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7369A -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7369A
KR20070077369A KR1020060006916A KR20060006916A KR20070077369A KR 20070077369 A KR20070077369 A KR 20070077369A KR 1020060006916 A KR1020060006916 A KR 1020060006916A KR 20060006916 A KR20060006916 A KR 20060006916A KR 20070077369 A KR20070077369 A KR 20070077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shield
support
air conditioner
plat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7369A/ko
Publication of KR20070077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3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유리가 접착제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는, 전면 중앙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유리(200)와, 상기 전면유리(200)의 좌측과 우측에 구비되어 조화된 공기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딩도어(300)와,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20)와, 상기 지지부(220)와 상기 전면유리(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220)와 체결되는 지지부재(240)와, 상기 지지부(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유리(200)를 지지하는 지지판넬(2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면유리(200)는 전면유리(200)가 색감을 가지도록 필름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에 의하면, 외관이 미려해져 제품의 디자인이 고급화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전면유리, 지지부재, 접착제, 지지판넬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 {A structure of front par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후면을 나타낸 후면도.
도 3 은 도 2의 A-A'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가 작동되는 상태의 전면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단면 일부분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20. 조작부
122. 표시부 124. 조작버튼
200. 전면유리 220. 지지부
222. 전판 224. 측판
226. 후판 240. 지지부재
260. 스크류 280. 지지판넬
282. 좌측판 284. 후판
286. 우측판 288. 지지판
300. 슬라이딩도어 320. 전면토출부
340. 하반부판넬 400. 전면흡입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유리가 접착제에 의해 체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삶의 질 향상에 따른 욕구가 증대되어, 보다 편안하고 쾌적한 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이 라 칭하기도 함)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칭하기도 함)로 나뉘어지는데, 상기 실외기에는 응축기(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에는 증발기(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주지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최근에 냉·난방 외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한 후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재투입하는 공기 정화기능과, 다습한 공기를 건습공기로 만들어 실내로 재투입하는 제습기능 등 여러가지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형을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에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면서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상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비어있는 내부에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조화시킨 후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하도록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전면 중앙부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유리(20)가 장착된다. 상기 전면유리(20)는 표면부를 압축하고 내부를 인장하여 강화한 안전유리 로 성형되는 강화유리가 사용되며, 필름층이 코팅된 브이씨엠(VCM)강판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전면에 유리가 사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전면유리(20)의 상반부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부(3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30)는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 및 주변의 환경을 표시해주는 표시부(32)와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조작버튼(34)이 구비된다.
상기 전면유리(20)의 상반부 좌측과 우측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전면토출부(미도시)가 각각 구비되며, 이러한 전면토출부(미도시)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토출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슬라이딩도어(22)가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딩도어(22)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서 상기 전면토출부(미도시)의 전면을 차폐하게 된다.
즉, 공기조화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외부의 전원을 인가한 후 상기 조작버튼(34)을 사용하여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도어(22)는 내측방 다시말해, 상기 본체(10)의 전면 중앙부를 향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전면토출부의 전면을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전면토출부(미도시)의 전면이 개방되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는 상기 전면토출부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조화시키게 된다.
상기 전면유리(2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슬라이딩도어(22)의 하측에는 전면하부판넬(24)이 상기 전면토출부(미도시)와 대응되는 크기로 성형되며, 전면이 상기 슬라이딩도어(22)가 전면토출부의 전면을 차폐하였을 때 슬라이딩도어(22)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상기 전면유리(20)의 하측에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전면흡입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흡입부(40)에 의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된다.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공기조화기 전면부의 후면 외관을 나타낸 후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후면을 살펴보면, 상기 본체(10)의 전면부 후면에는 상기 전면유리(20)의 후면을 후방에서 지지하도록 전방프레임(50)이 구비된다.
