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627A - 클리오퀴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IF-1α 활성제 - Google Patents

클리오퀴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IF-1α 활성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7627A
KR20070077627A KR1020060007303A KR20060007303A KR20070077627A KR 20070077627 A KR20070077627 A KR 20070077627A KR 1020060007303 A KR1020060007303 A KR 1020060007303A KR 20060007303 A KR20060007303 A KR 20060007303A KR 20070077627 A KR20070077627 A KR 20070077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f
clioquinol
tpen
ischemic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1649B1 (ko
Inventor
박현성
최수미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07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649B1/ko
Priority to JP2008549431A priority patent/JP2009522353A/ja
Priority to PCT/KR2007/000242 priority patent/WO2007086663A1/en
Priority to US12/094,748 priority patent/US8658672B2/en
Publication of KR20070077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6Perforating by tool or tools of the drill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pushing ou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리오퀴놀(Clioqu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IF-1α 활성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클리오퀴놀은 정상 상태(normaxia condition)의 세포에서 HIF-1α(Hypoxia-inducible factor-1α)의 유비퀴틴화를 저해하여 HIF-1α를 축적시키는 한편, FIH-1의 활성화를 저해하여 축적된 HIF-1α가 전사 활성을 갖게 함으로써 HIF-1α 표적 유전자인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및 EPO(erythropoietin)의 발현을 유도함으로, 허혈성 질환 치료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클리오퀴놀, HIF-1α, VEGF, EPO, 허혈

Description

클리오퀴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IF-1α 활성제{HIF-1α active agent comprising clioquinol}
도 1은 클리오퀴놀(clioquinol:이하 "CQ"라 칭함)과 TPEN에 의한 HIF-1α(Hypoxia-inducible factor-1α)의 발현을 웨스턴 블롯 방법으로 조사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
N: 정상상태(normaxia) H: 저산소 상태(hypoxia)
HepG2: 인간 간세포주 SH-SY5Y: 인간 신경세포주
도 2는 CQ와 TPEN에 의한 VEGF의 발현을 RT-PCR 방법으로 조사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
N: 정상상태(normaxia) H: 저산소상태(hypoxia)
HepG2: 인간 간세포주 SH-SY5Y: 인간 신경세포주
도 3은 CQ와 TPEN에 의한 HRE 의존 유전자 발현을 reporter gene system 방법으로 조사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CQ와 TPEN에 의한 시험관내(in vitro) HIF-1α 유비퀴틴화 조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CQ와 TPEN에 의한 생체내(in vivo) HIF-1α 유비퀴틴화 조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CQ와 TPEN에 의한 FIH-1 활성 변화를 조사한 도면이고,
도 7은 CQ와 TPEN에 의한 HIF-1α에 의한 저산소 유도 전이활성을 reporter gene system 방법으로 조사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CQ에 의한 HIF-1α와 CBP의 결합 증가를 조-면역침전법을 이용한 조사(in vivo)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CQ와 TPEN에 의한 시험관 내(in vitro) HIF-1α과 CBP와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 조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CQ와 TPEN에 의한 VEGF 발현 조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CQ에 의한 EPO 발현 조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클리오퀴놀(clioqu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IF-1α 활성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클리오퀴놀은 정상 상태(normaxia condition)에서 HIF-1α의 유비퀴틴화를 저해하여 HIF-1α를 축적시키는 한편, FIH-1의 활성화를 저해하여 축적된 HIF-1α가 전사 활성을 갖게 함으로써 HIF-1α의 표적 유전자인 VEGF 및 EPO의 발현을 유도함으로 허혈성 질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허혈(Ischema)은 몸에 부분적으로 생기는 빈혈 상태로 핏줄이 막히거나 줄어 들면서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신체 각 부분이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려면 혈관을 통하여 적절한 산소와 영양이 공급되어야 한다. 심장도 관상동맥이라는 혈관을 통해 필요한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필요한 양만큼의 혈류량을 공급받지 못하면 심장근육에 대사산물이 쌓이고 저산소증에 빠지게 되어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데, 이러한 경우를 심근 허혈이라고 한다. 그리고 심근 허혈로 생기는 심장기능의 장애를 허혈성 심질환이라고 한다. 질환은 크게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발생빈도가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위험요소를 갖춘 사람일수록 발생빈도가 높다. 허혈이 발생할 경우 혈관이 막혀 상기 질병들이 발생할 수 있는데, 뇌의 혈관이 막혀 허혈성 뇌질환이 발병된다. 허혈로 인해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신체 말단에서도 문제가 되는데 이 경우 말단 조직의 괴사가 일어나 허혈성 말단 질환이 발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허혈은 많은 질환으로 발전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HIF-1(Hypoxia-inducible factor-1)은 산소 항상성의 주요 조절자로서, 혈관형성(angiogenesis), 적혈구 형성(erythropoiesis), 당분해(glycolysis)에 관련된 여러 유전자들의 전사 활성에 의해 활성화된다(Masson and Ratcliffe, J Cell Sci 116:3041-3049, 2003; Seagroves et al, Mol Cell Biol 21:3436-3444, 2001). HIF-1은 HIF-1α와 HIF-1β로 구성되어 있다. HIF-1α은 정상 상태(normoxic condition)에서 유비퀴틴-프로테오좀 시스템(ubiquitin-proteasome system)에 의하여 신속하게 감소되고 HIF-1β의 레벨은 일정하게 유지된다(Huang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5:7978-7992, 1998; Kallio et al, J Biol Chem 274:6519-6525, 1999). 정상적으로 산소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normoxia condition)에서 HIF-1α의 564번 및/또는 402번 프롤린은 PHDs(HIF-1α-specific proly-4 hydroxylases)에 의해 수산화되어 활성이 억제되는데, 이 과정에서 산소(O2), 2-옥소글루타메이트(oxogutarate), 비타민 C, Fe2 +를 필요로 한다(Bruikc and McKnight, Science 294:1337-1340, 2001; Epstein et al., Cell 107:43-54, 2001; Ivan et al., Science 292:464-468, 2001; Jaakkola et al., Science 292:468-472, 2001; Masson et al., EMBO J 20:5197-5206, 2001). 포유동물 세포에서 PHDs의 상과(family)는 PHD1(HPH3, EGLN2), PHD2(HPH2, EGLN1), PHD3(HPH1, EGLN3)으로 밝혀졌다(Huang et al., J Biol Chem 277:39792-39800, 2002; Talyer, Gene 275:125-132, 2001). 수산화된 프롤린 잔기는 E3 유비퀴틴 ligase 구성성분인 VHL(von Hippel-Lindau) 단백질과 결합하고, HIF-1α은 VCB E3 유비퀴틴-ligase 복합체(VHL 단백질, ElonginB, Elongin C, Cul2, Rbx1)에 의해 유비퀴틴화된다(Iwai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6:12436-12441, 1999; Kamura et al, Science 284:657-661, 1999). 저산소 상태(hypoxic condition)에서는 프롤린 수산화가 감소되면서 HIF-1α 단백질이 축적된다. 축적된 HIF-1α가 전사인자로 활성화되려면 핵으로 이동하여 HIF-1β와 결합하여 HRE 모터와 결합하고, 전사 활성에 필요한 전사 보조 인자인 p300/CBP 등의 단백질로 결합하므로써 혈관 생성 및 세포 내 에너지 공급에 필수적인 단백질들의 발현을 증가시킨다(Nathali et al., Biochem Pharmacol. 68:971-980, 2004).
