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229A - Skate board - Google Patents

Skate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229A
KR20070081229A KR1020060013009A KR20060013009A KR20070081229A KR 20070081229 A KR20070081229 A KR 20070081229A KR 1020060013009 A KR1020060013009 A KR 1020060013009A KR 20060013009 A KR20060013009 A KR 20060013009A KR 20070081229 A KR20070081229 A KR 20070081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kateboard
propulsion
bar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0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06228B1 (en
Inventor
문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터스
Priority to KR1020060013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228B1/en
Publication of KR20070081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2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2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03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riders, e.g. personal mobility type vehicles with four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2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by both hand and foot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A skate board is provided to obtain propulsion force without pushing the ground with a foot even on an ascending slope and to improve the propulsion force by rotating a rotational shaft. A skate board includes a plate(10), at least two main wheels(21,22), a handle section(30), a pair of propulsion bars(41,43), and a pair of auxiliary wheels(42,44). A foot of a user can be positioned on the plate. The main wheels ar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te respectively. The handle section is vertically installed in the plate and can be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r in the reverse direction. One end of the propulsion bar is connected to the handle section. The propulsion bars extend to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plate respectively. The auxiliary wheels are provided at the other ends of the propulsion bars.

Description

스케이트 보드{Skate board}Skate board

도 1은 종래의 퀵보드를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conventional quick board.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 보드의 분리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kate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를 나타낸 것이다. 3 to 5 show the main part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6 내지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6 to 8 show the operating state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스케이트 보드 10: 플레이트 1: skateboard 10: plate

21,22: 주바퀴 30: 핸들부 21,22: main wheel 30: handle portion

41,43: 추진바 42,44: 보조바퀴 41,43: propulsion bar 42,44: auxiliary wheel

50: 조인트 60: 고정부재50: joint 60: fixing member

본 발명은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시 핸들부의 회동동작만으로 스케이트 보드에 추진력을 배가할 수 있는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kate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kateboard that can double the driving force to the skateboard only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handle portion during driving.

일반적으로, 캐스터 스케이트는 보드 저면에 다수개의 캐스터를 부착하여 몸을 좌우로 비트는 동작만으로 추진력을 얻게 되는 것의 일종으로 상기 캐스터(Caster)는 과체적 또는 과중량 등의 물품을 쉽고 원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에 롤러가 부착된 것으로, 그 종류는 크게 베이스에 롤러가 설치된 롤러 아암이 고정된 고정식과, 롤러가 설치된 롤러 아암이 회동 가능하게 하여 이동 방향을 정할 수 있게 한 이동식으로 나뉘며, 이러한 이동식 캐스터는 운전자가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롤러를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므로 이동 방향의 결정이 가능한 것이다.In general, caster skate is a kind of gaining propulsion by attaching a plurality of casters to the bottom of the board to twist the body to the left and right. The roller is attached to the base so that it can be moved up to the type, and the type is divided into a fixed type in which a roller arm with a roller installed on the base is fixed, and a movable type in which a roller arm with a roller is rotatable to determine a moving direction. The movable caster rotates the roll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er applies the force in the direction that the driver wants to go, and thus the moving direction can be determined.

또한, 이러한 방향 전환이 용이한 캐스터를 다양하게 접목함에 따라 근래에는 스케이트에 캐스터를 부착하여 통상적인 인 라인(In- Line) 스케이트의 바퀴와는 달리 방향성을 갖는 캐스터를 스케이트 저면에 부착하여 이 캐스터의 좌우 회전에 따라 추진력을 얻어 그 추진력으로 하여금 운동 효과와 더불어 놀이 기구의 일종으로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In addition, as a variety of casters that can easily change the direction, in recent years, casters are attached to skates, unlike casters of conventional in-line skates, casters having directionality are attached to the bottom of skates. The propulsion force is obtained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vehicle, and the propulsion force is getting the spotlight as a kind of play equipment with the movement effect.

