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3009A - Moving sound-proof device - Google Patents

Moving sound-proof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3009A
KR20060013009A KR1020040061773A KR20040061773A KR20060013009A KR 20060013009 A KR20060013009 A KR 20060013009A KR 1020040061773 A KR1020040061773 A KR 1020040061773A KR 20040061773 A KR20040061773 A KR 20040061773A KR 20060013009 A KR20060013009 A KR 20060013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soundproof
support frame
moving
soundproof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17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강릉대학교총장)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강릉대학교총장),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한민국(강릉대학교총장)
Priority to KR102004006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3009A/en
Publication of KR20060013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00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이 발생하는 소음지역으로부터 소음을 차단하여야 할 보호지역으로의 소음 전달은 차단 또는 감쇄하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벽을 가지는 방음부와; 상기 방음부와 결합되어 상기 방음부가 상기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도록 상기 소음원이 이동에 따라서 상기 방음부를 함께 이동시키는 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방음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proof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proof wall that blocks or attenuates noise transmission from a noise area where noise occurs to a protected area to block the noise. Soundproof part having a soundproof wall for blocking the; A moving part coupled to the soundproof part to move the soundproof part together as the noise source moves to block the noise generated by the soundproof part; It provides a mobile soundproofing device comprising a.

Description

이동식 방음장치 {MOVING SOUND-PROOF DEVICE}Mobile Soundproofing {MOVING SOUND-PROOF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음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soundproof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이동식 방음장치의 정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the mobile soundproofing device of FIG. 1.

도 3은 도 1의 이동식 방음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일부 분해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mobile soundproofing device of FIG. 1.

도 4a는 도 1의 이동식 방음장치의 이동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ving unit of the mobile soundproofing device of FIG. 1.

도 4b는 도 1의 이동식 방음장치의 이동부의 다른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4B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moving unit of the mobile soundproofing device of FIG. 1.

도 5는 측면지지부를 추가로 구비한 도 1의 이동식 방음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bile soundproofing device of FIG. 1 further comprising a side support.

도 6은 도 1의 이동식 방음장치가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감쇄하는 모습을 보여는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soundproofing device of FIG. 1 blocks and attenuates noise generated from a noise sour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 이동식 방음장치 20 : 소음원10: mobile sound insulation device 20: noise source

100 : 이동부 110 : 바퀴조립체100: moving unit 110: wheel assembly

120 : 바퀴 130 : 연결부120: wheel 130: connection

140 : 측면지지부 200: 방음부140: side support portion 200: sound insulation

210 : 방음벽 220 : 지지프레임210: soundproof wall 220: support frame

본 발명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음이 발생하는 소음지역으로부터 소음을 차단하여야 할 보호지역으로의 소음 전달은 차단 또는 감쇄하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barr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 barrier that blocks or attenuates the transmission of noise from a noise zone where noise occurs to a protected area to block the noise.

소음은 환경을 파괴하는 공해 요소 중 하나이지만 생태계 파괴 등 자연을 대상으로 한 물질적 피해가 없다는 점이 특이하다. 물질공해처럼 생명에 중대한 위험을 미치는 것은 아니나 소음에 접하는 순간 불쾌감을 느낀다는 점이 다른 공해와 다르다. Noise is one of the pollution factors that destroy the environment, but it is unique in that there is no material damage to nature such as ecosystem destruction. It does not pose a serious danger to life as it does, but it is unpleasant when it comes to noise.

대기오염과 수질오염이 인간의 감각으로 직접 감지하기 어려운 오염인 데 반하여 소음은 인간의 감각기관을 이용하여 스스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감각공해라고도 한다. 또 도시생활에서 인간의 활동량 증가로 소음을 발생시키는 에너지 방출이 커짐에 따라 도시형·생활형 공해로 문제가 대두되는 측면도 있다. While air pollution and water pollution are pollutants that are difficult to detect directly by human senses, noise is also called sensory pollution because it can be detected by human sense organ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urban-life pollution becomes a problem as the energy emission that generates noise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human activity in urban life.

