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918A -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77918A KR20070077918A KR1020060007797A KR20060007797A KR20070077918A KR 20070077918 A KR20070077918 A KR 20070077918A KR 1020060007797 A KR1020060007797 A KR 1020060007797A KR 20060007797 A KR20060007797 A KR 20060007797A KR 20070077918 A KR20070077918 A KR 200700779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enser
- refrigerator
- operation lever
- casing
- le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하부가 힌지결합되어 상부의 회동에 의해 디스펜서의 작동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220,320) 일측에 음료 및/또는 얼음의 외부취출을 위해 구비되는 디스펜서(400)에 있어서, 상기 도어(220,320)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400)의 내측 형상을 형성하는 디스펜서케이싱(440)과;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4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작레버(4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작레버(480) 상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40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레버(480)의 배면 하부가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에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조작이 용이하고 조작감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냉장고, 디스펜서, 레버, 힌지, 회동
Description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
도 2 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디스펜서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구성인 스위치와 전달기구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200. 냉장실
220. 냉장실도어 240. 홈바
300. 냉동실 320. 냉동실도어
340. 도어핸들 400. 디스펜서
420. 데코커버 422. 개구부
424. 디스플레이 426. 조작버튼
440. 디스펜서케이싱 442. 제2결합부
444. 수용구 446. 배수패널
460. 취출구 462. 물취출구
464. 얼음취출구 470. 스위치
472. 전달기구 480. 조작레버
482. 접촉부 484. 제1결합부
486. 회동돌기 488. 누름돌기
490. 집수부 C. 컵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하부가 힌지결합되어 상부의 회동에 의해 디스펜서의 작동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의 상태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보관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사용자의 기호의 다양화와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이와 같은 냉장고에는 통상적으로, 냉장고 도어를 열지않고 정수된 물 및/또는 얼음을 취출하는 디스펜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통상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며, 다양한 방법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디스펜서의 대표적인 예가 도 1 과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스펜서(1)는 디스펜서케이싱(10)과 데코커버(20)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펜서케이싱(10)은 상기 디스펜서(1)의 내측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내장고 도어(도시되지 않음)의 내측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물 및/또는 얼음을 받기 위한 컵(C) 또는 그와 유사한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케이싱(10)의 전방에는 상기 디스펜서케이싱(10)의 전면 일부를 차폐하여 상기 디스펜서(1)의 외관을 형성하는 데코커버(20)가 장착된다. 상기 데코커버(20)에는 상기 디스펜서케이싱(10)의 공간과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물 및/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컵이 출입하게 된 다.
상기 디스펜서케이싱(10)의 상부 대략 중앙부에는 취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취출구(12)는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하방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조작버튼(30)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케이싱(10)의 내측면 대략 중앙부에는 조작버튼(30)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버튼(30)은 상기 디스펜서(1)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취출구(12)의 개폐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작버튼(30)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동작신호를 전달하는 작동스위치(32)와 상기 작동스위치(32)를 전방에서 감싸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는 러버패드(34)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지한 컵(C)을 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상기 러버패드(34)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러버패드(34)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조작버튼(30)을 누르게 되어 상기 취출구(12)로부터 정수된 물이 취출될 수 있게 된다.
