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934A - Rfid 리더 - Google Patents

Rfid 리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934A
KR20070080934A KR1020060012487A KR20060012487A KR20070080934A KR 20070080934 A KR20070080934 A KR 20070080934A KR 1020060012487 A KR1020060012487 A KR 1020060012487A KR 20060012487 A KR20060012487 A KR 20060012487A KR 20070080934 A KR20070080934 A KR 20070080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ule
received signal
electric field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2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9095B1 (ko
Inventor
김남윤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2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095B1/ko
Publication of KR2007008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02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with one or more flat stamping surfaces having fixed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 B41K1/38Inking devices; Stamping surfaces
    • B41K1/40Inking devices operated by stamp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KSTAMPS; STAMPING OR NUMBERING APPARATUS OR DEVICES
    • B41K1/00Portable hand-operated devices without means for supporting or locating the articles to be stamped, i.e. hand stamps; Inking devices or other accessories therefor
    • B41K1/36Details
    • B41K1/38Inking devices; Stamping surfaces
    • B41K1/52Ink reservoirs, e.g. integral with stamp handles

Landscapes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RFID 리더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커플링시키는 결합기를 구비하고,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RF수신부; 상기 RF수신부에서 처리된 수신 신호를 I신호 및 Q신호로 분리하는 믹서모듈, 상기 I신호 및 Q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모듈 및 상기 커플링된 수신 신호를 전달받아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모듈을 포함하는 베이스밴드부; 및 상기 RSSI모듈로부터 전계 강도 측정치를 전달받아 상기 증폭모듈의 이득 수치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RFID리더의 상기 증폭모듈은 상기 I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 및 상기 Q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정된 이득 수치를 상기 제1증폭기 및 상기 제2증폭기로 각각 전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불규칙한 수신 신호의 전계 강도를 파악하여 차별적으로 수신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태그의 판독거리, 에너지 공급 환경 및 데이터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필요에 따라 증폭 전력을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RFID 리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
도 1은 종래의 RFID리더의 RF수신부 및 베이스밴드부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리더의 전체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리더가 구비하는 RF수신부, 베이스밴드부 및 제어부의 각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리더에 구비되는 결합기가 방향성 결합기로 구현되는 경우 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리더가 구비하는 베이스밴드부의 BA 회로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RFID 리더 110: RF수신부
112: 저잡음증폭기 114: 결합기
116: BPF 120: 베이스밴드부
121: 발룬회로부 122a, 122b: 제1믹서, 제2믹서
123a, 123b: 제1 LPF, 제2 LPF 124a, 124b: 제1분기부, 제2분기부
130: 제어부 140: RSSI회로
200: 안테나 300a, 300b: 제1 BA, 제2 BA
본 발명은 RFID리더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비쿼터스(ubiquitous) 네트워크 기술이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데,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이란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네트워크에 자연스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의 차세대 기술로서 RFID 기술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상거래에 도입된 RFID 기술이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상거래형 RFID 시스템은 상품에 부착되어 세부정보가 내장된 전자태그, 상기 전자태그의 정보를 RF통신을 이용하여 읽는 RFID리더로 이루어지며, 상품에 부착된 상기 전자태그는 상기 RFID리더가 위치되는 지역을 통과하며 RF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게 되므로 상품의 유통, 조립, 가격 변동, 판매 등의 물류/유통 관리가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RFID 리더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태그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전파 환경의 변화가 심하고, 외부의 환경 변화에 따라 수신 신호의 변화가 크게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 변화를 극복하여 수신 데이터의 에러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RFID 리더의 수신단 설계가 중요한 측면으로 인식된다.
