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464B1 - 냉장고의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464B1
KR100830464B1 KR1020060023665A KR20060023665A KR100830464B1 KR 100830464 B1 KR100830464 B1 KR 100830464B1 KR 1020060023665 A KR1020060023665 A KR 1020060023665A KR 20060023665 A KR20060023665 A KR 20060023665A KR 100830464 B1 KR100830464 B1 KR 10083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dispenser
door
outlet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3611A (ko
Inventor
정경한
정인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3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464B1/ko
Publication of KR2007009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3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냉장실 도어 벽면에 설치되는 냉장고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외부로 인출 및 냉장고 내부로 인입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냉장고 내부에 보관된 얼음 또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장고의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장고의 디스펜서에 의하면, 스펜서의 배출구가 필요에 따라 냉장고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냉장고 도어에 컵수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냉장고 도어의 내측으로 컵수용부에 해당하는 부위가 돌출될 필요가 없어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냉장고, 디스펜서, 홈바

Description

냉장고의 디스펜서{Dispensor in refrigerator}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디스펜서 부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된 냉장고의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디스펜서 부분중 디스펜서도어가 열렸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도 3의 디스펜서 부분중 디스펜서도어가 닫혔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
120 : 디스펜서 112 : 냉장고 도어
122 : 배출구 124 : 디스펜서도어
128 : 얼음이송통로 130 : 링크구조체
132 : 제1링크부재 134 : 제2링크부재
136 : 제3링크부재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냉장실 도어 벽면에 설치되는 냉장고의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증발기등으로 이루어진 냉각 사이클을 이용하여 고내를 저온으로 유지하여 신선하게 보관할수 있게끔 하는 가전기기이다.
또한, 근래에는 냉장고 내에 얼음을 자동으로 제빙하는 제빙장치와, 물을 보관하며 필요에 따라 공급할 수 있는 급수장치등이 냉장고 본체에 부가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굳이 냉장고 문을 열지 않고도 얼음 또는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냉장고 일측면에 디스펜서등을 구비하는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냉장고 본체(10)의 전면에는 도어(12)가 구비되며, 일측도어의 전면부분에 상기 디스펜서부(12)가 설치된다.
도 2는 디스펜서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디스펜서부(12)의 내부에는 제빙장치(미도시)로부터 이송되는 얼음을 받는 펀넬(funnel:28)부와 이송된 얼음 또는 물을 컵으로 토출하는 배출구(chute : 22)및 컵을 넣었을 때 눌려져 스위치 역할을 하는 레버(2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부(12)는 컵이 수용될 수 있도록 도어(12) 벽면 내측으로 컵수용공간(2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을 디스펜서부(12)의 컵수용공간 내부로 넣어 컵으로서 상기 레버(24)를 누르게 되면 얼음 또는 물이 상기 배출구(22)에서 토출되어 컵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스펜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컵수용공간(26)이 도어(12) 벽면 내측으로 형성되므로 해당 부분이 냉장고 내측으로 돌출되어 냉장고내 용적을 차지하게 되므로 공간사용에 있어서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출구(22)가 컵수용공간(26) 내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디스펜서부(12)를 이용할 수 있는 용기의 크기가 컵수용공간(26)의 크기에 의해 한정되어 큰 용기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내의 용적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큰 용기의 사용이 가능한 냉장고의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장고의 외부로 인출 및 냉장고 내부로 인입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냉장고 내부에 보관된 얼음 또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상기 배출구가 구비되는 냉장고 측벽 일부에, 상기 배출구와는 별도로 냉장고 도어를 개폐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냉장고 내부에 보관된 물품을 꺼낼 수 있도록 하는 홈바 기능을 위한 냉장고 외부와 내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냉장고 측벽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냉장고의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는 냉장고의 외부로 인출되었을 때 얼음 또는 물이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단이 상기 배출구가 인입 및 인출되는 냉장고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가 인입 및 인출되는 냉장고의 측벽 일부에 냉장고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냉장고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도어가 열렸을 때 냉장고의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도어가 닫힐 때 냉장고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장치는, 일단이 상기 도어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냉장고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1링크부재와, 상햐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고 일단이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과 힌지결합된 제2링크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2링크부재의 타단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배출구와 힌지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링크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구는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구조체의 연동작용에 의해 미끄럼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스도어는 개방될 때 아래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디스펜스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상측을 향하는 면중 일부에 컵을 놓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장고의 디스펜서에 따르면, 컵을 수용하는 컵 수용공간을 따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디스펜서가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 되어 냉장고 내부 용적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120)는 얼음 또는 물이 토출되는 배출구(chute:122)와 상기 배출구(122)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구(122)는 얼음이 컵으로 토출되는 토출구이며,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노즐(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배출구(122)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냉장고의 일측벽, 더욱 바람직하게는 냉장고 도어(112)에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22)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가 구성된다. 