도 2 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디스펜서(1)는 상기 디스펜서케이싱(10)과 데코커버(20)로 구성되며, 상기 디스펜서케이싱(10)의 상부 대략 중앙부에는 취출구(12)가 구비된다. 이들의 구성은 전술한 도 1 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디스펜서케이싱(10)의 내측면 대략 중앙부에는 조작레버(40)가 구비된 다. 상기 조작레버(40)는 상기 디스펜서(1)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취출구(12)의 개폐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작레버(4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정수된 물 및/또는 얼음을 받치기 위한 컵(C)과 면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레버(40)의 상단은 상기 디스펜서케이싱(10)의 상단 또는 상기 디스펜서(1)의 상부 일측에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조작레버(40)의 상단이 상기 디스펜서(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결합축(42)에 의해 측방으로 관통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조작레버(40)가 상기 결합축(42)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컵(C)으로 상기 조작레버(40)를 누르게 되면 상기 조작레버(40)의 하방이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만큼 회동하게 된다. 상기 조작레버(40)의 회동에 따라 별도로 구비된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선택적으로 동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정수된 물 및/또는 얼음이 상기 컵(C)에 채워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조작버튼(30)을 사용하여 상기 디스펜서(1)를 조작할 경우, 상기 컵(C)과 조작버튼(30)은 점접촉 또는 그에 준하는 면접촉을 하게 되어 상기 취출구(12) 개폐의 미세조정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물의 양을 정확하게 채우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소량의 물을 취출하는 것도 어렵게 되어 사용자의 불편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컵(C)으로 상기 조작버튼(30)을 조작할 때, 상기 조작버튼(30)을 구성하는 작동스위치(32)의 탄성이 직접 사용자가 파지한 컵(C)에 전달되므로 상기 컵(C)에 채워진 물이 울렁거리게 되거나 넘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사용자의 감성불만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조작레버(40)를 사용하여 상기 디스펜서(1)를 조작할 경우, 상기 컵(C)을 밀어주게 되면 상기 컵(C)과 조작레버(40)가 면접촉하면서 밀착되는데, 이때 상기 조작레버(40)의 회동에 따라 상기 컵(C) 또한 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의 취출작업이 다소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컵(C)에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가득 채우는 것이 어렵게 되는 등 사용상의 불편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컵(C)은 일반적으로 구배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많은데, 이와 같은 구배형상의 경우 상기 조작레버(40)와의 면접촉시 그 기울어짐이 한층 더 커지게 되어 사용상의 불편이 가중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하부가 힌지결합되어 상부의 회동에 의해 디스펜서의 작동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는, 냉장고의 도어 일측에 음료 및/또는 얼음의 외부취출을 위해 구비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의 내측 형상을 형성하는 디스펜서케이싱과;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작레버 상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레버의 배면 하부가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에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레버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음료 및/또는 얼음을 받는 컵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배면 하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는 제1결합부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결합부와 힌지결합되도록 돌출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대응하는 면에는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동돌기와, 상기 회동돌기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수용구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누름돌기가 더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케이싱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펜서의 작동을 결정하는 스위치와 상기 조작레버의 누름량을 상기 스위치로 전달하는 전달기구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펜서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 작레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정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의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음식물의 냉장 및 냉동 저장을 위한 저장공간인 냉장실(200)과 냉동실(300)이 각각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냉장고는 양문형(Side by side type) 냉장고로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냉동실(300)과 냉장실(200)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냉동실(300)과 냉장실(200)은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300)과 냉장실(200)의 개구된 전면에는 냉장고 도어(220,320)가 구비된다. 상기 냉장고 도어(220,320)는 상기 냉동실(300)과 냉장실(200)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냉동실도어(320)와 냉장실도어(220)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은 상기 본체(100)의 전단부 양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320)와 냉장실도어(220)의 전면에는 도어핸들(34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핸들(340)은 상기 냉장고 도어(220,320)의 회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 대략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도어(220)에는 홈바(240)가 구비된다. 상기 홈바(240)는 상기 냉장실도어(220)를 열지 않고도 빈번하게 인출/입되는 물 또는 음료를 용기와 함께 외부에서 꺼내거나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도어(220)의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 냉동실도어(320)에는 디스펜서(40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400)는 상기 냉장고 도어(220,320)를 열지 않고도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취출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냉동실도어(320)의 전면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하, 상기 디스펜서(400)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디스펜서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디스펜서(400)는 데코커버(420)와 디스펜서케이싱(4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코커버(420)는 상기 디스펜서(400)의 내부 구성부품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냉동실도어(32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상기 디스펜서(4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디스펜서케이싱(440)의 전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데코커버(420)에는 개구부(422)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22)는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에 의해 함몰 형성된 공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대략 사각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커버(420)의 상부 즉, 상기 개구부(422)의 상부에는 상기 냉장고 전체의 작동 정보를 비롯한 상기 디스펜서(400)의 작동에 대한 정보를 보시하는 디스플레이(424)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424)의 하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424)를 통해 취출되는 음료 및 얼음 등의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조작버튼(426)이 다수개 구비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은 상기 디스펜서(400)의 내측 형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상기 냉동실도어(320)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외관을 돋보이게 함은 물론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의 상부 대략 중앙부에는 취출구(460)가 구비된다. 상기 취출구(460)는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이 취출되는 통로로서 정수된 물이 취출되는 물취출구(462)와 얼음이 취출되는 얼음취출구(464)로 구성된다.
