-Gn)에 연결되어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선(G1-Gn)에 인가한다. 게이트 구동부(400)는 화소의 스위칭 소자(Q)와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되어 표시판부(300) 위에 집적될 수 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표시판부(300)의 데이터선(D1-Dm)과 연결되어 있으며, 계조 신호 생성부(800)로부터의 계조 신호를 선택하고 이를 데이터 신호로서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그러나 계조 신호 생성부(800)가 모든 계조에 대한 신호를 모 두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수의 기준 계조 신호만을 제공하는 경우에, 데이터 구동부(500)는 기준 계조 신호에 기초하여 분압 등을 통하여 전체 계조에 대한 계조 신호를 생성하고 이 중에서 데이터 신호를 선택한다.
신호 제어부(600)는 게이트 구동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입력부(700)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각종 신호를 적절하게 처리하게 신호 제어부(600)에 전달한다.
이러한 구동 장치(400, 500, 600, 80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 위에 직접 장착되거나,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도시하지 않음) 위에 장착되어 TCP(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도시하지 않음) 위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이들 구동 성분(400, 500, 600, 800)이 신호선(G1-Gn, D1-Dm) 및 박막 트랜지스터 스위칭 소자(Q) 따위와 함께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에 집적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 성분(400, 500, 600, 800)는 단일 칩으로 집적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 소자가 단일 칩 바깥에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입력부(600)는 외부의 그래픽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 영상 신호(R, G, B)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 영상 신호(R, G, B)는 각 화소(PX)의 휘도(luminance) 정보를 담고 있으며 휘도는 정해진 수효, 예를 들면 1024(=210), 256(=28) 또는 64(=26) 개의 계조(gray)를 가지고 있다. 입력 제어 신호의 예로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록(M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이 있고, 기타 더미 신호(DUM)도 함께 입력부(600)에 입력된다. 이러한 입력부(600)는 외부 그래픽 제어기의 일부일 수도 있다.
입력부(700)는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처리하고 입력 제어 신호와 함께 재배열하여 전송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신호 제어부(600)에 전송한다.
이때, 입력부(700)는 입력 영상 신호(R, G, B)의 비트 전이(bit transition) 횟수가 소정 값 이상이면 이를 변환하여 비트 전이 횟수가 소정 값 미만이 되도록 하고, 그렇지 않으면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그대로 출력한다. 입력부(700)는 또한 변환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변환 표지 신호(POL)를 함께 출력한다. 여기에서 비트 전이 횟수란 영상 신호의 이진수 값에서 자리를 이동할 때 값이 변화하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일의 자리가 0이고, 십의 자리가 1이면 한 번 비트 전이가 된 것이고, 일의 자리가 1이고 십의 자리도 1이면 비트 전이가 없는 것이다.
입력 영상 신호가 8비트인 경우를 예로 들어보자.
적색 입력 영상 신호(R)가 10101010, 녹색 입력 영상 신호(G)가 01010101, 청색 영 상 신호(B)가 11100000라고 하자. 그러면 적색 및 녹색 입력 영상 신호(R, G)의 비트 전이는 7이고, 청색 영상 신호(B)의 비트 전이는 1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트 전이 횟수가 4 이상이면, 입력부(700)의 출력 영상 신호(R', G', B')는 입력 영상 신호와 10101010의 배타논리곱으로 주어지며 변환 표지 신호(POL)의 값은 1이 된다.
앞의 예에서, 적색 입력 영상 신호(R)는 00000000로 변환되고, 녹색 입력 영상 신호(G)는 11111111로 변환되며 이들의 변환 표지 신호(POL)의 값은 1이 된다. 그러나 청색 입력 영상 신호(B)는 그대로 출력되며 그 변환 표지 신호(POL)의 값은 0이다.
여기에서, 변환 표지 신호(POL)는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더미 신호(DUM)가 들어갈 자리를 차지한다.
도 3은 이러한 입력부(700)의 출력 영상 신호(R', G', B')와 변환 표지 신호(R_POL, G_POL, B_POL),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가 네 개의 전송선을 통하여 전송됨을 보여준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변환 전의 영상 신호의 비트 전이 횟수와 변환 후의 비트 전이 횟수를 보여 주는 도면으로서, 변환 전의 경우 비트 전이 횟수가 16개인 데 비하여 변환 후에는 6개로서 약 62.5%의 비트 전이 감소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트 전이 횟수를 줄이면 전송시 노이즈가 감소하고 전송선의 전자기 간섭이 줄어든다.
신호 제어부(600)는 입력부(700)로부터의 출력 영상 신호(R', G', B')와 변환 표지 신호(POL)를 토대로 원래의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다시 복원한다. 신호 제어부(600)는 복원한 입력 영상 신호(R, G, B)와 입력 제어 신호를 기초로 입력 영상 신호(R, G, B)를 액정 표시판 조립체(300)의 동작 조건에 맞게 적절히 처리하고 게이트 제어 신호(CONT1) 및 데이터 제어 신호(CONT2) 등을 생성한 후, 게이트 제어 신호(CONT1)를 게이트 구동부(400)로 내보내고 데이터 제어 신호(CONT2)와 처리한 영상 신호(DAT)를 데이터 구동부(500)로 내보낸다.