즉, 배출구(122)는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배출구(122)를 전/후로 이동시켜 냉장고에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22)가 이송되는 인출 및 수납되는 냉장고 측벽에 회전하여 열림 및 닫힘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디스펜서도어(12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22)는 냉장고의 외부로 인출되었을 때 얼음 또는 물을 토출하며, 냉장고의 내부로 수납되었을 때는 얼음 또는 물을 토출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냉장고의 내부에는 제빙장치(미도시)와, 상기 제빙장치(미도시)에서 제빙된 얼음이 이송되는 얼음이송통로(128)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22)는 냉장고의 외부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얼음이송통로(128)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구(122)에 물공급기능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냉장고의 내부에 물공급장치(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22)가 냉장고의 외부로 인출되었을 때에만 물이 토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펜서도어(124)는 상기 배출구(122)가 인출 및 수납되는 냉장고 도어(112) 전면에 회동하면서 열고 닫음이 가능 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도어(124)가 열릴 때는 하측을 향하여 열리도록 디스펜서도어(124)의 하측이 냉장고 도어(112)와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도어(124)의 내면, 즉 열렸을 때 상측을 향하는 면중 적어도 어느 일부는 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디스펜서도어(124)가 열렸을 때 상측을 항하는 면에 컵을 올려놓을수 있는 컵받침부(125:도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미관상 상기 냉장고 도어(112)에는 상기 디스펜서도어(124)가 닫혔을 때 미관상 냉장고 도어 평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도록 상기 디스펜서도어(124)에 대응하는 단차(11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디스펜서도어(124)는 상기 이동장치를 조작하는 수단으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장치로서는 상기 디스펜서도어(124)의 여닫음에 따라 상기 배출구(122)를 이동시키는 링크구조체(1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구조체(130)는 제1링크부재(132)와 제2링크부재(134) 및 제3링크부 재(136)의 3개의 링크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재(132)는 일단이 상기 디스펜서도어(124)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냉장고 도어(112)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2링크부재(134)는 일단이 상기 제1링크부재(132)의 타단과 힌지결합되고 냉장고 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제2링크부재(134)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하단이 상기 제1링크부재(132)의 타단과 힌지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3링크부재(136)는 일단이 상기 제2링크부재(134)의 상단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배출구(122)에 힌지결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122)는 수평방향으로 미끄럼되어 냉장고 외부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도어(124)를 열면 상기 제1링크부재(132)가 상기 디스펜서도어(124)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2링크부재(134)를 끌어내린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부재(134)는 하강하면서 상기 제3링크부재(136)의 일단을 같이 끌어내리게 된다. 이 때, 상기 배출구(122)는 수평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므로, 제3링크부재(136)의 타단에 결합된 배출구는 상기 제3링크부재(136)의 이동에 따라 미끄럼되어 냉장고의 외부로 인출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122)는 인출된 상태에서 얼음이송통로(128)와 연통되어 얼음이 이송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도어(124)의 상면에 컵을 놓은 후에 스위치(127)등을 조작하여 얼음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구(122)에는 컵을 넣었을 때 눌려져 스위치 역할을 하는 레버(미도시)가 구비되어 컵으로써 레버를 눌러 얼음 또는 물을 받아내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얼음 및 물을 다 받은 후에 상기 디스펜서도어(124)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링크구조체(130)가 열릴 때와는 반대로 작동하여 상기 배출구(122)가 냉장고 도어(112)로 수납되고, 디스펜서도어(124)는 냉장고 도어(112)에 수납되어 냉장고 도어와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구(122)를 인출 및 수납하는 이동장치를 구성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한 실시예에 그치지 않고, 배출구를 이동시키는 모터 및 기어와 이를 조작하는 버튼부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여러가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배출구를 인출 및 수납하는 이동장치로서 모터 및 기어와 버튼부로 이루어진 예는 당업자라면 별다른 어려움 없이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디스펜서도어(124)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는 냉장고 도어(112)의 일면에는 홈바(Home-bar)기능을 위한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펜서도어(124)에 의해 개방 및 폐쇄되는 부분에 냉장고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를 상기 디스펜서도어(124)가 여닫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도어(124)를 열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냉장고의 외부와 내부가 연통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112)의 바스켓(미도시)등에 거치된 음료등을 굳이 냉장고 도어(112)를 열지 않고도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홈바기능이 부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펜서도어(124)와 냉장고 도어(112)의 사이에 기밀을 위한 실링수단(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홈바기능 구현을 위한 개구부 및 실링부재는 당업자라면 도면의 기재 없이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냉장고의 디스펜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펜서의 배출구(122)가 필요에 따라 냉장고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냉장고 도어(112)에 컵수용공간(26 : 도2참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냉장고 도어(112)의 내측으로 컵수용공간(26)에 해당하는 부위가 돌출될 필요가 없으므로 냉장고 내부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재를 구비하는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 도어(112)의 단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출구(122)가 냉장고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컵수용공간(26)이 따로 형성되지 않아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용기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펜서도어(124)가 열려질 경우 컵받침으로도 활용할 수가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디스펜서도어(124)에 의해 개폐되는 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홈바기능을 부여할 경우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고도 내부의 음료수등을 꺼낼 수 있어 보 다 편리하며 냉기가 