도 1은 종래의 RFID리더의 RF수신부 및 베이스밴드부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종래 RFID리더의 RF수신부(20)는 안테나(10)와 연결되는 저잡음증폭기(22)와 대역통과필터(BPF; Band Pass Filt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베이스밴드부(30)는 제1합산기(31), 제2합산기(32), 제1저대역필터(LPF; Low Pass Filter)(33), 제2저대역필터(34), 제1기저대역증폭기(BA; Baseband Amplifier) 및 제2기저대역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테나(10)는 가령, 800 MHz 내지 900 MHz 대역의 무선 채널을 통하여 태그와 RF 신호를 송수신하고, 저잡음증폭기(22)는 저잡음 성분을 억제하면서(가령, 송신부에서 태그 신호보다 강한 피드백(feedback)신호 성분이 유입될 수 있음) 높은 P1dB(P1 : 선형성지표) 특성을 가지고 원하는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증폭시킨다.
상기 밴드패스필터(24)는 RFID 채널 대역의 주파수만을 필터링하고, 상기 제1합산기(31)와 제2합산기(32)는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수신신호를 I신호 및 Q신호로 분리한다.
또한, 제1저역통과필터(33)와 제2저역통과필터(34)는 각각 제1합산기(31) 및 제2합산기(32)로부터 전송된 노이즈 성분의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제1기저대역증폭기(35)와 제2기저대역증폭기(36)는 중간주파수신호로서 I신호 및 Q신호를 증폭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 RFID리더의 RF수신부(20)와 베이스밴드부(30)는 신호간 간섭, 태그가 안테나(10)로부터 떨어진 위치 등의 환경 변화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게 되고, 따라서 인식거리가 일정치 못하고, 에러율이 높아지고 거리에 따라 위상 반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RFID리더는 다양한 전파 규격(130 KHz대역, 13.56 Mhz대역, UHF 대역, 2.45 GHz 대역 등이 사용됨)에 따라 소정 거리 범위 안에 위치되는 전자태그와 송수신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교환하도록 최소한의 송신신호 전력(보통, 1W)을 유지하는데, 송신신호의 피드백 성분, 반사파 성분으로 인하여 수신부(20, 30)의 태그 신호 인식률은 크게 영향을 받는다.
종래 베이스밴드부(30)의 기저대역증폭기(35, 36)는 불요파 성분의 신호로 인하여 수신 신호의 전계 강도가 불안정해지더라도 일정한 수치로 신호를 증폭시키므로 필요 이상 또는 이하로 신호를 증폭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외부 전파 환경의 영향 또는 송신단 측으로부터 입력되는 불요파 성분의 영향으로 인하여 수신 신호의 전계 강도에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일정한 수치로 수신 신호를 증폭시키는 종래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신 신호의 전계 강도 변화에 따라 차별적으로 수신신호를 증폭시키는 RFID리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RFID 리더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커플링시키는 결합기를 구비하고,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RF수신부; 상기 RF수신부에서 처리된 수 신 신호를 I신호 및 Q신호로 분리하는 믹서모듈, 상기 I신호 및 Q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모듈 및 상기 커플링된 수신 신호를 전달받아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모듈을 포함하는 베이스밴드부; 및 상기 RSSI모듈로부터 전계 강도 측정치를 전달받아 상기 증폭모듈의 이득 수치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RFID리더의 상기 증폭모듈은 상기 I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 및 상기 Q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정된 이득 수치를 상기 제1증폭기 및 상기 제2증폭기로 각각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RFID리더의 상기 RF수신부는 안테나 초단에 저잡음증폭기 및 대역통과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기는 상기 저잡음증폭기 및 상기 대역통과필터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RFID리더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계 강도 측정치에 대응되는 기준 출력 전력과 상기 RF수신부의 현재 출력 전력을 비교하여 상기 이득수치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RFID리더의 상기 제어부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칩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칩 상에서 구현되고, 상기 믹서모듈 및 상기 증폭모듈 사이에는 저대역통과필터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리더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리더(100)의 전체 구성 요소를 개략적 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리더(100)는 안테나(200)와 연결되는 RF수신부(110), 베이스밴드부(120), 제어부(130) 및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회로(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RF수신부(110)는 수신 신호를 처리함과 동시에, 결합기(이하에서, 도 3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함)를 구비하여 안테나(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커플링시켜 베이스밴드부(120)로 전달한다.