종래의 퀵 보드(Quick Board) 타입의 운동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는 플레이트(100)와, 상기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구비되는 헤드 파이프(120)와, 상기 플레이트(100)의 후면에 구비되는 포크(110)와, 상기 헤드파이프(120)에 상방으로 결합되는 핸들축(140) 및 손잡이(14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헤드파이프(120)의 하단 및 포크(110)에 는 바퀴(132,131)가 장착된다. Conventional Quick Board (Quick Board) type of exercise equipment as shown in Figure 1, the user puts the foot plate 100, the head pipe 120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plate 100, and It includes a fork 110 provided on the back of the plate 100, the handle shaft 140 and the handle 141 coupled upward to the head pipe 120. In addition, wheels 132 and 131 are mounted on the lower end and the fork 110 of the head pipe 12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퀵 보드 타입의 운동기구에 있어서는, 상기 손잡이(141)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플레이트(100)에 한 발을 올려놓고 다른 한 발로 지면을 미는 과정에서 추진력이 발생하고 전후 바퀴(132,131)에 의해 두 지점이 지면에 접촉되어 중심 잡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quick board-type exercise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ushing the ground with the other foot to put one foot on the plate 100 while holding the handle 141 with both hands The two points a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by the wheels 132 and 131,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ente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시 핸들부의 회동동작만으로 스케이트 보드에 추진력을 배가할 수 있는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kateboard that can double the driving force to the skateboard only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handle portion during driving.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케이트 보드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각각 부착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주 바퀴; 상기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한 핸들부; 일단이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고, 각각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추진바; 및 상기 추진바의 타단에 구비되는 보조 바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skate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 that the user can put the foot; At least two main wheels each attached to a bottom of the plate; A handle part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plate and rotatable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 pair of pushing bar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and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respectively; And an auxiliary wheel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ushing bar.

또한 상기 주바퀴 또는 보조바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정의 캐스터각을 가지는 방향성 캐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ll or part of the main wheel or the auxiliary wheel is a directional caster having a predetermined caster angle.

또한 상기 핸들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preferably comprises a fixed shaft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plate, and a rotating shaft hinged to the fixed shaft to rot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plate.

또한 상기 추진바와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측의 사이에는 연결조인트나 탄성체 등의 연결수단에 의해 이격상태로 연결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pushing bar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are connected in a spaced apart state by a connecting means such as a joint or an elastic body.

또한 상기 한 쌍의 추진바는 각각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air of propulsion bar is preferably install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respectiv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플레이트(10)와, 핸들부(30)와, 추진바(4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 10, a handle part 30, and pushing bars 41 and 43.

상기 플레이트(10)는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며, 상기 플레이트(10)의 저면에는 전후방에 각각 하나씩의 주바퀴(21,22)가 구비된다. 상기 주바퀴(21,22)는 축을 중심으로 360°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플레이트(10)와 소정의 캐스터각을 가지도록 결합된 방향성 캐스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캐스터 각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10)의 전후방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1,12)가 형성되어 있다. The plate 10 is to provide a space for the user to put the feet, the bottom of the plate 10 is provided with one main wheel (21, 22) in front and rear respectively. The main wheels 21 and 22 are rotatably coupled 360 ° about an axis, and are directional casters coupled to the plate 10 to have a predetermined caster angle. In order to have a caster angle as described above, bent portions 11 and 12 are formed in front and rear of the plate 10 as shown.