상기 물취출구(462)와 얼음취출구(464)는 그 크기와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며, 이들 모두 하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의 내측에서 정수된 물과 얼음을 받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취출구(460)의 하방에는 조작레버(48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레버(480)는 상기 디스펜서(400)의 작동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조작레버(480)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취출구(460)로부터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조작레버(480)는 사용자가 컵(C)과 같은 용기로 조작함과 동시에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취출구(460)의 개구된 하단부에서 수직 하방의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조작레버(480)는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의 대략 중앙부에 장착되며, 상기 컵(C)과 접촉하는 접촉부(482)와, 상기 조작레버(480)가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에 힌지결합되는 제1결합부(484)로 구성된다.
상기 접촉부(482)는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의 취출시 상기 컵(C)과 접촉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컵(C)의 외측면과 면접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482)는 일반적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된 컵(C) 또는 용기와의 면접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컵(C) 또는 용기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대략 중앙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컵(C)과 접촉부(482)는 완전하게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컵(C)과 접촉부(482)의 밀착으로 상기 조작레버(480)의 보다 미세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접촉부(482)의 배면 하부에는 제1결합부(484)가 구비된다. 상기 제1결합부(484)는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의 대략 중앙부에 힌지결합되기 위해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접촉부(482) 배면 하부의 대략 중앙부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484)와 대응하는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의 대략 중앙부에는 제2결합부(442)가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부(442)는 상기 제1결합부(484)와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484)와 결합시 상기 조작레버(480)의 회동이 원활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484)와 제2결합부(442)는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리브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응하는 상기 제1결합부(484)와 제2결합부(442)의 측면이 서로 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서로 접하는 면의 각각에는 회동돌기(486)와 수용구(444)가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484)와 제2결합부(442)가 힌지결합 된다.
예컨데, 상기 제1결합부(484)의 측면에는 회동돌기(486)가 형성된다. 상기 회동돌기(486)는 상기 수용구(444)와 결합시 회동 가능한 것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2결합부(442)의 측면에는 수용구(444)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구(444)는 상기 회동돌기(486)가 수용 가능하도록 천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돌기(486)와의 결합시 상기 회동돌기(486)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돌기(486)의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결합부(484)와 제2결합부(442) 또는 상기 조작레버(480)와 디스펜서케이싱(440)에는 상기 조작레버(480)의 회동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조작레버(480)의 후방조작시 상기 조작레버(48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조작레버(480)를 조작하는 힘을 제거하게 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480)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482) 배면의 상부 대략 중앙에는 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는 누름돌기(488)가 더 형성된다. 상기 누름돌기(488)는 상기 조작레버(480)의 회동을 아래에서 설명할 스위치(47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을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전달기구(472)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의 하면에는 배수패널(446)이 구비된다. 상기 배수패널(446)은 상기 디스펜서(400)에서 정수된 물의 취출시 사용자의 조작미숙 등에 의해 떨어지게 되는 물을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 하방의 집수부(490)에서 집수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배수홀이 천공되도록 형성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구성인 스위치와 전달기구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조작레버(480)의 접촉부(482)에 형성된 누름돌기(488)는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의 배면 일측에는 상기 디스펜서(400)의 작동을 결정하는 스위치(470)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470)는 일반적인 접촉스위치(470) 또는 작동부하를 조절할 수 있는 누름스위치(470) 등 다양한 스위치(470) 의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의 배면에는 전달기구(472)가 구비된다. 