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982A -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982A
KR20070080982A KR1020060012595A KR20060012595A KR20070080982A KR 20070080982 A KR20070080982 A KR 20070080982A KR 1020060012595 A KR1020060012595 A KR 1020060012595A KR 20060012595 A KR20060012595 A KR 20060012595A KR 20070080982 A KR20070080982 A KR 20070080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formation
digital broadcast
audio
vide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0908B1 (ko
Inventor
성기연
한영섭
김영집
권경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2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908B1/ko
Priority to US11/704,693 priority patent/US20070201819A1/en
Publication of KR20070080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5Reproducing at a different information rate from the information rate of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고배속 변속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스트림 녹화 시 I-프레임 위치 정보값을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여 변속 재생모드 수행 시 프레임 정보 테이블의 I-프레임 정보값을 이용하여 프레임 검색함으로써 배속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프레임을 디코더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고배속 트릭모드, 디코더, MPEG.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ICKING PLAYING OF A DIGITAL BROADCASTING STREAM}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를 구현 시 사용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도시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방송 스트림 녹화 시 I-프레임 위치정보를 별도 저장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녹화된 디지털 방송 재생 시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스트림 재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 털 방송 수신기에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고배속 변속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영상 압축 및 디지털 변/복조 등과 같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방송에 대한 표준화 및 상용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으며, 또한 종래의 지상파, 위성, 케이블 방송에서도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을 기반으로 디지털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음성 압축기술 및 디지털 전송 기술의 발전에 따라 아날로그 방송신호 서비스보다 고화질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동일 대역폭에서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고, 디지털 통신 미디어 및 디지털 저장 미디어 등과의 상호 운용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방송에서는, MPEG을 기반으로 엔코딩(Encoding)된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들이 다중화되어 트랜스포트 스트림(TS : Transport Stream) 형태로 전송된다. 또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디지털 방송수신기에 의해 수신되고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된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정보들이 역다중화되어 추출된다.
한편,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는 추출된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디지털 방송수신기는 선택된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스트림들을 역다중화 시킨다. 또한 역다중화 된 스트림을 수신기 내에 구비된 디코더를 이용하여, 원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복원한 후, 오디오/비디오(A/V) 출력장치로 전송 출력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내에 대용량의 하드 디스크(HDD)를 구비함으로써 A/V 출력 장치로 전송 출력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과 음성의 MPEG 스트림을 복원하기 이전의 형태 또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과 음성 신호를 MPEG으로 재복호화 한 형태로 하드 디스크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하드 디스크에 기록 저장된 방송 프로그램을 재생 출력할 수 있는 PVR 기능이 있다.
이와 같은 PVR 기능을 사용하여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저장하고, 사용자가 저장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하던 중, 상기 PVR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하드 디스크에 기록 저장된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을 자신이 원하는 특정 기록위치로 이동 탐색한 후 다양한 배속으로 변속 재생을 하기도 한다. 즉, 사용자는 원하는 방송 장면을 보기 위해 되감기(Rewind) 키, 빨리감기(Fast Forward) 키를 눌러서 원하는 방송 장면을 출력하기 위한 프레임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빠른 속도로 원하는 방송 장면으로 이동하여 방송을 재생하는 모드를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라 한다. 이러한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에는 역방향 변속 재생과 순방향 변속 재생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내부 구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방송 서비스 모드를 수행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부(102)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이 수신되면, 제어부(100)는 MPEG 디코더(104) 내의 역다중화기(106)를 통해 방송 스트림을 역다중화시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와 카달로그 정보를 구분하여 스토리지부(HDD)(112)내의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저장영역(114)과 카탈로그 정 보 저장영역(116)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저장된 방송 스트림을 재생하기 위한 입력이 있으면, 해당 방송 스트림을 스토리지부(112)로부터 읽어 디코더(108)를 통해 디코딩 된 신호를 표시부(11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PVR 파일 재생 중에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를 실행하면, 