상기 전방프레임(50)은 전면이 상기 전면유리(20)의 후면에 접하면서 전면유리(20)를 지지하게 되며, 이러한 전방프레임(50)은 전체적으로 대략 창살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전방프레임(50)에는 소정의 너비를 가지는 프레임테두리(52)가 성형되며, 이러한 프레임테두리(52)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중앙프레임(54)이 상기 프레임테두리(52)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프레임테두리(52)의 좌측과 우측 테두리를 가로질러 다수개의 보조프레임(56)이 상기 프레임테두리(52)의 좌측테두리의 우측으로부터 우측테두리의 좌측까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보조프레임(56)은 상기 프레임테두리(52)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일정 한 간격을 가지면서 구비되며, 이러한 보조프레임(56)과 중앙프레임(54) 및 상기 프레임테두리의 좌측테두리와 우측테두리 사이의 공간은 천공 형성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창살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전방프레임(50)의 상반부 후면에는 상기 조작부(30)를 후방에서 지지하게 되는 조작부판넬(36)이 장착되며, 이러한 조작부판넬(36)의 후면에는 상기 조작부(30)를 형성하는 다수의 부품이 안착되는 조작부후면커버(38)가 장착된다.
상기 조작부후면커버(38)는 전면이 개구된 사각 상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후방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러한 조작부후면커버(38)의 전단부가 상기 조작부판넬(36)의 후면에 장착되어 고정되면서 상기 조작부후면커버(38)의 내부에 다수의 부품들이 수용되면서 안착된다.
상기 전방프레임(50)의 하측 즉, 상기 전면유리(20)의 하측에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통로가 되는 전면흡입구(도 1에서 볼 때 40)가 구비된다.
도 3에는 도 2의 A-A'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전면유리(20)가 체결되는 상태와 지지되는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전면유리(20) 각각의 모서리 부분에는 전면유리(20)를 지지하면서 전면유리(20)의 상하 방향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전면가이드(60)가 상기 전면유리(20)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전면가이드(60)는 외측방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라운드지게 성형된다.
상기 전면가이드(60)의 전단부는 내측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이러 한 전단부연장면(62)의 후면에 상기 전면유리(20) 양 측단부의 전면 일부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가이드(60)의 후단부는 내측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이러한 후단부연장면(64)의 중앙부에는 체결공(64')이 천공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64')은 상기 전방프레임(50)의 양측단부에 외측방으로 돌출 성형되는 체결후크(58)와 체결된다. 상기 체결후크(58)는 상기 전방프레임(50)의 테두리프레임(52) 외측면에 외측방으로 돌출 성형된다.
상기 테두리프레임(52)의 좌측 외주면에 좌측방으로 돌출 성형되는 체결후크(58)의 좌측 상단부는 대략 "∠"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좌측면은 우측 상향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성형되고, 우측면은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성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후크(58)의 좌측 상단부에 상방으로 돌출 성형되는 돌출부(58')가 상기 체결공(64')에 내삽되어 상기 전면가이드(60)와 전방프레임(50)이 체결된다. 상기 전면가이드(60)와 전방프레임(50)이 후크 체결되어 상기 전면유리(20)는 전면이 상기 전면가이드(60)의 전단부연장면(62)의 후면에 지지되고, 후면이 상기 전방프레임(50)의 전면에 지지되어 상기 본체(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면유리(20)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성형되어 사용자의 기호 또는 파손의 정도에 따라 교체가 가능한 트림킷(Trim kit)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전면유리(20)는 각각의 모서리 부분에 구비되는 상기 전면가이드(60)에 의해 전면이 지지되며, 상기 전방프레임(50)에 의해 후면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조립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유리(20)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전면가이드(60)의 사이로 전면유리(20)가 삽입되면서 조립된다.
이때, 상기 전면유리(20)의 전면으로 상기 전면가이드(60)의 전단부연장면(62)이 외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유리(20)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가이드(60)의 전단부연장면(62) 후면과 상기 전면유리(20)의 전면이 밀착되지 않아 틈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의 감성 불만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사용자의 감성 불만으로 인해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인지도의 감소는 제품의 판매량을 감소시키게 되어 산업발전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의 목적은 외관이 미려해지는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는, 전면 중앙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유리와, 상기 전면유리의 좌측과 우측에 구비되어 조화된 공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딩도어와, 상기 전면유리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유리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전면유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와 체결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유리를 지지하는 지지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유리는 전면유리가 색감을 가지도록 필름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유리의 후면과 상기 지지부의 전면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재는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넬은 상기 전면유리와 지지부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에 의하면, 외관이 미려해져 제품의 디자인이 고급화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에 대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외부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0)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세로가 긴 상자 형상으로 성형되어, 내부에는 공기 조화를 위한 다수의 부품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 중앙부에는 전면 중앙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유리(200)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유리(200)는 판유리를 연화온도(軟化溫度)에 가까운 500∼600℃로 가열한 다음 압축한 냉각공기에 의해 급랭시켜 유리 표면을 압축 변형시키고 내부를 인장 변형시켜 강화한 강화유리가 사용된다. 또한, 강화 유리는 보통 유리에 비해 굽힘강도는 3~5배, 내충격성은 3~8배 강하며, 내열성도 우수하다.
