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512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512A
KR20070078512A KR1020060008829A KR20060008829A KR20070078512A KR 20070078512 A KR20070078512 A KR 20070078512A KR 1020060008829 A KR1020060008829 A KR 1020060008829A KR 20060008829 A KR20060008829 A KR 20060008829A KR 20070078512 A KR20070078512 A KR 20070078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width
discharge cell
discharg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동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8512A/ko
Publication of KR2007007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5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03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in punching machines or punch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2Hand-held perforating or punching apparatus, e.g. a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마주하여 이격 배치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양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격벽, 상기 방전셀 내의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상기 방전셀들에 대응하여 제1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방전셀 내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형광체층으로 덮여지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한다.
격벽, 형광체층, 돌출부, 방전셀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LASMA DISPLAY PANEL}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서 격벽과 형광체층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격벽과 형광체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형광체층의 도포면적을 증대시켜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체방전을 통하여 얻어진 플라즈마로부터 방사되는 진공자외선(VUV: Vacuum Ultra-Violet)을 이용하여 형광체를 여기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가시광으로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일례로서,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배면기판 상에 어드레스전극들을 형성하고, 유전층으로 어드레스전극들을 덮고 있다. 격벽들은 유전층 위의 각 어드레스전극들 사이에 배치되어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형광체층은 격벽들에 형성된다. 이 배면기판에 대향하는 전면기판에는 어드레스전극들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으로 구성되는 표시전극들이 형성되고, 유전층과 MgO 보호막이 이 표시전극들을 덮고 있다. 배면기판 상의 어드레스전극들과 전면기판 상의 표시전극들 쌍이 교차하는 지점에 방전셀이 형성된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는 수백만 개 이상의 단위 방전셀들이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들을 구동시키는 데 기억특성이 이용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한 쌍의 표시전극을 구성하는 유지전극과 주사전극 사이에서 방전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특정 전압 이상의 전위차가 필요하며, 이 경계가 되는 전압을 방전개시전압(Vf: Firing Voltage)이라고 한다. 스캔전압과 어드레스전압을 주사전극과 어드레스전극에 각각 인가하면 방전이 개시되어 방전셀 내에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이 플라즈마의 전자와 이온은 반대 극성을 갖는 전극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 전극에는 유전층이 도포되어 있어 이동된 공간전하들의 대부분은 반대 극성을 가지는 유전층 위에 쌓이며, 결국 주사전극과 어드레스전극 사이의 순(net) 공간전위는 원래 인가된 어드레스전압(Va)보 다 낮아져 방전은 약해지고 어드레스방전은 소멸된다. 이 때, 유지전극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전자가 쌓이며, 주사전극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이온이 쌓이게 되는데, 이들 유지전극 및 주사전극을 덮고 있는 유전층 위에 쌓인 전하들을 벽전하(Qw: Wall Charge)라 하고, 이들 벽전하에 의해 유지전극 및 주사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전압을 벽전압(Vw: Wall Voltage)이라고 한다.
계속해서,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에 방전유지전압(Vs)을 인가할 경우, 상기 방전유지전압(Vs)과 벽전압(Vw)의 크기를 합친 값(Vs+Vw)이 방전개시전압(Vf)보다 높게 되면 방전셀 내에서 유지 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이 때 발생하는 진공 자외선(VUV)은 해당 형광체를 여기시켜 투명한 전면기판을 통하여 가시광을 방출한다.
