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995A - 촬상장치,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프로그램,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프로그램,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995A
KR20070078995A KR1020070008942A KR20070008942A KR20070078995A KR 20070078995 A KR20070078995 A KR 20070078995A KR 1020070008942 A KR1020070008942 A KR 1020070008942A KR 20070008942 A KR20070008942 A KR 20070008942A KR 20070078995 A KR20070078995 A KR 20070078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value
region
value
imag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지 야구치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8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9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Abstract

촬상수단에 의해 취득된 촬상 결과에 근거하여 노출 제어를 실행하는 촬상수단 및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촬상장치를 나타낸다. 촬상장치에서, 제어수단은 촬상 결과를 무채색 영역과 유채색 영역으로 분류하는 분류수단과, 촬상 결과의 휘도값에 근거하여 촬상 결과에 목표의 밝기를 나타내는 평가값을 계산하는 평가값 계산수단과, 평가값이 제어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량을 계산하는 노출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그것에 의해 촬상 결과에 대한 노출 제어를 실행한다.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의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의 변화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하도록 제어량이 계산된다.

Description

촬상장치,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프로그램,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Imag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device, program of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device, recording medium in which program of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device is record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전자 스틸 카메라의 메인 제어회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전자 스틸 카메라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메인 제어회로의 처리에 의한 보정계수(K1)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곡선도이다.
도 4는, 도 1의 메인 제어회로의 처리에 의한 보정계수(K2)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곡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전자 스틸 카메라의 메인 제어회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도 5의 메인 제어회로의 처리에 의한 보정계수(K1)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곡선도이다.
도 7은, 무채색 영역이 흰색에 더 가까울 때, 도 5의 메인 제어회로의 처리에 의한 보정계수(K2)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곡선도이다.
도 8은, 무채색 영역이 검은색에 더 가까울 때, 도 5의 메인 제어회로의 처리에 의한 보정계수(K2)의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 곡선도이다.
본 발명은, 촬상장치,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프로그램,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전자 스틸 카메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채색 영역(achromatic region)의 휘도값에서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에서의 변화가 무채색의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chromatic region)의 휘도값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되도록 노출 제어가 실행된다. 이러한 특징은 종래의 구성 및 도면에 비해 좀더 적절한 노출 제어의 이행을 고려한다.
종래의 전자 스틸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에서는, 촬상 결과로부터 노출 제어에 대한 평가값이 계산되고, 이 평가값이 소정의 값이 되도록 노출 제어가 실행된다. 평가값을 계산하는 방법으로서, 하나의 스크린의 각 화소의 휘도값를 누적하여 가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 중 하나가,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5-29238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의 방법에서, 하나의 스크린의 각 화소의 휘도값이 그것의 영역에 따라 가중이 부여되고, 가중된 값은 서로 누적 하여 가산된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값를 이용한 노출 제어는, 적절히 노출을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특히, 배경 등에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높은 흰색 물체가 존재하면, 본래의 목표 물체인 인물 등이 어둡게 촬영된다. 이와는 반대로, 배경 등에 낮은 반사율을 가지는 검은색 물체 등이 많이 존재하면, 인물 등이 너무 밝게 촬영된다.
상기 기술된 문제점에 감안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구성 및 도면에 비해 좀더 적절한 노출 제어의 실행을 허가하는 촬상장치,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프로그램 및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촬상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이미저(imager)와, 상기 이미저에 의해 취득된 촬상 결과에 근거하여 노출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촬상장치에 적용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촬상 결과를 무채색 영역과 유채색 영역으로 분류하도록 구성된 분류기와, 상기 촬상 결과의 휘도값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 결과에서의 목표의 밝기를 나타내는 평가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평가값 계산기와, 상기 평가값이 제어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그것에 의해 상기 촬상수단에 대한 노출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서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에서의 변화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하도록 상기 제어량이 계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저에 의해 취득된 촬상 결과에 근거하여 노출 제어를 실행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에 적용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촬상 결과를 무채색 영역과 유채색 영역으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촬상 결과의 휘도값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 결과에 있어서의 목표의 밝기를 나타내는 평가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값이 제어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그것에 의해 상기 이미저에 대한 노출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서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에 있어서 변화가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상기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하도록 상기 제어량이 계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산 처리기의 실행에 의해 이미저를 제어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프로그램에 적용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촬상 결과를 무채색 영역과 유채색 영역으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촬상 결과의 휘도값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 결과에 있어서의 목표의 밝기를 나타내는 평가값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값이 제어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 이미저에 대한 노출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서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에 있어서 변화가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상기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하도록 상기 제어량이 계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산 처리기의 실행에 의해 이미저를 제어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적용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촬상 결과를 무채색 영역과 유채색 영역으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촬상 결과의 휘도값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 결과에 있어서의 목표의 밝기를 나타내는 평가값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값이 제어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그것에 의해 상기 이미저에 대한 노출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서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에 있어서 변화가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상기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하도록 상기 제어량이 계산된다.
제 1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배경이 흰색에 더 가까우면, 촬상 결과가 통상 보다 크게 흰색 쪽으로 바이어스 되도록 노출 제어가 실행된다. 이와는 반대로, 배경이 검은색에 더 가까우면, 촬상 결과가 통상 보다 크게 검은색 쪽으로 바이어스 되도록 노출 제어가 실행된다. 이 구성은, 예를 들면 배경 등에 흰색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본래의 목표 물체로서 인물 등이 어둡게 촬영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은, 배경 등에 검은색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인물 등이 너무 밝게 촬영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구성에 비해 좀더 적절히 노출 제어가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의 도면에 따르면, 배경이 흰색에 더 가까우면 촬상 결과가 통상 보다 더 크게 흰색 쪽으로 바이어스 되도록 노출 제어가 실행된다. 이와는 반대로, 배경이 검은색에 더 가까우면 촬상 결과가 통상 보다 더 크게 검은색 쪽으로 바이어스 되도록 노출 제어가 실행된다. 이들 도면은, 예를 들면 배경 등에 흰색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본래의 목표 물체로서 인물 등이 어둡게 촬영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도면은 배경 등에 검은색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인물 등이 너무 밝게 촬영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도면들에 비해 좀더 적절히 노출 제어가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배경 등에 흰색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본래의 목표 물체로서 인물 등이 어둡게 촬영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배경 등에 검은색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인물 등이 너무 밝게 촬영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노출 제어는 종래의 구성 및 도면에 비해 좀더 적절히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수반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기술될 것이다.