상기 전면유리(200)는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강화유리로 성형되므로, 강화처리 하기 전에 용도와 크기에 맞는 모양으로 성형하게 된다. 이는 강화 처리된 강화유리는 유리 자체가 내부에서 힘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한쪽이 조금만 절단되어도 전체가 작은 파편으로 파괴되므로 강화처리 하기 전에 용도에 맞는 크기와 모양으로 성형하여야 한다. 이러한 강화유리는 자동차 및 항공기의 창유리, 도난 방지용 창유리 등에 사용된다.
강화 처리된 강화유리로 성형되는 상기 전면유리(200)는 세로가 긴 직사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전방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거나, 평평하게 성형되기도 한다. 상기 전면유리(200)는 색감을 가지도록 색상을 가지는 필름이 전면 또는 후면이나 전면과 후면에 코팅되어 성형된다.
상기 전면유리(200)의 상반부 중앙에는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조작하도록 조작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120)에는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 및 주변 환경 등이 표시되는 표시부(122)와 사용자가 직접 공기조화기를 작동하도록 다수개의 조작버튼(124)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유리(200)의 상반부 좌측과 우측에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슬라이딩도어(300)가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도어(300)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전면토출부(320)가 구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상면토출부가 구비되어 본체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를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는 상기 전면토출부(320)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고, 상기 상면토출부(미도시)를 통해 상방으로 토출된다.
상기 슬라이딩도어(300)는 상기 전면토출부(32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도어(300)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서 상기 전면토출부(32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된다. 즉,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이 작동하여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조화하여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조화된 공기를 토출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도어(300)가 내측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전면토출부(320)의 전면을 개방시키게 된다.
반대로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도어(300)가 외측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전면토출부(320)의 전면을 차폐하여 전면토출부(320)를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먼지 또는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도어(300)가 상기 전면토출부(320)의 전면을 차폐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도어(300)의 전단부는 상기 전면유리(200)의 측단부와 동일한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도어(300)의 하측에는 상기 전면유리(200)와 상기 본체(100)의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반부판넬(340)이 구비된다. 상기 하반부판넬(340)의 전면은 상기 슬라이딩도어(300)가 상기 전면토출부(320)의 전면을 차폐하였을 때 슬라이딩도어(300)의 전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반부판넬(340)의 전단부는 상기 전면유리(200)의 측단부와 동일한 평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 상반부는 상기 슬라이딩도어(300)의 전단부와 상기 전면유리(200)의 측단부가 동일한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전면 하반부는 상기 하반부판넬(340)의 전단부와 상기 전면유리(200)의 측단부가 동일한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유리(200)의 하측에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전면흡입구(400)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흡입구(40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필터(미도시)를 거치면서 필터링됨으로써 공기에 포함되어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제거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전면유리(2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강화유리로 성형된다. 이러한 전면유리(200)에는 전면유리(200)가 색감을 가지도록 전면 또는 후면이나, 전면과 후면에 색상을 가지는 필름이 코팅된다. 상기 전면유리(200)는 투명하게 성형되어, 색감을 가지는 필름이 코팅되면, 필름이 가지는 색감을 그대로 외부로 투영하게 된다. 상기 전면유리(200)가 필름이 가지는 색감을 그대로 외부로 투영하게 되면, 외부에서 보는 사용자는 전면유리(200)가 색감을 가지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 좌반부(도 5에서 볼 때)에는 전면유리(200)의 후면 일부를 지지하게 되는 지지부(220)가 전면유리(200)의 후면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220)의 좌측단부는 상기 전면유리(200)의 좌측단부와 동일한 평면으로 성형된다.