제어부(100)는 방송 재생모드를 I-프레임만 재생하도록 변경한 후 스토리지부 (112)에 저장된 카탈로그 파일을 열어 실시간으로 탐색하면서 디코더(108)에 공급할 I-프레임들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제어부(100)는 추출한 I-프레임들의 위치 정보에서 해당 I-프레임부터 다음 I-프레임 전까지의 A/V 데이터를 독출하여 디코딩 버퍼에 공급하고, 버퍼로부터의 데이터를 디코터(108)를 통해 표시부(11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은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 수행 시 파일 재생 배속이 높아지면 공급하는 I-프레임간의 간격을 늘려 일정구간을 건너뛰는 방식으로 고배속 변속 재생 모드를 구현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재생모드를 수행 중 원하는 프레임 선택 시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카탈로그 파일을 직접 검색할 경우 저배속에서는 I-프레임간의 간격을 늘려 일정구간을 건너뛰는 프레임 수가 적어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고배속으로 갈수록 I-프레임간 건너뛸 프레임의 수가 증가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를 수행할 시에는 I-프레임간 건너뛸 프레임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건너뛸 I-프레임을 검색하는 시간도 늘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I-프레임 검색속도가 디코딩 속도에 비해 느려져 디코더에 데이터를 원활히 공급하지 못하는 언더 플로우(underflow)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언더 플로우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방송 스트림의 디코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정상적인 방송을 화면에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고배속 변속 재생 모드 수행 시 수행할 배속에 따라 프레임 검색 시간이 변환한다. 이로 인해 고배속일수록 빠른 시간 내에 검색해야 하는 프레임 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프레임 검색 시간도 증가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프레임을 디코더로 제공하지 못해 화면에 출력되는 방송 끊김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변속 재생 모드 수행 시 배속에 관계없이 일정한 프레임 검색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배속 변속 재생 모드 수행 시 화면에 표시할 최소한의 프레임 데이터만을 디코더로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효율적인 디코딩을 수행 함으로써 화면 식별도가 보다 개선된 고배속 변속 재생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역 다중화하여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와 카탈로그 정보로 분리하는 역 다중화기와, 상기 역 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카탈로그 정보 중 특정 프레임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프레임 정보 추출부와, 상기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추출된 특정 프레임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부와, 디지털 방송 데이터 녹화 요구에 따라 상기 정보 추출부를 통해 상기 특정 프레임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역 다중화기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추출한 특정 프레임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상기 스토리지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부는 고배속 변속 재생 모드 요구가 있으면 선택된 배속 단위에 따라 상기 프레임 정보 테이블의 상기 특정 프레임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프레임 위치에 대응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읽어 화면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어부는 상기 고배속 변속 재생 모드 요구가 있으면 선택된 배속 단위를 확인한 후 선택된 배속 단위에 따른 상기 I-프레임 인덱스 증감 간격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프레임 인덱스 증감 간격에 따라 출력해야 하는 I-프레임 위치값에 따라 상기 스토리지부에서 해당 위치에 저장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읽어 화면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 녹화 요구에 따라 수신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역 다중화하여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와 카탈로그 정보로 분리하는 과정과, 상기 카탈로그 정보 중 특정 프레임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추출된 특정 프레임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방법에 있어서, 고배속 변속 재생 모드 요구가 있으면 선택된 배속 단위에 따라 상기 프레임 정보 테이블의 상기 특정 프레임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제1과정과, 상기 특정 프레임 위치에 대응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읽어 화면에 출력하는 제2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배속 변속 재생 모드 요구가 있으면 선택된 배속 단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배속 단위에 따른 상기 I-프레임 인덱스 증감 간격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I-프레임 인덱스 증감 간격에 따라 출력해야 하는 I-프레임 위치값에 따라 해당 위치에 저장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읽어 화면에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MPEG 디코더의 경우 디코더의 디코딩 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어느 정도의 순방향 배속기능은 제공한다. 하지만, 이는 속도에 한계가 있으므로 그 이상의 고배속은 일정구간 프레임을 건너뛰는 방식을 적용하여 고배속 변속 재생 모드를 구현한다. 또한, 역방향 배속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모든 배속에 대해 일정구간 프레임을 건너뛰는 방식을 적용하여 고배속 변속 재생 모드를 구현한다. 따라서, I-P-B 프레임들로 구성된 MPEG 파일구조에서 완전한 프레임 정보를 갖고있는 I-프레임의 위치를 정확하게 참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이에 카탈로그(catalog)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PVR(Personal Video Recording) 기능을 이용하여 전송 스트림 형태의 디지털 방송 스트림 녹화 시, 카탈로그 정보 중 고배속 변속 재생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만 추출하여 A/V 데이터와 함께 추출한 정보를 저장한다. 즉, 디지털 방송 스트림 녹화 시 카탈로그 정보 중 I-프레임의 시작 위치 및 종료 위치를 추출하여 이를 프레임 정보 테이블로 구성한 후, 이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미리 저장함으로써 고배속 변속 재생 모드 선택이 있는 경우 미리 저장되어 있는 I-프레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빠르게 PVR 파일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한다.
