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325A - 다이얼 패드 화면에 단축 번호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통신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다이얼 패드 화면에 단축 번호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통신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325A
KR20130073325A KR1020110141107A KR20110141107A KR20130073325A KR 20130073325 A KR20130073325 A KR 20130073325A KR 1020110141107 A KR1020110141107 A KR 1020110141107A KR 20110141107 A KR20110141107 A KR 20110141107A KR 20130073325 A KR20130073325 A KR 20130073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ell
dial pad
nam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욱
김현중
박수아
이재요
정연실
조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141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3325A/ko
Publication of KR20130073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은 전화번호 입력 모드에서 다이얼 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통신 단말로서, 연락처를 저장하며 상기 연락처에 단축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다이얼 패드 화면의 각 셀의 숫자 미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다이얼 패드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이얼 패드 화면에 단축 번호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통신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User equipment displaying interworked quick dial number on the dialing screen, and A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통신 단말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통신 단말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과 같은 통신 단말은 사용자가 통화 연결을 위해 전화번호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 없이 통신 단말의 메모리를 통해 다수의 연락처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연락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락처 기능을 통해 통신 단말의 사용자는 단말기의 메모리에 할당된 저장 영역에 다수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확인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단순히 전화번호와 이름만으로 연락처를 저장하였기 때문에 전화번호를 검색할 때 저장된 모든 전화번호를 열거시키고 일일이 전체 목록을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는 전화번호의 일부나 이름의 일부를 검색 키워드로 검색하는 방법도 있었으나, 전화번호 일부를 기억해야 하거나 검색을 위해 다수 개의 키워드를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단축 번호를 설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즉 사용자는 연락처들 중 자주 사용하는 연락처나 중요도에서 우선 순위를 가지는 연락처를 단축번호로 지정을 하고, 통화 대기 모드에서 해당 번호를 길게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즉시 통화 연결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축 번호를 통한 연결 방법의 경우에도, 연락처에 대응하는 단축 번호를 기억해야 하거나, 전화번호 검색과 유사한 방법으로 단축번호를 검색해야 하는 등, 불편함이 해소되지 못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다이얼 패드 화면에 표시하는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이얼 패드 화면에 나타난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이용하여 통화 연결을 할 수 있는 통신 단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통신 단말의 다이얼 패드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은 전화번호 입력 모드에서 다이얼 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통신 단말로서, 연락처를 저장하며 상기 연락처에 단축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다이얼 패드 화면의 각 셀의 숫자 미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다이얼 패드 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통신 단말이 전화번호 입력 모드에서 다이얼 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으로서, 연락처와 상기 연락처에 매핑된 단축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상기 다이얼 패드 화면의 각 셀의 숫자 미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의 사용자는 단축번호로 지정된 연락처 즉, 자주 사용하는 연락처나 중요도에서 우선 순위를 두는 연락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 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로서는 연락처에 대응하는 단축번호를 외우거나, 단축번호를 검색하기 위해 여러 번의 스크린 터치(키 버튼 누름)을 반복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누르는 셀에 따라서 표시되는 단축번호들이 변경되기 때문에 표시할 수 있는 단축번호의 개수가 확장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전화번호 입력 모드에서 다이얼 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가 저장하는, 단축번호에 매핑된 연락처들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이얼 패드 출력부가 표시하는 다이얼 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이얼 패드 출력부가 표시하는 다이얼 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의 기능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전화번호 입력 모드에서 다이얼 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통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통신 단말(1)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음성 통화 등의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치로서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등의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1)은 셀룰러 폰, PCS 폰, GSM 폰, CDMA-2000폰, WCDMA폰 등과 같은 종래의 이동 전화기 및 최근 활발히 사용되는 스마트 폰과 4G망을 이용하는 이동 전화기 등을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1)은 풀 터치 스크린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1)이다. 풀 터치 스크린 방식이란, 버튼 키 방식과 구별되는 것으로, 별도의 버튼 키패드를 구비하지 않고 통신 단말(1)의 전면에 대화면 터치 인식 스크린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문자 등을 입력하고자 할 때 화면 상에 다이얼 패드를 표시하여 화면 상의 다이얼 패드로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1)은 풀 터치 스크린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버튼 키 방식의 통신 단말(1)의 경우에도 화면에 다이얼 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버튼을 이용하여 화면상의 다이얼 패드에 입력하는 통신 단말(1)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1)은 송수화부(10), 입력부(20), 표시부(30), 통신부(40), 저장부(50),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송수화부(10)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포함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각종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사운드나 벨소리, 음성 통화 중의 상대방의 음성 등을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입력부(20)는 키 패드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단말기를 조작하는 신호를 입력 받는다.
