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288A -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288A
KR20070080288A KR1020060011456A KR20060011456A KR20070080288A KR 20070080288 A KR20070080288 A KR 20070080288A KR 1020060011456 A KR1020060011456 A KR 1020060011456A KR 20060011456 A KR20060011456 A KR 20060011456A KR 20070080288 A KR20070080288 A KR 20070080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peed dial
user
controller
short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0288A/ko
Publication of KR20070080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2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하기 위해 전화번호 등록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의 이름 편집 및 그룹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설정된 해당 그룹에 해당 범위 중 할당되지 않은 가장 앞 번호를 단축번호로 설정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설정된 해당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편집 및 저장하는 제3 단계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그룹정보와 연관된 단축번호를 이용함으로써, 단축번호를 쉽게 기억하여 호 연결 시 활용 할 수 있다.
무선통신 단말기, 폰 북, 단축번호, 그룹

Description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 방법{Method for speed dial setting of using of Group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화번호부 등록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호 연결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도2에 따른 전화번호부 등록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 단말기라 함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DA), 스마트 폰,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의미한다.
종래의 무선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순차적으로 할당되는 전화번호 저장을 위해 할당된 무선통신 단말기 메모리의 전화번호 저장 영역에 각각의 전화번호와 전화번호 관련 정보(이름, 상호 등)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저장된 전화번호로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시도할 경우에 사용자는 통화연결을 하려는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저장번지를 단축키로 하여 통화연결을 시도할 수 있는데, 이때 저장번지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전화번호 검색 메뉴를 통해 저장번지, 전화번호, 전화번호 저장 시 입력한 이름 또는 닉네임을 이용하여 메모리의 전화번호 저장 영역에 저장된 일치하는 데이터를 통해 전화번호를 검색한 후 검색된 전화번호로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이러한 전화번호 액세스 방법은 사용자가 특정 사람에 관련된 집 전화번호, 회사 전화번호, 핸드폰 전화번호 등과 같은 관련 전화번호를 각각의 저장번지로 설정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전화번호 관리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해당되는 저장번지를 모두 기억하는 것이 어려워 단축키를 통한 전화번호 액세스 기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비록, 이러한 불편을 덜기 위한 방안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0-2005-0088867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그룹별 단축키를 이용한 호 연결 방법"에서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에 고정된 단축키와 저장번지를 단축번호로 이용하여 그룹별 단축키를 이용하여 빠른 호 연결이 가능하나 별도의 그룹을 대표하는 단축키가 필요하다.
또한 상기 불편을 덜기 위한 방안으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 2003-0045893 "전화단말기에서 그룹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방법"에서 그룹번호를 설정하고 대기상태에서 설정된 그룹번호가 길게 입력되면 그룹에 속한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하고 리스트의 해당 단축키 길게 누르면 해당 단축키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로 호 연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룹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단축번호를 입력하는 2단계를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 방법은 전화번호 등록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 이름을 편집 및 그룹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설정된 해당 그룹에 해당 범위 중 할당되지 않은 가장 앞 번호를 단축번호로 설정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설정된 해당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편집 및 저장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 방법은 전화번호 등록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의 이름 편집 및 그룹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설정된 해당 그룹에 해당 범위 중 할당되지 않은 가장 앞 번호를 단축번호로 설정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설정된 해당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편집 및 저장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설정된 해당 단축번호를 이용하여 호를 연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그룹과 연관된 단축번호를 이용함으로써, 단축번호를 쉽게 기억하여 호 연결 시 활용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무선통신 단말기(100)는 무선처리부(110), 음성 처리부(120), 표시부(130), 키 입력부(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로 구성되어 있다.
무선처리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무선처리부(110)는 사용자의 통화연결 명령에 따라 입력된 전화번호와 호 연결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음성처리부(120)는 무선 처리부(11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스피커를 통해 신호를 출력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 호를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무선 처리부(1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무선통신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록모드 진입 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숫자 및 텍스트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호 연결 시 상대방의 데이터(예컨대, 전화번호 및 상대방 이름)를 화면에 표시한다.