과도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의 디스펜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디스펜서의 배출구가 필요에 따라 냉장고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냉장고 도어에 컵수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냉장고 도어의 내측으로 컵수용부에 해당하는 부위가 돌출될 필요가 없어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배출구가 냉장고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컵수용부가 따로 형성되지 않아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용기의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셋째, 단열재를 구비하는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 도어의 단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디스펜서도어가 열려질 경우 컵받침으로도 활용할 수가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다섯째, 디스펜서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부분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홈바기능을 부여할 경우 냉장고 도어를 열지 않고도 내부의 음료수등을 꺼낼 수 있어 보다 편리하며 냉기가 과도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냉장고의 외부로 인출 및 냉장고 내부로 인입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냉장고 내부에 보관된 얼음 또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상기 배출구가 구비되는 냉장고 측벽 일부에, 상기 배출구와는 별도로 냉장고 도어를 개폐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냉장고 내부에 보관된 물품을 꺼낼 수 있도록 하는 홈바 기능을 위한 냉장고 외부와 내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냉장고 측벽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디스펜서도어가 열렸을 때 냉장고의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디스펜서도어가 닫힐 때 냉장고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냉장고의 외부로 인출되었을 때 얼음 또는 물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디스펜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냉장고 외부로 인출 및 냉장고 내부로 인입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냉장고 내부에 보관된 얼음 또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
    일단이 상기 배출구가 인입되는 냉장고 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디스펜서도어;
    일단이 상기 디스펜서도어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냉장고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된 제1링크부재와,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고, 일단이 상기 제1링크부재의 타단과 힌지결합된 제2링크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2링크부재의 타단과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배출구와 힌지결합되도록 이루어지는 링크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배출구는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도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링크구조체의 연동작용에 의해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디스펜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도어는 개방될 때 아래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개방되고, 개방되었을 때 상측을 향하는 면중 일부에 컵을 놓을 수 있는 냉장고의 디스펜서.
KR1020060023665A 2006-03-14 2006-03-14 냉장고의 디스펜서 KR100830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665A KR100830464B1 (ko) 2006-03-14 2006-03-14 냉장고의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3665A KR100830464B1 (ko) 2006-03-14 2006-03-14 냉장고의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611A KR20070093611A (ko) 2007-09-19
KR100830464B1 true KR100830464B1 (ko) 2008-05-20

Family

ID=3868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3665A KR100830464B1 (ko) 2006-03-14 2006-03-14 냉장고의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4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327B1 (ko) 2011-03-30 2013-03-05 정휘동 얼음 저장고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와 얼음 냉온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447B1 (ko) * 2010-06-22 2012-06-2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홈바형 커버를 구비하는 급수장치
CN111351302B (zh) * 2018-12-24 2022-01-25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414A (ko) * 2001-01-04 2002-07-11 윤종용 홈바를 구비한 냉장고
KR20040042746A (ko) * 2002-11-15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문여닫이 냉장고
KR20050028360A (ko) * 2003-09-17 2005-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용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414A (ko) * 2001-01-04 2002-07-11 윤종용 홈바를 구비한 냉장고
KR20040042746A (ko) * 2002-11-15 200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문여닫이 냉장고
KR20050028360A (ko) * 2003-09-17 2005-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용 디스펜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327B1 (ko) 2011-03-30 2013-03-05 정휘동 얼음 저장고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와 얼음 냉온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3611A (ko)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458B1 (ko)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EP2292991B1 (en) Refrigerator with icemaker and ice-dispenser
CN106440605B (zh) 冰箱
US4209999A (en) Household refrigerator with through-the-door ice service
KR101997259B1 (ko) 냉장고
US9222722B2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US8016160B2 (en) Refrigerator related technology
US20070289669A1 (en)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797481B1 (ko) 냉장고
KR20060027146A (ko) 가루얼음공급장치를 구비하는 냉장고
EP2428755A2 (en) Refrigerator
KR20110112377A (ko) 냉장고
KR20100122230A (ko) 냉장고
KR20080079064A (ko) 냉장고
KR101776297B1 (ko) 냉장고
KR100830464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KR101474013B1 (ko) 냉장고의 물공급 장치
KR20100054813A (ko) 아이스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983136B1 (ko) 디스펜서를 갖는 냉장고
KR100991543B1 (ko) 냉장고의 얼음 또는 물 취출장치
CN110793263A (zh) 冰箱
US8074466B2 (en) Refrigerator with dispenser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door
KR101221763B1 (ko) 냉장고 디스펜서의 조작레버 장착구조
US11204194B2 (en) Refrigerator
KR101810460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