상기 베이스밴드부(120)는 RF수신부(110)에서 처리된 수신 신호를 I신호 및 Q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I신호 및 Q신호를 증폭시켜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RSSI회로(140)는 RF수신부(110)로부터 커플링된 수신 신호를 전달받아 전계 강도를 측정하고 이를 DC 성분의 전계 강도 측정치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계 강도 측정치는 제어부(130)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RSSI회로(140)로부터 전달된 전계 강도 측정치에 따라, 상기 RF수신부(110)가 신호를 증폭시킴에 있어서 이득 수치를 조정하도록, 소정의 제어 전압을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제어 전압을 RF수신부(110)로 전달하고, RF수신부(110)는 제어 전압에 따라 이득 수치를 조정하여 I신호 및 Q신호를 각각 증폭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리더(100)의 증폭 동작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리더(100)가 구비하는 RF수신부(110), 베이스밴드부(120) 및 제어부(130)의 각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리더(100)의 RF수신부(110)는 LNA(Low Noise Amplifier; 저잡음증폭기)(112), 결합기(Coupler)(114), BPF(Band Pass Filter; 대역통과필터)(1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베이스밴드부(120)는 발룬(Baloon)회로부(121), 제1믹서(122a), 제2믹서(122b), 제1LPF(Low Pass Filter; 저대역통과필터)(123a), 제2LPF(123b), 제1분기부(124a), 제2분기부(124b), 제1BA(Baseband Amplifier; 기저대역증폭기)(300a), 제2BA(3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외에, 상기 RFID리더(100)는, 전술한 대로 RSSI회로(140)와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LNA(112)는 안테나(200)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의 잡음 성분을 억제하여 증폭시키고, BPF(116)는 해당 주파수 대역의 수신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베이스밴드부(120)로 전달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리더(100)에 구비되는 결합기(114)가 방향성 결합기로 구현되는 경우 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결합기(114)는 LNA(112)와 BPF(116)사이에 연결되어 신호를 커플링시켜 RSSI회로(140)로 전달하는데, 결합기(114)로는 결합커패시터(coupling capacitor) 또는 방향성 결합기(directional couple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가령, 결합커패시터는 소정의 유전율을 가지는 유전체가 구비됨으로써 원래 의 RF신호에 손실을 주지 않으면서 수신 신호를 RSSI회로(140)로 커플링시킬 수 있다.
또한, 방향성 결합기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4개의 포트(a, b, c, d)를 가지는 도파관(114a)이 이용되는데, 입력포트(a)와 통과포트(b)는 LNA(112)와 BPF(116)와 각각 연결되고, 출력포트(c)는 커패시터(114b)를 통하여 LSSI회로와 연결되며, 격리(Isolation)포트(d)는 저항(114c)을 통하여 접지단과 연결된다.
도파관(114a)을 통하여 커플링된 신호는 커패시터(114b)를 통하여 RSSI회로(140)로 전달되는데, 커패시터(114b)는 RSSI회로(140)로부터 DC성분의 신호가 RF수신부(1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어서, 베이스밴드부(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발룬회로부(121)는 RF수신부(110)로부터 전달된 수신 신호를 I신호 및 Q신호로 분리시킨다. 여기서, "발룬(Balun)"이란 "Balance-Unbalance"의 줄임말로서, Balanced Signal 을 Unbalanced Signal로(또는 그 역으로) 변환해주는 회로를 의미한다.
상기 발룬회로부(121)는 출력단이 각각 제1믹서(122a)와 제2믹서(122b)로 연결되는데, 같은 전송 대역을 사용하는 I신호와 Q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한측을 GND로 만들고 다른 측으로 신호를 몰아(일종의 신호 변환임) I신호 또는 Q신호를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발룬회로부(121)는 선로 조합, 럼프드 소자, 공진도파관 방식 등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믹서(122a)와 제2믹서(122b)는 발룬회로부(121)와 연결되며, 제1믹서(122a)와 제2믹서(122b)는 분리된 I신호 및 Q신호에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는 신호(가령, 코사인, 사인 신호)를 곱산하여, I신호 및 Q신호에 위상차를 만든다.
