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232B1 -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 Google Patents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232B1
KR101047232B1 KR1020030088856A KR20030088856A KR101047232B1 KR 101047232 B1 KR101047232 B1 KR 101047232B1 KR 1020030088856 A KR1020030088856 A KR 1020030088856A KR 20030088856 A KR20030088856 A KR 20030088856A KR 101047232 B1 KR101047232 B1 KR 101047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astening
noise
preventing member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5829A (ko
Inventor
이순조
명환주
도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8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232B1/ko
Priority to EP04292923.2A priority patent/EP1541741B1/en
Priority to US11/006,694 priority patent/US7065904B2/en
Publication of KR20050055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065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용 가전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의복 기타 세탁물이 드럼 내부에서 회전하는 세탁기나 건조기 또는 건조겸용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세탁용 가전기기의 드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 기기용 드럼 장치는 내부에 세탁챔버가 형성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되는 장방형의 소음방지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드럼은 내주면에 상기 세탁챔버내에 수용된 물체를 상승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트가 포함되며, 상기 소음방지 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용 드럼장치에 구비된 소음방지 부재에 의하여, 드럼 내벽과 드럼 내부에서 회전하는 금속성 물체가 부딪혀서 발생되는 타격소음이 흡수되는 효과가 있다.
드럼, 소음방지 부재, 리프트, 체결부재

Description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Drum device for home appliance}
도 1은 일반적인 응축식 드럼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소음방지 부재가 부착된 드럼장치의 일실시예.
도 2b는 상기 드럼장치의 또다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금속재질의 소음방지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b는 상기 소음방지 부재가 드럼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c는 상기 드럼내부에 부착된 리프트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A-A'를 따라 절단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소음방지 부재가 드럼과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리프트의 또다른 일실시예.
도 5b는 상기 리프트가 구비된 드럼의 외주면에 소음방지 부재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소음방지 부재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소음방지 부재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소음방지 부재(200b)가 드럼 외주면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또다른 일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드럼 110 : 세탁챔버 120 : 드럼 지지부
200a, 200b : 소음방지 부재 210 : 체결홈 220 : 체결부재
300 : 리프트 310 : 체결너트 320 : 보강리브
본 발명은 세탁용 가전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의복 기타 세탁물이 드럼 내부에서 회전하는 세탁기나 건조기 또는 건조겸용 세탁기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세탁용 가전기기의 드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장치가 구비되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건조 겸용 세탁기는 드럼의 회전운동을 이용한 장치이다. 즉, 드럼이 회전하면서 드럼 내부에 있는 세탁물도 회전을 하게 되고, 회전에 의하여 세탁물이 상승 및 낙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드럼 세탁기는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에 의하여 세탁수와의 충돌이 발생하고, 상기 충돌에 의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물이 제거된다.
또한, 드럼식 건조기의 경우는 전기히터 또는 가스 연소장치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풍을 드럼내로 송풍하여, 건조 대상물에 잔존하는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건 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기기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드럼이 사용되는 세탁기, 건조기 또는 건조 겸용 세탁기등 모든 가전기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건조기에 사용되는 드럼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응축식 드럼 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응축식 드럼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드럼(12)과, 상기 드럼(12)의 개폐를 조절하는 도어(13)와, 상기 드럼(12)의 외주면에 둘러지는 벨트(11)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벨트(11)와 연결되는 모터축(21)과, 상기 모터 축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7)와,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17)의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면서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냉각팬(16)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냉각팬(16)의 맞은편에서 상기 모터축(21)과 연결되어 드럼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건조팬(18)과, 상기 건조팬(18)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드럼(12)으로 이동되는 통로로서, 내부에 발열부(20)가 장착된 건조덕트(19)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도어(13)가 삽입되는 개구부 하측에 형성되어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습공기에 포함된 보푸라기등의 이물질을 거르는 린트필터(14)와, 상기 린트필터(14)로 들어간 공기가 응축기(미도시)로 이동되는 통로인 순환덕트(15)가 더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건조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건조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터(17)가 회전하게 되고, 또한 상기 건조덕트(19) 내에 부착된 히터(20)가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된 벨트(11)가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12)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2)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 내부에 있는 건조 대상물이 상기 드럼의 내벽을 따라 함께 회전하고 최상측부에 이르면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 대상물은 상기 드럼의 내벽에 부착된 리프트(미도시)에 의하여 상승된다.