영향으로 청력의 저하와 손상 등 청력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와 불쾌감 등의 심리적 영향, 업무·학습 등의 생활방해, 자율신경실조증·고혈압 등의 생리적 영향, 수태율·출산율 저하와 사산율·기형발생률 증가 등 임신·출산에 미치는 영향, 소음발생원 근처의 땅값 하락 및 가축의 산란율 저하 등의 사회적 영향이 있다.Effects of hearing loss and impairment on hearing, psychological effects such as stress and discomfort, disruption of life such as work and learning, physiological effects such as autonomic ataxia and hypertension, decreased fertility rate and birth rate and increased incidence rate There are social effects such as impact on pregnancy and childbirth, lower land prices near noise sources, and lower livestock production.

일반적으로 공해로서의 객관적 기준을 정하기 위해서는 음량이 크거나 충격적이어야 하는데, 평가소음도 50데시벨(㏈) 이상이거나 고주파 성분이 400㎐ 이상 인 음은 소음공해로 본다. 발생원에 따라 공장소음·교통소음·생활소음·항공기소음으로 나눈다. In general, in order to determine objective criteria as pollution, the volume should be loud or shocking. Sounds with an evaluation noise of 50 decibels or more and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400 Hz or more are considered as noise pollution. It is divided into factory noise, traffic noise, household noise, and aircraft noise depending on the source.

① 공장소음:공장에 설치되는 소음배출 시설은 자동차·기차·항공기 같은 이동소음원이 아니라 고정소음원이다. 특성상 한번 설치되면 소음원이 없어지지 않아, 한 배출시설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인근지역에 지속적으로 피해를 줄 수 있다.① Factory noise: Noise emission facilities installed in factories are fixed noise sources, not mobile noise sources such as cars, trains, and aircraft. Once installed, the noise source does not disappear, and noise from one discharge facility may continue to damage the surrounding area.

② 교통소음:배출원이 자동차·기차 등으로, 발생소음도가 매우 높을 뿐 아니라 피해 지역도 광범위하다. 특히 자동차는 도로망이 확장되고 차량의 수가 급격히 늘고 있어 대도시의 주요 소음원으로 대두되고 있다. ② Traffic noise: Sources are cars and trains, and the noise generated is very high, and the affected area is also extensive. In particular, automobiles are emerging as a major noise source in large citie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road network and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vehicles.

③ 생활소음:배출원이 확성기 소음, 건설공사장의 작업소음, 소규모 공장의 작업소음, 유흥업소의 심야소음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최근 인구증가와 더불어 도시화·산업화에 따른 배출원이 급격히 늘고 있는 반면,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쾌적한 생활환경에 대한 욕구가 날로 증대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③ Living noise: The sources of emissions are very diverse, including loudspeaker noise, work noise at construction sites, work noise at small factories, and late night noises at entertainment establishments. 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population, the sources of emissions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re increasing rapidly, while the desire for a pleasant living environment is increasing day by day 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④ 항공기소음:최근 항공기의 운항항로 신설 및 운항횟수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공항 주변지역의 주요한 환경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항공기소음 대책이 요구되는 지역은 가중등가평균총소음량(WECPNL) 80 이상인 지역인데, 항공기소음 대책의 목표가 되는 '항공기소음에 관한 환경기준'에서 기준치는 지역에 따라 WECPNL 70 또는 75 이하여야 한다.④ Aircraft noise: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flight routes and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flights, aircraft noise has become a major environmental problem around the airport. Areas where aircraft noise measures are required are those with a weighted equivalent average total noise level (WECPNL) of 80 or more, and the standards in the 'Environmental Standards for Aircraft Noise' target for aircraft noise measures should be below WECPNL 70 or 75 depending on the region.

