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426A -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426A
KR20070080426A KR1020060011718A KR20060011718A KR20070080426A KR 20070080426 A KR20070080426 A KR 20070080426A KR 1020060011718 A KR1020060011718 A KR 1020060011718A KR 20060011718 A KR20060011718 A KR 20060011718A KR 20070080426 A KR20070080426 A KR 20070080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mark
alignment mark
coil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범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1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0426A/ko
Publication of KR20070080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4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4Arrangements for aligning or assembling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7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for displaying permanent signs or marks

Abstract

본 발명은 FPC와 기판 간의 얼라인 정도를 자동으로 확인함으로써 FPC의 접착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액정셀 및 상기 액정셀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가 실장된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구동회로부에 구동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인쇄회로보드와; 상기 액정표시패널 및 인쇄회로보드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보드로부터의 구동신호를 상기 구동회로부로 전달하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를 포함하고, 상기 FPC는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얼라인 마크들 간의 정합을 기준으로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LIQUID CRYSTAL DISPALY APPARATUS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칩 온 글래스(COG)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칩 온 글래스(COG)형 액정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의 정합을 위한 유도전류 및 유도 발생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칩 온 글래스(COG)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의 일부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140 : 액정표시패널 2,102 : 상부기판
32,132 : 하부기판 20,120 :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회로
30,130 :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
12,112 : 데이터 라인 14,114 : 게이트 라인
35,135 : FPC 50,150 : PCB
36,136 : 제1 얼라인 마크 34,134 : 제2 얼라인 마크
136a : 제1 얼라인 마크의 가로 배선
136b : 제1 얼라인 마크의 가로 배선
136c : 제1 얼라인 마크의 전압공급 패드
139 : 외측 제2 얼라인 마크 138 : 내측 제2 얼라인 마크
139a : 외측 제2 얼라인 마크의 가로 배선
139b : 외측 제2 얼라인 마크의 가로 배선
139c : 외측 제2 얼라인 마크의 전압검출 패드
138a : 내측 제2 얼라인 마크의 가로 배선
138b : 내측 제2 얼라인 마크의 가로 배선
138c : 내측 제2 얼라인 마크의 전압검출 패드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FPC와 기판 간의 얼라인을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는 COG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액정표시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진 액정표시패널과 이 액정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를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에는 게이트라인들과 데이터라인들이 교차하게 배열되고 그 게이트라인들과 데이터라인들의 교차로 마련되는 영역에 액정셀들이 위치하게 된다. 이 액정패널에는 액정셀들 각각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한 화소전극들과 공통전극이 마련된다. 화소전극들 각각은 스위칭 소자인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의 소스 및 드레인 단자들을 경유하여 데이터라인들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다.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단자는 화소전압신호가 1라인분씩의 화소전극들에게 인가되게 하는 게이트라인들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다.
구동회로는 게이트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와, 데이터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와, 액정표시장치에서 사용되는 여러가지의 구동전압들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한다. 타이밍 제어부는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함과 아울러 데이터 드라이버에 화소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전원공급부는 입력 전원을 이용하여 액정표시장치에서 필요하는 공통전압(Vcom), 게이트 하이전압(Vgh), 게이트 로우전압(Vgl) 등과 같은 구동전압들을 생성한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스캐닝신호를 게이트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액정표시패널 상의 액정셀들을 1라인분씩 순차적으로 구동한다. 데이터 드라이버는 게이트라인들 중 어느 하나에 스캐닝신호가 공급될 때마다 데이터라인들 각각에 화소전압신호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셀별로 화소전압신호에 따라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의해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이들 중 액정표시패널과 직접 접속되는 데이터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는 다수개의 IC(Integrated Circuit)들로 집적화된다. 집적화된 데이터 드라이브 IC와 게이트 드라이브 IC 각각은 TCP(Tape Carrier Package) 상에 실장되어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으로 액정표시패널에 접속되거나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액정표시패널 상에 실장 된다.
도 1은 종래의 COG형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된 하부기판(32)과 컬러필터 어레이가 형성된 상부기판(2)이 합착된 액정표시패널(10)과, 액정표시패널(10)에 제어신호 및 구동 전압 들을 공급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 인쇄회로보드)(50), 액정표시패널(10)과 PCB(50)를 상호 연결시키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35)를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10)은 게이트 라인(14) 및 데이터 라인(12)의 교차영역에 마련되는 액정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표시영역(P1)과, 표시영역(P1)을 제외한 비표시영역(P2)으로 구분된다.