상기 전달기구(472)는 상기 조작레버(480)의 조작을 상기 스위치(47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의 배면에서 일측 단부는 상기 조작레버(480) 배면의 누름돌기(488)와 접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스위치(470)의 일측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기구(472)는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의 배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누름돌기(488)와 접하는 상기 전달기구(472)의 일측 단부가 눌려지게 되면 상기 전달기구(472)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전달기구(472)의 타측 단부가 상기 스위치(470)를 누르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가 채용된 디스펜서의 작용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디스펜서(400)로부터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취출되는 물의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424)로부터 확인하고, 필요시 상기 조작버튼(426)을 조작하여 상태를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컵(C)을 파지한 채로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의 내측으로 가져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컵을 상기 조작레버(480)의 접촉부(482)에 밀착시키 게 되며, 상기 컵(C)의 외측면이 상기 접촉부(482)와 밀착된 상태로 상기 컵의 상부를 후방(도 6 에서 좌측방)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 조작레버(480)는 하부가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과 힌지결합된 상태이므로, 힌지결합된 상기 제1결합부(484)와 제2결합부(442)를 축으로 하여 상기 조작레버(480)의 상단이 후방(도 7 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조작레버(480)의 상단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접촉부(482)의 배면 상부에 형성된 상기 누름돌기(488)가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의 후방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누름돌기(488)와 접하는 상기 전달기구(472)의 일측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전달기구(472) 전체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하게 되고, 상기 전달기구(472)의 회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470)와 접하는 상기 전달기구(472)의 타측이 상기 스위치(470)를 누르게 된다.
즉, 상기 조작레버(48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달기구(472)에 의해 상기 스위치(470)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스위치(470)에 의해 상기 취출구(460)가 개방하게 되어,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하방으로 공급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빈번하게 사용되는 상기 컵(C) 또는 용기들의 대부분은 구배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레버(480)의 접촉부(482)와 밀착시 자연스럽게 상기 조작레버(480)의 상단을 후방으로 밀어주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이때 상기 컵(C)은 기 울어짐 없이 직립상태를 유지한 채로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레버(480)의 회동을 위해서 제1결합부(484)와 제2결합부(442)를 형성하였으나, 상기 조작레버(480)의 전후 회동이 가능한 다른 구조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양문형냉장고의 냉동실도어(320)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방식의 냉장고에 채용 가능함은 물론 냉장실도어(220)에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에서는, 조작레버의 하부가 디스펜서케이싱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조작레버의 상부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을 파지한 채로 상기 컵이 상기 조작레버의 접촉부와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로 조작하게 되므로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이 보다 자연스럽고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컵의 하부를 파지한 채로 손목을 움직여 상기 조작레버의 회동정도를 조절 가능하게 되며, 이때 조작레버의 회동정도에 따라 취출되는 물 또 는 얼음의 양을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컵의 형상이 구배형상일 경우 사용자는 상기 컵을 기울이지 않고 밀어주는 조작만으로 그 형상의 특성상 자연스럽게 조작레버의 상단을 회동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컵의 기울임 없이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을 취출 가능하게 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물을 담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미숙으로 인한 물넘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지 조작레버의 조작과 정수된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보다 용이하게 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물넘침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감성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레버와 디스펜서케이싱의 간단한 결합만으로 구성이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조립작업공정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 냉장고의 도어(220,320) 일측에 음료 및/또는 얼음의 외부취출을 위해 구비되는 디스펜서(400)에 있어서,상기 도어(220,320)의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400)의 내측 형상을 형성하는 디스펜서케이싱(440)과;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400)의 작동을 조절하는 조작레버(48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상기 조작레버(480) 상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디스펜서(40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레버(480)의 배면 하부가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에 