그러면,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배속 변속 재생 모드 구현을 위한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제어부(200)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200)는 방송 스트림 녹화 시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미리 구성 및 저장한다. 또한,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 수행 시 상기의 미리 저장된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재생모드를 수행한다.
먼저, 제어부(200)는 방송 스트림 녹화 수행 시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미리 구성 및 저장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에 의해 키입력부(218)를 통해 방송 스트림 녹화 요청이 있으면, 제어부(200)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202)로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MPEG 디코더(204) 내의 역다중화기(206)로 출력하여 방송 스트림을 역다중화시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와 카탈로그 정보를 구분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구분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스토리지부(HDD)(212)내의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저장영역(214)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역 다중화기(206)에서 방송 스트림에서 구분된 카탈로그 정보는 프레임 정보 추출부(22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프레임 정보 추출부(220)는 입력된 카탈로그 정보에서 I-프레임의 시작 및 종료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추출한 I-프레임에 대한 시작 및 종료 위치 정보를 프레임 정보 테이블로 구성하여 스토리지부(212)에 저장한다.
즉, 방송 전송 스트림 파일을 디코딩할 때 구성요소 아이디(Element ID)들이 추출되는데 비디오 시퀀스 헤더(Video Sequence Header), 비디오 시퀀스 확장(Video Sequence Extension), 비디오 시퀀스 디스플레이 확장(Video Sequence Display Extension), 픽쳐 그룹(Group of Pictures), 픽쳐 헤더(Picture Header), 픽쳐 코딩 확장(Picture Coding Extension), Picture Quant Extension(픽쳐 퀀트 확장), Video Sequence Quant Matrix Extension(비디오 시퀀스 퀀트 매트릭스 확장) 등이 있다. 이때,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를 구현하기 위해서 I-프레임의 시작과 종료 위치를 알아야 하므로 픽쳐 헤더(Picture Header)를 참조하여 각 I, P, B-프레임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원하는 프레임의 정보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도록 I-프레임의 시작위치와 종료위치만을 추출하여 I-프레임에 인덱스를 부가하고 해당 I-프레임의 시작 및 종료 위치값을 프레임 정보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 정보의 데이터 구조체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typedef struct tag_USER_FRAME_INFO { unsigned int FrameStartCount; unsigned int FrameEndCount; } USER_FRAME_INFO, *P_USER_FRAME_INFO;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FrameStartCount”는 디코더(208)에 공급할 프레임이 시작되는 패킷(Packet)의 순번이며, “FrameEndCount”는 프레임이 끝나는 패킷의 순번이다. MPEG -TS 파일은 188bytes의 패킷 단위로 구성되므로 실제 파일내의 오프셋 값은 이 카운터 값에 188을 곱해서 구한다. 이런 프레임 정보들을 연속적으로 배열하면 프레임 정보 테이블이 구성되며 이를 각 TS-AV 파일과 함께 별도 파일로 저장하였다가 변속 재생모드 수행 시 이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재생모드를 수행한다.