표시부(30)는 사용자에게 통신 단말(1)에서 처리된 정보를 제공한다. 표시부(30)는 통신 단말(1)의 처리 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액정 표시장치, 발광 소자의 발광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발광 램프, 진동 모터의 진동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진동장치를 포함한다.
입력부(20)와 표시부(30)는 키 패드와 액정 표시장치와 같이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고 또는 풀 터치 스크린과 같이 물리적으로 통합될 수도 있다.
통신부(40)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접속하여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40)는 파일럿 채널, 페이징 채널, 트래픽 채널 등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저장부(50)는 연락처를 저장하는 메모리 장치이다. 연락처는 전화번호와 이름을 포함하며 이메일 주소나 사진 등의 멀티미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락처는 일반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축번호 설정부(62)가 연락처에 매핑하여 설정하는 단축번호를 저장한다.
단축번호 지정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어부(60)는 통신 단말(1)을 구동하고 통신 단말(1)의 전체적인 작업 처리를 제어하며 상기 통신부(40)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화 호의 착/발신 작업을 처리하고 연결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는 다이얼 패드 출력부(61), 통화 연결부(63) 및 단축번호 설정부(62)를 포함한다.
다이얼 패드 출력부(61)는 통신 단말(1)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다이얼 패드를 표시한다. 다이얼 패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가로 3 × 세로 4의 12개의 셀로 구성되는데 각 셀에는 1부터 9까지의 숫자와 별표 기호 *, 숫자 0, 우물정 기호 # 가 표시된다. 다이얼 패드는 사용자로부터 각 셀 영역을 연속적으로 터치 받아 각 셀에 표시된 번호들의 조합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다이얼 패드는 전화 통화 개시 신호를 입력 받으면, 전화번호 입력 모드로 전환된 통신 단말(1)의 기본 화면에서 제공된다.
통화 연결부(63)는 다이얼 패드 출력부(61)가 디스플레이 하는 다이얼 패드에서 입력 받은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한다. 즉 다이얼 패드 출력부(61)가 표시한 다이얼 패드에서 전화번호를 입력 받고, 별도의 통화 버튼(또는 통화 터치 패드)을 통해 통화 연결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한다.
단축번호 설정부(62)는 상기 저장부(50)가 저장하는 연락처에 단축번호를 매핑한다. 단축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될 수 있고 자주 사용하는 연락처 또는 중요도에서 우선 순위를 가지는 연락처일 수 있다. 또한 연락처를 단축번호로 매핑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억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1번 단축번호, 2번 단축번호 등과 같이 아라비아 숫자로 매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락처 중 전화번호 및 이름이 "02-XXX-XXXX" 및 "집" 인 연락처는 1번 단축번호로 매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50)가 저장하는, 단축번호에 매핑된 연락처들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락처 집은 1번 단축번호, 연락처 아내는 2번 단축번호, 연락처 친구 A는 8번 단축번호, 연락처 이부장은 11번 단축 번호 등과 같이 매핑되어 있다. 또한 5번, 6번 단축번호 등과 같이 연락처가 매핑되지 않은 빈 번지가 있을 수도 있다.