힌지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480)는,판상으로 형성되어, 음료 및/또는 얼음을 받는 컵과 접촉하는 접촉부(482)와;상기 접촉부(482)의 배면 하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는 제1결합부(48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에는,상기 제1결합부(484)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결합부(484)와 힌지결합되도록 돌출되는 제2결합부(44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484)와 제2결합부(442)의 대응하는 면에는,측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동돌기(486)와, 상기 회동돌기(486)가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수용구(444)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482)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누름돌기(488)가 더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케이싱(440)의 배면에는 상기 디스펜서(400)의 작동을 결정하는 스위치(470)와 상기 조작레버(480)의 누름량을 상기 스위치(470)로 전달하는 전달기구(47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7797A KR101221763B1 (ko) | 2006-01-25 | 2006-01-25 |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07797A KR101221763B1 (ko) | 2006-01-25 | 2006-01-25 |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77918A true KR20070077918A (ko) | 2007-07-30 |
KR101221763B1 KR101221763B1 (ko) | 2013-01-15 |
Family
ID=3850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07797A KR101221763B1 (ko) | 2006-01-25 | 2006-01-25 |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176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51341A1 (en) * | 2007-10-16 | 2009-04-23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for operating dispenser in refrigerator |
US9182167B2 (en) | 2010-04-27 | 2015-11-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witch modu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7867A (ko) * | 2021-06-15 | 2022-12-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46836B1 (ko) * | 1995-10-26 | 1998-08-17 | 김광호 | 냉장고의 개폐식 디스펜서 |
KR100358763B1 (ko) * | 1997-11-06 | 2003-03-15 | 엘지전자주식회사 | 냉장고디스펜서의이슬맺힘방지구조 |
KR100285847B1 (ko) * | 1998-03-13 | 2001-05-02 | 윤종용 | 냉장고의 디스펜서 개폐장치 |
IT1316305B1 (it) | 2000-01-27 | 2003-04-10 | Whirlpool Co | Distributore di acqua refrigerata per frigoriferi |
-
2006
- 2006-01-25 KR KR1020060007797A patent/KR101221763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51341A1 (en) * | 2007-10-16 | 2009-04-23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for operating dispenser in refrigerator |
US8573001B2 (en) | 2007-10-16 | 2013-11-05 | Lg Electronics Inc. | Apparatus for operating dispenser in refrigerator |
US9182167B2 (en) | 2010-04-27 | 2015-11-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witch modu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US9664438B2 (en) | 2010-04-27 | 2017-05-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witch modul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1763B1 (ko) | 2013-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81382B2 (en) | Lever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US8302423B2 (en) |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US7958742B2 (en) |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101275568B1 (ko) | 자동홈바 | |
US7418831B2 (en) | Refrigerator with diagonal ice chute dispenser | |
KR101466659B1 (ko) | 디스펜서용 물탱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 |
US20070289669A1 (en) |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20100122230A (ko) | 냉장고 | |
US20080289355A1 (en) |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KR20090036016A (ko) | 냉장고의 디스펜서 | |
US8016160B2 (en) |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 |
US8596085B2 (en) | Refrigerator and dispenser for the same | |
US7188487B2 (en) | Dispenser for refrigerator | |
KR101221763B1 (ko) |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 | |
KR101413471B1 (ko) | 냉장고 | |
KR20170119864A (ko) | 디스펜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
KR102230228B1 (ko) | 냉장고 | |
US8074466B2 (en) | Refrigerator with dispenser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door | |
KR100830464B1 (ko) | 냉장고의 디스펜서 | |
KR102375257B1 (ko) | 냉장고 | |
KR102533644B1 (ko) | 냉장고 | |
KR102124037B1 (ko) | 냉장고 | |
KR200309998Y1 (ko) | 냉장고의 트위스트 제빙기 | |
KR20140104094A (ko) | 냉장고 | |
KR20110015975A (ko) | 냉장고의 디스펜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