키 입력부(140)는 각종 기능키, 숫자키, 및 특수키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에 대응된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예를 들면, 전화번호 등록모드 진입 시, 키 입력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사용자에 선택 명령에 의거하여 이름, 전화번호, 및 단축번호를 편집한다.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의거하여 키 입력부(140)의 입력에 따라 편집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상기 편집된 전화번호는 전화번호 저장부(151)에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선택명령에 의거하여 전화번호 등록모드로 진입하고 키 입력부(14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의 이름 편집 및 그룹을 설정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원하는 그룹이 존재하지 않을 때 그룹을 등록 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그룹 등록 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의거하여 그룹 이름과 그룹 해당 범위를 편집 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60)는 설정된 해당 그룹에 해당 범위 중 할당되지 않은 가장 앞 번호를 단축번호로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의거하여 단축번호를 편집 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설정된 해당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편집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설정된 해당 단축번호를 이용하여 호를 연결한다. 이때 해당 단축번호는 길게 입력됨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화번호부 등록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대기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명령을 기다린다(S201). 사용자의 선택명령에 의거하여 전화번호 등록모드로 진입되었는지 판단한다(S202). 상기 판단 결과 전화번호 등록모드로 진입하지 않았으면, 제어부(160)는 상기 S201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전화번호 등록모드로 진입하였으면,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선택명령에 의거하여 이름 편집을 수행한다(S203). 이 후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의거하여 편집된 이름에 해당되는 그룹을 선택한다(S204). 여기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선택명령에 따라 그룹을 등록 및 편집 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그룹 이름 및 그룹에 할당된 단축번호의 범위를 설정 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단 결과 그룹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제어부(160)는 그룹을 그룹 미지정으로 설정한다(S205). 제어부(160)는 그룹 미지정에 해당되는 범위 중 할당되지 않은 가장 앞 번호를 단축 번호로 표시한다(S206).
한편 상기 판단 결과 그룹이 선택되었으면, 제어부(160)는 해당그룹에 해당되는 범위 중 가장 앞 번호를 단축 번호로 표시한다(S207).
제어부(160)는 해당 표시된 번호를 단축번호로 설정할지 판단한다(S208). 상기 판단 결과 해당 표시된 번호를 단축번호로 설정하지 않는다면,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단축번호를 편집한다(S209).
한편 상기 판단 결과 해당 표시된 번호를 단축번호로 설정한다면, 제어부(160)는 상기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사용자의 선택명령에 의해 편집한다(S210). 제어부(160)는 전화번호 외의 추가 정보(예컨대, 집 전화번호, 사무실전화번호, 이메일(E-Mail), 생일, 메모, 및 벨소리 등)를 편집하여 저장한다(S212). 여기서 추가 정보가 전화번호의 종류일 경우, 제어부(160)는 해당 그룹에 해당되는 범위 중 할당되지 않은 가장 앞 번호가 기본 단축번호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라 단축번호를 편집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60)는 이상에서 편집된 정보들을 전화번호 저장부(151)에 저장한다(S212). 제어부(160)는 상기 정보들을 저장하면, 전화번호 등록을 완료한다(S21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호 연결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대기상태에서 키 입력을 기다린다(S301).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입력된 키가 숫자 키인지 판단한다(S303). 상기 판단 결과 숫자 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제어부(160)는 상기 S301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숫자 키가 입력되었으면, 제어부(160)는상기 입력된 숫자 키가 설정된 단축번호인지 판단한다(S305). 상기 판단 결과 설정된 단축번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제어부(160)는 일반적인 다이얼 절차에 따라 전화번호 전체를 입력받아 다이얼한다(S307).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설정된 단축번호가 입력되었으면, 제어부(160)는 입력된 단축번호가 길게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309).
상기 판단 결과 단축번호가 길게 입력되었으면, 제어부(160)는 단축번호와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한다(S311).
도 4는 도2에 따른 전화번호부 등록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선택명령에 의거하여 전화번호 등록모드로 진입하고 전화번호부에 등록할 상대방 이름을 편집한다. 상대방 이름 편집 후,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방향키 입력에 따라 그룹(131)으로 커서를 옮겨 그룹을 '가족'으로 선택한다.
그룹(131) 선택 후,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방향키 입력에 따라 휴대폰의 단축번호(133)를 설정한다. 이때 휴대폰의 단축번호(133)는 그룹 '가족'에 해당하는 해당 범위의 번호 중 할당되지 않은 가장 작은 번호가 기본적으로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가족의 해당범위가 101~199로 설정되어 있고, 휴대폰의 단축번호(133)는 가족의 해당범위에 포함된 '101'로 설정되었다.
휴대폰의 단축번호를 설정 한 후,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방향키 입력에 따라 휴대폰 전화번호 편집 창으로 커서를 이동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라 휴대폰 전화번호를 편집한다. 여기서는 휴대폰의 전화번호가 '010-123-4567'로 입력되었다.
휴대폰의 전화번호 편집 후,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방향키 입력에 따라 집전화 단축번호(135)를 설정한다. 이때 집전화의 단축번호(135)는 그룹 '가족'에 해당하는 해당 범위의 번호 중 할당되지 않은 가장 작은 번호가 기본적으로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가족의 해당범위가 '101~199'로 설정되어 있고, 집전화 단축번호(135)를 가족의 해당 범위 중 '102'로 설정 되어있다.
집전화 단축번호(135)를 설정 한 후,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방향키 입력에 따라 집전화의 전화번호 편집 창으로 커서를 이동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라 집전화의 전화번호를 편집한다. 여기서는 집전화의 전화번호가 '02-123-4567'로 입력되었다.
이하 추가 정보들은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라 입력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부 내의 그룹과 단축번호를 연관시킴으로써, 해당 그룹별로 단축번호의 해당 범위가 설정되어있어 단축번호를 입력할 시 단축번호를 좀더 쉽게 기억 할 수 있어 호를 쉽게 연결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그룹 '가족'의 단축번호를 백 번대로 설정하여, 아버지의 핸드폰 전화번호 등록 시, 아버지의 핸드폰 전화번호의 단축번호를 ' 101'로 등록함으로써, 그룹과 연관된 단축번호를 기억하기 쉽다.