또한 상기 플레이트(10)의 전방에는 수직으로 핸들부(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핸들부(30)는 상기 플레이트(10)에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축(31)과, 상기 고정축(31)에 힌지결합되어 플레이트(10)의 전후방향으로 90°회동할 수 있는 회동축(32)과, 상기 회동축(32)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33)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ront of the plate 10 is provided with a handle portion 30 vertically. The handle part 30 is fixed to the fixed shaft 31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plate 10, the hinge shaft is coupled to the fixed shaft 31 can rotate 90 °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plate 10 The rotating shaft 32 and the handle 33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32.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축(32)의 일면에 한쌍의 추진바(41,43)가 구비된다. 상기 추진바(41,43)는 그 일단은 상기 회동축(32)에 연결되고, 타단은 플레이트(10)의 각각 좌,우측으로 뻗어져 있다. 상기 추진바(41,43)의 타단에는 보조바퀴(42,44)가 각각 부착되되, 이 역시 주바퀴(21,22)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캐스터 각을 가지면서 360°회전가능한 방향성 캐스터이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 pair of pushing bars 41 and 43 ar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pivot shaft 32. One end of the propulsion bars 41 and 43 is connected to the pivot shaft 32, and the other end extend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10, respectively. Auxiliary wheels 42 and 44 are attached to the other ends of the propulsion bars 41 and 43, respectively, and like the main wheels 21 and 22, they are directional casters rotatable 360 °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caster angl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추진바(41,43)를 회동축에 연결함에 있어 도시된 연결부재(60)를 이용한다. 상기 연결부재(60)는 상기 회동축(32)을 감쌀 수 있는 반구홈(63)이 형성된 한 쌍의 몸체(61,62)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반구홈(63)을 이용하여 상기 회동축(32)을 감싼 후, 이들을 볼트(66)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회동축(32)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몸체(61,62)에는 각각 라운드진 홈(64,65)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도 4a에 도시된 추진바의 반구형상의 선단부(41a,43a)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다. 따라서 상기 홈(64,65)에 상기 상기 추진바(41,43)의 선단부(41a,43a)를 수용한 다음, 볼트(66)를 체결함으로써 연결부재(60) 및 추진바(41,43)를 상기 회동축(32)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necting members 60 are used to connect the pushing bars 41 and 43 to the pivot shaft. The connecting member 60 is composed of a pair of bodies (61, 62) formed with a hemispherical groove (63) to surround the pivot shaft (32). That is, after the rotation shaft 32 is wrapped using the hemisphere groove 63, the rotation shaft 32 is fastened to the rotation shaft 32 by fastening them with the bolt 66. In addition, the pair of bodies 61 and 62 are further formed with rounded grooves 64 and 65, respectively. This is a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hemispherical tip portions 41a and 43a of the pushing bar shown in Fig. 4A. Therefore, the front end portions 41a and 43a of the propulsion bars 41 and 43 are accommodated in the grooves 64 and 65 and then the bolts 66 are fastened to connect the connection member 60 and the propulsion bars 41 and 43. It can be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32).