국내에서는 소음을 규제할 목적으로 1990년 8월 1일 환경정책기본법·환경분쟁조정법·소음진동규제법 등을 제정·공포하고, 1991년 2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 다. 1994년 7월부터 시행된 소음진동규제법 시행규칙 개정안은 종래의 주거·상업 지역의 생활소음 기준만으로 단속해 오던 소음규제에 건설소음·교통소음규제기준을 새로 포함시켰다.In Korea, the enactment and promulgation of the Framework Act on Environmental Policy, the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Act, and the Noise and Vibration Control Act were enacted and promulgated on August 1, 1990. The amendment to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Noise and Vibration Control Act, which was enacted in July 1994, included the construction noise and traffic noise regulation standards in the noise regulation that was regulated solely by the standard of living noise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특히 도심지에서는 도로, 건물의 증·개축시 공사의 성격에 따라서 많은 소음이 발생되고 있는데, 소음의 특성상 주변 지역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민원 등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downtown area, a lot of noises are generated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of roads and buildings, and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ises, they have a lot of influence on the surrounding areas, causing many problems such as complaints.

따라서 공사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증·개축을 위한 공사의 경우 별도로 방음벽을 설치하여 공사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noise caused by the construction, a separate soundproof wall is install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그런데 도로 공사의 경우 공사의 특성상 별도로 공사지역의 이동에 따라서 방음벽도 이동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방음벽의 설치가 번거롭게 되어 대부분 방음벽의 설치없이 공사를 진행하게 되며, 도로를 개·보수 또는 도로 내의 공사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여과없이 주변지역으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road construction, the soundproof wall must be moved and install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struction area separately. Therefore, the installation of the soundproof wall becomes cumbersome, and most of the construction proceeds without the installation of the soundproof w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oise is transmitted to the surrounding area without filtr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도로에서의 공사 등과 같이 소음원이 이동에 의하여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적절히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음원의 이동에 맞추어 함께 이동하면서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동식 방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block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while moving together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noise sourc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noise source can not properly block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by moving, such as construction on the roa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soundproofing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벽을 가지는 방 음부와; 상기 방음부와 결합되어 상기 방음부가 상기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도록 상기 소음원이 이동에 따라서 상기 방음부를 함께 이동시키는 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방음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proof unit having a soundproof wall for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A moving part coupled to the soundproof part to move the soundproof part together as the noise source moves to block the noise generated by the soundproof part; It provides a mobile soundproofing device comprising a.

상기 방음부는 상기 방음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을 포함한다.The sound insulation part includes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sound insulation wall.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방음벽이 삽입되는 요홈부를 가지도록 'H'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ross-section of the 'H' shape to have a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soundproof wall is inserted.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부와 연결 설치된다.The support frame is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oving part may include a wheel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상기 이동부는 그 이동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ving part comprises a driving part for driving the movement.

상기 이동부는 상기 소음원의 이동에 대응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소음원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par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noise source so as to move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noise sour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음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obile soundproof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음장치(10)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원(20)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벽(210)을 가지는 방음부(200)와; 방음부(200)와 결합되어 상기 방음부(200)가 상기 소음원(2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도록 상기 소음원(20)이 이동에 따라서 상기 방음부(200)를 함께 이동시키는 이동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bile soundproof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undproofing part 200 having a soundproofing wall 210 for blocking transmission of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20, as shown in FIGS. The moving unit 100 coupled to the soundproofing unit 200 moves the soundproofing unit 200 together with the noise source 20 to block the noise generated by the soundproofing unit 200 from the noise source 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방음벽(2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원(20)에서 발생하는 소 음을 차단 또는 감쇄를 위한 부재로서,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후술할 지지프레임(22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방음판넬(211)들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oundproof wall 210 is a member for blocking or attenuating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20. The soundproof wall 210 may be integrally formed or installed at one or more of the support frames 220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composed of panels 211.

그리고 상기 방음판넬(211)들 각각은 소음의 감쇄 또는 차단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소음원(20)에 대향되는 면이 복수개의 요철(미도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사의 진행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sound insulation panels 211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not shown) facing the noise source 20 in order to increase the attenuation or blocking effect of the noise, and may be transparent to grasp the progress of construction. Can be formed.

