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179A - 목재 도어 제조방법 및 구조 - Google Patents

목재 도어 제조방법 및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9179A
KR20070079179A KR1020060009692A KR20060009692A KR20070079179A KR 20070079179 A KR20070079179 A KR 20070079179A KR 1020060009692 A KR1020060009692 A KR 1020060009692A KR 20060009692 A KR20060009692 A KR 20060009692A KR 20070079179 A KR20070079179 A KR 20070079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ywood
door
support
sides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6729B1 (ko
Inventor
조동철
Original Assignee
조동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동철 filed Critical 조동철
Priority to KR1020060009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729B1/ko
Publication of KR20070079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4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wooden panels 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목재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 측면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보강부재(11)(11') 일측 양면에 형성된 단턱(12)과; 내부에 보강부재(13)가 구비되고 지지 보강부재(11)(11')의 단턱 양면에 고정되는 합판(14)(14')과; 합판(14)(14')과 지지 보강부재 양면에 MDF패널(15)(15')을 부착하고 MDF패널(15)(15') 외면에 랩핑 또는 무늬목을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사각 테두리면에 필름 마감부재(17)을 접착하여 목재도어(10)를 구성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지 보강부재에 단턱을 형성하여 합판이 고정되는 내측보다 외측의 폭 을 더욱 넓게 형성함으로 경첩을 고정시 피스가 목재인 지지 보강부재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도어의 테두리면에 중첩되는 목재와 합판을 최소화시켜 신축율에 의하여 사방 테두리에 부착된 마감 필름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며, 지지 보강부재 사이에는 합판과 MDF패널이 중첩되도록 형성하므로 사용시 도어가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를 개폐시 가볍고 공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원목으로 이루어진 도어와 같이 자연색감과 무늬 및 중후감을 표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목재도어, 보강부재, 합판, MDF패널, 단턱

Description

목재 도어 제조방법 및 구조 {Manufacturing method of a wooden door}
도 1a, 1b는 종래의 목재도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도어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목재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도어의 제작공정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목재도어 조립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목재도어 양측 지지부재에 합판을 접착고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목재도어 11,11':지지보강부재
12:단턱 13:내부보강부재
14,14':합판 15,15':MDF패널
16:무늬목 16a:수직판재
16b:가로판재 17:마감부재
본 발명은 건축물에 설치되는 목재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택의 거실, 방, 사무실 등에 사용되는 목재 도어을 제작시 목재패널을 이중으로 형성하되 내부패널이 대응되는 양측 지지부재 내측 일측에 단턱을 형성하여 양측 외면부의 지지부재 외면부의 폭이 줄어들지 않도록 함으로서 경첩등을 고정시 못 또는 나사못이 내측패널에 박히지 않고 목재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서로 다른 목재에 의한 수축율을 최소화시켜 랩핑된 필름이 들뜨는 형상을 방지하며 목재도어의 비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목재 도어 제조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목재도어는 무늬와 색감이 자연적이고 중후한 느낌을 갖는 것이 특징이나 가공이 어렵고 중량이 무겁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것이 단점임에도 불구하고 자연적인 질감과 인체에 무해한 특성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목재 도어는 도 1a와 테두리 보강부재(110) 내부보강부재(130) 양면에 합판(140)(140')을 접착고정하고 외면에 무늬목(160)을 접착시킨 후 양측면에 마감부재(170)를 접착시켜 목재도어를 완성하였으나, 이러한 구조의 목재도어는 도어가 가벼워 열고 닫을 때마다 공음이 발생하고 사용시 수축율에 의해 문짝이 뒤틀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1b와 같은 목재 도어는 