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295A -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295A
KR20070073295A KR1020060001032A KR20060001032A KR20070073295A KR 20070073295 A KR20070073295 A KR 20070073295A KR 1020060001032 A KR1020060001032 A KR 1020060001032A KR 20060001032 A KR20060001032 A KR 20060001032A KR 20070073295 A KR20070073295 A KR 20070073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function
button
push
butt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1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2141B1 (ko
Inventor
박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60001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141B1/ko
Publication of KR20070073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4Perforating tools; Di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21D43/287Devices for handling sheet or strip material

Abstract

다기능 전자제품을 기능별로 조작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가 개시된다.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는 전자제품에 장착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누름 감지부를 포함하는 누름 센서부재, 누름 센서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버튼판을 포함하며, 회전 버튼판에는 전자제품의 제1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누름 감지부에 대응하여 정의된 제1 버튼들이 정의되며, 전자제품의 제2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누름 감지부에 대응하여 제1 버튼들에 대해 일정한 각도만큼 이격되어 제2 버튼들이 정의되는 회전식 버튼부재, 및 회전 버튼판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전자제품의 제1 또는 제2 기능을 설정하는 센서 제어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는 회전 버튼판을 이용하여 종래보다 간단히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보다 지각하기 쉬운 인터페이스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회전 버튼판, 개인휴대단말기

Description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ROTATABLE NAVIGATION BUTT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 중 회전 버튼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장치 중 제1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장치 중 제2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장치 중 제3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누름 센서부재 120:회전식 버튼부재
130:센서 제어부재
본 발명은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전자기기에 장착되어 회전함에 따라 각 기능별로 사용할 수 있는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A와 같은 개인 휴대단말기는 전자수첩처럼 개인 정보관리나 일정관리 동작모드 외에도, 컴퓨터와의 정보 전송, 팩시밀리 송신, 무선 인터넷 등의 동작모드를 제공하며, 대략적으로 4방향 버튼과, 일정, 이메일, 달력 등에 각각 맵핑된 버튼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외에 파워버튼(PWR)과, 음향 조절버튼(▲, ▼), 녹음버튼(REC)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키버튼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외에도, 상기 PDA에는 터치패널이 액정 표시부(LCD) 상에 부착, 즉 소프트웨어적으로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들은 전자펜 등을 이용하여 터치패널을 누름으로써 데이터 입력 등 해당 기능을 수행할 있게 된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개인 휴대단말기는 동작모드 선택이 푸시(Push) 방식에 의해 이루어져, 푸시방식을 통해 선택된 동작모드를 상기 LCD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통해 동작모드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근래 들어서는 상기 PDA에 전화, 카메라 등의 동작모드가 추가되면서 이에 따른 각종 동작버튼, 즉 하드웨어적인 키 버튼이 키 패드 상에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아이콘과 같은 소프트웨어적인 키 버튼이 상기 LCD의 터치패널 상에 디 스플레이 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이 PDA의 동작모드 추가 시마다 해당 키 버튼들이 구비되어 상기 키 패드와 터치패널은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해당 동작모드에 연계된 키 버튼들을 간단히 파악하기 어려워 각 동작모드에서 제공하는 기능들을 보다 신속하게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적으로 PDA와 같은 개인 휴대단말기는 소형화를 추구하고 있어 이에 따른 공간 부족으로 보다 다양한 동작모드를 추가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회전 버튼판의 회전과 회전 버튼판에 하부에 형성된 누름 감지부에 의해서 전자 제품의 기능별로 조작하기가 용이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버튼판을 이용하여 제1 기능, 제2 기능 및 제3 기능을 각 기능별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는 누름 센서부재, 회전식 버튼부재 및 센서 제어부재를 구비한다.