한편,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된 건조팬(18)이 모터(17)의 회전과 함께 작동하게 되어, 상기 린트 필터(14)를 거친 순환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흡입된 공기는 상기 건조 덕트(19)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히터를 거쳐 고온 건조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건조한 공기는 상기 드럼 내부를 지나면서 건조 대상물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하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로 된다.
또한, 상기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는 다시 상기 린트 필터(14)에 의해 필터링 된 다음, 상기 순환 덕트(15)를 따라 컨덴서(미도시)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모터축(21)에 연결된 냉각팬(16)이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기 외부의 실내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된 실내 공기는 냉각팬(16)을 지나 상기 컨덴서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 덕트(15)를 따라 컨덴서로 이동된 고온 다습한 공기와, 상기 냉각팬(16)에 의해 흡입되어 컨덴서로 이동된 실내 공기가 서로 교차하면서 상기 컨덴서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와 상기 실내 공기는 상기 컨덴서의 형상에 의하여 서로 혼합되지 않고 열교환만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컨덴서를 지나면서 상기 실내 공기에 열을 빼앗기면서 저온 다습한 공기로 변화된다. 그리고, 온도가 낮아 지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응축되어 상기 컨덴서의 바닥으로 떨어져서, 응축수가 모이는 섬프(미도시)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섬프로 이동된 수분은 응축 펌프에 의하여 건조기 상부에 위치한 응축수 저장고(미도시)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컨덴서를 지나는 실내 공기는 상기 고온 다습한 공기의 열을 빼앗아 저온 다습한 공기로 전환 시키고, 온도는 높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어 작동하는 일반적인 건조기 기타 드럼이 구비된 세탁기등은, 드럼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 또는 건조 대상물이 상기 드럼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승과 낙하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 때, 세탁물 또는 건조 대상물 중, 단추, 지퍼, 클립 등과 같은 부속품이 달린 대상물은 상기 드럼 내벽과 부딪히게 되어 타격 소음을 발생시킨다. 뿐만 아니라, 동전 등과 같은 금속성 물질이 드럼 내벽에 낙하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상기 드럼 내부는 울림통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상기 타격 소음은 더욱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드럼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드럼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경우 무게가 무거워 지므로 조립 상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드럼의 두께가 두꺼워 지면 재료비의 증가를 가져오고, 상기 드럼을 회전하는데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드럼의 외벽에 소음방지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드럼 내부에서 발생되는 타격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전 기기용 드럼 장치는 내부에 세탁챔버가 형성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되는 장방형의 소음방지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드럼은 내주면에 상기 세탁챔버내에 수용된 물체를 상승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트가 포함되며, 상기 소음방지 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드럼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소음방지 부재가 부착된 드럼장치의 일실시예이고, 도 2b는 상기 드럼장치의 또다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100)는 내부에 건조 대상물이 수용되는 세탁 챔버(110)와, 외벽의 대략 중심부에 상기 드럼(100)을 회전시키기 위한 벨트(미도시)와, 상기 드럼(100)의 외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되는 소음방지 부재(200a)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챔버(110)내에 수용된 세탁물 기타 건조 대상물이 상기 드럼(100)이 회전함에 따라 상승하도록 하기 위한 리프트(30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드럼의 입구 부분에 연장 형성되는 원형의 드럼 지지부(120)와, 상기 드럼(10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리프트(300)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프트 체결부(130)가 포함된다.
상기 드럼(100)의 외주면 대략 중앙부에는 모터축(미도시)에 연결된 벨트(미도시)가 감겨지게 되고,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모터축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벨트가 상기 드럼(10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의 드럼 지지부(120)는 건조기의 프런트 커버(미도시)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 지지부(120)의 내주면은 상기 프런트 커버에 부착된 펠트와 슬라이딩 베어링과 접촉하며 회전하게 된다.
