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4695A -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4695A
KR20070074695A KR1020060002536A KR20060002536A KR20070074695A KR 20070074695 A KR20070074695 A KR 20070074695A KR 1020060002536 A KR1020060002536 A KR 1020060002536A KR 20060002536 A KR20060002536 A KR 20060002536A KR 20070074695 A KR20070074695 A KR 20070074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information
user
input
communication terminal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2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60002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4695A/ko
Publication of KR20070074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4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기능키의 로딩 입력을 수신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하고, 캡쳐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기능키의 동작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받고, 선택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통신 단말기, 문자, 입력, 캡쳐, 오브젝트화

Description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I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TERMINAL OF ENABL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쳐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쳐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0: 통신 단말기 601: 로딩 입력 수신부
60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603: 버퍼 수단 기록부
604: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605: 제어부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기능키의 로딩 입력을 수신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하고, 캡쳐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달은 통신 단말기(휴대기기)의 대중화를 급속히 촉진시켰고, 이제 대부분의 일반인들이 핸드폰, PDA 등의 통신 단말기를 항상 소지하고 있다. 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통신 단말기는 중요한 의사 소통 수단 또는 자기 관리의 수단으로 자리 잡았으며, 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문자를 입력 받아 사용하는 많은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 서비스 예로는 단문자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스케줄 설정 등록, 메 모장, 알람 등이 있다.
상기 서비스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통신 단말기에 포함된 소정의 키패드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초성, 중성, 종성 수순으로 푸쉬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키버튼은 하나 이상의 음소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소 정보를 푸쉬하기 위해서는 한번 또는 한번 이상을 푸쉬하여 음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문자 입력 방법은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워 고령층의 사용자의 경우, 문자 입력을 포기하거나 문자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에게 요청하여 문자를 입력하였다.
또한, 통신 단말기의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에서 스케줄러 수단을 구동하는 경우, 스케줄러 수단에 기록된 일정 정보, 또는 전화번호부 수단을 구동하는 경우, 전화번호부 수단에 기록된 번호 정보 등)를 포함하여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를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암기하거나 메모하여 두고,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를 위한 문자 입력 수단을 로딩 입력하여 키패드를 이용하여 상기 암기 또는 메모한 텍스트 정보를 입력한다. 이처럼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여 SMS 메시지 또는 MMS 메시지를 작성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매번 텍스트 정보를 암기 또는 메모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기능키의 동작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받고, 선택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도중에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로딩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capture)하기 위한 기능키를 입력한 경우,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받고,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기능키의 동작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로직에 따라 오브젝트화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오브젝트화 된 텍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 입력 받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상기 통신 단말기의 기능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capture)하기 위한 로딩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정보를 선택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텍스트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캡쳐하고, 캡쳐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버퍼 수단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버퍼 수단에 기록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소정의 메뉴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로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의 기능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capture)하기 위한 로딩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정보를 선택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텍스트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캡쳐하고, 캡쳐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버퍼 수단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를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기능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 수 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capture)하기 위한 로딩 입력을 수신하는 로딩 입력 수신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정보를 선택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텍스트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캡쳐하고, 캡쳐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버퍼 수단에 기록하는 버퍼 수단 기록부; 및 상기 버퍼 수단에 기록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를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텍스트 정보를 입력받는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소정의 메뉴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로딩 요청을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 로딩 요청부; 상기 통신 단말기의 기능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capture)하기 위한 로딩 입력을 수신하는 로딩 입력 수신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정보를 선택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텍스트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캡쳐하고, 캡쳐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버퍼 수단에 기록하는 버퍼 수단 기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통신 단말기는 컴퓨터 단말기,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단말기, VoIP,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gaco,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또는 위성/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등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101)에서 사용자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기능키를 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capture)하기 위한 로딩을 입력한다.
단계(102)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능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capture)하기 위한 로딩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103)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정보를 선택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상기 텍스트 정보 "싱가포르", "시간차", "1시간", "12/23(금)", 및 "7:10 PM"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텍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로직에 따라 오브젝트화 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오브젝트화 된 텍스트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브젝트화 된 텍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104)에서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제2 텍스트 정보를 선택 입력한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텍스트 정보 "싱가포르", "12/23(금)", 및 "7:10 PM"를 선택 입력할 수 있다.
단계(105)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텍스트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106)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선택 입력된 제2 텍스트 정보를 캡 쳐하고, 캡쳐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버퍼 수단에 기록한다.
단계(107)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버퍼 수단에 기록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캡쳐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단말기는 "싱가포르, 12/23(금), 및 7:10 PM"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401)에서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단계(402)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텍스트 정보를 입력한다.(도 5의 (a) 참조) 일례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텍스트 정보 "김정현의 연락처는"을 입력할 수 있다.
단계(403)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소정의 메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로딩 요청을 입력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메모, 또는 스케줄러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메뉴를 통해 "전화번호부"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의 로 딩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신 단말기에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단계(404)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메뉴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로딩 요청을 수신한다.
단계(405)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소정의 기능키를 통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capture)하기 위한 로딩을 입력한다.
단계(406)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능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capture)하기 위한 로딩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407)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정보를 선택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로직에 따라 오브젝트화 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오브젝트화 된 텍스트 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브젝트화 된 텍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 입력 받을 수 있다.
단계(408)에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제2 텍스트 정보를 선택 입력한다. 일례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로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 "이름", "김현정", "집전화 ", "02-433-1111", "휴대폰", "011-231-4433"를 중 상기 제2 텍스트 정보 "휴대폰", "011-231-4433"를 선택 입력할 수 있다.
단계(409)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410)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캡쳐하고, 캡쳐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버퍼 수단에 기록한다.
단계(411)에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쳐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텍스트 정보 "김정현의 연락처는"(도 5의 (a) 참조)를 입력 받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 입력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 "휴대폰", "011-231-4433"를 포함하는 상기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5의 (b) 참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600)는 로딩 입력 수신부(60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2), 버퍼 수단 기록부(603),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4), 제어부(605)를 포함한다.
로딩 입력 수신부(601)는 통신 단말기(600)의 기능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capture)하기 위한 로딩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2)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정보를 선택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된 하나 이상의 제2 텍스트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2)에는 소정의 로직에 따라 오브젝트화 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브젝트화 된 텍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2)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로직에 따라 오브젝트화 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오브젝트화 된 텍스트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오브젝트화 된 텍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 입력 받을 수 있다.
버퍼 수단 기록부(603)는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캡쳐하고, 캡쳐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버퍼 수단에 기록한다.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4)는 상기 버퍼 수단에 기록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제어부(605)는 통상적으로 모뎀 DSP와 연관된 단말 장치상의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기능을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등 내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DSP를 많이 구비할수록 빠른 처리 속도로 인하여 각각의 모드에 따른 동작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605)는 MSM(Mobile Station Modem), DSP(Digital Signal Processor), OMAP(Open Multimedia Application Platfo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700)는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1), 어플리케이션 로딩 요청부(702), 로딩 입력 수신부(703),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4), 버퍼 수단 기록부(705), 제어부(706)를 포함한다.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1)는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텍스트 정보를 입력받는다.
어플리케이션 로딩 요청부(702)는 소정의 메뉴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로딩 요청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메모, 또는 스케줄러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로딩 입력 수신부(703)는 상기 통신 단말기의 기능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capture)하기 위한 로 딩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4)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정보를 선택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텍스트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2)에는 소정의 로직에 따라 오브젝트화 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오브젝트화 된 텍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 입력 받을 수 있다.
버퍼 수단 기록부(705)는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캡쳐하고, 캡쳐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버퍼 수단에 기록한다.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부(701)는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제어부(706)는 통상적으로 모뎀 DSP와 연관된 단말 장치상의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 기능을 포함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등 내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DSP를 많이 구비할수록 빠른 처리 속도로 인하여 각각의 모드에 따른 동작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706)는 MSM(Mobile Station Modem), DSP(Digital Signal Processor), OMAP(Open Multimedia Application Platfo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 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 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기능키의 동작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받고, 선택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도중에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로딩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capture)하기 위한 기능키를 입력한 경우, 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받고,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기능키의 동작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로직에 따라 오브젝트화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오브젝트화 된 텍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 입력 받을 수 있다.