상기 추진바(41,43)의 선단부(41a,4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구형상으로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선단부(43a) 중심에는 돌기(43b)가, 다른 하나의 선단부(41a) 중심에는 상기 돌기(43b)가 수용되는 결착홈(41b)이 형성되어 이들이 상기 연결부재(60)에 연결되면, 상기 돌기(43b)와 결착홈(41b)의 결합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어느 하나의 선단부(43a) 일측에는 라운드진 홈(43c)이 있고, 이에 대응 하여 다른 하나의 선단부(41a)에는 상기 라운드진 홈(43c)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돌기(41c)가 구비된다. The tip portions 41a and 43a of the propulsion bars 41 and 43 have a hemispherical shape as described above, and a protrusion 43b is formed at the center of one of the tip portions 43a and at the center of the other tip portion 41a. When the binding groove 41b in which the protrusion 43b is accommodated is formed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60, separation is prevented by the coupling of the protrusion 43b and the binding groove 41b. In addition, one of the tip portion 43a has a rounded groove 43c on one side, and the other tip portion 41a is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41c moving along the rounded groove 43c.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추진바(41,43)의 결합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한 쌍의 추진바(41,4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몸체(61,62)에 수용되어 회동축(32)에 연결되는데, 이 상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 중심의 돌기(43b)와 결착홈(41b), 선단부 일측의 라운드진 홈(43c)과 가이드돌기(41c)가 긴밀하게 밀착되어 상기 회동축(32)에 연결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ure 4b will be described the coupling state of the pushing bar (41, 43).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propulsion bars 41 and 43 are accommodated in the pair of bodies 61 and 62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32. This state is a projection of the tip center as shown. 43b, the binding groove 41b, the round groove 43c on one side of the distal end portion, and the guide protrusion 41c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32.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추진바(41,43)는 상기 플레이트(10)와 조인트(51)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추진바(41,43)와 플레이트(10)의 좌우측 단부에는 조인트(51)가 개재되어 연결되는 구조이다. 상기 조인트(51)는 다양한 공지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양단부(52,53)가 구형상을 가지는 조인트(51)와, 상기 조인트(51)의 양단부(52,53)를 수용하고 미끄럼 접촉하는 지그(54,41d)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지그(54,41d)는 각각 플레이트(10)와 추진바(41,43)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5, in this embodiment, the pair of pushing bars 41 and 43 are connected to the plate 10 and the joint 51. That is, the pair of pushing bars 41 and 43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plate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joint 51. The joint 51 may use a variety of well-known means,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both ends 52 and 53 have a spherical shape, and both ends 52 and 53 of the joint 51 are accommodated. And sliding jigs 54 and 41d. Of course, the jig (54, 41d) is fixed or integrally formed on the plate 10 and the pushing bar (41, 43), respectively.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6 to 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발을 플레이트(10)에 올려 놓고, 상기 손잡이(33)를 손으로 파지한다. 물론 이 상태에서는 상기 추진바(41,43)의 단부에 구비된 보조바퀴(42,44)는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다(도 8 참조). Referring to FIG. 6, a user places a foot on the plate 10 and grips the handle 33 by hand. In this state, the auxiliary wheels 42 and 44 provided at the ends of the pushing bars 41 and 43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ee FIG. 8).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3)를 이용하여 회동축(32)을 전후방향으 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회동축(32)에 연결된 한 쌍의 추진바(41,43)는 서로 이루는 각이 커지도록 좌우방향으로 벌어진다. 물론 이 때 상기 추진바(41,43)들이 서로 벌어지는 작동은 상기 조인트(51)에 의해 일정한 제한을 받는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rotates the rotating shaft 32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using the handle 33, the pair of pushing bars 41 and 43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32 have an angle formed with each other. It spreads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enlarge. Of course, at this time, the operation in which the propulsion bars 41 and 43 are opened to each other is limited by the joint 51.

이와 같이 추진바(41,43)가 서로 이루는 각이 커지도록 좌우방향으로 벌어지면 이와 동시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도 이동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추진바(41,43)의 단부에 구비된 보조바퀴(42,44)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가 회동축(32)의 회동에 의해 지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보조바퀴(42,44)의 방향 또한 변환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방향성 캐스터인 보조바퀴(42,44)가 지면을 밀면서 추진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When the propulsion bars 41 and 43 are wide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angles of the propagating bars 41 and 43 become larger, as shown in FIG. In more detail, the auxiliary wheels 42 and 44 provid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pushing bars 41 and 43 ar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32.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auxiliary wheels (42, 44) is also converted, and in this process, the auxiliary wheels (42, 44), which are directional casters, push the ground to generate a driving force.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시 핸들부의 회동동작만으로 스케이트 보드에 추진력을 배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double the driving force on the skateboard only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handle portion during running.

따라서 내리막길 뿐만 아니라 평지나 약간의 경사진 오르막길도 지면을 발로 구르는 동작없이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지면을 발로 구르는 동작과 병행하여 회동축을 회동시키면 추진력이 더욱 배가되는 효과도 있다. Therefore, not only downhill, but also flat or a slight slope uphill can be obtained without the driving force to roll the ground, and also in parallel with the motion to roll the ground, the driving force is also more effective to double the driving force.