(제 1실시예)
(1) 실시예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스틸 카메라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전자 스틸 카메라(1)에 있어서, 렌즈(2)는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 : CCD) 고체 촬상 소자(3)의 촬상면에 입사광을 모으고, 그것에 의해 이 촬상면에 광학 영상을 형성한다. 렌즈 제어회로(4)는, 메인 제어회로(13)에 의한 제어하에서 렌즈(2)의 배율 및 포커스를 변경한다.
아이리스(5)는, CCD 고체 촬상 소자(3)의 촬상면에 렌즈(2)로부터 들어오는 입사광을 제한한다. 아이리스 제어회로(6)는, 메인 제어회로(13)에 의한 제어하 에서 아이리스(5)를 제어한다. 셔터(7)는 메인 제어회로(13)에 의한 제어하에서 CCD 고체 촬상 소자(3)의 촬상면에 들어오는 입사광을 차단한다.
타이밍 발생기(TG)(8)는, CCD 고체 촬상 소자(3)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한다. CCD 고체 촬상 소자(3)는, 촬상면에 형성된 광학 영상에 대한 광전 변환 처리를 실행하고 이 광학 영상의 촬상 결과를 출력한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9)는 CCD 고체 촬상 소자(3)의 출력 신호를 상관 이중 샘플링 및 매트릭스 연산 처리하고,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메인 제어회로(13)로부터 지시된 이득으로 합성 신호를 증폭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A/D)(10)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9)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처리를 행하고, 촬상 결과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0)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에 입력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감마 보정,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조정, 니(knee) 처리 등을 행하고, 합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전자 스틸 카메라(1)는 모니터 장치상에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데이터 압축 후에 기록매체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10)에서 출력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포커스 제어, 노출 제어 및 화이트 밸런스 조정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고, 메인 제어회로(13)에 취득된 정보를 출력한다. 메인 제어회로(13)는, 이 정보에 근거하여, 렌즈 제어회로(4), 아이리스 제어회로(6), 셔터(7),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회로(9),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의 동작 을 제어하여 그것에 의해 자동 포커스 제어, 자동 노출 제어,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행한다.
메인 제어회로(13)는 전자 스틸 카메라(1)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이고, 메모리에 기록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사용자에 의한 각부의 동작에 응하여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도시하지 않음). 이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제어회로(13)에 의해 실행된 프로그램은 전자 스틸 카메라(1)에 미리 인스톨된다. 그러나, 미리 인스톨되는 대신에, 프로그램이 광 디스크, 자기 디스크 및 메모리 카드 등의 다양한 기록 매체의 어떠한 것에 기록되어 제공되어도 좋다. 대신에, 프로그램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거쳐 다운로드에 의해 제공되어도 좋다.
사용자에 의한 전원 스위치의 동작에 대응하여 카메라(1)의 전원을 공급하면, 메인 제어회로(13)는 동영상의 촬상 결과를 CCD 고체 촬상 소자(3)에 의해 취득하도록 각부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그것의 동작을 시작한다. 또한, 메인 제어회로(13)는, 자동 포커스 제어, 자동 노출 제어,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의 처리를 시작하여, 동영상의 촬상 결과가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9)와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에 의해 처리되고 모니터 장치상에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셔터 버튼(12)를 반 누르면, 메인 제어회로(13)는 자동 포커스 제어, 자동 노출 제어 및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의 제어량을 반 누름 직전에 채용된 제어량에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셔터 버튼(12)를 완전히 누르면, 메인 제어회로(13)는 스틸 화상의 촬상 결과가 CCD 고체 촬상 소자(3)에 의해 취득되도록 셔터(7) 및 타이밍 발생기(8)를 제어한다. 게다가, 메인 제어회로(13)는 스틸 화 상의 촬상 결과를 차례차례 처리하고 모니터 장치상에 처리된 촬상 결과를 표시한다. 또한, 메인 제어회로(13)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스틸 화상의 촬상 결과를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전자 스틸 카메라(1)에 있어서, 메인 제어회로(13)에 의한 자동 노출 제어는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특히, 휘도 데이터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 데이터가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 결과들에 근거하여, 메인 제어회로(13)는 아이리스(5), CCD 고체 촬상 소자(3)의 전하 축적 시간 및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9)의 이득을 제어한다. 이 검출은 하나의 화면의 분할을 통해 설정된 영역마다 대응하는 화소값들을 평균화함으로써 실행된다. 따라서, 휘도 데이터의 검출 결과들은 각 영역들의 평균 휘도값들이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 있어서, 렌즈(2), 렌즈 제어회로(4), 아이리스(5), 아이리스 제어회로(6), 셔터(7), CCD 고체 촬상 소자(3), 타이밍 발생기(8) 및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9)는 메인 제어회로(13)에 의한 노출 제어하에서 촬상 결과를 취득하는 이미저(imager)를 구성한다.
도 1은, 이 메인 제어회로(13)에 의한 노출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메인 제어회로(13)는, 촬상 결과의 1 프레임마다, 도 1에 나타낸 처리 순서를 실행한다. 스텝(SP1)에서 이 처리 순서를 개시하면, 메인 제어회로(13)는 스텝(SP2)에서 CCD 고체 촬상 소자(3)에 의해 1 프레임의 촬상 결과를 취득한다.
