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278A -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278A
KR20070078278A KR1020060008394A KR20060008394A KR20070078278A KR 20070078278 A KR20070078278 A KR 20070078278A KR 1020060008394 A KR1020060008394 A KR 1020060008394A KR 20060008394 A KR20060008394 A KR 20060008394A KR 20070078278 A KR20070078278 A KR 20070078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otor bracket
motor
clothes dry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8278A/ko
Publication of KR20070078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 사이에 발생되는 마모 현상 및 소음 등을 방지하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의류건조기의 바닥을 구성하면서 지지공이 형성된 베이스; 모터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모터를 감싼부위의 양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플랜지의 테두리 끝단 까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모터 브라켓; 상기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모터의 의한 모터 브라켓의 진동을 흡수하며, 상,하부가 관통된 가이드공을 가지는 방진부재; 그리고, 상기 가이드공을 관통하면서 모터 브라켓을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의류건조기,모터어셈블리,체결공,절개부,방진부재

Description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구조{fixable strucrure of motor bracket and base for clothes dryer}
도 1은 종래의 의류건조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A"부를 나타낸 확대도로서, 모터 어셈블리가 베이스에 체결되기 전,후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본체 케이스 200 : 드럼
201 : 흡입구 202 : 배출구
203 : 벨트 210 : 인렛덕트
220 : 히터 230 : 아웃렛 덕트
240 : 송풍팬 300 : 모터 어셈블리
310 : 모터 브라켓 311 : 플랜지
312 : 체결공 313 : 절개부
320 : 모터 321 : 회전축
330 : 방진부재 331 : 삽입부
332 : 방진부 333 : 가이드공
340 : 체결수단 341 : 볼트
342 : 너트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용 모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 어셈블리와 의류건조기 베이스의 새로운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은 건조대로 운반되어 자연건조를 하게 되는데, 장마철이나 기상이 불규칙한 날의 경우에는 상기 세탁물의 자연건조가 지연되어 바쁜 일상의 현대인들이 많은 불편함을 겪게 된다.
이에따라, 기상에 관계없이 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한 기기가 요구되었으며, 이로인해 개발된 기기가 의류 건조기이다.
상기 의류 건조기는 바쁜 일상의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그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또한, 의류 건조기는 가열수단에 의해 건조공기를 가열한 후, 상기 건조공기를 드럼내로 송풍시켜 건조 대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이 과정에서, 드럼내에 발생되는 습한 공기의 처리 방식에 따라 응축식 의류 건조기와 배기식 의류 건조기로 구분된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배기식 의류 건조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배기식 의류건조기를 단면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10)와,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20)과, 건조공기가 송풍되는 관로인 인렛덕트(30)/아웃렛덕트(40)와, 모터 어셈블리(50)로 구성된다.
본체 케이스(10)는 바닥을 구성하는 베이스(11)를 포함하고, 본체케이스(10)의 전면 상부에는 의류건조기의 각종 조작을 위한 버튼(12a) 등이 설치된 컨트롤부(12)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 케이스(10)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드나들 수 있도록 드럼(20)과 연통된 투입구(13)가 형성되고, 본체 케이스(10)의 전면 중 투입구(13)의 일측에는 상기 투입구(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D)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드럼(20)의 외면에는 모터 어셈블리(5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벨트(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인렛덕트(30)는 드럼(20)의 후면에 설치되어 건조공기를 드럼(20)내로 안내하고, 아웃렛덕트(40)는 드럼(20)내의 습한공기를 본체케이스(10)의 외부로 안내한다.
이때, 인렛덕트(30)의 일측에는 건조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히터(31)가 설치되고, 아웃렛덕트(40)의 내부에는 건조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41)이 설치된 다.
그리고, 모터 어셈블리(50)는 드럼(20)을 회전시키는 모터(51)와, 상기 모터(51)를 감싸며 베이스(11)에 지지되는 모터 브라켓(52)으로 구성된다.