한편, 산소 분자는 HIF-1α의 안정화를 저해할 뿐 아니라 HIF-1α의 전이활성을 저해하는데, FIH-1(factor inhibiting HIF-1α)은 803번째 아스파라진 잔기를 수산화시킨다. HIF-1α의 전이활성 도메인의 아스파라진 잔기의 수산화는 HIF-1α와 CBP와의 결합을 방해하여 전사 활성이 없는(non-function) HIF-1α의 축적을 유도한다. FIH-1은 최근 발견되어 그 활성이 알려진 효소로 그 3차 구조가 밝혀졌다(Lee et al., J. Biol . Chem . 278:7558-7563, 2003; Elkins et al., J. Biol . Chem. 278:1802-1806, 2003). FIH-1도 PHD와 마찬가지로 Fe2 +를 보조인자(cofactor)로 사용하고, 2-옥소글루타레이트(oxoglutarate), 산소(O2)를 기질로 사용하여 HIF-1α의 803 아스파라진 잔기를 수화시키는 것이 밝혀졌다(Lando et al., Science 295:858-865, 2002). 상기 효소는 PHD보다 2-옥소글루타레이트 및 산소에 대한 Km 값이 2배 이상 낮아, PHD가 작용할 수 없는 산소 분압에서도 일부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Koivunen et al., J. Biol . Chem . 279:9899-9904, 2004).
HIF-1α의 활성화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표적 유전자는 EPO(erythropoietin)과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인데, 상기 유전자들은 저산소 상태에서 보호 기작의 주요 매개자로 작용한다(Grimm et al., Nat Med 8:178-724, 2002: Calvillo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0:4802-4806, 2003: Ferriero D.M., Epilepsia . 46:45-51, 2005; Simons, A., Ware, J.A., Nat Rev Drug Discov . 2:863-871, 2003). EPO와 이의 수용체는 뇌에서 발현되며, 뇌경색에 의한 손상시 신경 보호와 연관이 되어 있으며(Digicayolioglu, M.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2:3717-3720, 1995; Ehrenreich, H. et al., Metab Brain Dis. 19:195-206, 2004), 생체 내(in vivo)에서 뇌경색 발생시 뉴런(neuron)을 보호함이 보고되었다(Sasaki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5:4635-4640, 1998). VEGF는 심근 경색 연구에 있어서 임상 1기 및 2기 실험에서 안정성과 치료제로서의 안정성이 보고되었다(Yoon, Y.S. et al., Mol Cell Biochem . 264:1494-1504, 2004; Shah, P.B. and Losordo, D.W., Adv Genet 54:339-361, 2005; Simons, M. and Ware J.A., Nat Rev Drug Discov. 2:863-871, 2003; Henry, T.D. et al., Circulation 107:1359-1365, 2003). VEGF의 혈관 형성 활성에 의해 손상받은 뉴론(neuron)과 신경교(neuronglia)에서 새로운 보호 활성을 가진다(Rosenstein, J.M. and Krum, K, Exp Neurol 187:246-253, 2004). VEGF의 레벨이 저해되면 근위축성 측상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이 발생하며, 관류(perfusion)와 신경보호(neuroprotection) 기능이 저하된다(Storkebaum, E.. Lambrechts, D., Carmeliet, P., Bioessays 26:943-954, 2004).
클리오퀴놀(Clioquinol: 이하 "CQ"라 칭함)은 Zn2 +, Cu2 + 및 Ca2 +와 같은 중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킬레이트화 시키며, 효소 활성 및 단백질 형성에 있어서 중 금속 이온들의 효과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CQ의 pKa값은 Cu2 +, 15.8; Zn2 +, 12.5; Ca2+ 8.1; Mg2 +, 8.6이다(Agrawal, Y.K. et al., J Pharm Sci . 75:190-192, 1986). CQ는 소수성이며, 뇌 혈관 장벽(blood brain barrier)을 통과한다. CQ는 최근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헌팅턴 질환에서 침전과 메탈로 단백질의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prototype metal-protein attenuating compound로 재평가되고 있다. CQ는 1900년대 중반에 항생제로 각광받았으나 일본에서 골수-시각 신경병증의 원인으로 밝혀지면서 회수되었다(Cherny, R.A., Neuron 30:665-676, 2001; Kaur, D. et al., Neuron 37:899-909, 2003; Nguyen T.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102:11840-11845, 2005). 최근 알츠하이머 질환 동물모델인 APP2576 형질전환 마우스 연구에서 CQ는 아밀로이드 베타 플러그와 아밀로이드 세럼 수치를 부작용(adverse effect)없이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었다(Doraiswamy, P.M. et al., Lancet Neorul 3:431-434, 2004). 최근 2단계 임상 조사에서 알츠하이머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CQ는 인지 감퇴를 늦추었으며, 유의성 있게 아밀로이드 베타 농도를 감소시켰다(Ritchie C.W. et al., Arch Neurol 60:1685-1691, 2003).
CQ는 또한 여러 인간 암세포주에서 세포 죽음의 원인이 되는데, 이는 세포 사멸 과정을 통해 일어난다. CQ를 처리한 암세포주에 구리(copper) 또는 징크(zinc)를 첨가하여도 CQ로 인한 세포 죽음은 막을 수 없으며, 오히려 더 세포 죽음을 증가시켰다. CQ 처리 세포에 형광 표지로 징크 수치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는데, 이를 통해 CQ가 이온 투과 담체(zinc ionophore)의 활성화에 의해 세포 죽음을 일으킴을 알 수 있다(Ding, W.O., et al., Cancer Res. 65:3389-3395, 2005).
CQ와 같은 금속 킬레이터인 TPEN(테트라키라스-(2-피리델메틸)에틸렌디아민:C26H28N6)은 Zn2 +, Cu2 + 및 Fe2 +와 같은 중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킬레이트화 시키며, 효소 활성 및 단백질 형성에 있어서 중금속 이온들의 효과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TPEN의 pKa 값은 Cu2 +, 20.2; Zn2 +, 15.4; Fe3 +, 14.4; Ca2 +, 3이다(Cherny R.A. et al., J Biol Chem ., 274:23223-23228, 1999).