표시영역에(P1)는 게이트 라인(14)과 데이터 라인(12)에 의해 정의되는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각각의 액정셀에는 게이트 라인(14)과 데이터 라인(12)의 교차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된 화소전극, 화소전극에 공급되는 화소전압을 소정기간 동안 유지하기 위한 스토리지 캐패시터 등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P2)의 하부기판(32)에는 게이트 라인(14)에 게이트 구동신호를 고급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30)들이 실장됨과 아울러 데이터 라인(12)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기 위한 데이터 드라인브 집적회로(20)들이 실장된다.
이러한,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회로(20) 및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30)는 PCB(50)에 실장된 타이밍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들 및 화소 데이터 신호와 전원공급부로부터의 구동전압 등을 FPC(35)를 통해 공급받는다.
FPC(35)는 유연성을 가지는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PCB(50)와 각각의 드라이브 집적회로들(20,30) 간의 전기적인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이러한 FPC(35)는 별도로 제조되어 기계적 접착(bonding) 공정에 의해 액정표시패널(40)의 하부기판(32)의 일측에 부착된다.
여기서, 기계적 접착 공정은 FPC(35) 양측에 마련된 얼라인 마크(이하, FPC에 마련된 얼라인 마크를 "제1 얼라인 마크(36)" 라 한다.)와 하부기판(32)의 비표시영역(P2) 내에 위치함과 아울러 비표시영역(P2) 외곽의 양측에 형성된 얼라인 마크(이하, 하부기판 상에 형성된 얼라인 마크를 "제2 얼라인 마크(34)" 라 한다)를 서로 정위치시킨 후 정합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정합 정도가 오차 범위 이내이면 기계적인 접착 공정에 의해 FPC를 액정표시패널(40)에 접착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계적인 접착 공정시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36,34)가 서로 정위치에 위치하였는지는 사용자가 얼라인 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유관으로 오차범위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일일이 얼라인 정도를 관찰하게 되면 그만큼 공정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사람이 직접 유관으로 얼라인 정도를 확인하게 됨으로써 상당한 오차가 발생되어 얼라인의 신뢰성이 떨어지 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FPC와 기판 간의 얼라인 정도를 자동으로 확인함으로써 FPC의 접착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액정셀 및 상기 액정셀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가 실장된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구동회로부에 구동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인쇄회로보드와; 상기 액정표시패널 및 인쇄회로보드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보드로부터의 구동신호를 상기 구동회로부로 전달하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를 포함하고, 상기 FPC는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얼라인 마크들 간의 정합을 기준으로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접착된다.
상기 얼라인 마크들은 상기 FPC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1차 코일을 포함하는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1차 코일과의 상호 유도에 의해 상기 유도전압을 형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표시패널 상에 형성되는 제2 얼라인 마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의 정합 정도는 상기 유도전압의 크기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상기 제1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 코일 중 1차 가로 코일을 포함하는 제1 가로 배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 코일 중 1차 세로 코일을 포함하는 제1 세로 배선과, 상기 제1 가로 및 세로 배선 중 어느 하나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압공급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1차 가로 코일 및 제1 가로 배선과 정합되는 내측 제2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1차 세로 코일 및 제1 세로 배선과 정합되며 상기 내측 제2 얼라인 마크를 둘러싸는 외측 제2 얼라인 마크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제2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상기 1차 가로 코일과 정합되는 2차 가로 코일과, 상기 제1 가로 배선과 중첩되는 제2 가로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제2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상기 1차 세로 코일과 정합되는 2차 세로 코일과, 상기 제1 세로 배선과 중첩되는 제2 세로 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유도전압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상기 1차 가로 코일과 상기 내측 제2 얼라인 마크의 2차 가로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제1 유도전압과;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의 상기 1차 세로 코일과 상기 내측 제2 얼라인 마크의 2차 세로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제2 유도전압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 제2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제1 유도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제2 가로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촉된 제1 전압검출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제2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제2 유도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세로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촉된 제2 전압검출패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액정셀 및 상기 액정셀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가 실장된 액정표시패널을 마련하는 단계와; 인쇄회로보드로부터의 구동신호를 상기 구동회로부로 전달하기 위한 FPC(Flexible Printed Circuit :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를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FPC를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FPC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얼라인 마크 간에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유도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를 정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제2 얼라인 마크 간의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를 서로 대응되게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에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1차 코일과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의 2차 코일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에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를 정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로 유도되는 상기 유도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를 정합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정합 정도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1 얼라인 마크와 제2 얼라인 마크를 기준으로 상기 FPC를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정합 정도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제2 얼라인 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OG형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된 하부기판(132)과 컬러필터 어레이가 형성된 상부기판(102)이 합착된 액정표시패널(110)과, 액정표시패널(110)에 제어신호 및 구동 전압 들을 공급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 : 인쇄회로보드)(150), 액정표시패널(110)과 PCB(150)를 상호 연결시키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135)를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110)은 게이트 라인(114) 및 데이터 라인(112)의 교차영역에 마련되는 액정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표시영역(P1)과, 표시영역(P1)을 제외한 비표시영역(P2)으로 구분된다.