상기 드럼(100)의 외벽에 부착되는 소음방지 부재(200a)는 상기 드럼(100)내부에서 발생되는, 옷감과 드럼 내주면의 충돌로 인한 타격 소음이 외부로 번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벽에 덧대는 방식으로 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a)의 소재로서 고무 또는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텐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및 함석과 같은 금속 소재가 사용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스텐레스 스틸보다 재료비가 저렴하면서 스텐레스 스틸과 같이 녹이 슬지 않을 뿐 아니라, 휘거나 절단하기가 용이한 잇점이 있는 함석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방지 부재(200a)로서 고무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소음방지 부재의 배면에 접착제를 바른 다음, 상기 드럼(100)의 외벽에 부착함으로써, 상기 드럼(100)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소음이 흡수된다.
또한, 상기 고무소재의 소음방지 부재(200a)는 내주면에 양면 테이프를 접착함으로써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무 소재의 소음방지 부재(200a)를 드럼 외부에 부착하는 방식은 상기 소재가 고무이기 때문에 연성이 좋아서 작업성이 좋고, 소음 흡수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드럼내부가 고온상태이기 때문에 외벽에 발라진 접착제가 고형화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100)이 회전하는 동안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a)가 드럼 외벽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a)를 드럼 외벽에 부착하는 공정이 매우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고무소재의 경우 일정 두께 이상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또다른 실시예가 제안되며,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a)의 형상, 길이 기타 부착되는 소음방지 부재의 개수등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드럼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차폐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제안가능함을 밝혀 둔다.
이하에서 제시되는 소음방지 부재는 금속재질로서, 상기에서 설명된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는 고무소재의 소음방지 부재(200a)가 가지는 단점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이하에서는 금속재질의 소음방지 부재 중 함석을 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금속재질의 소음방지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상기 소음방지 부재가 드럼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c는 상기 드럼내부에 부착된 리프트의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재질의 소음방지 부재가 구비된 드럼장치는 내부에 의복 기타 건조 대상물이 투입되는 세탁챔버(110)와, 상기 드럼(100)의 외벽에 부착되는 장방형의 소음방지 부재(200b)와, 상기 드럼(100)의 내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축방향으로 길게 부착되는 리프트(30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00)은 세탁챔버(110) 개구부 쪽에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드럼 지지부(120)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b)의 두께는 대략 0.4mm ~ 2mm정도가 바람직한데, 이는 두께가 0.4mm 미만인 경우는 상기 부재가 드럼 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용이하게 차폐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두께가 2mm 이상이 되면 상기 드럼의 무게가 무거워 지기 때문에, 전력이 과도하게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b)의 양 끝단에는 상기 드럼(100)과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홈(210)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210)이 형성되는 양측 단부는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b)의 몸체부(211) 너비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211)로부터 연장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홈(210)이 형성되는 양측 단부는, 상기 몸체부(211)로부터 연장형성될 때 일정 값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라운드지는 만곡부(212)를 이루도록 한다. 이는 상기 소음방지 부재의 양측단부에 조립을 위하여 인장력을 가했을 때, 집중응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양측단부가 몸체부로부터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리프트(300)는 상기 드럼(100)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100)의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대략 이등변 삼각형의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300)의 배면에는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b)의 체결홈(21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 너트(31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 너트(310)는 보강 리브(320)에 의하여 지지된다.
도 4a 및 도 4b는 A-A'를 따라 절단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소음방지 부재가 드럼과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방지 부재(200b)의 끝단에 형성된 체결홈(210)에 끼워지는 체결부재(220)는, 상기 드럼(100)을 관통하여 상기 리프트(300)에 형성된 체결 너트(310)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20)는 상기 리프트(300) 저면에 형성된 체결 너트(310)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체결부재(220)의 첨단부가 상기 드럼(100)을 관통하여 드럼 내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 내부에서 회전하는 옷감이 상기 체결부재(220)의 첨단부에 걸려서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20)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b)와 상기 드럼(100)의 두께에 해당하는 깊이 만큼만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체결부재(220)의 생산에 따른 비용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220)로서 다양한 종류의 부재가 제안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체결부재(220)를 돌려서 조일 수 있는 스크류가 제안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핀도 상기 체결부재(220)의 일 실시예로 제안 가능하다.