상기 지지부(220)는 상방에서 볼 때 후면이 우측방으로 더 연장 형성되는 대략 "
Figure 112006005071407-PAT00001
"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지지부(2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성형되며, 이러한 지지부(220)는 전판(222)과 측판(224) 및 후판(226)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판(222)은 사각 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전판(222)의 좌측단부에 상기 측판(224)의 전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측판(224)의 후단부에 상기 후판(226)의 좌측단부가 접하면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20)는 전판(222)과 측판(224) 및 후판(226)이 일체로 성형되며,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다. 즉, 사각 판재 형상의 소재를 후방으로 절곡한 다음 다시 우측방으로 절곡하여 연장 성형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220)의 전판(222) 전면이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 일부를 지 지하게 되며, 상기 전판(222)의 우측단부와 상기 후판(226)의 우측단부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220)의 고정을 위해 상기 측판(224)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 즉, 상기 지지부(220)의 전판(222) 전면과 지지부(220)의 후판(226) 전면 사이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는 지지부재(24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240)는 길이가 긴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압출에 의해 성형된다. 이러한 지지부재(240)는 전면이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며, 후면은 상기 지지부(220)의 후판(226) 전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240)와 상기 지지부(220)는 스크류(Screw,260)로 체결된다. 상기 스크류(260)의 길이는 상기 지지부(220)의 측판(224) 너비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성형된다. 이는 상기 스크류(260)에 의해 상기 전면유리(200)와 상기 지지부(220)가 체결되면, 상기 스크류(260)의 좌측단부가 상기 지지부재(240)를 관통하여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과 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부재(240)와 스크류(260)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상기 지지부(220)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지지부(220) 전판(222)의 전면은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과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전면유리(200)를 고정시키면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240)의 우측방에는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판넬(28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판넬(28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성형되며,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6005071407-PAT00002
"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지지판넬(280)은 일체로 성형되어, 소정의 너비를 갖도록 좌측판(282) 이 구비되며, 상기 좌측판(282)의 후단부는 우측방으로 절곡되어 후판(284)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후판(284)의 우측단부에는 우측판(286)이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좌측판(282)과 대응되는 너비를 가지면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우측판(286)의 전단부에는 지지판(288)이 우측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288)의 전면은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과 접하면서 전면유리(200)의 후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넬(280)의 좌측판(282) 전단부는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과 접하게 되고, 상기 좌측판(282)의 후단부 즉, 상기 후판(284)의 좌측단부 후면은 상기 지지부(220)의 후판(226) 전면과 접하면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넬(280)의 좌측판(282)은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과 상기 지지부(220)의 후판(226) 사이에 끼워지면서 끼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판넬(280)의 좌측판(282) 너비가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과 상기 지지부(220)의 후판(226) 전면 사이의 폭과 동일하게 성형되어 상기 지지부(220)가 상기 지지부재(240)와 스크류(260) 체결되는 체결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넬(280)이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과 상기 지지부(220)의 후판 전면사이에 끼워지면서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전면유리(200)가 지지되는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 일부가 상기 지지부(220)의 전판(222) 전면과 접착제로 접착되면서 고정된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제는 UV접착제이며 이러한 UV접착제는 자외선 경화접착제로도 명명된다.
UV접착제는 액상의 접착제에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자외선 빛을 접착제에 조사하면 접착제 안에 있는 광반응 개시제가 반응을 시작하여 빠른 시간내에 고형화되는 접착제이다. UV접착제는 다양한 재질에 쉽고 간편하며, 견고하게 접착할 수 있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생산성의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단면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의 전면부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100)의 전면 중앙부에 전면유리(200)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유리(200)의 좌측 후면에는 상기 지지부(220)의 전면이 UV접착제에 의해 접해지면서 전면유리(200)의 후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220)는 상기 지지부재(240)에 스크류(260) 체결되면서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220)의 후판(226) 전면 우측단부에는 상기 지지판넬(280)이 상기 지지부(220)의 후판(226)과 상기 전면유리(200)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면서 전면유리(200)의 후면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유리(200)의 좌측단부와 상기 지지부(220)의 좌측면은 동일한 측면을 형상하게 되어, 상기 전면유리(200)의 전면은 전체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100)의 전면 중앙부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는 공기조화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외부의 전원을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본체(100) 의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전장 부품에 외부의 전원이 인가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본체(100)의 전면 상반부 중앙에 구비되는 상기 조작버튼(124)을 조작하여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게 된다. 공기조화기가 작동되면, 상기 표시부(122)에 공기조화기의 작동 상태 또는 주변 환경의 상태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도어(300)가 상기 본체(100) 전면부의 후면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슬라이딩도어(300)의 슬라이딩으로 인해 상기 전면토출부(320)의 전면이 개방된다.