한편 본 도면에 나타난 "집", "아내", "아들" 등의 명칭은 연락처의 이름을 의미하며 설명의 편의상 연락처 중 이름만을 표시한 것이며, 저장부(50)는 단축번호에 매핑된 연락처의 전화번호도 함께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이얼 패드 출력부(61)가 표시하는 다이얼 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이얼 패드는 가로 3 × 세로 4의 12개의 셀로 구성되는데 각 셀에는 1부터 9까지의 숫자와 별표 기호 *, 숫자 0, 우물정 기호 # 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얼 패드 출력부(61)는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저장부(50)에서 검색하여 다이얼 패드 화면의 각 셀의 숫자 미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화번호 입력 모드의 기본 화면에서, 다이얼 패드 화면의 각 셀의 숫자를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상기 저장부(50)에서 검색하여, 각 셀의 숫자 미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각 셀의 숫자 미표시 영역은 "1", "2" 등의 숫자 표시 영역 외의 영역을 의미하며, 본 실시예에 따라 이름이 표시되는 숫자 미표시 영역은 숫자 표시 영역의 좌측, 우측, 상단, 하단 등이 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1번 셀에는 1번 단축번호에 매핑되는 연락처의 이름이 표시되고 이는 도 2를 참조하면 "집"이다. 마찬가지로 2번 셀에는 "아내", 3번 셀에는 "아들", 4번 셀에는 "막내딸", 8번 셀에는 "친구 A", 9번 셀에는 "친구 B"가 각각 표시된다.
그 효과로서 통신 단말(1)의 사용자는 단축번호로 지정된 연락처 즉, 자주 사용하는 연락처나 중요도에서 우선 순위를 두는 연락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 받는다. 따라서 사용자로서는 연락처에 대응하는 단축번호를 외우거나, 단축번호를 검색하기 위해 여러 번의 스크린 터치(키 버튼 누름)을 반복하지 않아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이얼 패드 출력부(61)가 표시하는 다이얼 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이얼 패드는 가로 3 × 세로 4의 12개의 셀로 구성되는데 각 셀에는 1부터 9까지의 숫자와 별표 기호 *, 숫자 0, 우물정 기호 # 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얼 패드 출력부(61)는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저장부(50)에서 검색하여 다이얼 패드 화면의 각 셀의 숫자 미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이얼 패드 화면의 어느 하나의 셀이 일정한 시간 보다 짧은 시간 동안 눌러지는 경우, [눌러진 셀의 숫자 × 10 + 각 셀의 숫자]에 해당하는 숫자를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상기 저장부(50)에서 검색하여,각 셀의 숫자 미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한편 각 셀의 숫자 미표시 영역은 "1", "2" 등의 숫자 표시 영역 외의 영역을 의미하며, 본 실시예에 따라 이름이 표시되는 숫자 미표시 영역은 숫자 표시 영역의 좌측, 우측, 상단, 하단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번 셀을 일정한 시간 보다 짧은 시간 동안 누르는 경우, [1 × 10 + 각 셀의 숫자]에 해당하는 숫자를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이 상기 저장부(50)에서 검색되어 각 셀에 표시된다. 즉 1번 셀의 경우 11번 단축번호 연락처의 이름(도 2를 참조하면 "이부장")이 1번 셀에 표시되고, 2번 셀의 경우 12번 단축번호 연락처의 이름(도 2를 참조하면 "김부장")이 2번 셀에 표시되고, 4번 셀의 경우 "정대리", 0번 셀의 경우 "친구 C"가 표시된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2번 셀을 일정한 시간 보다 짧은 시간 동안 누르는 경우, [2 × 10 + 각 셀의 숫자]에 해당하는 숫자를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이 상기 저장부(50)에서 검색되어 각 셀이 표시된다. 즉 1번 셀의 경우 21번 단축번호 연락처의 이름(도 2를 참조하면 "회사 A")이 1번 셀에 표시되고, 2번 셀의 경우 22번 단축번호 연락처의 이름(도 2를 참조하면 "회사 B")이 2번 셀에 표시되고, 3번 셀의 경우 23번 단축번호의 이름 즉 "회사 C"가 표시된다.