누름 센서부재는 전자제품에 장착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누름 감지부를 포함한다. 누름 감지부는 메탈 돔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부의 버튼을 누르는 기계적인 힘에 의해서 메탈 돔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신호 입력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누름 감지부는 회전식 버튼부재의 상하좌우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누름 감지부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식 버튼부재는 누름 센서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버튼판을 포함하며, 회전 버튼판에는 전자제품의 제1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누름 감지부에 대응하여 정의된 제1 버튼들이 정의되며, 전자제품의 제2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누름 감지부에 대응하여 제1 버튼들에 대해 일정한 각도만큼 이격되어 제2 버튼들이 정의된다. 따라서, 누름 감지부는 제1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제1 버튼 또는 제2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제2 버튼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회전 버튼판을 눌러서 상기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센서 제어부재는 회전 버튼판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전자제품의 제1 또는 제2 기능을 설정한다. 따라서, 누름 감지부가 제1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제1 버튼의 하부에 배치된다면, 회전 버튼판을 일정 각도 회전시켜서 누름 감지부 상에 제2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제2 버튼을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2 버튼을 눌러서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버튼부재는 각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기능 수에 대응한 버튼 들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버튼들의 하부에 각각 대응되는 돔 스위치를 설계해야 하므로 실장 공간이 많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전자기기의 소형화를 이루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따른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장치는 회전 버튼판에 원추 방향을 따라 누름 감지부를 장착하여 신호를 입력하고,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 회전 버튼판을 회전시키면, 센서 제어부재에 의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로 전환되며, 누름 감지부 상에 배치된 버튼들이 상기 기능 별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 버튼판의 회전과 회전 버튼판에 하부에 형성된 누름 감지부에 의해서 전자 제품의 기능별로 조작하기가 용이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며, 실장 공간을 줄여서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는 전자제품에 장착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누름 감지부를 포함하는 누름 센서부재, 누름 센서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버튼판을 포함하며, 회전 버튼판에는 전자제품의 제1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상기 누름 감지부에 대응하여 정의된 제1 버튼들이 정의되며, 전자제품의 제2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누름 감지부에 대응하여 제1 버튼들에 대해 일정한 각도만큼 이격되어 제2 버튼들이 정의되고, 전자제품의 제3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누름 감지부에 대응하여 제2 버튼들에 대해 일정한 각도만큼 이격되어 제3 버튼들이 정의되는 회전식 버튼부재 및 회전 버튼판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전자제품의 제1 또는 제2 또는 제3 기능을 설정하는 센서 제어부재를 구비한다. 따라서, 회전 버튼판을 회전함에 따 라 제1 기능, 제2 기능 및 제3 기능 중 선택적으로 하나 만을 기능별로 수행할 수 있으며, 회전 버튼판의 회전에 따라 누름 감지부에 배치되는 버튼들이 기능별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장치는 개인휴대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휴대단말기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는 누름 센서부재(110), 회전식 버튼부재(120) 및 센서 제어부재(150)를 구비한다.
누름 센서부재(110)는 개인휴대단말기(100)의 전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에 인접하게 장착되며, 회전식 버튼부재(120)의 하부에 장착된다. 누름 센서부재(110)는 원형으로 형성된 회전식 버튼부재(120)의 상하 좌우에 배치되는 누름 감지부(112)를 포함하며, 회전식 버튼부재(120)가 눌려지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누름 감지부(112)는 메탈 돔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부의 버튼을 누르는 기계적인 힘에 의해서 전극이 인쇄된 회로기판에 메탈 돔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신호 입력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회전식 버튼부재(120)는 누름 센서부재(110)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버튼판(122)을 포함하며, 회전 버튼판(122)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회전 버튼판(122) 상에는 제1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제1 버튼들이 정의되며, 제2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제2 버튼들이 정의된다. 이때, 제1 버튼들과 제2 버튼들을 상징하는 그림들이 각각 표시된다. 