Claims (4)

  1.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의 기능키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capture)하기 위한 로딩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정보를 선택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텍스트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캡쳐하고, 캡쳐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버퍼 수단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버퍼 수단에 기록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1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소정의 메뉴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로딩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단말기의 기능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현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캡쳐(capture)하기 위한 로딩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정보를 선택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2 텍스트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캡쳐하고, 캡쳐된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버퍼 수단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문자 입력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하나 이상의 텍스트 정보를 선택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상기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상기 텍스트 정보를 소정의 로직에 따라 오브젝트화 된 텍스트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오브젝트화 된 텍스트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메모, 또는 스케줄러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KR1020060002536A 2006-01-10 2006-01-10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통신 단말기 KR200700746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536A KR20070074695A (ko) 2006-01-10 2006-01-10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2536A KR20070074695A (ko) 2006-01-10 2006-01-10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4695A true KR20070074695A (ko) 2007-07-18

Family

ID=3849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2536A KR20070074695A (ko) 2006-01-10 2006-01-10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46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4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an audio conference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20120083251A1 (en) User Interface Methods and Apparatus for Initiating Telephone Calls From a Mobile Station
KR20110115134A (ko) 메시지 처리 디바이스 및 방법
US8494123B2 (en) On-hold visual menu from a user&#39;s communications device
US8705721B2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multimedia ringback based on deduced user intent
KR100811027B1 (ko) 이동국으로부터의 전화 호출을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KR101463055B1 (ko) 모바일-투-컴퓨터 통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70232285A1 (en) Call answering system and methods
US79038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ultiple codes for a telephone number
US9363650B2 (en) Communication time reminders based on text messages
EP2490424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a conference call
KR100688293B1 (ko) 휴대 단말기의 그룹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CA2558295C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an audio conference servic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070074695A (ko)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채용한 통신 단말기
US201202133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a conference call
KR101673324B1 (ko) 워키토키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829141B1 (ko) 컨퍼런스 콜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1137077B1 (ko) 메시지 삭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개인 휴대단말기
KR100653211B1 (ko) 키패드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통신 단말기 및 상기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071923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신저 기능 사용 방법
KR100778283B1 (ko) 소정의 스피커 수단을 통하여 출력되는 사운드의 크기를제어하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통신 단말기
KR101394278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기능 수행 방법
Grothaus et al. Placing Calls with iPhone
KR20060073294A (ko) 수신자 정보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