본 발명자들은 CQ가 정상 상태(normaxia condition)에서 HIF-1α의 유비퀴닌화를 저해하여 HIF-1α를 축적시키는 한편, FIH-1의 활성화를 저해하여 HIF-1α가 전사활성을 갖게 하여 HIF-1α의 표적 유전자인 VEGF 및 EPO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허혈성 질환 치료제로서 클리오퀴놀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리오퀴놀(clioqu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IF(Hypoxia0inducible factor)-1α 활성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을 클리오퀴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FIH-1(factor inhibiting HIF-1α) 저해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리오퀴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VEGF(vac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발현 유도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리오퀴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EPO(erythropoietin) 발현 유도제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클리오퀴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 치료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클리오퀴놀(clioquinol: 이하 "CQ"라 칭함)은 중금속 킬레이터로서, Zn2 +, Cu2+ 및 Ca2 +와 같은 중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킬레이트화 시키며, 효소 활성 및 단백질 형성에 있어서 중금속 이온들의 효과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CQ의 pKa값은 Cu2 +, 15.8; Zn2 +, 12.5; Ca2 + 8.1; Mg2 +, 8.6이다.
TPEN(테트라키라스-(2-피리델메틸)에틸렌디아민:C26H28N6)은 Zn2 +, Cu2 + 및 Fe2+와 같은 중금속 이온을 선택적으로 킬레이트화 시키며, 효소 활성 및 단백질 형 성에 있어서 중금속 이온들의 효과를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TPEN의 pKa 값은 Cu2 +, 20.2; Zn2 +, 15.4; Fe3 +, 14.4; Ca2 +, 3이다(Cherny R.A. et al., J Biol Chem . 274:23223-23228, 1999).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저산소 상태(hypoxia condition)에서 HIF-1α 메커니즘에 관여하는 PHD2와 같은 HIF-1α 조절자, 유비퀴틴화 구성효소, CBP 단백질이 징크 핑거(zinc finger) 모티브를 가지므로, 중금속 킬레이터인 CQ가 HIF-1α 메커니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중금속 킬레이터인 TPEN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인간 HepG2 간세포와 SH-SY5T 뇌세포에서 CQ와 TPEN을 처리하여 HIF-1α의 활성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상 상태(normoxia condition)에서 CQ와 TPEN 모두 HIF-1α 단백질을 안정화시켜 그 양을 증가시켰다(도 1A 참조). 이후 CQ와 TPEN이 HIF-1α의 표적 유전자인 VEGF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RT-PCR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상 상태에서 CQ가 TPEN보다 월등하게 VEGF의 발현을 유도함이 확인되었다(도 2 참조).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저산소 상태에서 반응하는 저산소 반응 구성요소(hypoxia-response element: 이하 "HRE"라 칭함)에 CQ 및 TPE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CQ에 의해 저산소 상태에서 반응하는 HRE-의존 유전자가 정상 상태에서도 강하게 발현 유도됨을 알 수 있다(도 3 참조). 이를 통해 CQ와 TPEN이 HIF-1α를 안정화시키며, 표적 유전자 발현 유도를 위한 HIF-1α의 전이 활성에 있어서는 차이를 나타내므로, CQ는 TPEN과 달리 HIF-1 α 표적 유전자인 VEGF의 발현을 유도한다.
정상 상태에서 HIF-1α은 유비퀴틴화에 의해 분해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CQ와 TPEN이 HIF-1α의 유비퀴틴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CQ와 TPEN 모두 정상 상태에서 HIF-1α의 유비퀴틴화를 저해하였다(도 4 및 도 5 참조). HIF-1α의 유비퀴틴화는 pVHL, elonginB, elonginC, Clu2, Rbx로 이루어진 VCB E3 라이게이즈 복합체(ligase complex)에 의해 이루어진다(Iwai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6:12436-12441, 1999; Kamura et al., Science 284:657-661, 1999). Rbx1은 유비퀴틴 라이게이즈 활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RING-H2-타입 징크 핑거 도메인을 가지고 있는데(Kamura et al., Science 284:657-661, 1999), CQ가 이러한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인다(Webster et al., J Biol Chem 278:38238-38246, 2003). 이를 통해 CQ와 TPEN이 HIF-1α의 유비퀴틴화 저해를 통해 정상 상태에서 HIF-1α 단백질 양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HIF-1α 전이 활성은 803번 아스파라진 잔기의 수산화로 인해 저해되는데 이는 FIH-1에 의해 이루어진다(Dan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9;15351-15356, 2002; Lando et al., Science 295:858-861, 2002). HIF-1α의 803번 아스파라진 잔기의 수산화는 HIF-1α와 조활성자(coactivator)인 CBP와의 결합을 저해하여 전사 활성이 없는(non-function) HIF-1α의 축적을 유도하므로, HIF-1α는 FIH-1의 활성도가 감소할 때 전사 활성이 증가하게 된다(Freema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9:5367-5372, 2002).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본 발명자들은 FIH-1의 활성도에 미치는 CQ와 TPE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방사선이 표지된 HIF- 1α를 단독으로 레진에 로딩 했을 경우 레진 안에 충진된 CBP와 결합하였다(도 6 라인 1 참조). 방사선 표지된 HIF-1α와 FIH-1을 반응시켰을 때에는 FIH-1에 의해 HIF-1α의 803번 아스파라진 잔기가 수화되어 HIF-1α와 CBP와의 결합을 방해하였다(도 6 라인 2 참조). 방사선 표지된 HIF-1α, FIH-1, TPEN을 함께 반응시켰을 때 FIH-1에 의해 수화된 HIF-1α은 CBP와 결합할 수 없었는데 이를 통해 TPEN이 HIF-1α에 미치는 FIH-1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도 6 라인 4, 5 참조). 방사선 표지된 HIF-1α와 CQ를 반응시켰을 때, HIF-1α는 CBP와 결합하며(도 6 라인 6 참조), 방사선 표지된 HIF-1α와 FIH, CQ를 함께 반응시켰을 때, CQ의 농도가 높아지면 HIF-1α에 대한 FIH-1의 활성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도 6 라인 7, 8 참조). 이를 통해 CQ는 직접적으로 HIF-1α에 대한 FIH-1 활성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 FIH-1은 HIF-1α의 803번째 아스파라진 잔기를 수산화하여 CBP와 HIF-1α의 전이 활성 도메인과의 결합을 방해한다. 그러므로 CQ는 FIH-1에 의한 HIF-1α의 803번 아스파라진 잔기의 수산화를 방해하며, 이를 통해 전사 기능을 온전히 갖는(fuction) HIF-1α 축적시킨다. TPEN은 FIH-1의 활성화를 저해시키지 못하므로 전사기능이 없는(non-function) HIF-1α을 증가시킨다. 이를 통해, CQ로 인한 HIF-1α의 수산화 저해 증가시 조활성자인 CBP와의 결합하는데, 상기 아스파라진 잔기가 제외된 프롤린 잔기만이 수화되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그와 대조적으로 TPEN은 FIH-1의 활성화를 저해시키지 못한다.