상기 전면토출부(320)의 전면이 개방되면, 전면토출부(320)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된다. 상기 전면유리(200)의 하측에는 전면흡입구(400)가 구비되며, 이러한 전면흡입구(400)를 통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화된 다음 상기 전면토출부(320)를 통하여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유리(200)의 전면 전체가 상기 본체(100)의 전면 중앙부 외관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전면유리(200)의 좌측과 우측에 상기 슬라이딩도어(300)와 전면토출부(320)가 구비되는 상반부판넬과 상기 슬라이딩도어(30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반부판넬(340)이 상기 본체(100) 전면의 외관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전면유리(200)가 구비되는 상기 본체(100)의 전면부를 살펴보면, 상기 본체(100)의 전면 중앙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유리(200)의 후면에는 상기 지지부(220)가 구비되어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220) 는 상기 지지부재(240)와 스크류(260)로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220)의 우측단부에는 상기 지지판넬(280)이 끼움 결합으로 체결된다.
상기 지지판넬(280)은 상기 전면유리(200)의 후면과 상기 지지부(220) 후판(226)의 전면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지지부재(240)와 상기 후판(226)의 우측단부 사이에 끼워지면서 체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에서는 필름이 코팅되어 색감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유리제품을 사용하여 전면 외관을 형성하였으나, VCM강판 등을 사용하여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에서는, 공기조화기의 전면유리가 전체적으로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전면유리를 지지하며, 고정시키는 가이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에 따라 전면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전면유리가 전체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면,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디자인이 고급화되는 효과도 있다.
디자인의 고급화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 며, 사용자의 욕구 충족은 사용자의 감성 불만을 해소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지지부가 스크류로 체결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조립성의 향상으로 인해 서비스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으며, 생산성의 향상으로 이어져 산업발전에 기여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전면 중앙부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유리와,
    상기 전면유리의 좌측과 우측에 구비되어 조화된 공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슬라이딩도어와,
    상기 전면유리의 후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유리의 후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전면유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와 체결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유리를 지지하는 지지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유리는 전면유리가 색감을 가지도록 필름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유리의 후면과 상기 지지부의 전면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재는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넬은 상기 전면유리와 지지부의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
KR1020060006916A 2006-01-23 2006-01-23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 KR20070077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916A KR20070077369A (ko) 2006-01-23 2006-01-23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916A KR20070077369A (ko) 2006-01-23 2006-01-23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369A true KR20070077369A (ko) 2007-07-26

Family

ID=3850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916A KR20070077369A (ko) 2006-01-23 2006-01-23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73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118B1 (ko) * 2007-11-15 2009-05-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도어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45070B1 (ko) * 2007-12-12 2010-03-0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전선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12993B1 (ko) * 2008-09-11 2012-02-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하우징 판넬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118B1 (ko) * 2007-11-15 2009-05-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도어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45070B1 (ko) * 2007-12-12 2010-03-0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전선 유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112993B1 (ko) * 2008-09-11 2012-02-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하우징 판넬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9362A (ko) 에어컨
KR20070077369A (ko)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구조
KR2007009405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1554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089360A (ko) 에어컨
KR20200089363A (ko) 에어컨
KR2007007736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554656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02823A (ko) 창호 일체형 기계환기 장치
KR10110577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7741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4161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1287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089361A (ko) 에어컨
KR101403003B1 (ko) 공기조화기
KR102306046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958389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7550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00001508A (ko) 공기조화기
KR10094761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9405066B (zh) 空调机室内机
CN101086343B (zh) 空调器的前面部结构
KR100898118B1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089359A (ko) 에어컨
KR10074780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