표시영역에(P1)는 게이트 라인(114)과 데이터 라인(112)에 의해 정의되는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각각의 액정셀에는 게이트 라인(114)과 데이터 라인(112)의 교차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된 화 소전극, 화소전극에 공급되는 화소전압을 소정기간 동안 유지하기 위한 스토리지 캐패시터 등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P2)의 하부기판(132)에는 게이트 라인(114)에 게이트 구동신호를 고급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130)들이 실장됨과 아울러 데이터 라인(112)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기 위한 데이터 드라인브 집적회로(120)들이 실장된다.
이러한, 데이터 드라이브 집적회로(120) 및 게이트 드라이브 집적회로(130)는 PCB(150)에 실장된 타이밍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들 및 화소 데이터 신호와 전원공급부로부터의 구동전압 등을 FPC(35)를 통해 공급받는다.
FPC(135)는 유연성을 가지는 필름 형태로 PCB(150)와 각각의 드라이브 집적회로들(120,130) 간의 전기적인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FPC(135)는 별도로 제조되어 기계적 접착(bonding) 공정에 의해 액정표시패널(140)의 하부기판(132)의 일측에 부착된다.
여기서, 기계적 접착 공정은 FPC(35)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 얼라인 마크(136)와 하부기판(132) 상의 비표시영역(P2) 외곽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2 얼라인 마크(134)를 서로 정위치시킨 후 정합 정도를 확인한다. 이때, 정합 정도가 오차 범위 이내이면 기계적인 접착 공정에 의해 FPC(35)를 액정표시패널(110)에 접착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계적인 접착 공정시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136,134)의 정합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유도 전류 및 유도 전압이 이용한다.
이를 위해 제1 얼라인 마크(136)는 하나의 사각형의 루프 구조로서 가로 배 선(136a) 및 세로 배선(136b), 배선의 일측에서 신장되게 위치하는 2개의 전압공급패드(136c), 두개의 가로 배선(136a) 중 어느 하나에는 1차 가로 코일(La1)이 위치하고 두개의 세로 배선(136b) 중 어느 하나에는 1차 세로 코일(La2)이 위치한다.
제2 얼라인 마크(134)는 내측 제2 얼라인 마크(138)와, 외측 제2 얼라인 마크(139)로 각각 구분된다.
외측 제2 얼라인 마크(139)는 하나의 사각형의 루프 구조로서 가로 배선(139a) 및 세로 배선(139b), 배선의 일측에서 신장되게 위치하는 2개의 전압검출 패드(139c), 2차 가로 코일(Lb1)을 포함한다.
내측 제2 얼라인 마크(138)는 외측 제2 얼라인 마크(139)에 의해 둘러싸여 지게 형성되며 사각형의 루프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내측 제2 얼라인 마크(138) 또한 가로 배선(138a) 및 세로 배선(138b), 배선의 일측에서 신장되게 위치하는 2개의 전압검출 패드(138c), 2차 세로 코일(Lb2)을 포함한다.
내측 제2 얼라인 마크(138)의 두개의 가로 배선(138a)들은 얼라인 공정시 제1 얼라인 마크(136)의 두개의 가로 배선(136a)들과 서로 중첩되도록 설계되고, 2차 가로 코일(Lb1)은 제1 얼라인 마크(136)의 1차 가로 코일(La1)과 중첩되도록 설계된다. 즉, 제1 얼라인 마크(136)의 두개의 가로 배선(136a) 사이의 거리(d1)는 내측 제2 얼라인 마크(138)의 두개의 가로 배선(138a) 사이의 거리(d1)와 동일하다.
외측 제2 얼라인 마크(139)의 두개의 세로 배선(139b)들은 얼라인 공정시 제1 얼라인 마크(136)의 두개의 세로 배선(136b)들과 서로 중첩되도록 설계되고, 2차 세로 코일(Lb2)은 제1 얼라인 마크(136)의 1차 세로 코일(La2)과 중첩되도록 설계 된다. 즉, 제1 얼라인 마크(136)의 두개의 세로 배선(136b) 사이의 거리(d2)는 외측 제2 얼라인 마크(138)의 두개의 세로 배선(139b) 사이의 거리(d1)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136,134)는 서로 대응되는 코일에 의해 유도전류를 발생시키고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유도전압을 측정한다. 이때 측정되는 유도전압의 크기를 판단함으로써 제1 얼라인 마크(136)와 제2 얼라인 마크(134) 간의 정합 정도를 판단하게 된다.