본 발명자들은 HIF-1α에 의한 저산소 유도 전이활성(hypoxia-induced transactivation)에 대한 CQ와 TPEN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조사하기 위해 리 포터 유전자 어세이 시스템, 조-면역침전법, 징크 존재하의 HIF-1α와 CBP와의 결합을 조사하였다. 리포터 유전자 어세이 시스템을 이용한 조사에서 CQ는 정상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HIF-1α의 전이 활성을 증가시켰다(도 7A 참조). 그와 대조적으로 TPEN은 정상 상태에서 HIF-1α의 전이 활성을 증가시키지 않았다(도 7B 참조). 조-면역침전법을 이용한 조사에서 정상 상태에서, CQ를 처리한 세포에서 HIF-1α와 CBP가 결합하였으나, MG132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HIF-1α가 CBP와 결합하지 않았다(도 8 참조). MG132는 정상 상태에서 HIF-1α의 분해를 막는데, MG132 처리 세포에서는 FHI-1이 HIF-1α의 803번 아스파라진 잔기를 수산화시켜 CBP와의 결합을 방해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CBP가 HIF-1α와 결합하기 위해 징크 핑거 도메인 CH1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CQ와 TPEN이 시험관 내에서는 HIF-1α와 CBP 사이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징크 존재 하의 HIF-1α와 CBP와의 결합 조사 역시 CQ와 TPEN이 HIF-1α와 CBP와의 결합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다(도 9 참조). 이러한 결과를 통해, CQ는 HIF-1α의 전이 활성을 증대시키며, 정상 상태에서 HIF-1α와 CBP의 결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노던 블롯 방법을 통하여 CQ와 TPEN에 의한 HIF-1α표적 유전자 VEGF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CQ는 정상 상태에서 VEGF의 발현을 유도하나, TPEN은 VEGF의 발현을 유도하지 못했다(도 10 참조).
또한, RT-PCR 방법을 통하여 HIF-1α의 표적 유전자인 EPO(erythropoietin)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CQ는 정상 상태에서 EPO의 발현을 유도하였다(도 11 참조).
본 발명은 CQ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 치료제를 제공한다. 상기 허혈성 질환 치료제는 허혈성 심장 질환, 허혈성 뇌질환, 허혈성 말단 질환을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CQ가 VEGF 및 EPO의 발현을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최근 연구에서는 재조합 VEGF 단백질을 이용하여 허혈성 질환 및 심혈관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적용하였으며(oon Y. S., et al., Mol Cell Biochem 264:63-74, 2004; Henry T. D., et al., Circulation 107:1359-1365, 2003), VEGF 발현벡터를 허혈성 심장 질환 환자에게 적용하여 안전성을 확인하였다(Hedman M. et al., Circulation 107:2677-2683, 2003). 또한, VEGF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허혈성 뇌질환에서 뉴로프로텍션(neuroprotection) 효과가 나타남이 보고되었다(Storkebaum E., Lambrechts D., Carmeliet P., Bioessays 26:943-954, 2004; Jin K. L., Mao X. O., Greenberg D. A., Proc Natl Acad Sci USA 97:10242-10247, 2000; Sun Y., et al., J Clin Invest 111:1843-1851, 2003; Zhu W., et al., Neurosurgery 57:325-333, 2005). EPO의 경우 재조합 EPO 단백질은 심근 경색 및 뇌경색 질환에서 세포 보호 효과를 보임이 다수의 논문에서 보고되었다(Cai Z., et al., Circulation 108:79-85, 2003; Ehrenreich H., et al., Metab Brain Dis 19:195-206, 2004; Sakanaka M.,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5:4635-4640, 1998; Ehrenreich H., et al., Mol Med 8:495-505, 2000). 따라서 CQ는 VEGF 및 EPO 발현 증가를 통해 허혈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CQ는 그대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염으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무독성 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불화수소산, 브롬화수소산, 포름산 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젖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숙신산, 메탈술폰산, 벤젠술폰산, 톨루엔술폰산, 나프탈렌술폰산 등의 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혈성 질환 치료제는 허혈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 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허혈성 질환 치료제는 상기 CQ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투약 단위는, 예를 들면 개별 투약량의 1, 2, 3 또는 4배로, 또는 1/2, 1/3 또는 1/4배를 함유할 수 있다. 개별 투약량은 바람직하기로는 유효 약물이 1회에 투여되는 양을 함유하며, 이는 통상 1일 투여량의 전부, 1/2, 1/3 또는 1/4배에 해당한다.
유효용량은 0.5 - 6 ㎎/㎏ 이고, 바람직하게는 3 ㎎/㎏ 이며, 하루 1-3 회 투여될 수 있다. 용량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발병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HIF -1α 안정화에 대한 클리오퀴놀( Clioquinol : 이하 " CQ "라 칭함)과 TPEN의 영향 조사
< 실시예 1-1> HepG2 세포에서 HIF -1α 안정화에 대한 CQ TPEN 의 영향 조사
인간 HepG2 간세포(hepatoma cell:ATCC HB-8065)를 정상 상태(normoxic condition)와 저산소 상태(hypoxic condition)에서 배양하였다. HepG2 세포는 비 필수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는 MEM(Invitrogen, USA)에 10% FBS(fetal bovine serum: Biowhittaker, USA)이 들어있는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저산소 상태로 배양하기 위하여 혐기성 배양기(anaerobic incubator: Model 1029, Forma Scientific. Inc)에서 5% CO2, 10% H2, 85% N2로 37℃에서 배양하였다. 약물과 저산소를 함께 처리한 경우 약물은 1시간 전 처리하고, 추가로 저산소 처리를 하며, RNA 분리를 할 때는 저산소 상태에서 16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단백질 분리를 위해서는 6시간 동안 저산소 상태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한 정상 상태 인간 HepG2 간세포에는 CQ(Calbiochem, USA)(10, 100, 500 μM)와 TPEN(Calbiochem, USA)(5 μM)을, 저산소 상태의 인간 HepG2 간세포에는 CQ(10, 100 μM)와 TPEN(5 μM)을 6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 후 웨스턴 블롯 방법으로 HIF-1α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군에서 취한 시료를 8% SDS-PAGE에 전기영동을 수행하고 니트로셀루로오스 막(Schleicher&Schuell Bioscience, USA)에 이동시켰다. 이후 1차 항체로 항-인간 HIF-1α 항체(BD, Pharmingen, USA)(1:800 희석)를 사용하였고, 2차 항체로는 마우스-Ig 복합 고추냉이 퍼옥시데이트(mouse Ig conjugated horseradish peroxidase)(1:3,000 희석)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을 위하여 항 β tubulin 항체(BD, Pharmingen, USA)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 결과, 인간 간세포에서 정상 상태(Normoxic condition)일 때, TPEN은 HIF-1α 단백질의 양을 증가시켰으며, CQ 역시 강하게 HIF-1α를 증가시켰다. 저산소 상태(hypoxic condition)에서는 대조군에 비교하였을 때 TPEN, 및 CQ 모두 에서 HIF-1α의 축적이 일어났다(도 1A 참조).