또한 상기 방음판넬(211)들 각각은 후술할 지지프레임(220) 내에 조립이 용이 하도록 상측에 요부 또는 돌부가 형성되어,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방음판넬(211)의 하측에 형성된 돌부 또는 요부에 끼움 결합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soundproof panels 211 is formed in the support frame 22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upper portion or protrusions formed on the upper side, the protrusions or recesse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oundproof panel 211 located on the upper or lower side The fittings are combined.

한편 상기 방음부(200)는 방음벽(210)을 지지하는 동시에 후술할 이동부(100)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soundproof unit 200 includes a support frame 220 to which the moving unit 10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while supporting the soundproof wall 210.

상기 지지프레임(2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이동부(100)와 결합되는 수평부재(221)와, 수평부재(221)와 결합되어 방음판넬(211)들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복수개의 수직부재(222)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support frame 22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member 221 and the horizontal member 221 to support the soundproof panel 211.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222 installed to.

상기 수평부재(221) 및 수직부재(222)는 이동부(100)와의 결합 및 상기 방음벽(210)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중공형의 원형봉 등 다양한 부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horizontal member 221 and the vertical member 222 are structures for coupling with the moving part 100 and supporting the soundproof wall 210, and may be manufactured with various members such as a hollow circular rod.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조립이 용이하도록 방음벽(210)이 삽입되는 요홈부(223)를 가지도록 'H' 또는 'U'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ure 3, the support frame 220 is configured to have a cross-section of the 'H' or 'U' shape so as to have a groove portion 223 into which the soundproof wall 210 is inserted to facilitate its assembly. Can be.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220)을 구성하는 수평부재(221) 및 수직부재(222)는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볼트(232) 및 나사(231) 등에 의하여 조립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221) 및 수직부재(222)에는 나사(231)들이 삽입될 수 있는 나사공(233)들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member 221 and the vertical member 222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220 may be welded and coupled,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bolt 232 and the screw ( 231) may be assembled and assembled. At this time, the horizontal member 221 and the vertical member 222 is formed with a screw hole 233 into which the screws 231 can be inserted.

한편 상기 이동부(100)는 지지프레임(220)과 연결 설치되어 이동식 방음벽(10)을 이동 가능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ving part 10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220 to enable the movable soundproof wall (10) to move.

그리고 상기 이동부(100)는 하나 이상의 바퀴(120)와 바퀴(120)를 지지프레임(220)에 연결시키는 연결부(130)로 구성된 하나 이상의 바퀴조립체(110)로 구성될 수 있다.And the moving part 100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wheels 120 and one or more wheel assembly 110 consisting of a connecting portion 130 for connecting the wheels 120 to the support frame 220.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바퀴(120)의 회전축(121)이 끼워짐과 아울러, 수직부재(222)와 용접되거나, 나사 등에 의하여 조립된다. 특히 상기 수직부재(222)가 'H'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222)의 웹(web; 222a)이 끼워질 수 있도록 삽입홈(131)이 형성된다.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fitted with the rotary shaft 121 of the wheel 120, welded with the vertical member 222, or assembled by screws or the like. In particular, when the vertical member 222 has a cross-section of the 'H' shape, as shown in Figure 4a, the insertion groove 131 is formed so that the web (222) of the vertical member 222 can be fitted do.

또한 상기 연결부(130)에 연결 설치되는 바퀴(120)는 하나만 설치될 수 있으나,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0)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only one wheel 12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130 may be installed, but as shown in FIG. 4A, a pair may be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unit 130.

또한 상기 바퀴(12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음벽(10)의 이동 방향이 자유롭게 하도록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부재(222)와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130)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heel 1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30 to be rotatable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vertical member 222, as shown in Figure 4b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able soundproof wal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eely. Can be installed.