이를 도 3a 및 도 3b의 회로도를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FPC(135)의 제1 얼라인 마크(136)와 액정표시패널(110)의 제2 얼라인 마크(134)가 서로 대응되도록 정위치시킨다. 이후, 제1 얼라인 마크(136)의 전압공급 패드(136c) 각각에 정극성(+) 및 부극성(-) 교류전압(Vin)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얼라인 마크(136)에 교류전압이 공급되면 제1 얼라인 마크(136)의 가로 및 세로 배선(136a,136b)에 교류전류(I1)가 흐르게 된다. 이때, 1차 가로 코일(La1) 및 2차 가로 코일(Lb1) 사이의 상호 작용(상호 유도)에 의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제2 얼라인 마크(138)에 유도전류(I2)가 발생됨으로써 사용자는 내측 제2 얼라인 마크(138)의 전압검출 패드(138a)로부터 유도전류(I2)에 의한 제1 유도전압(VL1)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세로 코일(La2) 및 2차 세로 코 일(Lb2)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외측 제2 얼라인 마크(139)에 유도전류(I2)가 발생 됨으로써 사용자는 외측 제2 얼라인 마크(139)의 전압검출 패드(139c)로부터 유도전류(I2)에 의한 제2 유도전압(VL2)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유도전류에 의한 제1 및 제2 유도전압(VL1,VL2)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제1 얼라인 마크(136)와 제2 얼라인 마크(134)의 인접 정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측정된 제1 및 제2 유도전압(VL1,VL2)의 크기가 오차범위 내라고 판단되면 정상적인 기계적 접착(bonding) 공정이 실시된다. 이와 반대로, 측정된 제1 및 제2 유도전압(VL1,VL2)의 크기가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보정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1 얼라인 마크(136)와 제2 얼라인 마크(134)에 각각에 코일을 형성시키고, 코일의 상호작용에 의한 유도전류 및 유도전압의 크기를 이용하여 제1 얼라인 마크(136)와 제2 얼라인 마크(134)의 정합 정도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사람이 일일이 얼라인 정도를 관찰하던 종래 방식에 비하여 공정시간이 단축됨과 아울러 미세한 전압 크기에 따라 정합 정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FPC(135)와 액정표시패널(110) 간의 얼라인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게이트 라인(114) 및 데이터 라인(112)에 정의되는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표시영역(P1), 표시영역(P1)을 제외하는 비표시영역(P2)에 도 2에 도시된 제2 얼라인 마크(134)를 구비하는 COG 방식의 액정표시패널(110)을 형성한다.(S2)
액정표시패널(110)의 제조공정과는 별도로 다수의 신호라인 등이 형성되어 PCB(150)와 액정표시패널(110) 간의 신호 전달을 중계하는 FPC(135)를 마련한다.(S4) FPC(135)에는 제2 얼라인 마크(134)와 대응되며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는 제1 얼라인 마크(136)가 형성되어 있다.
이후, 제1 얼라인 마크(136)와 제2 얼라인 마크(134)를 정위치 시키면서 액정표시패널(110)과 FPC(135)를 1차 얼라인 한 후(S6), FPC(135)의 제1 얼라인 마크(136)에 교류전압(Vin)을 공급하여 제2 얼라인 마크(134)에 검출되는 유도전압을 측정한다.(S8)
그 결과, 유도전압의 크기에 따라 제1 얼라인 마크(136)와 제2 얼라인 마크(134) 간의 정합정도를 판별하고(S10), 판별 결과 값이 오차범위를 벗어나면 제1 얼라인 마크(136)와 제2 얼라인 마크(134)의 위치를 보정하게 되고 오차범위 내이면 정상적으로 기계적인 접착 공정이 실시된다.(S1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FPC의 제1 얼라인 마크 및 액정표시패널의 제2 얼라인 마크에 각각에 코일을 형성시키고, 코일의 상호작용에 의한 유도전류 및 유도전압의 크기를 이용하여 제1 얼라인 마크 와 제2 얼라인 마크의 정합 정도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사람이 일일이 얼라인 정도를 관찰하던 종래 방식에 비하여 공정시간이 단축됨과 아울러 미세한 전압 크기에 따라 정합 정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FPC와 액정표시패널 간의 얼라인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2)

  1.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액정셀 및 상기 액정셀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가 실장된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구동회로부에 구동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인쇄회로보드와;
    상기 액정표시패널 및 인쇄회로보드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인쇄회로보드로부터의 구동신호를 상기 구동회로부로 전달하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를 포함하고,
    상기 FPC는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얼라인 마크들 간의 정합을 기준으로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들은
    상기 FPC 상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1차 코일을 포함하는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1차 코일과의 상호 유도에 의해 상기 유도전압을 형성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2차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표시패널 상에 형성되는 제2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얼라인 마크의 정합 정도는 상기 유도전압의 크기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 코일 중 1차 가로 코일을 포함하는 제1 가로 배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1차 코일 중 1차 세로 코일을 포함하는 제1 세로 배선과, 상기 제1 가로 및 세로 배선 중 어느 하나에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압공급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1차 가로 코일 및 제1 가로 배선과 정합되는 내측 제2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1차 세로 코일 및 제1 세로 배선과 정합되며 상기 내측 제2 얼라인 마크를 둘러싸는 외측 제2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제2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상기 1차 가로 코일과 정합되는 2차 가로 코일과, 상기 제1 가로 배선과 중첩되는 제2 가로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제2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상기 1차 세로 코일과 정합되는 2차 세로 코일과, 상기 제1 세로 배선과 중첩되는 제2 세로 배선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전압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상기 1차 가로 코일과 상기 내측 제2 얼라인 마크의 2차 가로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제1 유도전압과;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의 상기 1차 세로 코일과 상기 내측 제2 얼라인 마크의 2차 세로 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제2 유도전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제2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제1 유도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제2 가로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촉된 제1 전압검출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 제2 얼라인 마크는