계속해서, 스텝(SP3)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에 의해 휘도 데이터와 적색, 녹색, 청색의 색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취득한다. 이하에, 이들 적색, 녹색, 청색의 색 데이터와 같이 색상을 표현하는 신호를 색상 신호라고 한다.
스텝(SP4)에서, 보정된 검출 결과가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로부터 취득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에 필요한 정보에 근거하여, 화이트 밸런스 조정으로부터 생긴 신호 레벨을 갖도록 메인 제어회로(13)는 스텝(SP3)에서 취득된 색 데이터의 검출 결과를 보정한다. 계속해서, 메인 제어회로(13)는 임계값에 근거하여 검출 결과 중 신호 레벨비를 판정하여, 그것에 의해 촬상 결과에서 나타낸 영역을 무채색 영역과 유채색 영역으로 분류한다. 무채색 영역은, 채도가 거의 0인 검은색, 흰색, 회색의 영역이고, 반면에 유채색 영역은, 무채색 영역 이외의 영역이다.
계속해서, 스텝(SP5)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유채색 영역을 대표하는 영역으로서 가장 높은 채도를 가지는 최대 채도영역(Cmax)을 유채색 영역으로부터 검출한다. 최대 채도영역(Cmax)의 검출을 위해, 메인 제어회로(13)는, 각 영역마다,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 데이터의 검출 결과의 신호 레벨(R, G 및 B)의 제곱합 또는 합을 계산한다. 가장 큰 제곱합(R2+G2+B2) 또는 합(R+G+B)을 가지는 영역이 최대 채도 영역으로서 검출된다.
계속해서, 스텝(SP6)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최대 채도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과 무채색 영역들(M1, M2, M3,……) 중 하나의 평균 휘도값(M1 y)을 비교한다. 계속해서, 스텝(SP7)에서,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무채색 영역(M1)의 평균 휘도값(M1 y)이 최대 채도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보다 큰지 아닌지, 또는 무채색 영역(M1)의 평균 휘도값(M1 y)이 최대 채도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보다 작은지 아닌지를 메인 제어회로(13)가 판단한다. 스텝(SP6)의 처리를 통해, 메인 제어회로(13)는 최대 채도영역(Cmax)을 기준으로 하여 무채색 영역(M1)의 밝기가 흰색에 좀더 가까운지 검은색 좀더 가까운지를 판정한다. 무채색 영역(M1)이 흰색 또는 검은색에 좀더 가까운지의 판정은 최대 채도영역의 평균 휘도의 비교뿐만 아니라, 유채색 영역 전체의 평균 휘도의 비교에 근거하여 좋다.
무채색 영역(M1)의 평균 휘도값(M1 y)이 최대 채도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보다 큰 경우 또는 무채색 영역(M1)의 평균 휘도값(M1 y)이 최대 채도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보다 작은 경우, 즉 무채색 영역(M1)이 흰색 또는 검은색에 좀더 가까우면, 메인 제어회로(13)는 스텝(SP7)에서 긍정의 결과를 얻고, 스텝(SP9)으로 진행한다.
스텝(SP9)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노출 제어의 제어량을 보정하는 무채색 영역(M1)의 보정계수(K1)를 계산한다. 이 실시예에서, 촬상 목표의 밝기를 나타내는 평가값은 가중 요소(Mn w)로 각 영역에서의 평균 휘도값의 가중된 가산을 통해 계산된다. 스텝(SP9)에서, 가중 요소(Mn w)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계수(K1)가 계산된다.
무채색 영역(M1)이 흰색에 더 가까우면, 메인 제어회로(13)는 무채색 영역(M1)의 평균 휘도값(M1 y)이 최대 채도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이 일치 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촬상 결과가 크게 흰색 쪽으로 바이어스 되도록 보정계수(K1)를 계산한다. 이와는 반대로, 무채색 영역(M1)이 검은색에 더 가까우면, 메인 제어회로(13)는 무채색 영역(M1)의 평균 휘도값(M1 y)이 최대 채도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촬상 결과가 크게 검은색 쪽으로 바이어스 되도록 보정계수(K1)를 계산한다. 또한, 무채색 영역(M1)의 흰색 또는 검은색에 더 가까워지는 높은 정도가 촬상 결과에서 흰색 또는 검은색 쪽으로 크게 바이어스를 이끌 수 있도록 보정계수(K1)가 계산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채색 영역(M1)이 흰색에 더 가까우면, 메인 제어회로(13)는 최대 채도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을 무채색 영역(M1)의 평균 휘도값(M1 y)으로 나눔으로써 얻어진 값(Cmax y/M1 y)을, 보정계수(K1 white)로 설정한다. 이와는 반대로, 무채색 영역(M1)이 검은색에 더 가까우면, 메인 제어회로(13)는 무채색 영역(M1)의 평균 휘도값(M1 y)을 최대 채도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으로 나눔으로써 얻어진 값(M1 y/Cmax y)을, 보정계수(K1 black)로 설정한다. 보정계수(K1)를 설정하는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메인 제어회로(13)는 최대 채도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과 무채색 영역(M1)의 평균 휘도값(M1 y)과의 차이가 더 커지게 될 때, 1로부터 감소하도록 보정계수(K1 white와 K1 black)를 생성한다.
스텝(SP10)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스텝(SP9)에서 생성된 보정계수(K1)를 보정하여 그것에 의해 가중 요소(Mn w)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계수(K2)를 생성한다. 보정계수(K2)를 생성하기 위해, 메인 제어회로(13)는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 에 의해 검출된 하나의 스크린의 평균 휘도값을 평균하여 그것에 의해 하나의 스크린의 평균 휘도값(Yall)을 검출한다. 또한, 메인 제어회로(13)는 소정의 임계값(t1 및 t2)에 기초하여 하나의 스크린의 평균 휘도값(Yall)을 판정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 휘도값(Yall)이 임계값(t2) 보다 더 크면, 메인 제어회로(13)는 보정계수(K2)를 보정계수(K1)의 값으로 설정한다. 평균 휘도값(Yall)이 임계값(t1)보다 더 작으면, 메인 제어회로(13)는 보정계수(K2)를 1로 설정한다. 평균 휘도값(Yall)이 임계값(t1)과 임계값(t2) 사이의 범위 내에 있으면, 평균 휘도값(Yall)에 역으로 비례하여 1에서 보정계수(K1)의 값의 범위 내에서 변화하는 값으로 보정계수(K2)가 설정된다. 임계값(t1 및 t2)은, 극단적이 어두운 스크린 및 극단적인 밝은 스크린의 각각에 대한 판정 기준으로서 제공한다. 보정계수(K2)는 평균 휘도값(Yall)에 대신하여 최대 채도영역의 평균 휘도값(Cmax y)을 사용함으로써 생성되어도 좋다.