< 실시예 1-2> SH - SY5Y 세포에서 HIF -1α 안정화에 대한 CQ TPEN 의 영향 조사
인간 SH-SY5Y 뇌세포(neuroblastoma cell:ATCC CRL-2266)를 정상 상태(normoxic condition)와 저산소 상태(hypoxic condition)에서 배양하였다. SH-SY5Y 세포는 비필수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는 MEM(Invitrogen, USA)에 10% FBS(fetal bovine serum: Biowhittaker, USA)이 들어있는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저산소 상태로 배양하기 위하여 혐기성 배양기(anaerobic incubator: Model 1029, Forma Scientific. Inc)에서 5% CO2, 10% H2, 85% N2로 37℃에서 배양하였다. 약물과 저산소를 함께 처리한 경우 약물은 1시간 전처리하고, 추가로 저산소 처리를 하며, RNA 분리를 할 때는 저산소 상태에서 16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단백질 분리를 위해서는 6시간 동안 저산소 상태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한 정상 상태의 인간 SH-SY5Y 뇌세포에는 TPEN(5 μM)와 CQ (10, 100 μM)를, 저산소 상태의 인간 SH-SY5Y 뇌세포에는 CQ(100 μM)를 6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 후 웨스턴 블롯 방법으로 HIF-1α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군에서 취한 시료를 8% SDS-PAGE에 전기영동을 수행하고 니트로셀루로오스 막(Sigma, USA)에 이동시켰다. 이후 1차 항체로 항-인간 HIF-1α 항체(BD, Pharmingen, USA)(1:800 희석)를 사용하였고, 2차 항체로는 마우스-Ig 복합 고추냉이 퍼옥시데이트(mouse Ig conjugated horseradish peroxidase)(1:3,000 희석)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을 위하여 항 β tubulin 항체(BD, Pharmingen, USA)를 사용하였다.
본 실험 결과, 인간 신경세포에서 TPEN은 HIF-1α 단백질 양을 증가시켰으며, CQ 역시 강하게 HIF-1α를 축적시켰다. 저산소 상태(hypoxic condition)에서는 대조군, TPEN, 및 CQ 모두에서 HIF-1α 단백질 양의 축적이 일어났다(도 1B 참조).
< 실시예 1-3> HIF -1α 표적 유전자 VEGF 발현에 대한 CQ TPEN 의 영향 조사
인간 SH-SY5Y 뇌세포주와 인간 HepG2 간세포주를 실시예 1과 같이 정상 상태와 저산소 상태에서 배양하였다. 인간 SH-SY5Y 뇌세포와 인간 HepG2 간세포를 정상 상태에서 배양한 후, TPEN(5 μM), CQ(10, 100 μM)을 처리하였고, 저산소 상태에서 배양한 세포주들에는 TPEN(5 μM), CQ(100 μM)을 16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전체 RNA는 RNase Spin column(Qiagen, USA)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분리한 RNA 중 1 ㎕를 이용하여 AMV reverse transcriptase(Promega, USA)와 random hexamer(Gibco-BRL, USA)로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주형으로 하여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VEGF 정방향 프라이머(5'- ccatgaactttctgctgtctt-3')와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VEGF 역방향 프라이머(5'-atcgcatcaggggcacacag-3')를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RT-PCR 조건은 하기와 같다. 95℃에서 5분간 초기 변성 과정을 거친 후, 95℃에서 45초 동안 변성 반응, 56℃에서 45초 동안 프라이머 결합 반응, 72℃에서 60초 동안 길이 연장 반응을 수행하였고, 상기 과정을 30회 반복하 였다. 대조군으로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되는 18S 정방향 프라이머(5'-accgcagctaggaataatggaata-3')와 서열번호 4로 기재되는 18S 역방향 프라이머(5'-ctttcgctctggtccgtctt-3')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RT-PCR 조건은 하기와 같다. 95℃에서 5분간 초기 변성 과정을 거친 후, 95℃에서 45초 동안 변성 반응, 56℃에서 45초 동안 프라이머 결합 반응, 72℃에서 60초 동안 길이 연장 반응을 수행하였고, 상기 과정을 30회 반복하였다.
본 실험 결과, 인간 SH-SY5Y 뇌세포주의 경우 정상 상태에서 CQ가 TPEN와는 다르게 VEGF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저산소 상태인 경우 CQ가 VEGF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인간 HepG2 간세포주의 경우 역시 CQ가 TPEN과는 다르게 VEGF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저산소 상태에서는 대조군, TPEN, CQ를 처리함에 있어서 VEGF의 발현에 변화가 없었다(도 2 참조).
< 실시예 1-4> HepG2 간세포에서 저산소 반응 구성요소( HRE : hypoxia-response element)-의존 유전자 발현에 대한 CQ TPEN 의 영향 조사
인간 HepG2 간세포를 5×104 개가 되도록 배양한 후, 100 ng의 HRE-reporter 플라스미드, p(HRE)4-luc, β-galactosidase가 클로닝 된 pCHO110을 형질 전환시켰다. 형질 전환한 인간 HepG3 간세포를 정상 상태와 저산소 상태에서 각각 배양한 후에, 각각 TPEN(5, 10 μM), CQ(10, 50 μM)를 16시간 동안 각각 처리하였고, 형질전환하고 48시간 이후 루시퍼레이즈 어세이를 reporter gene assay system(Promega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β-galactosidase의 활성도로 값을 평균화하였다.
본 실험 결과, CQ는 TPEN과는 달리 HIF-1α의 저산소 반응 구성요소(hypoxia-response element)의 활성을 유도함을 확인하였다(도 3 참조).
< 실시예 2> HIF -1α 유비퀴틴화(ubiquitination)에 대한 CQ TPEN 의 영향 조사
< 실시예 2-1> 시험관내 (in vitro) 유비퀴틴화 ( ubiquitination ) 조사
HeLa 세포는 DMEM(Invitrogen, USA)에 10% FBS(fetal bovine serum: Biowhittaker, USA)이 들어있는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100 mm 배양 플레이트에 80% 정도 자랐을 때, HeLa 세포를 냉각한 저장 추출 버퍼(hypotonic extraction buffer: 20 mM Tris-HCl(pH 7.5), 5 mM KCl, 1.5 mM MgCl2, 1 mM dithiothreitol, 2 ㎍/㎖ aprotinin, 2 ㎍/㎖ leupeptin, 0.2 mM PMSF)로 2회 세척하였다. 버퍼 제거한 후, 세포를 세포파쇄기(Dounce homogenizer)를 사용하여 파쇄하였고 10,000 ×g로 10분간 4℃에서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세포 찌꺼기와 핵산을 제거하였다. 상층액(S-10 분획)은 -70℃에 저장하였다. 유비퀴틴화 조사(ubiquitination assay)는 30℃에서 270분간 수행하였으며 2 ㎕ [35S]-labeled human HIF-1α-programmed reticulocyte lysate, 27 ㎕ S-10 추출물, 4 ㎕ 10×ATP-regenerating system(20 mM Tris(pH 7.5), 10 mM ATP, 10mM magnesium acetate, 300 mM creatine phosphate, 0.5 ㎍/㎖ creatine phospholinase), 5 ㎎/㎖ ubiqitin(Sigma, USA)의 4 ㎕, 150 μM ubiquitin aldehyde(Sigma, USA) 0.83 ㎕를 포함하여 최종 부피 40 ㎕가 되도록 하여 수행하였다. CQ를 처리한 시료는 CQ 100 μM을 포함하여 수행하였다. SDS 시료 버퍼를 첨가하였고, 반응 생산물은 6% SDS-PAGE 젤에 전기영동한 후 방사선 사진 촬영(autoradiography)으로 분석하였다(Cockman et al., J Biol Chem 275:25733-25741, 2000).