그러면,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수신한 전송 스트림에서 I- 프레임의 시작 및 종료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구성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I, P, B-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에서 첫번째 I-프레임의 시작 옵셋값은 a이고, 종료 옵셋값은 b이다. 그러면, 첫번째 I-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인덱스값을 1로 부가하고, 이 프레임에 대한 시작 위치 정보 값을 a값으로 종료 위치 정보 값을 b로 저장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두번째 I-프레임의 시작 옵셋값은 c이고, 종료 옵셋값은 d이다. 그러면, 두번째 I-프레임에 대한 프레임 인텍스값을 2로 부가하고, 이 프레임에 대한 시작 위치 정보 값을 c값으로 종료 위치 정보 값을 d로 저장한다. 이때, 프레임 정보 테이블의 각 I-프레임의 종료 위치는 최대한의 디코딩 성능을 내기 위해 가능한 I-프레임 데이터만을 포함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나 시스템 성능에 따라 버퍼 언더 플로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I-프레임에 이어지는 몇 개의 B-프레임을 포함시키도록 조절하여 버퍼 언더 플로우 문제점을 해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미리 저장한 경우,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요구가 있는 경우 제어부(200)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제어부(200)는 키 입력부(218)를 통해 저장된 방송 스트림 재생하기 위한 요구 신호가 있으면, 스토리지부(212)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 테이블의 I-프레임들의 시작 및 종료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A/V 데이터를 독출하여 디코딩 버퍼에 공급하고, 버퍼로부터의 데이터를 디코더(208)를 통해 표시부(110)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방송 스트림 녹화 시에 생성된 프레임 정보 테이블은 스토리지부(212)에 저장한 후, 저장된 방송 스트림 재생 시에 스토리지부(212)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메모리부(215)에 옮긴 후 메모리부(215)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 테이블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A/V 데이터를 독출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배속 단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I-프레임 인덱스의 증감 간격을 확인하여 해당 I-프레임에 대응되는 A/V 데이터를 독출한다. 예를 들어, 12배속일 경우에 프레임 인덱스의 증감 간격을 "1"로 설정하고, 24배속은 "2", 48배속은 "4"로 설정하여 스토리지부(212)에 미리 저장한 경우를 가정한다. 그러면, 사용자에 의해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 수행 시 12배속으로 재생을 선택한 경우에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에 저장된 프레임 인덱스 1,2,…,N+1(N=0,1,2,…)순으로 해당하는 A/V 데이터를 독출하면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 수행 시 48배속으로 재생을 선택한 경우에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에 저장된 프레임 인덱스 1,5,9,…,4N+1(N=0,1,2,…)순으로 해당하는 A/V 데이터를 독출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덱스의 증감만으로 배속을 변경하므로 배속이 성능과 전혀 무관하게 되어 이론적으로는 무한대의 배속까지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표시부(210)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하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의 해상도를 충분히 지원할 수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21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키입력부(218)는 키 입력이나 음성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200)로 전달한다.
스토리지부(212)는 하드 디스트 드라이브(HDD : Hard Disk Drive)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스토리지부(212)는 A/V 데이터와 전송 스트림에서의 I-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 배속 단위에 따른 I-프레임 인덱스의 증감 간격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부(215)는 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스토리지부(212)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읽어 저장한다.
그러면, 상기의 도 2와 같이 구성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디지털 방송 스트림 녹화 시 I-프레임 위치정보를 별도 저장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과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제어부(200)는 400단계에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 수신 모드 동작 중 402단계에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 녹화 요구가 있는지를 검사한다. 만약, 디지털 방송 데이터 녹화 요구가 있으면, 404단계에서 전송 스트림 파일을 디멀티플렉싱 한 후, 406단계에서 I-프레임들의 시작 위치 값과 종료 위치값을 추출한다. 이후, 408단계에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와 추출한 I-프레임들의 시작 위치 값과 종료 위치값을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스토리지부(212)에 저장한다. 이후, 녹화 종료 요청이 있으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404단계로 진행하여 404 내지 410단계를 계속하여 수행하면서 I-프레임 위치정보를 별도 저장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여 이를 스토리지부(212)에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의 도 4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미리 저장한 경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녹화된 디지털 방송 재생이 요구될 시 사용자가 선택한 배속에 따라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500단계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저장된 디지털 방송 파일 재생 모드를 수행중임을 가정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502단계에서 고배속 변속 모드가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만약 고배속 변속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200)는 502단계로 진행하여 고배속 변속 모드 선택 시 함께 선택된 배속 단위를 확인한 후 선택된 배속 단위에 따른 I-프레임 인덱스 증감 간격을 확인한다. 이때, 배속 단위에 따라 I-프레임 인덱스 증감 간격은 상기의 도 2의 설명에서와 같이 미리 스토리지부(212)에 저장된다.