보강부재(110)(110')와 내부보강부재(130) 외면에 합판 또는 MDF 판재로 형성되고 그 외면에 무늬목(160)을 덧붙인 구성으로 서, 이러한 구성은 합판 외면에 무늬목을 이중으로 중첩함으로써 튼튼하고 중량감은 있으나 문의 두께가 통상 36㎜이므로 무늬목에 합판과 같이 중첩될 경우에는 외면에 중첩되는 합판의 두께만큼 양측에 위치한 보강부재(110)(110')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도어를 문틀에 설치시 경첩을 고정하는 피스가 보강부재 외면의 합판 또는 틈새에 위치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틀을 구성하는 보강부재 외면에 합판이 중첩됨으로 도어가 완성된 후 각각의 보강부재(110)(110')와 합판(140) 무늬목 또는 MDF패널의 수축율이 서로 상이하게 수추되므로 문테 두리 측면에 접착된 랩핑 필름이 부분적으로 들뜨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목재 도어를 형성함에 있어서 지지 보강부재와 합판, MDF패널을 중첩시키되 지지 보강부재 일측 양면에 단턱을 형성하여 합판을 고정함으로써 지지 보강부재 외측 양면에는 MDF패널만 대응되도록 하여 신축율을 최소화 함으로 도어 사각 테두리 면에 접착되는 마감부재인 필름이 접착후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목적과, 지지 보강재 내측에 단턱을 형성하여 합판이 외부로 튀어 나오지 않도록 함으로서 지지보강부재의 외측 폭을 합판 두께만큼 더 큰 목재를 사용함으로 경첩을 고정하는 피스가 목재인 지지보강부재에 고정되도록 하여 견고성이 증강되도록 하는 목적과 도어의 중앙부는 합판과 MDF패널이 중첩되도록 하여 사용시 도어에 뒤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목재 도어 제조방법 및 조립구조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강부재와 내부 보강부재 양면에 합판 또는 MDF패널로 이루어진 목재 도어에 있어서,
양측에 위치하는 지지 보강부재 일측 양면에 소정의 규격으로 단턱을 가공하는 단계와;
양측 지지 보강부재 일면에 형성된 단턱에 합판을 고정하는 단계와;
지지 보강부재 사이의 합판 내면에 내부 보강부재를 배열 고정하는 단계와;
내부 보강부재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지지 보강부재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단턱에 합판을 고정시키는 단계와;
지지 보강부재와 합판 전후면에 MDF 패널를 고정하는 단계와;
MDF 패널 양면 또는 어느 일면에 무늬목을 부착시켜 도어를 형성하는 단계와;
도어 테두리 사면에 필름으로 된 마감재를 접착고정하는 단계로 목재 도어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목재 도어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양 측면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 보강부재(11)(11') 일측 양면에 형성된 단턱(12)과;
내부에 보강부재(13)가 구비되고 지지보강부재(11)(11')의 단턱(12) 양면에 고정되는 합판(14)(14')과;
합판(14)(14')과 지지 보강부재(11)(11') 양면에 MDF패널(15)(15')을 부착하고 MDF패널(15)(15') 외면에 랩핑 또는 무늬목(16)을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사각 테두리면에 무늬필름으로 된 마감재(16)를 접착하여 목재도어(10)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무늬목은 도어 외면에 수직부재(16a)와 가로부재(16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목재도어 제조공정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지지보강부재 가공
목재 도어(10)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도어의 길이에 대응되는 지지 보강부재(11)(11') 2개를 가공하되 지지 보강부재(11)(11') 일측 양면에 단턱(12)을 형성한다,
지지 보강부재 일측 양면에 형성되는 단턱(12)은 차후 결합되는 합판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하되 단턱(12)의 넓이는 합판이 걸쳐져 피스 또는 금속클립을 타격 할 수 있는 정도로 형성하고 합판은 단턱(12)에 접착 고정시 일측의 지지보강부재(11)(11') 상면과 일치되도록 판판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보강재(11)(11')는 단턱(12)이 형성되지 않은 일측의 두께는 양측에 위치하는 MDF패널의 두께 10㎜(5㎜+ 5㎜)을 제외한 26㎜의 두께를 갖게 된다.
참고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목재도어의 총 두께는 36㎜이다.
물론 문틀의 두께가 커서 이에 설치되는 목재도어(10)의 두께가 커질 경우에 는 상기 치수에 동일한 비율로 크게 형성되면 문을 지지하는 경첩 역시 큰 것을 사용함으로써 경첩을 고정하는 피스 위치는 도어의 두께에 관계없이 동일 위치에 고정된다.
제2공정: 합판 부착및 보강부재 배치
상기 제1 단계에서 좌우측에 위치하는 지지 보강부재(11)(11')의 일측 양면에 단턱을 형성한 후에는 지지 보강부재의 일측 단턱(12)에 합판(14)을 고정한다. 이때 고정되는 수단은 접착제 또는 금속클립(스테플러)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 보강부재 일측부에 합판(14)을 고정한 후에는 합판(14) 부분을 저부로하고 지지 보강부재(11)(11') 사이의 합판(14) 내측면에 내부 보강부재(13)를 접착제로 고정한 후 내측 보강부재(13)와 내측 보강부재(13) 사이를 스테플러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내측 보강부재(13)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한 후 지지 보강부재(11)(11')에 형성된 단턱(12)에 합판(14')을 대응시켜 접착제 또는 스테플러로 고정한다.