본 실험 결과 CQ와 TPEN, 두 킬레이터 모두 HIF-1α의 유비퀴틴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 실시예 2-2> 생체내 (in vivo ) 유비퀴틴화 ( ubiquitination ) 조사
인간 HepG2 간세포주에 TPEN(5 μM), CQ(100 μM), MG132(5 μM)를 처리하여 6시간 동안 정상 상태에서 배양하였다. 이 후 웨스턴 블롯 방법으로 HIF-1α의 유비퀴틴화를 조사하였다. 웨스턴 블롯 방법은 실시예 1-2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MG132는 특이적으로 26S 프로테아좀(proteasome)을 특이적으로 저해하여, 정상 상태에서도 유비퀴틴 접합 HIF-1α의 분해를 저해한다. 본 실험 결과, CQ는 HIF-1α의 유비퀴틴화를 방해하여 정상 상태에서 HIF-1α을 축적시키며, 이는 실시예 2-1의 시험관내 유비퀴틴화 조사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도 5 참조).
< 실시예 3> FIH -1에 대한 CQ TPEN 의 영향 조사
HIF-1α에 의한 전이 활성은 803번 아스파라진 잔기의 수산화로 인해 저해되 는데 이는 FIH-1에 의해 이루어진다(Dan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9, 15351-15356, 2002; Lando et al., Science 295:858-861, 2002). HIF-1α의 803번 아스파라진 잔기의 수산화는 HIF-1α와 조활성자인 CBP와의 결합을 저해하므로, HIF-1α은 FIH-1의 활성도가 감소할 때 활성이 증가하므로(Freema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9:5367-5372, 2002), CQ와 TPEN이 FIH-1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간 FIH-1 유전자(AF395830)는 pET28a 벡터(Novagen, USA)에 클로닝 하였고, FIH-1을 히스티딘 표지 융합 단백질로 E. coli에서 대량 발현하였으며 니켈-친화 크로마토그래피(Ni-affinity chromatography)로 정제하였다. 융합 단백질은 gel-filtration chromatography(Hi-Load Superdex 200)로 정제하였으며 울트라필터레이션(ultrafiltration)으로 농축하였다(Choi et al., Mol Pharmacol 68:1803-1809, 2005)
20 ㎕ [35S]-라벨 인간 HIF-1α 단백질을 정제된 FIH-1 단백질과 함께 반응 버퍼(200 ㎕; 20 mM Tris-HCl(pH 7.5), 5 mM KCl, 1.5 mM MgCl2, 1 mM DTT, 2 mM ascorbic acid, 2 mM α-ketoglutarate, 250 μM FeSO4)에서 1시간 동안 30℃에서 반응하도록 하였다. 고정된 GST-CBP N-도메인(아미노산 1-450)(Kamei et al., Cell 85:403-414, 1996) 1 ㎍을 혼합물 각각에 500 ㎕ 결합 버퍼(200 mM Tris.HCl(pH 8.0), 150 mM NaCl, 20 μM ZnCl2, 0.5 mM DTT)와 함께 혼합하여 4℃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글루타치온-유니플로우 레진(glutathione-uniflow resin)에 결합한 단백질을 1 ㎖의 0.1% Nonidet P-40이 포함된 결합 버퍼로 4회 세척하였고, SDS 시료 버퍼로 가열하여 용출시켜 SDS-PAGE로 분석하였다(Dan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9:15351-15356, 2002).
방사선 표지된 HIF-1α을 정제한 재조합 FIH-1과 반응시켰으며, CQ 또는 TPEN 유무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FIH-1은 HIF-1α의 803번 아스파라진 잔기를 수산화시켜 HIF-1α의 전이 활성 도메인에 결합하는 CBP와의 결합을 저해시킬 것이다. 실험 결과, FIH-1의 단독 처리는 CBP와 결합하는 HIF-1α의 능력을 저하시켰다(도 6 참조). CBP는 HIF-1α과 결합하기 위해 필요한 C/H 1 도메인에 징크 핑거 모티브(zinc finger motif)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자들은 시료를 글루타치온(glutathion) 레진에 부어주기 전에, CQ와 TPEN의 활성으로 인해 수산하기 위해 500 ㎕ Zn2 +(20 μM)가 포함된 버퍼를 가해주었다. 방사선이 표지된 HIF-1α를 단독으로 레진에 로딩 했을 경우 레진의 글루타치온에 HIF-1α와 결합한 CBP가 결합하였다(도 6 라인 1 참조). 방사선 표지된 HIF-1α와 FIH-1을 반응시켰을 때에는 FIH-1에 의해 HIF-1α의 803번 아스파라진 잔기가 수화되어 HIF-1α와 CBP와의 결합을 방해하였다(도 6 라인 2 참조). 방사선 표지된 HIF-1α, FIH-1, TPEN을 함께 반응시켰을 때 FIH-1에 의해 수화된 HIF-1α은 CBP와 결합할 수 없었는데 이를 통해 TPEN이 HIF-1α에 미치는 FIH-1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다(도 6 라인 4, 5 참조). 방사선 표지된 HIF-1α와 CQ를 반응시켰을 때, HIF-1α는 CBP와 반응하며(도 6 라인 6 참조), 방사선 표지된 HIF-1α와 FIH, CQ를 함께 반응시 켰을 때, CQ의 농도가 높아지면 HIF-1α에 대한 FIH-1의 활성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다(도 6 라인 7, 8 참조).
< 실시예 4> HIF -1α에 의한 저산소 유도 전이활성( hypoxia -induced transactivation)에 대한 CQ 와 TPEN의 영향 조사
< 실시예 4-1> 리포터 유전자 어세이 시스템(reporter gene assay system)을 이용한 CQ TPEN 의 영향 조사
인간 HepG2 간세포 5×104개 되도록 배양한 후, 100 ng의 Gal4-driven reporter 플라스미드(Gal4 결합 사이트(binding site)와 반딧불이 루시퍼레이즈 유전자(firefly leuciferase gene) 융합)와 pGal4/HIF-1α 플라스미드(효모 Gal4 단백질(1-147 아미노산)의 DNA 결합 도메인과 융합된 HIF-1α를 발현하는 플라스미드)를 형질 전환시켰다. 형질 전환된 인간 HepG2 간세포를 정상 상태와 저산소 상태에서 각각 배양한 후에, 정상 상태에 CQ(50 μM)를 16 시간 동안 처리하였고, 형질전환하고 48시간 이후 루시퍼레이즈 어세이를 reporter gene assay system(Promega,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β-galactosidase의 활성도로 값을 평균화하였다. TPEN의 경우 인간 HepG2 간세포를 정상 상태와 저산소 상태에서 배양한 후 각각 TPEN(2, 5 μM)을 16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Gal4 융합 단백질은 Gal4 결합 사이트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리포터 유전자는 HIF-1α가 전이 활성도를 보일 때만 전사될 수 있다. 본 실험 결과, CQ는 정상 상태에서 HIF-1α의 전이 활성도를 증가시킨다(도 7A 참조). 그와는 대조적으로 TPEN의 경우 저산소 상태에서는 HIF-1α의 활성을 증가시키나, 정상 상태에서는 HIF-1α의 활성을 증가시키지 못한다(도 7B 참조).