또한, 상기 제1LPF(123a) 및 제2LPF(123b)는 위상차가 생긴 I신호 및 Q신호를 주파수 필터링하여, 해당 주파수 대역 중에서 소정 대역 이하의 주파수 신호만을 추출함으로써 신호 처리의 효율성을 높인다.
상기 제1분기부(124a) 및 제2분기부(124b)는 필터링된 I신호와 Q신호를 RSSI회로(140)와 BA(300a, 300b)의 양방향으로 분기시키는데, 즉 분기된 신호중 한측의 I신호 및 Q신호는 RSSI회로(140)로 전달하고, 타측의 I신호 및 Q신호는 각각 제1BA(300a)와 제2BA(300b)로 전달한다.
상기 제1BA(300a)와 제2BA(300b)는 각각 I신호와 Q신호를 베이스밴드 주파수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A/D 변환)가능하도록 소정 수준의 크기로 증폭시킨다.
상기 RSSI회로(140)는 수신 신호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회로로서, 보통 전파에 간섭이 발생되거나 잡음 성분이 섞여서 신호의 세기가 커지고, 불규칙적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보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회로를 의미한다.
상기 RSSI회로(140)는 커플링된 수신 신호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여 전계 강도 수치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통신프로토콜을 구비하여 태그와의 RF통신을 제어하고, 태그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정보요청신호를 송출하며, 태그로부터 수신된 태그식별정보의 코드를 분석하는데, 이때 데이터 포맷을 변환하고,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필터링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회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ing)회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FPGA회로는 칩의 생산 공정을 벗어나 RFID리더(100)의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프로그래밍을 추가할 수 있는 게이트 배열 회로(논리 집적 회로)를 의미하며, 게이트 어레이와 PLD(Programmable Logic Devices)의 특성이 구현되어 있다.
또한, 상기 DSP (Digital Signal Processing)회로는 아날로그 신호를 A/D(Analog/Digital)변환하여 얻어진 디지털 데이터에 대수적인 연산을 처리하고 필터링이나 스펙트럼분석 등의 신호처리를 한다. DSP회로는 고속 연산성과 컴팩트화를 추구한 전용 프로세서이며, 소프트웨어만을 교체함으로써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RSSI회로(140)로부터 전계 강도 수치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이에 대응되는 기준 출력 전력과 RF수신부(110)의 현재 출력 전력을 비교하여 제어전압을 생성하고, 제어전압은 제1BA(300a)와 제2BA(300b)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1BA(300a)와 제2BA(300b)는 제어전압에 따라 이득 수치를 조정하여 수신 신호의 증폭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리더(100)가 구비하는 베이스밴드부(120)의 BA 회로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밴드부(120)에 구비되는 BA(300a, 300b)는 제1저항(310), 제2저항(311), 제3저항(312), 제4저항(314), 제5저항(315), 제6저항(318), 제7저항(319), 제8저항(321), 제9저항(322), 제10저항(328), 제11저항(329), 제12저항(331)의 총 12개의 저항소자와, 제1커패시터(325), 제2커패시터(323), 제3커패시터(317), 제4커패시터(320)의 총 4개의 커패시터와, 제1트랜지스터(324), 제2트랜지스터(330)의 총 2개의 트랜지스터와, 제1다이오드(326), 제2다이오드(327), 제3다이오드(316), 제4다이오드(332)의 총 4개의 다이오드와, 제1인덕터(313), 제2인덕터(333)의 총 2개의 인덕터가 사용되어 회로가 구성된다.
상기 BA(300a, 300b)에 구비되는 단자로는 수신신호입력단자(RF IN), 수신신호출력단자(RF OUT), 제어부(130)와 연결되는 제1전원단자(CTR), 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단자(5V)가 사용된다.