스텝(SP11)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보정계수(K2)에 의해 관련된 무채색 영역의 가중 요소(Mn w)를 곱하여 그것에 의해 가중 요소(Mn w)의 값을 보정하여, 스텝(SP12)으로 진행된다. 가중 요소(Mn w)는 중점 측광(weighted metering), 멀티존 측광(multizone metering)과 같은 광도 측정의 모드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값이 적용된다.
무채색 영역(M1)의 평균 휘도값(M1 y)이 최대 채도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과 일치하면, 즉, 무채색 영역(M1)이 흰색에 더 가깝지도 검은색에 더 가깝지도 아닌 경우, 메인 제어회로(13)는 스텝(SP7)에서 부정의 결과(NO)을 얻고, 따라서 스텝(SP7)으로부터 직접 스텝(SP12)으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메인 제어회로(13)는 사전에 설정된 평가값을 검출하도록 이용된 가중 요소(Mn w)를 보정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SP12)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모든 무채색 영역(M1, M2, M3,…)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부정의 결과가 얻어지면, 처리 순서는 스텝(SP6)으로 돌아오고, 다음의 무채색 영역(M2, M3,…)이 처리된다.
메인 제어회로(13)는 촬상 결과에서 무채색 영역마다 스텝(SP6-SP7-SP9-SP10-SP11-SP12)의 처리 순서, 또는 스텝(SP6-SP7-SP12)의 처리 순서를 실행한다. 각 처리 순서에 있어서, 하나의 스크린의 평균 휘도값(Yall)이 임계값(t1)보다 더 큰 경우에, 메인 제어회로(13)는 최대 채도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과 평균 휘도값(M1 y) 사이의 차이에 따른 값에 의해 무채색 영역(M1, M2, M3,…)의 가중 요소(Mn w)를 감소한다.
모든 무채색 영역의 처리를 완료하면, 메인 제어회로(13)는 스텝(SP12)에서 긍정의 결과를 얻고, 따라서 스텝(SP12)으로부터 스텝(SP13)으로 진행한다. 스텝(SP13)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각 영역의 평균 휘도값을 가중 요소(Mn w)로 가중하여 가산하고, 그것에 의해 촬상 결과의 밝기를 나타내는 평가값을 계산한다. 또한, 메인 제어회로(13)는 평가값이 제어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량을 계산한다. 계속해서, 메인 제어회로(13)는 계산된 제어량에 근거하여 아이리스(5), CCD 고체 촬상 소자(3)의 전하 축적 시간 및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9)의 이득을 제어하고, 그리고 나서 처리 순서를 종료하기 위해 스텝(SP14)으로 진행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처리 순서의 실행을 통해, 메인 제어회로(13)는,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서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에서의 변화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역영의 그것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하도록 가중 요소(Mn w)를 설정함으로써 제어량을 계산하여, 그것에 의해 노출 제어의 처리를 실행한다.
(2) 실시예의 동작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전자 스틸 카메라(1)에서(도 2), CCD 고체 촬상 소자(3)의 촬상면에 형성된 광학 영상이 광전 변환 처리되어, 동영상의 촬상 결과가 얻어진다. 동영상의 촬상 결과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9),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회로(10) 및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에 의해 차례차례 처리되어, 다음의 모니터 장치상에 표시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는 포커스 제어, 노출 제어 및 화이트 밸런스 조정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여, 이러한 정보에 근거한 메인 제어회로(13)의 제어에 의한 제어하에서 자동 포커스 제어, 자동 노출 제어,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정의 처리가 실행된다.
전자 스틸 카메라(1)에서, 이 상태로 사용자가 셔터 버튼(12)을 반 누르면, 포커스 제어, 노출 제어, 화이트 밸런스 조정의 제어량이 반 누름 직전에 채용된 제어량으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셔터 버튼(12)을 완전히 누르면, 동영상에 대신하여 스틸 화상의 촬상 결과가 CCD 고체 촬상 소자(3)에 의해 취득된다. 스틸 화상의 촬상 결과가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9),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회로(10) 및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에 의해 차례차례 처리되고, 다음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따라서, 전자 스틸 카메라(1)에서, 모니터 장치에 표시된 동영상을 보면서 촬상 결과가 확인되어 질 때, 노출 제어 등의 처리는 최적의 촬상 조건을 얻도록 실행된다. 이 최적의 촬영 조건하에서, 스틸 화상의 촬상 결과가 취득되고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전자 스틸 카메라(1)에서, 동영상이 촬영되고 있을 때, 촬상 결과의 분할로부터 형성된 영역마다 평균 휘도값이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각 평균 휘도값이 광도 측정 모드에 따라 가중 요소(Mn w)에 의해 서로 가중되고 가산되어, 촬상 목표의 밝기를 나타내는 평가값이 계산된다. 전자 스틸 카메라(1)에서, 평가값이 제어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량이 설정된다. 또한, 아이리스(5), CCD 고체 촬상 소자(3)의 전하 축적 시간 및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9)의 이득이 이 제어량에 근거하여 제어되고, 그것에 의해 노출 제어의 처리가 실행되어, 적절한 밝기로 소망하는 목표 물체를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의 촬영 현장에서, 배경 등에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흰색 물체가 존재한다. 또한, 몇몇 경우에서, 배경 등에 낮은 반사율을 가지는 검은색 물체 등이 많이 존재한다. 단지 평가값이 가중 요소로 각 영역의 평균 휘도값을 가중 가산을 실행함으로써 계산되면, 계산된 평가값은 배경의 밝기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어떠한 대응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다음의 문제가 야기된다. 특히, 배경 등에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흰색 물체가 존재하면, 본래의 목표 물체는 어둡게 촬영된다. 이와는 반대로, 배경 등에 낮은 반사율을 가지는 검은색 물체가 존재하면, 본래의 목표 물체가 너무 밝게 촬영된다.