< 실시예 4-2> 조-면역침전법(co- immunoprecipitation )을 이용한 CQ TPEN 의 영향 조사
인간 HepG2 간세포는 100-mm 플레이트에 80%가 되도록 배양하고, 정상 조건에서 MG132(5 μM)를 6시간 동안 처리하였고, 정상 상태에서 CQ 100 μM을 처리하였다. 전체 세포 추출물은 Jaakkola 등의 방법으로 준비하였다(Jaakkola et al., Science 292:468-472, 2001). 면역침전을 위하여 전체 세포 용해질(lysate) 시료 200 ㎍을 anti-mouse IgG(Santa Cruz Biotechnologym Santa Cruz, USA) 1 ㎍, 0.5% ImmunoPure immobilized protein A/G gel(Pierce, USA) 10 ㎕와 4℃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protein A/G gel을 제거한 후, 맑아진 반응액을 항-CBP 항체(anti-CBP antibody: Santa Cruz Biotechnology, USA) 1 ㎍와 혼합하였다. 0.5% ImmunoPure immobilized protein A/G gel 15 ㎕를 첨가한 후에, 혼합물을 4℃에서 16시간 이상 방치하였다. 면역침전물을 침전시키고, PBS로 4회 세척한 후 SDS 시료 버퍼로 반응을 중단시켰다. 시료는 5분간 가열하였고 8% SDS-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 한 후 semi-dry transfer(Trans-Blot SD, Bio-Red, Hercules, USA)를 이용하여 니트로셀루로오스 막에 이동시켰다. 조-면역침전 단백질을 항-인간 HIF-1α 항체(anti-human HIF-1α antibody)(BD, Pharmingen, USA) 및/또는 항-CBP 항체로 반 응시키고, 증진된 화학 발광(hanced chemiluminescence)에 의해, 항-마우스(anti-mouse) 또는 항-토끼(rabbit) Ig 결합 고추냉이 퍼옥시데이즈(conjugated with horseradish peroxidase)(HRP)를 2차 항체로 사용하여 제작자의 지시에 따라(Amersham, USA) 시각화시켰다.
본 실험 결과, CQ를 처리한 세포와 저산소 상태의 세포에서 HIF-1α는 CBP와 결합하였으나, MG132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HIF-1α가 CBP와 결합하지 않았다(도 8A 참조). MG132는 26S 프로테아좀을 특이적으로 저해하여, 정상 상태에서도 유비퀴틴 접합 HIF-1α의 분해를 저해한다. MG132 처리 세포에서는 FHI-1이 HIF-1α의 803번 아스파라진 잔기의 수산화가 일어나므로 CBP와 결합하지 않는다. TPEN의 경우 HIF-1α와 CBP와 결합하지 않는다(도 8B 참조).
< 실시예 4-3> 시험관 내(in vitro) HIF -1α와 CBP 의 결합에 대한 CQ TPEN 의 영향 조사
20 ㎕ [35S]-라벨 인간 HIF-1α 단백질과 고정된 GST-CBP N-도메인(아미노산1-450)(Kawei et al., Cell 85:403-413, 1996)을 ZnCl2 없는 상태 또는 ZnCl2 20 μM에서 함께 반응 버퍼(200 ㎕; 20 mM Tris-HCl(pH 7.5), 5 mM KCl, 1.5 mM MgCl2, 1 mM DTT)에서 1시간 동안 4℃에서 반응하도록 하였다. 글루타치온-유니플로우 레진(glutathione-uniflow resin)에 결합한 단백질을 1 ㎖의 0.1% Nonidet P-40이 포함된 결합 버퍼로 4회 세척하였고, SDS 시료 버퍼로 가열하여 용출시켜 SDS-PAGE로 분석하였다(Dan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9:15351-15356, 2002).
본 실험 결과, CBP가 HIF-1α와 결합하기 위해 징크 핑거 도메인(zinc finger domain) CH1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ZnCl2 존재하여 CQ와 TPEN 처리시 HIF-1α와 CBP의 결합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도 9 참조).
< 실시예 5> HIF -1α 표적 유전자 VEGF 의 발현에 대한 CQ TPEN 에 대한 영향 조사
인간 HepG2 간세포를 TPEN(5 μM)과 CQ(10, 100 μM)를 처리한 후에 정상 상태와 저산소 상태로 1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전체 RNA는 RNase Spin column(Qiagen, USA)을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VEGF의 발현은 노던 블롯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노던 블롯 하이브리디제이션은 32P-라벨된 VEGF cDNA 탐침으로 수행하였다. 노던 블롯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였다(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1989).
본 실험 결과, CQ는 TPEN과 달리 정상 상태에서 VEGF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도 10 참조).
< 실시예 6> HIF -1α 표적 유전자 EPO의 발현에 대한 CQ 에 대한 영향 조사
인간 SH-SY5Y 세포를 CQ(10, 50 μM)를 처리한 후에 정상 상태와 저산소 상태로 1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전체 RNA는 RNase Spin column(Qiagen, USA)을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EPO의 발현은 노던 블롯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노던 블롯 하이브리디제이션은 32P-라벨된 EPO cDNA 탐침으로 수행하였다. 노던 블롯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였다(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1989).
본 실험 결과, CQ는 정상 상태에서 EPO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도 11 참조).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리오퀴놀은 정상 상태(normaxia condition)의 세포에서 HIF-1α(Hypoxia-inducible factor-1α)의 유비퀴틴화를 저해하여 HIF-1α를 축적시키는 한편, FIH-1의 활성화를 저해하여 HIF-1α의 전사 활성을 증가시켜 HIF-1α 표적 유전자인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및 EPO(erythropoietin)의 발현을 유도함으로, 허혈성 질환 치료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110> University of seoul <120> Ischemic disease treating agent comprising clioquinol <160> 4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1 <212> DNA <213> VEGF sense primer <400> 1 ccatgaactt tctgctgtct t 21 <210> 2 <211> 20 <212> DNA <213> VEGF antisense primer <400> 2 atcgcatcag gggcacacag 20 <210> 3 <211> 24 <212> DNA <213> 18s primer <400> 3 accgcagcta ggaataatgg aata 24 <210> 4 <211> 20 <212> DNA <213> 18s antisense primer <400> 4 ctttcgctct ggtccgtctt 20

Claims (7)

  1. 클리오퀴놀(clioqu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IF(hypoxia-inducible factor)-1α 활성제.