게이트 제어 신호(CONT1)는 게이트 신호의 주사 시작을 지시하는 주사 시작 신호(STV)와 게이트 온 전압(Von)의 출력 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클록 신호(CK)를 포함한다. 게이트 제어 신호(CONT1)는 또한 게이트 온 전압의 지속 시간을 제어하기 위한 출력 인에이블 신호를 더 포함한다.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는 한 행의 화소(PX)에 대한 디지털 영상 신호(DAT)의 전송 시작을 알리는 수평 동기 시작 신호(STH)와 데이터선(D1-Dm)에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라는 로드 신호(LOAD) 및 데이터 클록 신호(HCLK)를 포함한다. 데이터 제어 신호(CONT2)는 또한 공통 전압(Vcom)에 대한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의 전압 극성(이하 "공통 전압에 대한 데이터 신호의 전압 극성"을 줄여 "데이터 신호의 극성"이라 함)을 반전시키는 반전 신호(RV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600)로부터의 데이터 제어 신호(CONT2)에 따라, 데이터 구동부(500)는 한 행의 화소(PX)에 대한 디지털 영상 신호(DAT)를 수신하고, 각 디지털 영상 신호(DAT)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택함으로써 디지털 영상 신호(DAT)를 아날로그 데 이터 신호로 변환한 다음, 이를 해당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게이트 구동부(400)는 신호 제어부(400)로부터의 게이트 제어 신호(CONT1)에 따라 게이트 온 전압(Von)과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의 두 값을 가지는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선(G1-Gn)에 인가하여 이 게이트선(G1-Gn)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Q)를 턴온시키거나 턴오프시킨다. 그러면, 스위칭 소자(Q)가 턴온된 경우, 데이터선(D1-Dm)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가 턴온된 스위칭 소자(Q)를 통하여 해당 화소(PX)에 인가된다.
도 2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화소(PX)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의 전압과 공통 전압(Vcom)의 차이는 액정 축전기(CLC)의 충전 전압, 즉 화소 전압으로서 나타난다. 액정 분자들은 화소 전압의 크기에 따라 그 배열을 달리하며 이에 따라 액정층(3)을 통과하는 빛의 편광이 변화한다. 이러한 편광의 변화는 표시판 조립체(300)에 부착된 편광자에 의하여 빛의 투과율 변화로 나타나며, 이를 통해 화소(PX)는 영상 신호(DAT)의 계조가 나타내는 휘도를 표시한다.
1 수평 주기["1H"라고도 쓰며,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한 주기와 동일함]를 단위로 하여 이러한 과정을 되풀이함으로써, 모든 게이트선(G1-Gn)에 대하여 차례로 게이트 온 전압(Von)을 인가하고 모든 화소(PX)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한 프레임(frame)의 영상을 표시한다.
도 2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특히 한 프레임이 끝나면 다음 프레임이 시작되고 각 화소(PX)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극성이 이전 프레임에서의 극성과 반대가 되도록 데이터 구동부(500)에 인가되는 반전 신호(RVS)의 상태가 제어된다("프레임 반전"). 이때, 한 프레임 내에서도 반전 신호(RVS)의 특성에 따라 한 데이터선을 통하여 흐르는 데이터 신호의 극성이 바뀌거나(보기: 행 반전, 점 반전), 한 화소행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극성도 서로 다를 수 있다(보기: 열 반전, 점 반전).
이와 같이 영상 신호의 비트 전이 횟수를 줄이면 전송시 노이즈가 감소하고 전송선의 전자기 간섭이 줄어든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입력 영상 신호를 제1 출력 영상 신호와 변환 표지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제1 출력 영상 신호와 상기 변환 표지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출력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제어부, 그리고
    상기 제2 출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표시판에 인가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비트 전이(bit transition) 횟수가 소정 값 이상이면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비트 전이 횟수가 소정 값 미만이 되도록 변환하여 상기 제1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고,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비트 전이 횟수가 소정 값 미만이면 상기 입력 영상 신호를 상기 제1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며,
    상기 변환 표시 신호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의 변환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보정 영상 신호는 상기 입력 영상 신호와 소정 기준 신호를 배타논리곱하여 얻어지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3. 제3항에서,
    상기 입력부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수평 동기 신호, 수직 동기 신호 및 더미 신호를 인가 받으며, 상기 수평 동기 신호, 상기 수직 동기 신호, 및 상기 더미 신호의 자리에 상기 표지 신호를 실어 전송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1 출력 영상 신호는 8비트이며 상기 입력부와 상기 신호 제어부는 4 개의 전송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인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1020060013047A 2006-02-10 2006-02-10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20070081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047A KR20070081241A (ko) 2006-02-10 2006-02-10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047A KR20070081241A (ko) 2006-02-10 2006-02-10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241A true KR20070081241A (ko) 2007-08-16

Family

ID=3861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047A KR20070081241A (ko) 2006-02-10 2006-02-10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12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068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197057B1 (ko) 표시 장치
KR20080006037A (ko) 시프트 레지스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시프트레지스터의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2008025262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72063B1 (ko)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생성 방법과, 이를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회로 및 이 데이터 구동회로를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40320478A1 (en) Display Device For Low Speed Driv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81824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070268225A1 (en) Display device, driv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US8077166B2 (en) Driv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for display device
US20140375627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10039006A (ko) 대화면 액정 표시장치
KR20070016356A (ko) 표시 장치
KR101189217B1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4240428A (ja)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方法
KR101615772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64926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090251396A1 (en) Driv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for Reducing Power Noise for an LCD Device
KR20070081241A (ko)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20070087404A (ko) 표시 장치
KR20070070639A (ko)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20070064062A (ko) 액정 표시 장치의 수리 시스템
KR20070081217A (ko) 표시 장치
KR101671519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디더링 방법
KR20070064061A (ko) 표시 장치
KR20070035673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