이때, 모터(51)는 송풍팬(41)과 드럼(2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터 브라켓(52)은 모터(51)를 감싸면서 볼트(B)에 의해 베이스(11)에 고정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의류건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모터 브라켓(52)과 베이스(11)가 직접 맞닿게 체결되므로, 모터(51)의 회전력으로 인한 모터 브라켓(52)의 진동시, 상기 모터 브라켓(52)과 베이스(11)의 잦은 접촉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고 상기 모터 브라켓(52)과 베이스(11)가 접촉되는 각각의 부분이 쉽게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둘째, 모터(51)의 회전력으로 인한 모터 브라켓(52)의 진동이 베이스(11)와 모터 브라켓(52)의 체결부위에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경우, 볼트(B)의 체결력이 약해져 상기 모터 브라켓(52)이 베이스(11)로부터 탈거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 브라켓이 베이스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모터 브라켓의 진동이 베이스와 모터 브라켓의 체결부위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의류건조기의 바닥을 구성하며 지지공이 형성된 베이스; 모터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모터를 감싼부위의 양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플랜지의 테두리 끝단 까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모터 브라켓; 상기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모터의 의한 모터 브라켓의 진동을 흡수하며, 상,하부가 관통된 가이드공을 가지는 방진부재; 그리고 상기 가이드공을 관통하면서 모터 브라켓을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의 체결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방진부재는 절개부를 통해 체결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부 및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모터 브라켓의 체결공에 삽입부가 끼워졌을 때, 체결수단과 모터 브라켓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고, 모터 브라켓의 저면과 베이스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방진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진부재의 재질은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진부의 직경은 삽입부의 직경에 비해 크기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개부가 시작되는 플랜지 테두리의 끝 단은 만곡지게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의 체결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를 살펴보면, 의류건조기는 본체케이스(100)와, 드럼(200)과, 모터 어셈블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 케이스(100)는 의류건조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면을 구성하는 탑플레이트(110)와, 양 측면을 구성하는 사이드 캐비닛(120)과, 전면을 구성하는 프론트 캐비닛(130)과, 저면을 구성하는 베이스(140)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캐비닛(130)의 중앙부위에는 세탁물이 드럼(200)내로 드나들 수 있도록 상기 드럼(200)과 연통된 투입구(131)가 형성되고, 프론트 캐비닛(130) 중 투입구(131)의 일측에는 상기 투입구(1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D)가 설치된다.
또한, 프론트 캐비닛(130)의 상부에는 의류건조기의 각종 조작을 위한 조작버튼(410)이 구비된 컨트롤부(400)가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140)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300)가 베이스(14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기 위한 다수의 지지공(141)이 형성된다.
그리고, 드럼(200)은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드럼(200)의 외면에는 모터 어셈블리(30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벨트(203)가 감겨진다.
또한, 드럼(200)의 후면 상부에는 다수의 흡입공(201)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201)에는 인렛덕트(210)의 일단이 연결된다.
또한, 인렛덕트(210)의 타단에는 히터(220)가 연결되며, 상기 히터(220)에 의해 공기가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후술하는 송풍팬(240)에 의해 인렛덕트(210)를 따라 드럼 (200)내로 유입된다.
또한, 드럼(200)의 전면 하부에는 다수의 배출공(202)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202)에는 아웃렉덕트(230)의 일단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아웃렛덕트(230)의 타단은 본체케이스(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아웃렛덕트(230)의 내부에는 송풍팬(240)이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240)은 외부공기가 드럼(200)내부를 거쳐 드럼(200)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모터 어셈블리(300)는 상기 드럼(200)과 송풍팬(24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어셈블리(300)는 모터 브라켓(310)과, 모터(320)와, 방진부재(330)와, 체결수단(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 브라켓(310)은 상기 모터(3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베이스9140)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모터 브라켓(310)은 상기 모터(320)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모터(320)를 감싼부위의 양 끝단에는 베이스(140)와 접촉되는 플랜지(311)가 형성된다.
이때, 양 플랜지(311)에는 방진부재(330)가 삽입되고, 모터 브라켓(310)이 베이스(140)에 설치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312)이 형성된다.