제1 기능은 개인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모드를 수행하도록 설정하며, 제1 버튼들(124)은 각각 회전 버튼판(122)의 상하좌우에 인터넷 접속 키(126), 자동 결제를 위한 뱅크 키(128), 메뉴 키(130), 통화 키(132)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 키(126), 자동 결제를 위한 뱅크 키(128), 메뉴 키(130), 통화 키(132)를 누르면 제어부에서 상기 버튼들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2 기능은 개인휴대단말기의 카메라 촬영 모드를 수행하도록 설정하며, 제2 버튼들(134)은 제1 버튼들(124)에 45도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2 버튼들(134)은 45도 회전된 회전 버튼판(122)의 상하좌우에 확대 키(136), 상기 카메라 렌즈의 화상을 축소하는 축소 키(138), 주간 모드 키(140), 야간 모드 키(142)를 표시한다. 따라서, 회전 버튼판(122)을 제1 기능이 수행되는 위치에서 45도 회전시키면 센서 제어부재에서 회전을 감지하여 카메라 촬영 모드로 변환하며, 회전 버튼판(122)의 상하좌우 버튼을 누르면 카메라 촬영을 하기에 용이한 기능들을 조작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개인휴대단말기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확인하기에 용이하게 일반 모드와 카메라 촬영 모드에 해당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개인휴대단말기의 제1 기능 및 제2 기능은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버튼들도 각 기능을 조작하도록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센서 제어부재(150)는 회전 버튼판(122)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개인휴대단말기의 제1 또는 제2 기능을 설정한다. 센서 제어부재(150)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전 버튼판(122)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고, 감지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누름 감지부(112)가 제1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제1 버튼의 하부에 배치된다면, 회전 버튼판(122)을 일정 각도 회전시켜서 누름 감지부(112) 상에 제2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제2 버튼을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2 버튼을 눌러서 제2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버튼판(122)의 상하좌우에 형성된 누름 감지부(112)들에 대응된 위치에 회전 버튼판(122)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는 회전 버튼판(122)의 선택된 기능에 해당하는 버튼들에 조명을 밝히는 기 능을 하므로 사용자가 선택된 기능을 인지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사용자가 어두운 환경에서도 상기 버튼들을 밝혀주므로 사용하는 데에도 편리하다. 그리고, 조명부의 종류로는 LED, 유기 또는 무기 EL, 면상 발광체 등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 중 회전 버튼판의 정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회전 버튼판(122)의 상하좌우에 누름 센서부재(110)가 형성되며, 회전 버튼판(122)의 상하좌우를 누르면 접속 키(126), 자동 결제를 위한 뱅크 키(128), 메뉴 키(130), 통화 키(132)에 대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회전 버튼판(122)을 45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센서 제어부재(150)에서 회전 버튼판(122)의 회전을 감지하여 카메라 촬영 모드로 전환되며, 회전 버튼판(122)의 상하좌우를 누르면 확대 키(136), 상기 카메라 렌즈의 화상을 축소하는 축소 키(138), 주간 모드 키(140), 야간 모드 키(142)에 대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따른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장치는 회전 버튼판(122)의 상하좌우에 배치된 누름 감지부(112)에 의해서 회전 버튼판(122)을 눌러서 각 기능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 회전 버튼판(122)을 회전시키면, 센서 제어부재(150)에 의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로 전환되며, 회전 버튼판(122)의 상하좌우를 누르면 상기 기능을 조작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 버튼판(122)의 회전과 회전 버튼판(122)에 하부에 형성된 누름 감지부(112)에 의해서 각 기능별로 조작하기가 용이한 인터페이스 환 경을 제공하며, 실장 공간을 줄여서 개인휴대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장치 중 제1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장치 중 제2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장치 중 제3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는 누름 센서부재, 회전식 버튼부재 및 센서 제어부재를 구비한다.
회전식 버튼부재는 누름 센서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버튼판(222)을 포함하며, 회전 버튼판(222)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회전 버튼판(222) 상에는 제1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제1 버튼들이 정의되며, 제2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제2 버튼들이 정의된다. 또한, 제3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제3 버튼들이 정의된다. 이때, 제1 버튼들, 제2 버튼들, 제3 버튼들을 상징하는 그림들이 각각 표시된다.
제1 기능은 개인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모드를 수행하도록 설정하며, 제1 버튼들(224)은 각각 회전 버튼판(222)의 상하좌우에 인터넷 접속 키(226), 자동 결제를 위한 뱅크 키(228), 메뉴 키(230), 통화 키(232)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터넷 접속 키(226), 자동 결제를 위한 뱅크 키(228), 메뉴 키(230), 통화 키(232)를 누르면 제어부에서 상기 버튼들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2 기능은 개인휴대단말기의 카메라 촬영 모드를 수행하도록 설정하며, 제2 버튼들(234)은 제1 버튼들(224)에 30도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2 버튼들(234)은 30도 회전된 회전 버튼판(222)의 상하좌우에 확대 키(236), 상기 카메라 렌즈의 화상을 축소하는 축소 키(238), 주간 모드 키(240), 야간 모드 키(242)를 표시한다. 따라서, 회전 버튼판(222)을 제1 기능이 수행되는 위치에서 30도 회전시키면 센서 제어부재에서 회전을 감지하여 카메라 촬영 모드로 변환하며, 회전 버튼판(222)의 상하좌우 제2 버튼들(234)을 누르면 카메라 촬영을 하기에 용이한 기능들을 조작하도록 제어된다.