이후, 제어부(200)는 506단계로 진행하여 프레임 정보 테이블에서 배속 단위에 따라 확인된 I-프레임 인덱스 증감 간격에 따라 출력해야 하는 I-프레임 위치값을 독출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508단계로 진행하여 독출된 I- 프레임 위치값에 따라 스토리지부(212)에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읽어 화면에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방송 스트림 녹화 시에 생성된 프레임 정보 테이블은 스토리지부(212)에 저장한 후, 저장된 방송 스트림 재생 시에 스토리지부(212)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메모리부(215)에 옮긴 후 메모리부(215)에 저장된 프레임 정보 테이블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A/V 데이터를 독출한다.
이후, 제어부(200)는 고배속 변속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요구가 있는 지를 검사한 후, 고배속 변속 모드 종료 요구가 있으면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504단계로 진행하여 504단계 내지 510단계를 계속하여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스트림 녹화 시 I-프레임 위치 정보값을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여 변속 재생모드 수행 시 프레임 정보 테이블의 I-프레임 정보값을 이용하여 프레임 검색을 함으로써 배속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프레임을 디코더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스트림 녹화 시 I-프레임 위치 정보값을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미리 저장하여 변속 재생모드 수행 시에 필요한 프레임 정보의 검색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배속에 제한이 없는 변속 재생모드를 구현하였으며 더불어 S/W의 간섭이 대폭 줄어들어 디코더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고배속 변속 재생모드 시 단위 시간 내에 더 많은 프레임을 디코딩하여 보여줄 수 있게 함으로써 화면의 식별도가 향상된 변속 재생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역 다중화하여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와 카탈로그 정보로 분리하는 역 다중화기와,
    상기 역 다중화기로부터 출력되는 카탈로그 정보 중 특정 프레임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프레임 정보 추출부와,
    상기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추출된 특정 프레임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스토리지부와,
    디지털 방송 데이터 녹화 요구에 따라 상기 정보 추출부를 통해 상기 특정 프레임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역 다중화기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추출한 특정 프레임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상기 스토리지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프레임은 변속 재생모드 수행 시 원하는 프레임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기 위한 I-프레임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프레임의 위치 정보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 내의 각 I-프레임의 시작 및 종료 위치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정보 테이블은 상기 각 I-프레임의 시작위치와 종료위치만을 추출하여 각 I-프레임에 인덱스를 부가하고, 각각 인덱스가 부가된 I-프레임에 그 I-프레임의 시작 및 종료 위치값을 매핑시킨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부는 배속 단위에 따른 I-프레임 인덱스의 증감 간격 정보를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고배속 변속 재생 모드 요구가 있으면 선택된 배속 단위에 따라 상기 프레임 정보 테이블의 상기 특정 프레임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프레임 위치에 대응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읽어 화면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배속 변속 재생 모드 요구가 있으면 선택된 배속 단위를 확인한 후 선택된 배속 단위에 따른 상기 I-프레임 인덱스 증감 간격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I-프레임 인덱스 증감 간격에 따라 출력해야 하는 I-프레임 위치값에 따라 상기 스토리지부에서 해당 위치에 저장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읽어 화면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8.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방송 데이터 녹화 요구에 따라 수신된 디지털 방송 스트림을 역 다중화하여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와 카탈로그 정보로 분리하는 과정과,
    상기 카탈로그 정보 중 특정 프레임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추출된 특정 프레임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정보 테이블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프레임은 변속 재생모드 수행 시 원하는 프레임 정보를 빠르게 검색하기 위한 I-프레임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프레임의 위치 정보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 내의 각 I-프레임의 시작 및 종료 위치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정보 테이블은 상기 각 I-프레임의 시작위치와 종료위치만을 추출하여 각 I-프레임에 인덱스를 부가하고, 각각 인덱스가 부가된 I-프레임에 그 I-프레임의 시작 및 종료 위치값을 매핑시킨 테이블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배속 단위에 따른 I-프레임 인덱스의 증감 간격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고배속 변속 재생 모드 요구가 있으면 선택된 배속 단위에 따라 상기 프레임 정보 테이블의 상기 특정 프레임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제1과정과,
    상기 특정 프레임 위치에 대응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읽어 화면에 출력하는 제2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제1 과정은,
    상기 고배속 변속 재생 모드 요구가 있으면 선택된 배속 단위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배속 단위에 따른 상기 I-프레임 인덱스 증감 간격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제2 과정은,
    상기 확인된 I-프레임 인덱스 증감 간격에 따라 출력해야 하는 I-프레임 위치값에 따라 해당 위치에 저장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읽어 화면에 출력하는 과 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방법.