상기 양측 지지 보강부재의 전후면 단턱(12)에 고정되는 합판(14)(14')의 상면은 이웃한 지지 보강부재(11)(1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제3공정: MDF패널 및 무늬목 설치
상기 제 2공정에서 지지 보강부재(11)(11') 전후면에 합판(14)(14')을 고정한 후에는 외면에 다시 MDF패널(15)(15')을 중첩되도록 고정한다.
이때 MDF패널(15)(15') 양측 가장자리에는 지지 보강부재(11)(11')에 직접 대응되고 지지 보강부재(11)와 지지 보강부재(11') 사이의 합판(14)(14') 외면은 MDF패널(15)(15')과 중첩된 구조를 갖는다.
도어의 전후면에 MDF패널(15)(15')를 중첩한 후에는 무늬를 갖는 필름을 랩핑하여 목재도어(10)를 완성할 수도 있고, MDF패널(15)(15') 외면에 무늬필름을 랩핑한 후 그 외면에는 무늬목(16)을 덧붙일 수도 있고, 또는 MDF패널(15)(15') 외면에 무늬목(16)을 형성하지 않고 무늬 필름이 랩핑된 MDF패널 만을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패널에 랩핑하는 무늬필름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무늬필름 또는 시트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필름에 나무무늬 또는 표현하고자 하는 무늬가 있을 경우에는 별도의 무늬목을 사용하지 않고 필름만 랩핑할 수 있다.
제4공정: 테두리면 랩핑
전 후면에 무늬목(16)을 완성한 후에는 테두리면에 무늬필름으로 된 마감부재(17)를 접착시켜 목재로 된 지지 보강부재(11)(11')와 MDF패널(15)(15')의 측단면이 보이지 않도록 마감처리 하여 목재 도어(10)를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재도어(10)의 테두리면은 지지 보강부재(11)(11')와 MDF패널(15)(15')로만 이루어져 목재의 신축율이 매우 작게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목재 도어는 테두리면에 있어서 지지 보강부재와 합판, MDF패널 등이 중첩될 수록 신출율이 크게 일어나 표면에 접착된 무늬필름의 마감부재(17)가 부분적으로 들뜨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목재는 특성상, 외부의 공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에 습도가 높거나 건조한 온도가 지속되면 목 재 또는 합판 자체에 신축율이 크게 발생되는데 하나의 목재로 구성된 경우에는 신축율이 작으나 소정의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목재와 합판을 반복적으로 중첩하게 구성하면 서로 중첩시키는 과정에서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서, 접착제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목재가 젖은 후 건조되는 과정에서 수축작용이 이러나 변형이 발생한다.
또한, 목재는 아무리 건조시킨 것이라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신축율이 발생되므로 변형이 일어난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나이테를 중심에 둔 통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신축율이 가장 작으나 중량이 무겁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관계로 도어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목재도어를 형성할 경우에는 목재를 적당한 두께로 가공하여 사용함으로 신축율은 반드시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목재 도어를 형성함에 있어서 지지 보강부재(11)(11')와 합판(14)(14'), MDF패널(15)(15')을 중첩시키되 지지 보강부재(11)(11') 양면에는 각각 한개의 MDF패널(15)(15')만 대응되도록 하여 신축율을 최소화되도록 한 것이며 이에 따라서 사각 테두리 면에 접착되는 마감부재(17) 역시 접착 후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고, 목재 도어(10)의 가장자리면 이외에는 합판과 MDF패널을 중첩시켜 도어가 사용중 발생될 수 있는 뒤틀림을 방지하고 무게감을 갖도록 하여 목재 도어의 특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어를 문틀에 설치시 경첩을 사용하게 되는 데 경첩을 고정하는 피스가 합판에 고정되지 않고 목재인 지지 보강부재(11')에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중 도어의 중량에 의해 피스가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도어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어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지지 보강부재(11)(11')와 MDF패널(15)(15')이 대응되고 지지 보강부재(11)와 지지 보강부재(11') 사이의 내외면 패널은 합판과 MDF패널이 중첩되도록 한 것으로서 합판은 지지 보강부재의 일측에 형성된 단턱(12)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지지 보강부재(11)(11')의 양 단부에는 MDF패널(15)(15')만이 대응되도록 하여 신축율을 최소화하여 사각 테두리면에 접착된 마감부재(17)가 떨어지거나 들뜨지 않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목재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목재 도어 제작 공정으로 실시한 후 외면에 무늬 목을 부착하고 그 외면에 필름을 랩핑하여 외관이 간결하고 미려하게 제작하였다. 본 발명에서 실시되는 필름 랩핑 방법은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하는 방법으로 사용하였으며, 필름이 랩핑되는 순서는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MDF 패널을 부착후 외면 랩핑하고 무늬목(16)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고 설치할 수도 있는 것으로 랩핑 후 무늬목(16)은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3은 지지 보강부재 사이에 합판을 고정하고 그 내외면에 MDF패널을 마주보도록 대응시켜 목재 도어 형태를 형성한 후에는 길이방향의 양측 면에 수직판재(16a)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가로판재(16b)를 덧붙여 일정한 홈부를 갖는 무늬부를 형성한 것이다.