    상기 제2 유도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제2 세로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촉된 제2 전압검출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액정셀 및 상기 액정셀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가 실장된 액정표시패널을 마련하는 단계와;
    인쇄회로보드로부터의 구동신호를 상기 구동회로부로 전달하기 위한 FPC(Flexible Printed Circuit : 플렉서블 프린티드 서킷)를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FPC를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FPC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얼라인 마크 간에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유도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를 정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제2 얼라인 마크 간의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를 서로 대응되게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에 교류전압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의 1차 코일과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의 2차 코일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제2 얼라인 마크에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를 정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로 유도되는 상기 유도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를 정합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정합 정도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1 얼라인 마크와 제2 얼라인 마크를 기준으로 상기 FPC를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정합 정도가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와 제2 얼라인 마크의 위치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60011718A 2006-02-07 2006-02-07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80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718A KR20070080426A (ko) 2006-02-07 2006-02-07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718A KR20070080426A (ko) 2006-02-07 2006-02-07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426A true KR20070080426A (ko) 2007-08-10

Family

ID=38600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718A KR20070080426A (ko) 2006-02-07 2006-02-07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04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7216A (zh) * 2017-02-15 2018-08-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绑定标记识别装置和绑定设备
US10140949B2 (en) 2016-07-05 2018-11-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0949B2 (en) 2016-07-05 2018-11-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CN108427216A (zh) * 2017-02-15 2018-08-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绑定标记识别装置和绑定设备
WO2018149120A1 (zh) * 2017-02-15 2018-08-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对绑定标记进行识别的装置和用于绑定的设备
US20190049772A1 (en) * 2017-02-15 2019-02-14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binding marker and device for binding
US10627660B2 (en) 2017-02-15 2020-04-2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binding marker and device for binding
EP3584629A4 (en) * 2017-02-15 2020-10-2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EVICE FOR IDENTIFYING A BINDING LABEL AND DEVICE FOR BINDING
CN108427216B (zh) * 2017-02-15 2020-11-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绑定标记识别装置和绑定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8994B2 (en) Display device with crack detection circuit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566075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722435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10175800A1 (en) Method for tes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800330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신호라인 검사를 위한 액정표시패널
JP2004133421A (ja) 液晶表示装置、その検査方法及び製造方法
US7453450B2 (en) Display apparatus
US2007006419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20190014984A (ko) 표시 장치와 그의 본딩 저항 센싱 방법
US7349055B2 (en) Line on glass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15096238A1 (zh) 一种液晶显示阵列基板、源极驱动电路及断线修复方法
US2003006742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70080426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5095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검사방법
KR20070071341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테스트 방법
US20050248709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34044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제조방법
KR10104367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139324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50003255A (ko) 액정 표시패널의 검사방법
KR101720337B1 (ko) 게이트펄스 측정용 패드를 포함한 표시장치와, 그 패드를 이용한 게이트펄스 측정 방법
KR20180039507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40039641A (ko) 액정패널 검사장치
KR101344258B1 (ko) 탭 검사방법
KR102010848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