그리고 상기 바퀴조립체(110)는 상기 지지프레임(220)의 전방 및 후방에 설 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프레임(220)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지지프레임(220)의 전방 및 후방 사이에도 하나 이상의 이동부(10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And the wheel assembly 110 is preferably installed in front and rear of the support frame 220, when the length of the support frame 220 is long, at least one between the front and rear of the support frame 220 The moving unit 10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한편 상기 방음벽(210)의 크기에 따라서 바람의 영향으로 방음벽(210)이 넘어지거나 방음벽(210)에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Meanwhil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oundproof wall 210, the soundproof wall 210 may fall or a load may be applied to the soundproof wall 210 under the influence of the wind.

따라서 상기 바퀴조립체(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지지부(1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지지프레임(220)의 수평부재(221)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20), 즉, 수직부재(222)와 결합된다.Therefore, the wheel assembly 110 may further include a side support 14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220, that is, the vertical member 222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221 of the support frame 220.

또한 상기 연결부(130)는 방음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방음부(200)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130)의 끝단에는 바퀴(1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130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soundproof portion 200 to support the soundproof portion 200 stably, the wheel 120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130. .

상기 측면지지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연결부(130)에 연결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20)의 일측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5, the side support part 140 is installed at one end thereof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3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220.

한편 상기 이동부(1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그 이동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원(20)의 이동에 대응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소음원(20)과 연결되는 연결부(2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the moving unit 100 is not shown, the moving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not shown) for driving the movement, and the moving unit 10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6.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noise source 20 to move in response to the movement.

상기 연결부(230)는 이동하면서 도로면 등에 공사를 하는 장치와 상기 지지프레임(220)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장치의 이동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음벽(10)을 이동시키게 된다.The connection unit 230 moves the movable soundproof wal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device by connecting the support frame 220 and the device for construction on the road surface while mov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음벽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soundproof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로를 개·보수 하거나 기타 부설물 매설 등을 위하여 도로면에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공사의 경우 도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공사를 하는 경우로서, 공사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FIG.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construction is performed on a road surface for remodeling or repairing a road, or laying other laid work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shown in Figure 6 when the construction while moving along the road, the noise caused by the construction occurs.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음벽은 공사지역, 즉 소음원(20)의 좌우 측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음원(20)의 전후좌우에 설치되어 공사지역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면서 소음원(2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주변지역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감쇄하게 된다. 특히 도로면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공사가 이루어지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음벽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공사 시작 시점에 설치한 후에 공사가 끝나는 지점까지 이동하면서 공사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obile soundproof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onstruction area, that is, the noise source 20, more preferably, before and after the left and right of the noise source 20,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20 while moving with the movement of the construction area. Will block or attenuate the transmission to the surrounding area. In particular, when the construction is made continuously along the road surface, the mobile soundproof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ssembled to block the noise generated by the construction while moving to the end of the construction after installation at the start time of construction.

즉, 공사지역의 이동에 따라서 별도로 방음구조물을 설치하지 않고 공사지역의 이동과 함께 방음벽을 이동시킴으로써 방음구조물을 설치 및 해체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by moving the soundproof wall with the movement of the construction area without installing the soundproof structure separate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struction area, it is possible to solve the hassle of installing and dismantling the soundproof structure.

특히 도로면에 관련된 공사를 위한 도로공사장치에 함께 연결설치함으로써 도로공사장치의 이동과 함께 이동하게 되어 도로공사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by connecting to the road construction device for the construction related to the road surface is moved along with the movement of the road construction device can effectively block the noise generated in the road construc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음벽은 소음원이 이동하는 경우 그 이동과 함께 이동하면서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movable soundproof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ffectively blocking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while moving with the movement of the noise sou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방음벽은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soundproof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the prefabricated.