그러나, 주사전극과 어드레스전극 사이의 어드레스방전이 없을 경우(즉, 어드레스전압(Va)이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유지전극과 주사전극 사이에는 벽전하가 쌓이지 않게 되며, 결과적으로 유지전극과 주사전극 사이의 벽전압도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 때에는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에 가해 준 방전유지전압(Vs)만이 방전셀 내에 형성되며, 이 방전유지전압는 방전개시전압(Vf)보다 낮기 때문에 유지전극과 주사전극 사이의 기체공간을 방전시키지 못한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전효율을 결정짓는 인자들은 여러가지 있다. 그 중 일례로서, 방전셀 내의 방전기체에 노출되는 형광체층의 면적은 진공 자외선과의 충돌 면적을 결정하는 데에 기여하게 된다. 이 진공 자외선에 충돌되는 형광체층의 면적은 형광체층에서 발생되는 가시광량을 결정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이 가시광량은 소비전력에 대한 휘도, 즉 발광효율을 결정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한된 공간을 가지는 방전셀 내에서 형광체층의 도포면적을 증대시켜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마주하여 이격 배치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양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격벽, 상기 방전셀 내의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상기 방전셀들에 대응하여 제1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방전셀 내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형광체층으로 덮여지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제1 격벽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격벽부재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전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격벽부재들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돌출부들은, 상기 방전셀 중심에서 상기 제1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제1 격벽부재들의 측면과 상기 제1 돌출부들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방전셀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는, 제1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하는 제1 부분과,제2 폭을 가지고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2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제1 돌출부들의 제1 부분의 측면과 상기 제1 돌출부의 제2 부분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의 1/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격벽부재들 사이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제2 격벽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방전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격벽부재들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방전셀 중심에서 상기 제2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방전셀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는, 제3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하는 제3 부분과, 제4 폭을 가지고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는 제4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3 폭은 상기 제4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방전셀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한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격벽부재들 사이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제2 격벽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서 격벽과 형광체층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 배치되어 봉착되는 제1 기판(이하, "배면기판"이라 한다)(10)과 제2 기판(이하, "전면기판"이라 한다)(20) 및 이 기판들(10, 20) 사이에 구비되는 격벽(16)을 포함한다. 이 격벽(16)은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 사이에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복수의 방전셀들(17)을 구획한다. 이 방전셀들(17)은 기체방전으로 진공자외선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방전가스(일례로 네온(Ne)과 제논(Xe) 등을 포함하는 혼합가스)를 충전하고 있으며, 이 진공자외선을 흡수하여 가시광을 방출하는 형광체층(19)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체방전으로 화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 사이에서 각 방전셀(17)에 대응하도록 어드레스전극(11)과 제1 전극(이하 "유지전극"이라 한다)(31), 및 제2 전극(이하 "주사전극"이라 한 다)(32)을 구비하고 있다.
일례로서, 어드레스전극(11)은 배면기판(10)의 내부 표면에 제1 방향(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신장(伸長) 형성되어, y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방전셀들(17)에 연속적으로 대응한다. 또한 복수의 어드레스전극들(11)은 y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방전셀들(17)에 대응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 어드레스전극들(11)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배면기판(10)의 내부 표면을 덮어 이루어지는 유전층(13)으로 덮여진다. 이 유전층(13)은 방전시, 양이온 또는 전자가 어드레스전극(11)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어드레스전극(11)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벽전하를 형성 및 축적한다. 이 어드레스전극(11)은 배면기판(10)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조사되는 가시광을 차단하지 않으므로 불투명한 전극 즉, 통전성이 우수한 금속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격벽(16)은 실제로 유전층(13) 상에 구비되어 방전셀들(17)을 구획한다. 격벽(16)은 y축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제1 격벽부재들(16a)과, 이 제1 격벽부재들(16a) 사이에서 x축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제2 격벽부재들(16b)을 포함하여, 방전셀들(17)을 매트릭스(matrix) 구조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격벽(16)은 y축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제1 격벽부재들(16a)로 형성되어, 방전셀들(미도시)을 스트라이프(stripe)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방전셀들은 y축 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편의상, 제1 실시예에는 방전셀(17)을 매트릭스 구조로 형성하는 격벽(16)이 예시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제2 격벽부재들(16b)가 제거되면 스트라이프형 방전셀이 형성된다. 따라서 여기서 스트라이프 구조의 방전셀에 대한 별도 도시를 생략한다.