이때, 체결공(312)에는 상기 체결공(312)의 일측으로부터 플랜지(311)의 테두리 끝단 까지 절개된 절개부(313)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방진부재(330)가 상기 체결공(312)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를테면, 상기 절개부(313)는 방진부재(330)를 체결공(312)에 삽입시키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개부(313)가 시작되는 플랜지(311) 테두리의 끝 단은 만곡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방진부재(330)가 체결공(312)으로 삽입되기 위해 절개부(313)에 가이드될 때 상기 절개부(313)에 부드럽게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모터(320)는 상기 드럼(200)과 송풍팬(24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모터 브라켓(310)에 감싸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모터(320)의 회전축(321)은 드럼(200)과 송풍팬(24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320)의 전,후방 양측에 돌출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송풍팬(240)과 드럼(200)에 각각 모터 어셈블리(300)가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의류건조기의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본체 케이스(100) 내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발생된다.
이때, 어느 한 측의 회전축은 송풍팬(240)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다른 한 측의 회전축은 드럼(200)을 감싸고 있는 벨트(203)에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방진부재(330)는 모터 브라켓(310)의 플랜지(311)와 베이스(140) 사이에 개재되며, 모터(320)의 회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모터 브라켓(310)의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베이스(140)에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방진부재(330)는 상기 절개부(313)를 통해 체결공(312)에 삽입되는 삽입부 (331)와 상기 삽입부(331)의 상부 및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방진부(33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방진부(332)의 직경은 체결공(312)의 직경에 비해 크기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방진부재(330)가 체결공(312)에 삽입되었을때, 상기 체결공(312)을 통해 방진부재(330)가 플랜지(311)의 상부 혹은, 하부로 탈거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삽입부(331)의 직경은 상기 절개부(313)의 폭의 크기에 비해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체결공(312)에 삽입된 방진부재(330)가 역으로 쉽게 탈거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방진부재(330)에는 방진부재(330)의 상,하부를 관통시키는 가이드공(3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진부재(330)의 재질은 고무재질임이 바람직하다.
이는, 모터 브라켓(310)의 플랜지(311)가 체결수단(340)에 의해 베이스(140)에 체결될 때, 상기 방진부재(330)가 상기 플랜지(311)와 베이스(140)의 사이에서 탄력적으로 압착됨으로써 상기 모터 브라켓(310)과 베이스(140)의 체결력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체결수단(340)은 상기 가이드공(333)을 관통하면서 베이스(140)의 지지공(141)을 통해 상기 베이스(14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볼트 (341)와, 상기 볼트(341)를 베이스(140)의 외면에서 체결시킬 수 있는 너트(342)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가 의류건조기의 베이스에 체결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모터 브라켓(310)의 내부에 모터(320)를 장착시킨다. 이때,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상기 모터(320)는 모터 브라켓(310)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별도의 유동방지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다음으로, 모터 브라켓(310)의 플랜지(311)에 형성된 각각의 절개부(313)를 통해 방진부재(330)의 삽입부(331)를 체결공(312)까지 밀어서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삽입부(331)는 절개부(313)의 입구를 구성하는 플랜지(311)의 끝단이 만곡짐으로 인해 부드럽게 절개부(313)에 진입될 수 있다.
이후, 삽입부(331)는 절개부(313)를 구성하는 플랜지(311)의 내측면에 압착되면서 체결공(312)에 삽입된다.
즉, 상기 삽입부(331)는 내부가 통공으로 이루어진 고무재질이므로, 상기 삽입부(331)의 직경이 상기 절개부(313)의 폭에 비해 크게 형성되더라도, 큰 무리없이 삽입부(331)는 체결공(312)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모터(320)와 방진부재(330)가 장착된 모터 브라켓(310)을 상기 베이스(140)에 안착시킨다.
이때, 베이스(140)에 형성된 지지공(141)에 방진부재(330)에 형성된 가이드공(333)의 위치를 일치시킨다.
다음으로, 볼트(341)를 방진부재(330)의 상부에서 가이드공(333)으로 삽입시켜 베이스(140)의 지지공(141)을 통해 외부로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볼트(341)가 베이스(140)의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 너트(342)를 체결하여 볼트(341)를 조이면, 상기 방진부재(330)는 볼트(341)와 플랜지(311)에 의해 점점 가압되면서 모터 브라켓(310)의 플랜지(311)와 베이스(140) 사이에서 압착이 된다.