상기 제1트랜지스터(324)가 I신호 또는 Q신호를 증폭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증폭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우선 제1전원단자(CTR)에 5V의 전원이 공급되고 제1트랜지스터(324)의 베이스단과 제2다이오드(327) 사이에 약 1.4V의 전압이 걸린다.
이 전압은 제1트랜지스터(324)의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이용되고, 또한 제2다이오드(327) 단에 순방향 전압을 걸리게 하여 제2다이오드(327)가 동작되도록 한다.
반면, 제1다이오드(326)에는 역방향 전압이 걸려 오프되고, 제7저항(319)으로부터 제6저항(318)으로 전류가 흘러 제3다이오드(316)는 순방향 전압 상태로서 온되고, 제2다이오드(332)는 역방향 전압 상태로서 오프된다.
또한, 제3저항(12)에 걸리는 5V의 전압은 제1트랜지스터(324)의 콜렉터 전압으로 기능된다.
상기 제2트랜지스터(330)의 베이스단에는 약 2.5V의 바이어스 전압이 제공되어 제2트랜지스터(330)가 동작되도록 하고, 제2트랜지스터(330)는 제2전원단자(5V)로부터 입력되는 고정 전압을 접지단으로 스위칭시켜 제1다이오드(326)의 입력단 측 전압이 0V로 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RF신호입력단(RF IN)을 통하여 입력된 수신신호는 제1트랜지스터(324)를 통하여 증폭된 후 수신신호출력단(RF OUT)을 통하여 출력된다.
한편, 증폭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제1전원단자(CTR)로 제어용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이에 따라 제3저항(312)과 제7저항(319) 사이의 영역에는 0V의 전압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1트랜지스터(324)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증폭 동작은 수행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2전원단자(5V)를 통하여 고정 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므로, 제1다이오드(326)의 입력단측에 약 2.5V의 전압이 걸리게 되어(전압분배법칙에 의한 것임), 제1다이오드(326)와 제4다이오드(332)가 동작된다.
상기 제1다이오드(326)와 제4다이오드(332)가 동작됨에 따라 수신신호입력단자(RF IN)을 통하여 입력된 수신신호는 제2다이오드(327)와 제1커패시터(325) 사이의 선로로부터 제1다이오드(326)와 제4다이오드(332)를 통과할 수 있게 되고, 선로 를 우회하여 수신신호출력단자로 다다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RFID리더에 의하면, 외부 전파 환경에 따라 또는 송신부로부터의 간섭 신호 영향에 따라 불규칙해지는 수신 신호의 전계 강도를 파악하여 차별적으로 수신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태그의 판독거리, 에너지 공급 환경 및 데이터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필요에 따라 증폭 전력을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커플링시키는 결합기를 구비하고,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RF수신부;
    상기 RF수신부에서 처리된 수신 신호를 I신호 및 Q신호로 분리하는 믹서모듈, 상기 I신호 및 Q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모듈 및 상기 커플링된 수신 신호를 전달받아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모듈을 포함하는 베이스밴드부; 및
    상기 RSSI모듈로부터 전계 강도 측정치를 전달받아 상기 증폭모듈의 이득 수치를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RFID리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모듈은 상기 I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기 및 상기 Q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정된 이득 수치를 상기 제1증폭기 및 상기 제2증폭기로 각각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리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수신부는 안테나 초단에 저잡음증폭기 및 대역통과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기는 상기 저잡음증폭기 및 상기 대역통과필터 사이에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RFID리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계 강도 측정치에 대응되는 기준 출력 전력과 상기 RF수신부의 현재 출력 전력을 비교하여 상기 이득수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리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칩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칩 상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리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모듈 및 상기 증폭모듈 사이에는 저대역통과필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리더.