Claims (6)

  1. 전화번호 등록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 이름을 편집 및 그룹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설정된 해당 그룹에 해당 범위 중 할당되지 않은 가장 앞 번호를 단축번호로 설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에서 설정된 해당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편집 및 저장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 단축번호는 사용자가 편집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 상기 그룹은 사용자에 의해 그룹 이름 및 해당 범위의 편집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단축번호를 이용하여 호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에서 단축번호를 길게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방법.
  6. 전화번호 등록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의 이름 편집 및 그룹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설정된 해당 그룹에 해당 범위 중 할당되지 않은 가장 앞 번호를 단축번호로 설정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설정된 해당 단축번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편집 및 저장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에서 설정된 해당 단축번호를 이용하여 호를 연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방법.
KR1020060011456A 2006-02-07 2006-02-07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 방법 KR20070080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456A KR20070080288A (ko) 2006-02-07 2006-02-07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456A KR20070080288A (ko) 2006-02-07 2006-02-07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288A true KR20070080288A (ko) 2007-08-10

Family

ID=3860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456A KR20070080288A (ko) 2006-02-07 2006-02-07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02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1899B2 (en) Contact list
EP1603312B1 (en)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using searched telephone number in mobile terminal
KR100487229B1 (ko) 이동 무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송신할 때 그 수신처를지정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10011028A1 (en) Electronic devices
US2004005235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auto-completing telephone numbers that are being manually dialed
US74747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local time of far end on telephone systems
EP2312812A1 (en)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shortcut numbers in a mobile terminal
US2010007442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70080288A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그룹을 이용한 단축번호 설정 방법
KR10060609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 저장방법
JP3686864B2 (ja) 移動無線端末
KR100665815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통합검색/바로실행방법
JPH10294782A (ja) 携帯電話装置
KR10063020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선택 및 전송방법
KR20050088867A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그룹별 단축키를 이용한 호 연결 방법
KR10056090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정보 표시 방법
KR20040041862A (ko) 우선순위에 따른 휴대폰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KR100994852B1 (ko) 대기화면에서의 전화번호 검색 기능과 연동하여 선택적으로주소록 정보를 표시하는 무선통신단말 및 그 방법
KR101099482B1 (ko) 기록 매체에 연속 전화번호를 기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20130073325A (ko) 다이얼 패드 화면에 단축 번호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통신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04475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폰북 처리 방법
KR2006003790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름을 이용한 발신 방법
KR2003009275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JP2005159874A (ja) 携帯電話機
KR20080009503A (ko) 통화 기록을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