거기서, 전자 스틸 카메라(1)에서(도 2),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에 의해 각 영역마다 평균화된다. 계속해서, 평균값의 비율이 메인 제어회로(13)에 의해 판정되어, 각 영역이 무채색 영역과 유채색 영역으로 분류된다. 게다가, 각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은 유채색 영역을 대표하는 영역의 휘도값에 근거하여 판정되고,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의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의 변화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의 그것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되도록 제어량을 계산함으로써 노출 제어가 실행된다.
특히, 이 전자 스틸 카메라(1)에서,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을 대표하는 영역의 그것과의 차이가 커짐에 따라 1로부터 감소하도록 보정계수(K1)가 생성된다(도 3). 또한, 스크린 전체의 휘도(Yall)가 높아짐에 따라 1로부터 보정계수(K1)의 값 쪽으로 감소하도록 보정계수(K2)가 생성된다(도 4). 가중 요소(Mn w)는 평가값을 계산하기 위해 보정계수(K2)에 의해 보정된다.
그 결과, 이 전자 스틸 카메라(1)에서, 무채색 영역(M1)이 흰색에 더 가까우면, 단지 가중 요소로 각 영역의 평균 휘도값이 평가값을 계산하기 위해 가중된 가산을 필요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촬상 결과가 흰색 쪽으로 크게 바이어스 되도록 노출 제어가 실행된다. 이와는 반대로, 무채색 영역(M1)이 검은색에 더 가까우면, 단지 가중 요소로 각 영역의 평균 휘도값이 평가값을 계산하기 위해 가중된 가산을 필요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촬상 결과가 검은색 쪽으로 크게 바이어스 되도록 노출 제어가 실행된다. 따라서, 전자 스틸 카메라(1)는 배경 등에 따라 본래 의 목표 물체가 너무 밝거나 혹은 어둡게 촬영되는 것을 방지하고, 본래의 목표 물체를 적절한 밝기로 촬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전자 스틸 카메라(1)에서, 촬상 결과가 극단적으로 어두운 경우를 제외하고, 가중 요소는 다음과 같이 보정계수에 의해 보정된다. 특히, 배경 등에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흰색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흰색 물체에 의해 평가값이 현저하게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중 요소가 보정된다. 이와는 반대로, 배경 등에 낮은 반사율을 가지는 검은색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는, 검은색 물체에 의해 평가값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중 요소가 보정된다. 이러한 보정은 본래의 목표 물체를 적절한 밝기로 촬영할 수 있다.
전자 스틸 카메라(1)에서,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의 그것과의 차이기 커짐에 따라 1로부터 감소하도록 가중 요소(Mn w)는 보정계수(K1)를 생성함으로써 보정된다. 또한, 스크린 전체의 휘도(Yall)가 높아짐에 따라 1로부터 보정계수(K1)의 값 쪽으로 감소되도록 보정계수(K2)가 생성된다. 가중 요소(Mn w)는 평가값을 계산하기 위해 보정계수(K2)에 의해 보정된다. 보정계수(K1 및 K2)의 이러한 설정에 의하면, 스크린 전체의 휘도(Yall)가 너무 낮으면, 가중 요소(Mn w)를 보정하지 않고, 평가값이 계산되고 노출 제어의 처리가 실행된다.
휘도 레벨이 낮으면, 각 색 데이터의 화소값도 작다. 따라서, 화소값의 비율의 판정에 근거한 무채색 및 유채색 영역으로 영역의 분류에서, 몇몇 영역들은 틀리게 분류될 수 있다. 거기서, 이 전자 스틸 카메라(1)에서는, 스크린 전체의 휘도(Yall)가 낮으면, 가중 요소(Mn w)를 보정하지 않고 평가값이 계산된다. 이것은 무채색 및 유채색 영역의 틀린 분류에 의한 잘못된 노출 제어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전자 스틸 카메라(1)에서 보정계수(K2)의 이러한 설정에 의해, 촬상 결과의 휘도값이 소정의 값보다 작으면,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의 그것과의 차이에 상관없이 제어량의 변화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의 변화 사이의 관계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틀린 노출 제어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스틸 카메라(1)에서, 유채색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의 휘도값으로서, 유채색 영역 중에서 가장 높은 채도를 가지는 최대 채도 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이 적용된다. 그 결과, 전자 스틸 카메라(1)는 고휘도의 유채색 목표 물체의 배경으로 흰색 물체가 존재하면, 촬상 소자의 다이나믹 레인지의 상한으로 고휘도 부분이 포화되어 흰 부분으로 촬영되는, 소위 흰색 포화(확대된 가장 밝은 부분)를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3) 실시예의 효과
상기 기술된 구성에 의하면,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의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의 변화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의 그것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되도록 노출 제어가 실행된다. 이 특징은 종래의 구성 및 도면과 비교하여 보다 적절한 노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가값을 계산하기 위해 이용된 가중 요소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무채색 영역의 그것과의 차이에 따라 나타난다. 그것에 의해,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의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의 변화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의 그것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되도록 노출 제어가 실행된다. 가중 요소에 대한 이 처리는 종래의 구성 및 도면과 비교하여 좀더 적절한 노출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이 설정에서, 촬상 결과의 휘도값이 소정의 값보다 작으면,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의 그것과의 차이에 상관없이 제어량의 변화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의 변화 사이의 관계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틀린 노출 제어가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유채색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유채색 영역 중에서 가장 높은 채도를 가지는 최대 채도 영역이 적용된다. 이것은 소위 흰색 포화상태를 표과적으로 피할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자 스틸 카메라에 적용된 메인 제어회로의 처리 순서를, 도 1과 비교하여,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이 실시예의 전자 스틸 카메라는 메인 제어회로의 처리 순서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 상기 기술된 제 1실시예의 전자 스틸 카메라(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의 구성이 이용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메인 제어회로(13)는 1 프레임마다 도 5에 나타낸 처리 순서를 실행한다. 특히, 스텝(SP21)에서 이 처리 순서를 개시하면, 메인 제어회로(13)는 스텝(SP22)에서 CCD 고체 촬상 소자(3)에 의해 1 프레임의 촬상 결과를 취득한다. 계속해서, 스텝(SP23)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11)에 의해 휘도 데이터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취득한다. 다음의 스텝(SP24)에서, 보정된 검출 결과가 화이트 밸런스 조정 후의 신호 레벨을 각각 갖도록 메인 제어회로(13)는 검출 결과를 보정한다. 또한, 메인 제어회로(13)는 임계값에 근거한 색 데이터 중에서 신호 레벨비를 판정하여, 그것에 의해 촬상 결과에서 확인된 영역을 무채색 영역과 유채색 영역으로 분류한다. 계속해서, 스텝(SP25)에서, 유채색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으로서, 메인 제어회로(13)는 가장 높은 채도를 가지는 최대 채도 영역(Cmax)을 유채색 영역으로부터 검출한다.