그 효과로서 통신 단말(1)의 사용자는 단축번호로 지정된 연락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 받게되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누르는 셀에 따라서 표시되는 단축번호들이 변경되기 때문에 표시할 수 있는 단축번호의 개수가 확장된다.
본 발명의 일 변형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특징을 그대로 구비하면서, 다이얼 패드 화면의 각 셀이 일정한 시간 보다 긴 시간 동안 눌러지는 경우, 상기 셀에 표시된 이름을 상기 저장부(50)에서 검색하여 해당 연락처의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통신 단말(1)의 통화 연결부(63)가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통화 연결부(63)는, 1번 셀이 일정한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눌러지는 경우, 해당 셀에 표시된 이름은 "집"이고, 저장부(50)에서 "집"을 포함하는 연락처의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8번 셀이 일정한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눌러지는 경우, 해당 셀에 표시된 이름인 "친구 A"의 연락처의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특징을 그대로 구비하면서, 다이얼 패드 화면의 각 셀이 일정한 시간 보다 긴 시간 동안 눌러지는 경우, 상기 셀에 표시된 이름을 상기 저장부(50)에서 검색하여 해당 연락처의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통신 단말(1)의 통화 연결부(63)가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통화 연결부(63)는, 1번 셀이 일정한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눌러지는 경우, 해당 셀에 표시된 이름은 "이부장"이고, 저장부(50)에서 "이부장"을 포함하는 연락처의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0번 셀이 일정한 시간보다 긴 시간 동안 눌러지는 경우, 해당 셀에 표시된 이름인 "친구 C"의 연락처의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한다.
상술한 일 변형예 및 다른 변형예의 효과로, 통신 단말(1)의 사용자는 전화번호를 기억하거나 연락처를 탐색하지 않고, 다이얼 패드 화면에서 한번의 터치를 통해서 목적하는 대상으로 전화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1)의 기능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1)은 사용자로부터 전화 통화 개시 신호를 수신한다.(S5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화 통화를 시작하기 위해 통신 단말(1)에서 통화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다이얼 패드 출력부(61)는 다이얼 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51). 다이얼 패드는 일반적으로 가로 3 × 세로 4의 12개의 셀로 구성되며 각 셀에는 1부터 9까지의 숫자와 별표 기호(*), 숫자 0, 우물정 기호(#)가 표시된다.
다이얼 패드 출력부(61)는 저장부(50)를 검색하여(S52), 단축번호 설정부(62)가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다이얼 패드 화면의 각 셀의 숫자 미표시 영역에 표시한다(S53). 전화번호 입력 모드가 최초로 실행된 경우, 즉 전화번호 입력 모드의 기본 화면에서는, 디이얼 패드 화면의 각 셀의 숫자를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이 표시된다. 즉 1번 내지 9번을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이 각각 1번 내지 9번 셀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다이얼 패드를 누르는 경우(터치) 해당 터치 시간을 기 설정된 시간과 비교한다(S54).
터치 시간이 일정한 시간보다 짧은 경우, 다이얼 패드 출력부(61)는 "눌러진 셀의 숫자 × 10 + 각 셀의 숫자"에 해당하는 숫자를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상기 저장부(50)에서 재검색한다(S55). 이후 재검색된 연락처의 이름이 각 셀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1번 셀이 일정한 시간 보다 짧게 터치되는 경우 10번 내지 19번을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이 각각 0번 내지 9번 셀에 표시된다. 다른 예를 들어 3번 셀이 일정한 시간보다 짧게 터치되는 경우 30번 내지 39번을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이 각각 0번 내지 9번 셀에 표시된다.