이로써, 모터 브라켓(310)은 베이스(14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의 체결구조에 의하면, 모터 브라켓이 볼트에 의해 베이스에 고정될 때, 모터 브라켓의 플랜지와 베이스 사이에 방진부재가 개재됨으로써, 상기 플랜지와 베이스 사이에 간격이 생겨 잦은 접촉으로 인해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가 마모되는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 사이에 개재된 방진부재가 모터의 회전력으로 인해 발생된 모터 브라켓의 진동을 흡수함으로써, 모터 브라켓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상기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 사이에 개재된 고무재질의 방진부재가 모터 브라켓의 플랜지와 베이스 사이에서 압착됨으로써, 모터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력은 더욱 견고히 이루어진다.

Claims (6)

  1.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의류건조기의 바닥을 구성하면서 지지공이 형성된 베이스;
    모터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모터를 감싼부위의 양 끝단에 형성된 플랜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공으로부터 플랜지의 테두리 끝단 까지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모터 브라켓;
    상기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모터의 의한 모터 브라켓의 진동을 흡수하며, 상,하부가 관통된 가이드공을 가지는 방진부재; 그리고
    상기 가이드공을 관통하면서 모터 브라켓을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절개부를 통해 체결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부 및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모터 브라켓의 체결공에 삽입부가 끼워졌을 때, 체결수단과 모터 브라켓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고, 모터 브라켓의 저면과 베이스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방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의 재질은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의 직경은 체결공의 직경에 비해 크기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가 시작되는 플랜지 테두리의 끝 단은 만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구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구조.
KR1020060008394A 2006-01-26 2006-01-26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구조 KR20070078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394A KR20070078278A (ko) 2006-01-26 2006-01-26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394A KR20070078278A (ko) 2006-01-26 2006-01-26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278A true KR20070078278A (ko) 2007-07-31

Family

ID=3850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394A KR20070078278A (ko) 2006-01-26 2006-01-26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82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319B1 (ko) * 2012-12-11 2013-08-20 허택인 버트러스 사방댐
CN105515320A (zh) * 2015-12-03 2016-04-20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中小容量滚筒洗衣机用电机
WO2017222340A1 (ko) * 2016-06-24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319B1 (ko) * 2012-12-11 2013-08-20 허택인 버트러스 사방댐
CN105515320A (zh) * 2015-12-03 2016-04-20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中小容量滚筒洗衣机用电机
WO2017222340A1 (ko) * 2016-06-24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1085142B2 (en) 2016-06-24 2021-08-10 Lg Electronics Inc. Garment processing device
US11624144B2 (en) 2016-06-24 2023-04-11 Lg Electronics Inc. Garment process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5604A (ko) 건조기
US20060179897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US5901465A (en) Clothes dryer with noise reduced drum
US20080148785A1 (en) Washing Machine
JP4937407B2 (ja) ドラム洗濯機
KR20070078278A (ko) 의류건조기용 모터 브라켓과 베이스의 체결구조
US20110023318A1 (en) Clothes dryer
EP1548172B1 (en) Dryer, and motor mounting structure of the same
JP3473573B2 (ja) 洗濯乾燥機
KR100619728B1 (ko) 의류 건조기용 드럼의 실링장치
CA2506502C (en) Laundry dryer with novel exhaust pipe installation structure
US6829845B2 (en) Laundry drier
KR101059814B1 (ko) 의류건조기
KR101537609B1 (ko) 히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
US20060048406A1 (en) Clothing dryer
KR100635911B1 (ko) 의류건조기
KR100638937B1 (ko) 의류 건조기의 모터 소음 저감 구조
KR100437038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건조덕트
KR100240425B1 (ko) 의류 건조기
KR101073251B1 (ko) 건조기의 드럼장치
KR101147738B1 (ko) 의류건조기의 인렛덕트와 히터케이스 간의 결합구조
KR101047232B1 (ko)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KR101053584B1 (ko) 드럼세탁기
JPH0238709Y2 (ko)
KR101297995B1 (ko) 드럼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