스텝(SP26)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무채색 영역(M1, M2, M3,…)으로 분류된 영역의 평균 휘도값(M1 y, M2 y, M3 y,…)의 연산 평균(M y ave)을 계산한다. 계속해서, 스텝(SP27)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연산 평균(M y ave)과 최대 채도 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을 비교한다.
다음의 스텝(SP28)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연산 평균(M y ave)이 최대 채도 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보다 일정값 이상 큰지 아닌지, 또는 연산 평균(M y ave)이 최대 채도 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보다 일정값 이상 작은지 아닌지를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판정한다. 스텝(SP28)의 처리를 통해, 메인 제어회로(13)는 최대 채도 영역(Cmax)를 기준으로 무채색 영역 전체의 밝기가 흰색에 가까운지 혹은 검은색 더 가까운지 판정한다. 무채색 영역(M1)이 흰색에 가까운지 혹은 검은색에 가까운지의 판정은 최대 채도 영역의 평균 휘도와의 비교에 근거하는 것 뿐만 아니라 유채색 영역 전체의 평균 휘도와의 비교에 근거한 것이어도 좋다.
연산 평균(M y ave)이 최대 채도 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과 다르면, 메인 제어회로(13)는 목표 휘도를 보정하는 계수를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순서가 스텝(SP28)에서 스텝(SP29)으로 진행한다. 이 처리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연산 평균(M y ave)을 최대 채도 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을 나눔으로써 보정계수(K1)를 생성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산 평균(M y ave)이 증가함으로써 보정계수의 값(K1 ref)이 증가하고, 연산 평균(M y ave)이 최대 채도 영역(Cmax)의 평균 휘도값(Cmax y)이 일치할 때 값은 1이다.
스텝(SP30)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스텝(SP29)에서 생성된 보정계수(K1 ref)를 보정하고, 그것에 의해 제어 목표값를 보정하는 보정계수(K2 ref)를 생성한다. 스텝(SP30)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1 스크린의 평균 휘도값(Yall)을 검출하고, 임계값(t1 및 t2)에 근거한 1 스크린의 평균 휘도값(Yall)을 판정한다. 또한, 메인 제어회로(13)는 보정계수(K1 ref)를 판정한다. 보정계수(K1 ref)가 1보다 큰 경우, 즉, 무채색 영역의 휘도가 유채색 영역의 그것보다 더 크면, 메인 제어회로(13)는 다음과 같이 보정계수(K2 ref)를 설정한다. 특히,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 휘도값(Yall)이 임계값(t2)보다 크면, 메인 제어회로(13)는 보정계수(K2 ref)를 보정계수(K1 ref)의 값으로 설정한다. 평균 휘도값(Yall)이 임계값(t1)보다 작으면, 보정계수(K2 ref)는 1로 설정된다. 평균 휘도값(Yall)이 임계값(t1)에서 임계값(t2)의 범위 내이면, 보정계수(K2 ref)는 평균 휘도값(Yall)에 비례하여 보정계수(K1 ref)의 값 쪽으로 1로부터 증가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이와는 반대로, 보정계수(K1 ref)가 1보다 작으면, 즉, 무채색 영역의 휘도가 유채색 영역의 그것보다 낮으면, 메인 제어회로(13)는 다음과 같이 보정계수(K2 ref)를 설정한다. 특히,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 휘도값(Yall)이 임계값(t2)보다 크다면, 메인 제어회로(13)는 보정계수(K2 ref)를 보정계수(K1 ref)로 설정한다. 평균 휘도값(Yall)이 임계값(t1)보다 작으면, 보정계수(K2 ref)는 1로 설정된다. 평균 휘도값(Yall)이 임계값(t1)에서 임계값(t2)의 범위 내이면, 보정계수(K2 ref)는 평균 휘도값(Yall)에 비례하여 보정계수(K1 ref)의 값 쪽으로 1로부터 감소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제 1실시예와 유사하게, 보정계수(K2 ref)는 평균 휘도값(Yall)에 대신하여 최대 채도 영역의 평균 휘도값(Cmax y)을 이용함으로써 생성되어도 좋다.