Claims (7)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벽을 가지는 방음부와;A soundproof unit having a soundproof wall for blocking transmission of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상기 방음부와 결합되어 상기 방음부가 상기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도록 상기 소음원이 이동에 따라서 상기 방음부를 함께 이동시키는 이동부;A moving part coupled to the soundproof part to move the soundproof part together as the noise source moves to block the noise generated by the soundproof par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방음장치.Removable soundproofing devic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음부는 상기 방음벽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방음장치.The soundproof unit is a mobile soundproofing device comprising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soundproof wall.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방음벽이 삽입되는 요홈부를 가지도록 'H'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방음장치.The support frame is a mobile soundproof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 shaped cross section so as to have a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soundproof wall is inserte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이동부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방음장치.The support frame is a mobile soundproof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moving uni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이동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방음장치.The moving unit is a soundproof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heel installed in the support frame. 제 4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4, 상기 이동부는 그 이동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방음장치.And the moving unit includes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movemen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이동부는 상기 소음원의 이동에 대응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소음원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방음장치.The moving un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noise source to move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noise source.
KR1020040061773A 2004-08-05 2004-08-05 Moving sound-proof device KR2006001300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773A KR20060013009A (en) 2004-08-05 2004-08-05 Moving sound-proof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773A KR20060013009A (en) 2004-08-05 2004-08-05 Moving sound-proof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009A true KR20060013009A (en) 2006-02-09

Family

ID=37122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1773A KR20060013009A (en) 2004-08-05 2004-08-05 Moving sound-proof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3009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348A (en) * 2006-02-16 2007-08-21 안경덕 Movable soundproofing wall assembly
KR100806228B1 (en) * 2006-02-10 2008-02-27 주식회사 넥터스 Skate board
KR101300725B1 (en) * 2012-06-15 2013-08-27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Movable temporary soundproof device
CN105952256A (en) * 2016-06-16 2016-09-21 江苏新光环保工程有限公司 Movable noise reduction enclosure
CN106758905A (en) * 2017-02-24 2017-05-31 湖州浩森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removable automated cleaning sound insulation wall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228B1 (en) * 2006-02-10 2008-02-27 주식회사 넥터스 Skate board
KR20070082348A (en) * 2006-02-16 2007-08-21 안경덕 Movable soundproofing wall assembly
KR101300725B1 (en) * 2012-06-15 2013-08-27 주식회사 부산도시가스 Movable temporary soundproof device
CN105952256A (en) * 2016-06-16 2016-09-21 江苏新光环保工程有限公司 Movable noise reduction enclosure
CN106758905A (en) * 2017-02-24 2017-05-31 湖州浩森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removable automated cleaning sound insulation wall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13009A (en) Moving sound-proof device
KR100792176B1 (en) The sound proofing wall soundproof panel
Berendt A Guide to Airborne, Impact, and Structureborne Noise Control in Multifamily Dwellings
KR200403525Y1 (en) Soundproofing walls for road
KR100745620B1 (en) A frame for soundproof and sound absorption with interior
KR200313145Y1 (en) Both side type soundproofing plate
CN207277586U (en) It is repeatable to utilize formula soundproof wall
KR200324444Y1 (en) Double structual soundproof wall or lightweight PC
KR200165496Y1 (en) Sound absorbing pannel
JP4198632B2 (en) Soundproof unit
JP3354547B2 (en) Soundproofing
KR100505844B1 (en) Soundproof panel
JP3868887B2 (en) Construction method of soundproof wall in vehicle lane
KR102397998B1 (en) A soundproofing wall system that can reduce howling by height difference between wood parts
KR200361591Y1 (en) A noise reducer for soundproof wall
KR200361796Y1 (en) A noise reducer for soundproof wall
KR20200118673A (en) Remodeling sound barrier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623204B1 (en) Reduce noise device for soundproofing walls
CN211665605U (en) Movable noise isolation device
CN217352202U (en) A high-efficient sound-proof wall for building
KR200389324Y1 (en) A frame for soundproof and sound absorption with interior
CN112412168B (en) Sound insulation wall for construction of building municipal engineering
KR102542927B1 (en) A wooden soundproofing board device including a wooden soundproofing wall structure that can reduce howling by height difference between wooden parts
KR102576426B1 (en) A Noise-absorbing Device
KR100378634B1 (en) Noise absorb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