즉, 내외면 중 어느 한 면을 선택하여 먼저 소정의 폭을 갖는 수직판재(16a)를 양측에 위치시켜 고정한다. 상기 수직판재(16a)는 양측 외면이 하부에 위치하는 패널의 양측 외면과 일치되도록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수직판재(16a)를 고정한 후에는 양측 수직판재(16a)와 수직판재(16a) 사이에 가로판재(16b)를 설치하되 가로판재(16b)는 동일한 크기로 가공되고 가로판재와 가로판재 사이는 0.5∼1㎝의 간격을 갖는 홈부를 형성한다.
이때 가로판재와 수직판재 사이 역시 0.5∼1㎝의 간격을 갖는 홈부를 형성하여 가로판재는 사방으로 홈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다수의 가로판재가 등간격으로 설치됨으로써 목재도어의 외면은 양측에 세로로 홈무늬가 형성되고 세로홈무늬 사이에는 등간격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가로홈무늬가 형성되어 목재무늬를 갖는 원목형상의 목재도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재도어는 필요에 따라서 일면은 홈부를 갖는 무늬모양을 형성하고 타측면은 홈부가 없는 무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도어의 제작공정 순서도로서, 목재도어의 제작공정 순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2개의 지지 보강부재 일측 양면에 단턱( )을 형성한다.
② 단턱이 형성된 2개의 지지 보강부재 일면 단턱에 합판을 고정한다.
③ 양측 지지 보강부재 사이의 합판 내측에 내측 보강부재를 배열하고 고정한다
④ 지지 보강부재의 다른 쪽 단턱에 대응되도록 합판을 대응 고정시켜 내측 보강부재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⑤ 양측 합판 외면에 MDF패널이 대응되도록 고정한다.
⑥ MDF패널 외면에 랩핑(도시없음)하고 그 외면에 무늬목을 형성한다.
⑦ 도어의 전후면이 완성되면 도어의 테두리 사각 면에 마감부재를 랩핑하면 목재도어가 완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목재도어 조립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목재도어의 결합상태를 모두 분리하여 조립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목재도어 양측 지지부재에 합판을 접착고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목재도어 제작시 지지 보강부재(11)(11')의 양측 단턱(12)에 합판(14)(14')을 고정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단턱(12)에 고정된 합판은 지지 보강부재의 외면과 높이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 보강부재(11)(11') 사이에 내부 보강부재는 가로와 세로로 배열된다. 배열 간격은 일정하게 등간격으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어의 구조와 형상에 따라서 달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은 지지 보강부재가 서로 대향되는 내측에 단턱을 형성하여 합판을 고정함으로써, 지지 보강부재는 외면에 합판이 덧 대여지는 만큼의 두께만큼 더 폭이 넓은 목재의 지지 보강부재(11)(11')를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경첩을 고정시 피스가 합판에 고정되지 않고 목재인 지지 보강부재(11)(11') 일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3과 같이 도어 외면에 부착되는 무늬목(16)을 수직판재와 가로판재를 사용할 경우 필요에 따라서 양측 수직판재(16a)와 수직판재(16a) 사이에 위치하는 가로판재(16b)를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필름을 접착하여 목재도어(10)의 색상을 2가지(투톤)로 표출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또한, 수직판재와 다수의 가로판재에 접착되는 필름을 이용하여 각각의 판재에 선택적으로 색상과 무늬를 연출시켜 소비자의 기호에 알맞는 목제도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도어의 양측 길이방향에 위치하는 지지 보강부재에 단턱을 형성하여 합판이 고정되는 내측보다 외측의 폭 을 더욱 넓게 형성함으로 경첩을 고정시 피스가 목재인 지지 보강부재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서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도어의 테두리 면에 중첩되는 목재와 합판을 최소화시켜 신축율에 의하여 사방 테두리에 부착된 마감 필름이 들뜨는 현상을 방지하며, 지지 보강부재 사이에는 합판과 MDF패널이 중첩되도록 형성하므로 사용시 도어가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를 개폐시 가볍고 공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본 발명은 원목으로 이루어진 도어와 같이 자연색감과 무늬 및 중후감을 표출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보강부재와 내부 보강부재 양면에 합판 또는 MDF패널로 형성된 목재 도어에 있어서,
    양측에 위치하는 지지 보강부재 일측 양면에 소정의 규격으로 단턱을 가공하는 단계와;