도 5a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리프트의 또다른 일실시예이고, 도 5b는 상기 리프트가 구비된 드럼의 외주면에 소음방지 부재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의 저면에는 소정 길이의 체결 돌기(330)가 상기 체결 너트(31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 돌기(330)는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b)가 상기 체결부재(220)에 의하여 정조립되기 전에 결합위치를 잡도록 하는 가조립 수단이다.
한편, 상기 체결 돌기(330)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드럼(100)과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b)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 돌기(330)의 상측 단부는 휘어진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b)가 가조립되는 상태에서 상기 체결 돌기(3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b)에 형성된 체결홈(210)사이에는 상기 체결 돌기(3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체결돌기 걸림홀(2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기 걸림홀(230)은 상기 체결돌기(330) 끝단부의 휘어진 부분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위하여, 홀의 형상이 타원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소음방지 부재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방지 부재(200b)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1) 일부가 절단되어 지그재그형상을 이루도록 성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이룸으로써,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b)의 양 끝단을 잡고 당겼을 때 신축성을 가지고 늘어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방형의 몸체부를 이루는 소음방지 부재(200b)에 비해 동일 크기와 면적당 더 많은 개수의 소음방지 부재(200b)가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11)의 상측면에 다수 개의 엠보싱(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b)의 양단을 잡아 당겼을 때, 엠보싱(240)의 형상이 원형상태에서 타원형 상태로 신장되면서, 상기 부재(200b)에 신축성이 부여된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드럼장치에 있어서, 소음방지 부재의 소재로서 금속재료가 사용되는 경우를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플라스틱등과 같은 소재도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 속함을 다시 한 번 밝혀둔 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는 소음방지 부재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음방지 부재(200b)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형상 자체를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드럼(100)의 외주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도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소음방지 부재의 몸체부(211)와 상기 양끝단부는 라운드진 만곡부(212)를 이루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소재로서, 상기 드럼(100) 내부의 온도가 고온인 상태에서도 부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내열성 플라스틱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소음방지 부재가 드럼 외주면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또다른 일실시예이다.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b)의 양 끝단부는 몸체로부터 점차 넓어지는 돌출부(260)와, 몸체로부터 점점 좁아지는 요입부(261)가 교대로 형성된다.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b)를 상기 드럼(100)의 외주면에 한바퀴 두른 다음 양 끝단부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돌출부(260)와 요입부(261)가 맞물려 결합되면, 상기 돌출부(260)의 측면에 전단응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소음방지 부재(200b)가 결합된 상태에서 인장력이 작용하면 상기 결합부가 해제되지 않고 더 욱더 강하게 결속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용 드럼장치에 구비된 소음방지 부재에 의하여, 드럼 내벽과 드럼 내부에서 회전하는 금속성 물체가 부딪혀서 발생되는 타격소음이 흡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소음방지 부재의 소재로서, 금속 기타 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조립공정이 쉬워지고, 재료비 또한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내부에 세탁챔버가 형성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체결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장방형의 소음방지 부재;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세탁챔버내에 수용된 물체를 상승시키는 리프트; 가 포함되며,
    상기 소음방지 부재의 양 끝단부에는 상기 리프트의 저면에 구비된 체결돌기와의 체결을 위해 타원형의 체결돌기 걸림홀이 제공되는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 부재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홀이 형성되는 양끝단부의 측면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는 만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스크류가 포함되는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핀이 포함되는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음방지 부재와 상기 드럼만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체결부재중 다른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소음방지 부재와 상기 드럼 및 상기 리프트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의 저면에는 상기 소음방지 부재와 상기 드럼을 관통하는 상기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체결 너트가 형성되는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 부재는 플라스틱 소재로서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고 굴곡된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11. 세탁 또는 건조용 옷감이 수용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길게 부착되고, 저면에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고 상단부가 휘어진 형상을 하는 체결돌기가 포함되는 리프트; 및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드럼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소음방지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소음방지 부재의 양끝단부에는 상기 리프트의 저면에 구비된 체결돌기와의 체결되기 위한 타원형의 체결돌기 걸림홀이 형성되는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12. 삭제