이 방전셀들(17) 각각에 형성되는 형광체층(19)은 격벽(16)의 측면과, x축 방향으로 이웃하는 격벽(16)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층(13)의 표면에 형광체 페이스를 도포하고, 이를 건조, 노광, 현상 및 소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형광체층(19)은 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방전셀들(17)에서 동일 색상의 형광체로 형성된다. 또한 형광체층(19)은 x축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방전셀들(17)에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형광체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방전셀(17) 내에 형성된 형광체층(19)은 기체방전시 발생되는 진공자외선과 충돌되어 가시광을 발생시키며, 이때 형광체층(19)의 도포면적이 넓을수록 진공자외선과의 충돌 횟수가 많아지면서 발생되는 가시광량이 증대되며 발광효율이 향상된다.
도3은 도1의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4는 도1의 Ⅳ-Ⅳ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격벽(16)은 방전셀(17)의 내부로 돌출되어 형광체층(19)의 도포면적을 증대시키는 돌출부(26)를 구비한다. 일례로서, 격벽(16)은 상기한 제1 격벽부재(16a)로 형성되고, 이때 돌출부(26)는 제1 격벽부재(16a)에서 돌출되는 제1 돌출부(126)로 형성된다(도3 참조).
다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1개의 방전셀(17)은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1쌍의 제1 격벽부재들(16a)로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제1 돌출부들(126)은 제1 격벽부재들(16a) 각각에 형성되어 1개의 방전셀(17)에서 1쌍을 형성한다.
1쌍의 제1 돌출부들(126)은 방전셀(17) 중심에서 y축 방향의 중심선(Ly)을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한다. 이 제1 돌출부들(126) 각각은 방전셀(17)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형광체층(19)의 도포면적을 증대시킨다.
이때, 형광체층(19)은 제1 격벽부재들(16a)의 측면과 제1 돌출부들(126)의 측면에 형성된다. 즉 형광체층(19)은 제1 돌출부(126)에서 이의 곡면을 따라 방전셀(17)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으로 형성된다.
이 제1 돌출부(126)는 방전셀(17)의 중심을 향하여 x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광체층(19)의 도포면적을 증대시킨다.
도3을 참조하면, 제1 돌출부(126)는 제1 폭(W1)을 가지고 배면기판(1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 부분(126a)과, 제2 폭(W2)을 가지고 전면기판(2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2 부분(126b)를 구비한다. 또한 제1 폭(W1)은 제2 폭(W2)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부분(126a) 및 제2 부분(126b)는, 편의상 제1 돌출부(126)를 z축 방향을 따라 대략 2등분할 때, 배면기판(10) 측에 인접하는 부분 및 전면기판(20) 측에 인접하는 부분을 각각 지칭한다.
이때, 형광체층(19)은 제1 돌출부(126)에서 제1 부분(126a)의 측면과 제2 부분(126b)의 측면에 형성된다.
제1 폭(W1)이 제2 폭(W2)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제1 돌출부(126)는 방전셀(17)의 내측에 경사면(126c)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사면(126c)은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형광체층(19)의 도포면적을 더욱 증대시킨다.
제1 돌출부(126)의 구조적 안정을 위하여, 제2 폭(W2)은 제1 폭(W1)의 1/2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제1 폭(W1)은 방전셀(17)의 하측(도3에서)에 구비되는 어드레스전극(11)을 덮지 않는 크기로 설정된다. 이때, 제1 돌출부(126)는 어드레스전극(11)과 주사전극(32) 사이에서 일어나는 어드레스 방전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 도4를 참조하면, 격벽(16)은 제1 격벽부재들(16a) 사이에 x축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제2 격벽부재들(16b)을 포함하고, 이때 돌출부(26)는 제2 격벽부재(16b)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226)를 포함한다(도4 참조).
다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1개의 방전셀(17)은 y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1쌍의 제2 격벽부재들(16b)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제2 돌출부들(226)은 제2 격벽부재들(16b) 각각에 형성되어 1개의 방전셀(17)에서 1쌍을 형성한다.