  2. 제 1항에 있어서, 클리오퀴놀(clioquinol)은 HIF-1α의 유비퀴틴화를 억제하거나 HIF-1α 전사 활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IF-1α 활성제.
  3. 클리오퀴놀(clioqu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FIH-1(factor inhibiting hypoxia-inducible factor-1α) 활성 저해제.
  4. 클리오퀴놀(clioqu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발현 유도제.
  5. 클리오퀴놀(clioqu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EPO(erythropoietin) 발현 유도제.
  6. 클리오퀴놀(clioquino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 치료제.
  7. 제 6항에 있어서 허혈성 질환은 허혈성 심장 질환, 허혈성 뇌 질환, 허혈성 말단 질환인 것은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질환 치료제.
KR1020060007303A 2006-01-24 2006-01-24 클리오퀴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IF-1α 활성제 KR100821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303A KR100821649B1 (ko) 2006-01-24 2006-01-24 클리오퀴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IF-1α 활성제
JP2008549431A JP2009522353A (ja) 2006-01-24 2007-01-15 HIF−1α活性剤
PCT/KR2007/000242 WO2007086663A1 (en) 2006-01-24 2007-01-15 Hif-1 alpha activating agent
US12/094,748 US8658672B2 (en) 2006-01-24 2007-01-15 HIF-1α activating ag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303A KR100821649B1 (ko) 2006-01-24 2006-01-24 클리오퀴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IF-1α 활성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627A true KR20070077627A (ko) 2007-07-27
KR100821649B1 KR100821649B1 (ko) 2008-04-11

Family

ID=3830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303A KR100821649B1 (ko) 2006-01-24 2006-01-24 클리오퀴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IF-1α 활성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58672B2 (ko)
JP (1) JP2009522353A (ko)
KR (1) KR100821649B1 (ko)
WO (1) WO20070866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599A1 (ko) * 2014-11-05 2016-05-12 아카데미아 시니카 클리오퀴놀을 포함하는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9149B (zh) * 2008-10-06 2015-05-13 约翰·霍普金斯大学 喹啉化合物作为血管新生、人类甲硫氨酰氨肽酶、以及sirt1的抑制剂,以及治疗病症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2911A (en) * 1987-09-25 1989-03-28 Nippon Denki Home Electronics Molding method of molded product with spring
AU722472B2 (en) * 1996-05-20 2000-08-03 Darwin Discovery Limited Quinoline carboxamides as TNF inhibitors and as PDE-IV inhibitors
AU2001250571A1 (en) * 2000-04-28 2001-11-12 P.N. Gerolymatos S.A. Treatment of pathological conditions influenced by the a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using clioquinol
AU2003225442B2 (en) * 2002-03-08 2010-02-04 Philera New Zealand Limited Preventing and/or treating cardiovascular disease and/or associated heart failure
AU2002950217A0 (en) * 2002-07-16 2002-09-12 Prana Biotechnology Limited 8- Hydroxy Quinoline Derivatives
PT1644336E (pt) * 2003-06-06 2011-04-21 Fibrogen Inc Compostos de heteroarilo que contêm azoto e sua utilização no aumento da eritropoetina endógena
JP2008500347A (ja) * 2004-05-24 2008-01-10 ニュー・ヨーク・ユニヴァーシティー 高血糖症による血糖の急激な増加及び/又は急激な遊離脂肪酸流動の増加の病理学的影響の治療方法又は予防方法
US7776312B2 (en) * 2004-08-13 2010-08-17 Healthpartners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treating Alzheimer's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deferoxamine (DFO) to the upper one-third of the nasal cav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599A1 (ko) * 2014-11-05 2016-05-12 아카데미아 시니카 클리오퀴놀을 포함하는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1649B1 (ko) 2008-04-11
JP2009522353A (ja) 2009-06-11
US20090048294A1 (en) 2009-02-19
US8658672B2 (en) 2014-02-25
WO2007086663A1 (en) 200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98925B8 (en) Treatment of diabetes
Boengler et al. Inhibition of permeability transition pore opening by mitochondrial STAT3 and its role in myocardial ischemia/reperfusion
Sliutz et al. Drug resistance against gemcitabine and topotecan mediated by constitutive hsp70 overexpression in vitro: implication of quercetin as sensitiser in chemotherapy
JP2008525336A (ja) 抗血管新生医薬組成物を調製するためのジケトジチオピペラジン抗生物質の使用
US20060251638A1 (en) Cytoprotection through the use of hif hydroxylase inhibitors
Schödel et al. HIF-prolyl hydroxylases in the rat kidney: physiologic expression patterns and regulation in acute kidney injury
Galigniana et al. Retrograde transport of the glucocorticoid receptor in neurites requires dynamic assembly of complexes with the protein chaperone hsp90 and is linked to the CHIP component of the machinery for proteasomal degradation
Hägg et al. Activation of hypoxia-induced transcription in normoxia
Yuan et al. The protective effects of resveratrol on Schwann cells with toxicity induced by ethanol in vitro
Baek et al. Induction of hypoxia inducible factor (HIF-1α) in rat kidneys by iron chelation with the hydroxypyridinone, CP94
KR100821649B1 (ko) 클리오퀴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HIF-1α 활성제
Lee et al. Hinokitiol activates the hypoxia-inducible factor (HIF) pathway through inhibition of HIF hydroxylases
JP2008517943A (ja) Hif−1媒介遺伝子発現を低下させる方法
Yang et al. Hypoxia inhibits growth, proliferation, and increases response to chemotherapy in retinoblastoma cells
Choi et al. The zinc chelator, N, N, N′, N′-tetrakis (2-pyridylmethyl) ethylenediamine, increases the level of nonfunctional HIF-1α protein in normoxic cells
Rao et al. The role of PICT1 in RPL11/Mdm2/p53 pathway-regulated inhibition of cell growth induced by topoisomerase IIα inhibitor against cervical cancer cell line
US20050049309A1 (en) Regulation of HIF protein levels via deubiquitination pathway
WO2005034929A9 (en) Tissue remodeling and vascularization
JP2007191451A (ja) プロリル水酸化酵素阻害剤
Monroe et al. The monofunctional platinum (II) compounds, phenanthriplatin and pyriplatin, modulate apoptosis signaling pathways in HEI-OC1 auditory hybridoma cells
Wang et al. HuR deficiency abrogated the enhanced NLRP3 signaling in experimental ischemic stroke
Köhne Involvement of cardiac fibroblasts in anthracycline-induced cardiotoxicity
Bourdon Regulation of epinephrine biosynthesis by intermittent and continuous hypoxia
Aguilera et al. Hypoxia inducible factor-1 as a therapeutic target in cerebral ischemia
Wenger et al. Articles in PresS. Am J Physiol Renal Physiol (March 10, 2010). doi: 10.1152/ajprenal. 00736.2009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