  13.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 부재는 몸체부가 일정 간격을 두고 절단되어 지그재그형상을 이루어 신축성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방지 부재는 상측면에 다수 개의 엠보싱이 포함되는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15.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길게 부착되고, 상기 드럼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등변 삼각형의 단면을 이루는 리프트; 및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어, 상기 드럼내부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고무 소재의 소음방지 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소음방지 부재의 양끝단부에는 상기 리프트의 저면에 구비된 체결돌기와의 체결되기 위한 타원형의 체결돌기 걸림홀이 형성되는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16. 내부에 세탁챔버가 형성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부착되는 장방형의 소음방지 부재; 가 포함되고,
    상기 소음방지 부재는,
    상기 드럼의 외주면을 한바퀴 휘감도록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끝 단부에 상기 몸체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몸체의 끝 단부에 상기 몸체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요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요입부는 교대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요입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될 때 인장력에 의해 결속되는 가전기기용 드럼장치.
KR1020030088856A 2003-12-09 2003-12-09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KR101047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856A KR101047232B1 (ko) 2003-12-09 2003-12-09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EP04292923.2A EP1541741B1 (en) 2003-12-09 2004-12-08 Laundry dryer
US11/006,694 US7065904B2 (en) 2003-12-09 2004-12-08 Laundry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856A KR101047232B1 (ko) 2003-12-09 2003-12-09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829A KR20050055829A (ko) 2005-06-14
KR101047232B1 true KR101047232B1 (ko) 2011-07-06

Family

ID=37250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856A KR101047232B1 (ko) 2003-12-09 2003-12-09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2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6073B2 (en) 2019-08-08 2022-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ont-loading laundry-washing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339U (ko) * 1996-11-01 1998-08-05 김광호 드럼 세탁기용 진동 흡수 장치
KR20030008649A (ko) * 2001-07-19 2003-0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가전기기용 드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339U (ko) * 1996-11-01 1998-08-05 김광호 드럼 세탁기용 진동 흡수 장치
KR20030008649A (ko) * 2001-07-19 2003-01-2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가전기기용 드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6073B2 (en) 2019-08-08 2022-1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ont-loading laundry-wash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829A (ko) 2005-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41743B1 (en) Laundry dryer with dry board
JP4792218B2 (ja) 衣類乾燥機のドラム支持構造
US20050120585A1 (en) Laundry dryer
CA2639252A1 (en) Clothes dryer drum bearing assembly
US20050229647A1 (en) Dryer washer
US20090071031A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condensed water discharge device for use in laundry treatment machine
EP1738011B1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EP1777334A2 (en) Clothing drying machine
KR101047232B1 (ko) 가전 기기용 드럼장치
JP4270215B2 (ja) 洗濯乾燥機
JP4934697B2 (ja) 洗濯乾燥機および洗濯機
KR101073251B1 (ko) 건조기의 드럼장치
KR20050057808A (ko) 건조기의 드럼장치
JP2005253567A (ja) ドラム式洗濯機または洗濯乾燥機
KR101143765B1 (ko) 건조기의 건조 선반구조
JP4639552B2 (ja) 洗濯乾燥機
KR101033585B1 (ko) 드럼세탁기
KR101012947B1 (ko) 건조기의 건조 선반구조
US20050229648A1 (en) Drum type washer and dryer
KR101067956B1 (ko) 건조 선반이 구비된 건조기
KR101033586B1 (ko) 드럼세탁기
KR101079908B1 (ko) 건조기의 모터 서포터 조립구조
KR20060039188A (ko) 세탁 장치용 드럼
KR101053584B1 (ko) 드럼세탁기
WO2020049818A1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