스텝(SP31)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평가값의 제어 목표값(Ref)에 보정계수(K2 ref)를 곱셈한다. 이것에 의해, 무채색 영역이 흰색에 더 가까우면 촬상 결과가 흰색 쪽으로 바이어스되는 반면, 무채색 영역이 검은색에 더 가까우면 촬상 결과가 검은색 쪽으로 바이어스 되도록 메인 제어회로(13)가 노출 제어의 제어 목표값(Ref)을 보정한다.
계속해서, 스텝(SP32)에서, 메인 제어회로(13)는 각 영역의 평균 휘도값를 가중 요소(Mn w)로 가중된 가산을 하고, 그것에 의해 촬상 결과의 밝기를 나타내는 평가값를 계산한다. 또한, 평가값이 스텝(SP31)에서 계산된 제어 목표값(Ref)이 되도록, 메인 제어회로(13)는 아이리스(5), CCD 고체 촬상 소자(3)의 전하 축적 시간 및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9)의 이득을 제어하고, 그리고 나서 처리 순서를 종 료하기 위해 스텝(SP33)으로 진행한다.
도 5의 처리 순서의 실행을 통해, 메인 제어회로(13)는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에 대한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 따라 제어 목표값을 보정하고, 그것에 의해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의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의 변화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의 그것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하도록 노출 제어를 실행한다.
제 2실시예에 의하면, 무채색 영역이 흰색에 더 가까우면 촬상 결과가 흰색 쪽으로 바이어스되는 반면, 무채색 영역이 검은색에 더 가까우면 촬상 결과가 검은색 쪽으로 바이어스 되도록 노출 제어가 무채색 영역 전체의 평균 휘도에 근거하여 실행된다. 이 구성은 제 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 근거한 노출 제어는 노출 제어의 제어 목표값의 보정을 통해 실행된다. 이것은 제 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실시예)
상기 기술된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무채색 영역의 가중 요소를 각 영역마다 감소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유채색 영역의 가중 요소를 증대시켜도 좋다. 특히, 무채색 영역(Mn)의 평균 휘도값의 평균(Mn y sum)이 유채색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의 휘도값(Cmax y)보다 큰 경우, 평균(Mn y)은 보정계수(Cmax y/Mn y sum)를 계산하기 위해 나타내는 영역의 휘도값(Cmax y)으로 나누어지고, 유채색 영역의 가중 요소는 보정계수(Cmax y/Mn y sum)를 곱한다. 이와는 반대로, 무채색 영역(Mn)의 평균 휘도값의 평균(Mn y sum)이 유채색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의 휘도값(Cmax y)보다 작은 경우, 나타내는 영역의 휘도값(Cmax y) 은 보정계수(Mn y sum/Cmax y)를 계산하기 위해 평균(Mn y sum)으로 나누어지고, 유채색 영역의 가중 요소는 보정계수(Mn y sum/Cmax y)를 곱한다.
상기 기술된 제 1실시예에 있어서, 무채색 영역의 가중 요소는 각 영역마다 감소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무채색 영역의 평균 휘도값이 감소되도록 해도 좋고, 또는 유채색 영역의 평균 휘도값가 증가되어도 좋다. 특히, 무채색 영역의 평균 휘도값를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관련된 영역의 휘도값이 유채색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의 휘도값(Cmax y)과 무채색 영역을 나타내는 영역의 휘도값(Cmax y) 사이의 평균((Cmax y+Mn y)/2)으로 감소된다.
제 1실시예에서, 파라미터로서 전체 휘도값에 따라 보정계수(K2)는 도 3및 도 4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Cmax y)과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으로부터 생성된 보정계수(K1)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즉, 보정계수(K1)의 특성은 무채색 영역이 흰색에 더 가까울 때와 검은색에 더 가까울 때 사이에서 변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보정계수(K2)의 특성이 무채색 영역이 흰색에 가까울 때와 검은색에 가까울 때 사이에서 변환되어도 좋다. 또한, 제 2실시예의 구성에서, 보정계수(K2)의 특성 대신에 보정계수(K1)의 특성은 무채색 영역이 흰색에 더 가까운 때와 검은색에 더 가까운 때 사이에 변환되어도 좋다.
제 2실시예에서, 제어 목표값은 1 스크린에서 무채색 영역의 평균 휘도값을 이용함으로써 보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평가값 자체를 보정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가중 요소는 광도 측정 모드에 따라 변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전 영역의 가중 요소가 1인 구성, 즉, 평가값이 단지 휘도값을 서로 가산함으로써 계산되는 구성의 경우에도 넓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적색, 녹색, 청색의 색 데이터는 색상 신호로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보색계(complementary color)의 색 데이터가 사용되는 구성에도 넓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메인 제어회로는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에 의한 검출을 통해 얻어진 검출 결과를 처리하고, 그것에 의해 노출 제어를 행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디지털 신호 처리회로의 검출 처리가 메인 제어회로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고, 일련의 처리가 연산 처리기에 의해 실행되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아이리스, CCD 고체 촬상 소자의 전하 축적 시간 및 아날로그 신호 처리회로의 이득은 노출 제어를 위한 제어 목표로서 설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이러한 제어 목표의 하나 또는 복수가 선택적으로 제어되는 구성 등, 다양한 제어 목표가 제어되는 구성에 넓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전자 스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비디오 카메라 등 다른 다양한 촬상장치에 넓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촬상장치,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프로그램 및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면 전자 스틸 카메라에 적용될 수 있다.