터치 시간이 일정한 시간보다 긴 경우, 통화 연결부(63)는 터치된 셀에 표시된 이름을 저장부(50)에서 검색하여 해당 연락처의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한다(S56).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어떤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송수화부 20 : 입력부
30 : 표시부 40 : 통신부
50 : 저장부 60 : 제어부
61 : 다이얼 패드 출력부 62 : 단축번호 설정부
63 : 통화 연결부

Claims (8)

  1. 전화번호 입력 모드에서 다이얼 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통신 단말로서,
    연락처를 저장하며 상기 연락처에 단축번호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다이얼 패드 화면의 각 셀의 숫자 미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다이얼 패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패드 출력부는,
    전화번호 입력 모드의 기본 화면에서, 상기 다이얼 패드 화면의 각 셀의 숫자를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패드 출력부는,
    상기 다이얼 패드 화면의 어느 하나의 셀이 일정한 시간 보다 짧은 시간 동안 눌러지는 경우, [눌러진 셀의 숫자 ×10 + 각 셀의 숫자]에 해당하는 숫자를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패드 화면의 어느 하나의 셀이 일정한 시간 보다 긴 시간 동안 눌러지는 경우, 상기 셀에 표시된 이름을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해당 연락처의 전화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통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
  5. 통신 단말이 전화번호 입력 모드에서 다이얼 패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으로서,
    연락처와 상기 연락처에 매핑된 단축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상기 다이얼 패드 화면의 각 셀의 숫자 미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이얼 패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전화번호 입력 모드의 기본 화면에서,
    상기 다이얼 패드 화면의 각 셀의 숫자를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패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다이얼 패드 화면의 어느 하나의 셀이 일정한 시간 보다 짧은 시간 동안 눌러지는 경우,
    [눌러진 셀의 숫자 ×10 + 각 셀의 숫자]에 해당하는 숫자를 단축번호로 지정한 연락처의 이름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 패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패드 화면의 어느 하나의 셀이 일정한 시간 보다 긴 시간 동안 눌러지는 경우,
    상기 셀에 표시된 이름을 검색하여 해당 연락처의 전화 번호로 통화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다이얼 패드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10141107A 2011-12-23 2011-12-23 다이얼 패드 화면에 단축 번호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통신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30073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107A KR20130073325A (ko) 2011-12-23 2011-12-23 다이얼 패드 화면에 단축 번호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통신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107A KR20130073325A (ko) 2011-12-23 2011-12-23 다이얼 패드 화면에 단축 번호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통신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325A true KR20130073325A (ko) 2013-07-03

Family

ID=4898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107A KR20130073325A (ko) 2011-12-23 2011-12-23 다이얼 패드 화면에 단축 번호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통신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33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5736A (zh) * 2013-08-12 2015-02-25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处理方法和显示处理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5736A (zh) * 2013-08-12 2015-02-25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处理方法和显示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97650A1 (zh) 通话中的交互方法和设备
US6996422B2 (en) Mobile telephone
KR200901265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최근 통화 목록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기능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30017966A (ko) 이동 무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송신할 때 그 수신처를지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24884B1 (ko)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 사용 빈도에 따른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0731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스피드다이얼 설정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US20020071534A1 (en) Telephone apparatus and calling method in the same
KR20130073325A (ko) 다이얼 패드 화면에 단축 번호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통신 단말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08346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KR20010017386A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통화 대기 상태 제어 방법
KR20040041862A (ko) 우선순위에 따른 휴대폰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KR20060015362A (ko) 통화 목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
KR1009002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전화번호 검색방법
KR2003006451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저장 방법
JP2001257766A (ja) 携帯端末
KR20020056987A (ko)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발신번호 빈도순 전화번호검색방법
JPH1174960A (ja) 電話機におけるキャラクター選択方法
KR200300693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저장방법
KR200400583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 처리방법
KR100863040B1 (ko) 재발신 전화번호 선택방법
JP2000244977A (ja) 無線通信機
KR100792451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폰북서비스 방법
KR1015604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 변경시 사용자 정보의 초기화 설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03790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름을 이용한 발신 방법
JP2009290558A (ja) 電話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電話機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