KR1020060012595A 2006-02-09 2006-02-09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770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595A KR100770908B1 (ko) 2006-02-09 2006-02-09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및 방법
US11/704,693 US20070201819A1 (en) 2006-02-09 2007-02-09 Apparatus and method for variable speed playback of digital broadcasting stre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595A KR100770908B1 (ko) 2006-02-09 2006-02-09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982A true KR20070080982A (ko) 2007-08-14
KR100770908B1 KR100770908B1 (ko) 2007-10-26

Family

ID=38444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595A KR100770908B1 (ko) 2006-02-09 2006-02-09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201819A1 (ko)
KR (1) KR1007709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7809B2 (en) 2011-12-21 2014-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play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1497A (ja) * 2007-06-04 2008-12-11 Mun-Hak An 携帯電話及びその機能実行方法
JP5211569B2 (ja) * 2007-07-26 2013-06-12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180972A (ja) * 2008-01-31 2009-08-13 Panasonic Corp オーディオレジューム再生装置及びオーディオレジューム再生方法
US9485546B2 (en) * 2010-06-29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video samples for trick mode video representations
US9185439B2 (en) 2010-07-15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data for multiplexing video components
US9565476B2 (en) * 2011-12-02 2017-02-07 Netzyn, Inc. Video providing textual conten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9948A (en) * 1995-11-20 1999-09-07 Ime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playback features for compressed video data
US20020116705A1 (en) * 2001-02-20 2002-08-22 Perlman Stephen 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ditional access data
US6925180B2 (en) * 2001-09-27 2005-08-02 Sony Corporation PC card recorder
KR100614371B1 (ko) * 2001-12-22 2006-08-18 주식회사 휴맥스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재생 제어정보 기록방법과,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변속재생 제어방법
US7242773B2 (en) * 2002-09-09 2007-07-10 Sony Corporation Multiple partial encryption using retuning
KR20040039852A (ko) * 2002-11-05 2004-05-12 주식회사 디지털앤디지털 프레임 인덱스를 이용한 트릭 플레이 구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7809B2 (en) 2011-12-21 2014-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play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908B1 (ko) 2007-10-26
US20070201819A1 (en) 200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0379B2 (ja) デジタル情報の効率的な伝送および再生
US7738767B2 (en)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recording and playing back content data,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playing back content data, and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recording content data
EP1239674B1 (en) Recording broadcast data
KR100456441B1 (ko) 저장 매체에 저장된 서비스의 중지 시점부터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70908B1 (ko)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 재생 장치 및 방법
CN101958136A (zh) 视频音频记录再现装置和视频音频记录再现方法
KR101142379B1 (ko) 디지털 방송 재생 방법 및 장치, 디지털 방송 녹화 방법
KR20030053192A (ko) 디지털 방송 스트림의 변속재생 제어정보 기록방법과,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변속재생 제어방법
US7024100B1 (en) Video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US200901362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live pause
KR101731829B1 (ko) 디지털 영상 수신기의 디지털 콘텐츠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30091396A (ko) 방송신호의 위치정보 기록방법와 방송신호의 위치정보기록이 가능한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송출장치
US8254764B2 (en) Recording apparatus,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special reproduction method therefor
JP6415652B1 (ja) 映像再生装置、映像記録装置および映像記録方法
JP6600059B2 (ja) 映像再生装置および映像記録装置
US20030091331A1 (en) Method for implementing low-speed playback of a digital broadcast program
KR10056373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트릭 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0452614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트릭 플레이 방법
JP2008277930A (ja) 動画記録再生装置
KR100903432B1 (ko)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실행되는 최종 재생위치 탐색을 통한 재생 제어 방법
JP2022156728A (ja) 映像再生装置および映像記録媒体
KR20020072108A (ko) 디지털 엠펙 데이터를 저장 매체에 저장하고 재생하는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17996A (ja) 映像再生装置、映像記録装置および映像記録媒体
KR100799668B1 (ko) 방송녹화장치에 있어서 방송/비디오 신호에 프로그램가이드 정보를 입력하여 변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57499A (ko) Pvr 시스템의 타임쉬프트 구동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