1쌍의 제2 돌출부들(226)은 방전셀(17)의 중심에서 x축 방향의 중심선(Lx)을 기준으로 y축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한다. 이 제2 돌출부들(226) 각각은 방전셀(17)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형광체층(19)의 도포면적을 증대시킨다.
이때, 형광체층(19)은 제2 격벽부재들(16b)의 측면과 제2 돌출부들(226)의 측면에 형성된다. 즉 형광체층(19)은 제2 돌출부(226)에서 이의 곡면을 따라 방전셀(17)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으로 형성된다.
이 제2 돌출부(226)는 방전셀(17)의 중심을 향하여 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광체층(19)의 도포면적을 증대시킨다.
도4를 참조하면, 제2 돌출부(226)는 제3 폭(W3)을 가지고 배면기판(1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3 부분(226a)과, 제4 폭(W4)을 가지고 전면기판(20)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4 부분(226b)를 구비한다. 또한 제3 폭(W3)은 제4 폭(W4)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제3 부분(226a) 및 제4 부분(226b)는, 편의상 제2 돌출부(226)를 z축 방향을 따라 대략 2등분할 때, 배면기판(10) 측에 인접하는 부분 및 전면기판(20) 측에 인접하는 부분을 각각 지칭한다.
이때, 형광체층(19)은 제2 돌출부(226)에서 제2 돌출부(226)의 제3 부분(226a)의 측면과 제4 부분(226b)의 측면에 형성된다.
제3 폭(W3)이 제4 폭(W4)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제2 돌출부(226)는 방전셀(17)의 내측에 경사면(226c)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사면(226c)은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하여, 형광체층(19)의 도포면적을 더욱 증대시킨다.
제2 돌출부(226)의 구조적 안정을 위하여, 제4 폭(W4)은 제3 폭(W3)의 1/2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지전극(31)과 주사전극(32)은 전면기판(20)의 내부 표면에 구비되어, 방전셀들(17)에서 기체방전을 일으키도록 각 방전셀(17)에 대응하여 면방전 구 조를 형성한다. 이 유지전극(31)과 주사전극(32)은 어드레스전극(11)과 교차하는 x축 방향을 따라 신장 형성된다.
예를 들면, 유지전극(31)과 주사전극(32) 각각은 방전을 일으키는 투명전극(31a, 32a)과, 이 투명전극(31a, 32a)에 전압 신호를 각각 인가하는 버스전극(31b, 32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투명전극들(31a, 32a)은 방전셀(17) 내부에서 면방전을 일으키는 부분으로서, 방전셀(17)의 개구율 확보를 위하여 투명한 소재(일례로서 ITO: Indium Tin Oxide)로 형성된다. 버스전극들(31b, 32b)은 투명전극들(31a, 32a)의 높은 전기 저항을 보상하도록 통전성이 우수한 금속 소재로 형성된다.
투명전극들(31a, 32a)은 y축 방향을 따라 방전셀(17)의 외곽에서 중심으로 각 폭(W31, W32)을 가지고 서로 면방전 구조를 형성하며, 각 방전셀(17)의 중심 부분에서 방전 갭(G)을 형성한다. 버스전극들(31b, 32b)은 투명전극들(31a, 32a) 상에 각각 배치되고 방전셀(17)의 외곽에서 x축 방향으로 신장 형성된다. 따라서 버스전극들(31b, 32b)에 전압 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각 버스전극들(31b, 32b)에 연결되는 투명전극들(31a, 32a) 각각에 전압 신호가 인가된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유지전극(31) 및 주사전극(32)은 어드레스전극들(11)과 교차하여 방전셀(17)에 대응하면서, 유전층(41)으로 덮여진다. 이 유전층(41)은 유지전극(31) 및 주사전극(32)을 기체방전으로부터 보호하면서 방전시 벽전하를 형성 및 축적한다.