KR1020060012487A 2006-02-09 2006-02-09 Rfid 리더 KR101199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487A KR101199095B1 (ko) 2006-02-09 2006-02-09 Rfid 리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2487A KR101199095B1 (ko) 2006-02-09 2006-02-09 Rfid 리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934A true KR20070080934A (ko) 2007-08-14
KR101199095B1 KR101199095B1 (ko) 2012-11-08

Family

ID=38601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487A KR101199095B1 (ko) 2006-02-09 2006-02-09 Rfid 리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0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243B1 (ko) * 2008-07-16 2010-04-29 이노바인텍 (주) 다중 태그의 충돌 검출 회로 및 방법
EP2884249A1 (en) * 2013-12-12 2015-06-1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household appliance arrangement and cooking system
US9184798B2 (en) 2012-03-12 2015-11-10 Broadcom Corpor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device having adjustable gain
WO2016087299A1 (en) * 2014-12-03 2016-06-0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household appliance arrangement and cook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878B1 (ko) 2015-07-17 202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복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8083A (ja) * 2001-11-30 2003-06-13 Konica Corp リーダライタ
JP4218463B2 (ja) * 2003-08-11 2009-02-04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並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5244688A (ja) * 2004-02-27 2005-09-08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非接触icカード用リーダライタ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243B1 (ko) * 2008-07-16 2010-04-29 이노바인텍 (주) 다중 태그의 충돌 검출 회로 및 방법
US9184798B2 (en) 2012-03-12 2015-11-10 Broadcom Corpor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device having adjustable gain
US9497578B2 (en) 2012-03-12 2016-11-15 Broadcom Corpor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device having adjustable gain
EP2884249A1 (en) * 2013-12-12 2015-06-1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household appliance arrangement and cooking system
EP2884249B1 (en) 2013-12-12 2017-03-0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household appliance arrangement and cooking system
CN107076424A (zh) * 2013-12-12 2017-08-18 伊莱克斯家用电器股份公司 家用电器、家用电器安排和烹饪系统
CN107076424B (zh) * 2013-12-12 2019-10-25 伊莱克斯家用电器股份公司 家用电器、家用电器安排和烹饪系统
US10594413B2 (en) 2013-12-12 2020-03-1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household appliance arrangement and cooking system
WO2016087299A1 (en) * 2014-12-03 2016-06-0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household appliance arrangement and coo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9095B1 (ko) 201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6596B1 (ko) Rfid리더
US5878332A (en) Multiple frequency RF transceiver
CN103391049B (zh) 可调整增益的低噪声放大器
US7324791B2 (en) Low-noise differential bias circuit and differenti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101199095B1 (ko) Rfid 리더
KR101114166B1 (ko) 직접 직교 변조형 rfid리더 수신기
US20090058755A1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9606221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front end of an FMCW radar transceiver, FMCW radar transceiver and method for operation
US7299028B2 (en) Low power, low noise figure, latch driver circuit
KR101189286B1 (ko) 수신신호의 간섭방지가 가능한 rfid 송수신 시스템
KR101294413B1 (ko) Rfid 수신 장치
KR101189400B1 (ko) Rfid 리더
KR101210042B1 (ko) Rfid 송수신 시스템
KR100765007B1 (ko) Rfid 송수신 시스템
KR20070096239A (ko) Rfid 리더
Zito et al. Low-power RF transceiver for IEEE 802.15. 4 (ZigBee) standard applications
KR100737133B1 (ko) Rfid 송수신기
Ye et al. A 900MHz UHF RFID reader transceiver in 0.18 μm CMOS technology
KR100862524B1 (ko) 전압제어발진기
CN113472299B (zh) 一种信号收发前端电路
Choi et al. A fully integrated CMOS RF transmitter for UHF mobile RFID reader applications
KR100449431B1 (ko) 휴대폰의 전력증폭기
KR20070096713A (ko) Rfid 송수신 시스템
KR100601929B1 (ko) 그 구성이 최소화된 다중-대역 무선주파수 모듈
KR20070099194A (ko) Rfid 리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