    양측 지지 보강부재 일면에 형성된 단턱에 합판을 고정하는 단계와;
    지지 보강부재 사이의 합판 내면에 내부 보강부재를 배열 고정하는 단계와;
    내부 보강부재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지지 보강부재의 다른 일면에 형성된 단턱에 합판을 고정시키는 단계와;
    지지 보강부재와 합판 전후면에 MDF 패널를 고정하는 단계와;
    MDF 패널 양면 또는 어느 일면에 무늬목을 부착시켜 목재도어를 형성하는 단계와;
    목재도어 테두리 사면에 무늬필름으로 된 마감재를 접착고정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도어 제조방법.
  2. 양 측면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 보강부재(11)(11') 일측 양면에 형성된 단턱(12)과;
    내부에 보강부재(13)가 구비되고 지지 보강부재(11)(11')의 단턱(12) 양면에 고정되는 합판(14)(14')과;
    합판(14)(14')과 지지 보강부재(11)(11') 양면에 MDF패널(15)(15')을 부착하고 MDF패널(15)(15') 외면에 무늬목(16)을 선택적으로 형성하고 사각 테두리면에 무늬필름으로 된 마감재(16)를 접착하여 목재도어(1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도어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무늬목은 도어 외면에 수직부재(16a)와 가로부재(16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도어 구조.
KR1020060009692A 2006-02-01 2006-02-01 목재 도어 제조방법 및 구조 KR100786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692A KR100786729B1 (ko) 2006-02-01 2006-02-01 목재 도어 제조방법 및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692A KR100786729B1 (ko) 2006-02-01 2006-02-01 목재 도어 제조방법 및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179A true KR20070079179A (ko) 2007-08-06
KR100786729B1 KR100786729B1 (ko) 2007-12-17

Family

ID=3859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692A KR100786729B1 (ko) 2006-02-01 2006-02-01 목재 도어 제조방법 및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098B1 (ko) 2011-04-22 2011-08-03 (주)거산토탈시스템 패널조립체가 구비된 단열문
KR101686647B1 (ko) 2016-04-07 2016-12-14 주식회사 코르크월드코리아 목재도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671A (ko) * 1998-05-07 1998-07-25 김삼길 적층합판을 이용한 원목무늬 도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729B1 (ko) 2007-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42515A1 (en) Door, method of making door, and stack of doors
CN100420554C (zh) 镶面凸板元件其制造方法
US5469903A (en) Method of making simulated solid wood slabs and resulting solid wood slab
US20060283121A1 (en) Panel door and method of making a panel door
KR100786729B1 (ko) 목재 도어 제조방법 및 구조
KR200242839Y1 (ko) 인테리어 패널 구조
JP6185950B2 (ja) 透光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材
US20170107717A1 (en) Building material for doors and window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6923598B2 (ja) 見切材を備えた開口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CN216277473U (zh) 一种木质门框
JP2008025203A (ja) 採光扉
KR100407642B1 (ko) 창틀용 샤시의 코너 피스
CN221060264U (zh) 一种相框装饰组合线条
KR200419951Y1 (ko) 주방가구용 도어
KR200396335Y1 (ko) 조립식 도어패널
KR200283685Y1 (ko) 도어
CN216076866U (zh) 一种带有薄板的门板结构
GB2279682A (en) Door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H0520830Y2 (ko)
KR100599376B1 (ko) 조립식 문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2807A (ko) 목재 패널의 모서리 가공구조
US20030111192A1 (en) Plate element and method of producing a plate element
JP3241995B2 (ja) 扉 体
CN106121467A (zh) 一种防火隔热实木复合门扇
KR20080025641A (ko) 비틀림 방지 슬라이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