Claims (7)

사용자가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플레이트;A plate on which the user can put his feet;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 각각 부착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주 바퀴;At least two main wheels each attached to a bottom of the plate; 상기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한 핸들부;A handle part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plate and rotatable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일단이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고, 각각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추진바; 및 A pair of pushing bar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and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respectively; And 상기 추진바의 타단에 구비되는 보조 바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Skateboard comprising a; an auxiliary wheel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ushing ba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주바퀴 또는 보조바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정의 캐스터각을 가지는 방향성 캐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all or part of the main wheel or auxiliary wheel is a directional caster having a predetermined caster ang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핸들부는,The handle portion, 상기 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And a fixed shaft fix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plate, and a rotating shaft hinged to the fixed shaft and pivot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케이트 보드는, The skateboard, 상기 추진바와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측의 사이에는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between the pushing bar and the left, right side of the plate by a connecting mean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연결수단은 연결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The connecting means is a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joint.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연결수단은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means is an elastic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한 쌍의 추진바는 각각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 The pair of propulsion bar is a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ate, respectively.
KR1020060013009A 2006-02-10 2006-02-10 Skate board KR1008062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009A KR100806228B1 (en) 2006-02-10 2006-02-10 Skate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009A KR100806228B1 (en) 2006-02-10 2006-02-10 Skate 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229A true KR20070081229A (en) 2007-08-16
KR100806228B1 KR100806228B1 (en) 2008-02-27

Family

ID=38611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009A KR100806228B1 (en) 2006-02-10 2006-02-10 Skate 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2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135B1 (en) * 2024-01-18 2024-04-01 (주)피에이엔지니어링 Electric kickboard with auxiliary wheel control based on speed det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616B1 (en) * 2009-05-29 2011-12-21 신경식 driving board with propultion device
KR102484843B1 (en) * 2021-06-03 2023-01-06 넥스콘테크놀러지 주식회사 Electric kickboard with auxiliary wheel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488U (en) 1984-06-19 1986-01-16 石崎 将夫 Parallel wheeled car
KR20020062551A (en) * 2001-09-17 2002-07-26 변상복 Improved roller sled
US6919764B2 (en) * 2003-03-11 2005-07-19 Andrew Corporation Amplifier control system with statistical enhancement of resolution of digital control signals
KR20060013009A (en) * 2004-08-05 2006-02-09 대한민국(강릉대학교총장) Moving sound-proof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135B1 (en) * 2024-01-18 2024-04-01 (주)피에이엔지니어링 Electric kickboard with auxiliary wheel control based on speed de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228B1 (en)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24481B2 (en) Skateboard with direction-caster
KR102107263B1 (en) Foot-propelled wheeled hobby and/or sport device
US8505935B2 (en) Tricycle kick board
JP5449538B2 (en) Skateboard with great freedom of movement of front dolly assembly
KR100573366B1 (en) Link type skateboard
EP2291226A1 (en)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for supporting a user's foot
KR100806228B1 (en) Skate board
KR100818786B1 (en) A skateboard
KR100800570B1 (en) Step Board
WO2006129918A1 (en) Link type skateboard
US6832765B1 (en) Steerable in-line skates
KR100576306B1 (en) Skate board
WO2008140140A1 (en) An inline-board-type roller-ski
KR101033655B1 (en) Skate board
JP4235757B2 (en) Snowboard with handle
KR20120013809A (en) The roller-ski of inline-board
JP2820926B2 (en) Sliding board
KR200239973Y1 (en) Bicycle
CN202054123U (en) Pedal deflection device and scooter and skate board equipped with the same
KR20020028361A (en) In-line skate board
KR100631819B1 (en) the roller-ski of inline-board
KR100835570B1 (en) Caster skate
KR20070025881A (en) Scooter
KR20080025607A (en) Tri skate board
KR200230077Y1 (en) In-Line Skate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