이것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고, 첨부된 청구항과 그와 동등한 실질적인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결합, 부분 결합 및 교체는 설계 요구 및 다른 요소들에 근거하여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배경 등에 흰색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본래의 목표 물체로서 인물 등이 어둡게 촬영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고, 이와는 반대로 배경 등에 검은색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 인물 등이 너무 밝게 촬영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비교하여 적절히 노출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Claims (10)

  1. 촬상장치에 있어서,
    촬상 결과를 출력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취득된 촬상 결과에 근거하여 노출 제어를 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촬상 결과를 무채색 영역과 유채색 영역으로 분류하는 분류수단과,
    상기 촬상 결과의 휘도값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 결과에서의 목표의 밝기를 나타내는 평가값을 계산하는 평가값 계산수단과,
    상기 평가값이 제어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량을 계산하여, 상기 촬상수단에 대한 노출 제어를 행하는 노출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서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에서의 변화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하도록 제어량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촬상수단에 의해 취득된 촬상 결과에 근거하여 노출 제어를 행하는 촬상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상 결과를 무채색 영역과 유채색 영역으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촬상 결과의 휘도값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 결과에서의 목표의 밝기를 나타내는 평가값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값이 제어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량을 계산하여, 상기 촬상수단에 대한 노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에서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에서의 변화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하도록 제어량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계수를 증가하고 부가된 휘도값을 서로 가산함으로써 촬상 결과에서의 각 영역의 휘도값을 증가하여 상기 평가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에 대한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 따라 증가 계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서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에서의 변화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하도록 증가 계수의 설정을 통해 제어량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촬상 결과의 각 영역의 휘도값를 가산하여 상기 평가값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에 대한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 따라 상기 가산 단계에서 가산되는 휘도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서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에서의 변화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하도록 휘도값의 보정을 통해 상기 제어량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에 대한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 따라 상기 평가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서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에서의 변화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하도록 평가값의 보정을 통해 상기 제어량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에 대한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 따라 상기 제어 목표값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서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에서의 변화가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상기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하도록 상기 제어 목표값의 보정을 통해 상기 제어량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결과의 휘도값이 소정의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량에서 변화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서 상응하는 변화 사이의 관계가 무채색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 사이의 차이에 관계없이 변하지 않도록 상기 제어량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8. 연산 처리수단의 실행에 의해 촬상수단을 제어하는 촬상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프로그램에 있어서,
    촬상 결과를 무채색 영역과 유채색 영역으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촬상 결과의 휘도값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 결과에 있어서의 목표의 밝기를 나타내는 평가값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값이 제어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량을 계산하여, 상기 촬상수단에 대한 노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서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에서의 변화가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상기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 하도록 제어량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프로그램.
  9. 연산 처리수단의 실행에 의해 촬상수단을 제어하는 촬상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촬상 결과를 무채색 영역과 유채색 영역으로 분류하는 단계와,
    상기 촬상 결과의 휘도값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 결과에 있어서의 목표의 밝기를 나타내는 평가값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값이 제어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량을 계산하여, 상기 촬상수단에 대한 노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서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에서의 변화가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상기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하도록 상기 제어량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0. 촬상장치에 있어서,
    촬상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이미저(imager)와,
    상기 이미저에 의해 취득된 촬상 결과에 근거하여 노출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촬상 결과를 무채색 영역과 유채색 영역으로 분류하도록 구성된 분류기 와,
    상기 촬상 결과의 휘도값에 근거하여 상기 촬상 결과에서의 목표의 밝기를 나타내는 평가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된 평가값 계산기와,
    상기 평가값이 제어 목표값이 되도록 제어량을 계산하여, 상기 촬상수단에 대한 노출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된 노출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에서 변화에 상응하는 제어량에서의 변화가 무채색 영역의 휘도값과 유채색 영역의 휘도값 사이의 차이에 근거하여 감소하도록 제어량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KR1020070008942A 2006-01-31 2007-01-29 촬상장치,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프로그램,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기록매체 KR200700789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22133A JP4304628B2 (ja) 2006-01-31 2006-01-31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撮像装置の制御方法のプログラム、撮像装置の制御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JP-P-2006-00022133 2006-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995A true KR20070078995A (ko) 2007-08-03

Family

ID=38000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942A KR20070078995A (ko) 2006-01-31 2007-01-29 촬상장치,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프로그램,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기록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11165A1 (ko)
EP (1) EP1814319A1 (ko)
JP (1) JP4304628B2 (ko)
KR (1) KR20070078995A (ko)
CN (1) CN101013252A (ko)
TW (1) TW2007348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9405B2 (ja) * 2008-01-17 2012-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撮像装置
US8379141B2 (en) * 2010-07-02 2013-02-19 Ability Enterprise Co., Ltd. Method of dynamically changing a parameter of a frame
US10721448B2 (en) * 2013-03-15 2020-07-21 Edge 3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exposure bracketing, segmentation and scene organization
JP6483351B2 (ja) * 2014-04-28 2019-03-1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11570371B2 (en) 2017-08-01 2023-01-31 Sony Group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JP2022186166A (ja) * 2021-06-04 2022-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7817A3 (en) * 1989-03-16 1991-12-11 Konica Corporation Electronic still camera
US5295001A (en) * 1990-11-01 1994-03-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having tone control function
JP3412174B2 (ja) * 1992-05-21 2003-06-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動露光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08394A (ja) 2007-08-16
US20070211165A1 (en) 2007-09-13
CN101013252A (zh) 2007-08-08
TW200734805A (en) 2007-09-16
EP1814319A1 (en) 2007-08-01
JP4304628B2 (ja)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87004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露光制御方法
US5194960A (en) Optical image signal control device
US8421882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control method
US7859589B2 (en) Imaging apparatus, and exposure control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CN100594736C (zh) 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
US20040218063A1 (en) Correction apparatus
JPH08340542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TW200833089A (en) Camera modul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m
JP2008048029A (ja) 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9444979B2 (en) Imag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9017229A (ja) 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方法
KR20070078995A (ko) 촬상장치,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프로그램,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기록매체
JP2003324656A (ja) 撮像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H11113018A (ja) 撮像装置
JP4622196B2 (ja) 撮像装置
JP3554069B2 (ja) 撮像装置
JP4028395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4366915B2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2003299107A (ja) 撮像装置
JP3938098B2 (ja) 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JP6272006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136775B2 (ja) 補正装置、撮像装置、補正方法、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3864409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結果の処理方法
US862500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luminance-type gamma correction circuit capable of changing nonlinear characteristic,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for
JP4280365B2 (ja) 撮像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