상기 유전층(41)은 보호막(42)으로 덮여진다. 예를 들면, 보호막(42)은 유전 층(40)을 보호하는 투명한 MgO로 형성되어, 방전시 이차전자방출계수를 증가시킨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시, 리셋 기간에서는 주사전극(31)에 인가되는 리셋 펄스에 의하여 리셋 방전이 일어나고, 이 리셋 기간에 이어지는 어드레싱 기간에서는 주사전극(32)에 인가되는 스캔 펄스와 어드레스전극(11)에 인가되는 어드레스 펄스에 의하여 어드레스 방전이 일어나며, 그 후, 유지 기간에서는 유지전극(31)과 주사전극(32)에 인가되는 유지 펄스에 의하여 유지 방전이 일어난다.
이 유지전극(31)과 주사전극(32)은 유지 방전에 필요한 유지 펄스를 인가하는 전극의 역할을 하고, 주사전극(32)은 리셋 펄스 및 스캔 펄스를 인가하는 전극의 역할을 하며, 어드레스전극(11)은 어드레스 펄스를 인가하는 전극의 역할을 한다. 이 유지전극(31), 주사전극(32), 및 어드레스전극(11)은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에 따라 그 역할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이 역할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어드레스전극(11)과 주사전극(32)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어드레스 방전에 의하여 켜질 방전셀들(17)을 선택하고, 유지전극(31)과 주사전극(32)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유지 방전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방전셀들(17)을 구동시켜, 화상을 구현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격벽과 형광체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2 실시예를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서로 동일 및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 을 생략하고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제1 실시예의 제1 돌출부(126)는 방전셀(17)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제2 실시예의 제1 돌출부(326)는 방전셀(117)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한 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돌출부(326)는 제1 격벽부재(116a)에서 y축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형광체층(119)의 도포면적을 증대시킨다.
격벽(116)은 제1 격벽부재(116a)들, 제1 격벽부재들(116a) 사이에서 x축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고, y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제2 격벽부재들(116b)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서 격벽(116)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격벽부재들(116a)만으로 형성되어 방전셀(117)을 스트라이프 구조로 형성할 수 있고, 제2 격벽부재들(116b)를 더 구비하여 방전셀(117)을 매트릭스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하면, 방전셀을 형성하는 격벽에 방전셀 내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형광체 층의 도포면적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진공자외선이 충돌되는 형광체의 면적이 증대되어 발생되는 가시광의 양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소비전력에 대한 휘도 즉,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서로 마주하여 이격 배치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
    상기 양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격벽;
    상기 방전셀 내의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형광체층;
    상기 방전셀들에 대응하여 제1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각각 신장 형성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방전셀 내부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형광체층으로 덮여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제1 격벽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격벽부재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는 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격벽부재들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돌 출부들은,
    상기 방전셀 중심에서 상기 제1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제1 격벽부재들의 측면과 상기 제1 돌출부들의 측면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방전셀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으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제1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하는 제1 부분과,
    제2 폭을 가지고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는 제2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폭은 상기 제2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제1 돌출부들의 제1 부분의 측면과 상기 제1 돌출부의 제2 부분의 측면에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의 1/2 이하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격벽부재들 사이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제2 격벽부재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방전셀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격벽부재들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방전셀 중심에서 상기 제2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방전셀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으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제3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하는 제3 부분과,
    제4 폭을 가지고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는 제4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3 폭은 상기 제4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방전셀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한 각형으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격벽부재들 사이에 상기 제2 방향으로 신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제2 격벽부재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60008829A 2006-01-27 2006-01-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785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829A KR20070078512A (ko) 2006-01-27 2006-01-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829A KR20070078512A (ko) 2006-01-27 2006-01-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512A true KR20070078512A (ko) 2007-08-01

Family

ID=3859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829A KR20070078512A (ko) 2006-01-27 2006-01-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85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71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77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77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7851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69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96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690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0086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9770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3864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10472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0358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10158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1082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0358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3681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10499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3864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10102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3583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8435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1082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3897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10546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10472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