제3 기능은 개인휴대단말기의 MP3 모드를 수행하도록 설정하며, 제3 버튼들(244)은 제2 버튼들(234)에 30도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3 버튼들(244)은 재차 30도 회전된 회전 버튼판(222)의 상하좌우에 MP3의 소리를 확성시키기 위한 볼륨 확대키(246), 볼륨 축소키(248), 음악을 앞으로 빨리 넘기기 위한 FF키(250), 상기 음악을 뒤로 넘기기 위한 RW 키(252)를 표시한다. 따라서, 회전 버튼판(222)을 제1 기능이 수행되는 위치에서 30도 회전시키면 센서 제어부재에서 회전을 감지하여 카메라 촬영 모드로 변환하며, 회전 버튼판(222)의 상하좌우 제2 버튼들(234)을 누르면 카메라 촬영을 하기에 용이한 기능들을 조작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30도 회전된 상태의 회전 버튼판(222)을 같은 방향으로 30도 회전시키면 MP3 모드로 변환하며, 회전된 회전 버튼판(222)의 상하좌우 제3 버튼들(244)을 누르면 MP3 청취를 위한 기능들을 조작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개인휴대단말기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확인하기에 용이하게 일반 모드와 카메라 촬영 모드에 해당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버튼판을 이용하여 제1 기능, 제2 기능 및 제3 기능을 각 기능별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하나의 회전 버튼판을 이용하여 보다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실장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누름 센서부재, 회전식 버튼부재 및 센서 제어부재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구성 요소의 기능 및 효과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장치는 회전 버튼판의 상하좌우에 배치된 누름 감지부에 의해서 회전 버튼판을 눌러서 각 기능에 해당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 회전 버튼판을 회전시키면, 센서 제어부재에 의해서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로 전환되며, 회전 버튼판의 상하좌우를 누르면 상기 기능을 조작하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회전 버튼판의 회전과 회전 버튼판에 하부에 형성된 누름 감지부에 의해서 각 기능별로 조작하기가 용이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며, 실장 공간을 줄여서 개인휴대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버튼판을 이용하여 제1 기능, 제2 기능 및 제3 기능을 각 기능별로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가지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회전 버튼판을 이용하여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실장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다기능 전자제품을 기능별로 조작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품에 장착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누름 감지부를 포함하는 누름 센서부재;
    상기 누름 센서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버튼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버튼판에는 상기 전자제품의 제1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상기 누름 감지부에 대응하여 제1 버튼들이 정의되며, 상기 전자제품의 제2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상기 누름 감지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버튼들에 대해 일정한 각도만큼 이격되어 제2 버튼들이 정의되는 회전식 버튼부재; 및
    상기 회전 버튼판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전자제품의 제1 또는 제2 기능을 설정하는 센서 제어부재;
    를 구비하는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감지부들에 대응된 위치에 상기 회전 버튼판에 조명하기 위한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감지부는 상기 회전 버튼판의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
  4. 다기능 전자제품을 기능별로 조작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품에 장착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4개의 누름 감지부를 포함하는 누름 센서부재;
    상기 누름 센서부재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버튼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버튼판에는 상기 전자제품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 상기 누름 감지부에 대응하는 버튼들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버튼 세트가 정의되며, 동일한 상기 버튼 세트의 각 버튼은 상기 전자제품에서 관련된 기능별로 정의되어 90도 간격으로 회전 버튼판 상에 위치하는 회전식 버튼부재; 및
    상기 회전 버튼판의 회전 각도를 감지하여 상기 버튼 세트에 각각의 기능을 설정하는 센서 제어부재;
    를 구비하는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감지부들에 대응된 위치에 상기 회전 버튼판에 조명하기 위한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감지부는 상기 회전 버튼판의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
KR1020060001032A 2006-01-04 2006-01-04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 KR100752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032A KR100752141B1 (ko) 2006-01-04 2006-01-04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1032A KR100752141B1 (ko) 2006-01-04 2006-01-04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295A true KR20070073295A (ko) 2007-07-10
KR100752141B1 KR100752141B1 (ko) 2007-08-24

Family

ID=3850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1032A KR100752141B1 (ko) 2006-01-04 2006-01-04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1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278B1 (ko) * 2009-09-15 2012-01-18 주식회사 포인칩스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81B1 (ko) 2011-10-19 2012-06-28 배경덕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활성화 시에 특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3914B1 (en) 2000-10-31 2003-07-15 Nokia Mobile Phones Ltd. Keypads for electrical devices
JP2003046628A (ja) 2001-07-27 2003-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のナビゲーションキーおよび携帯電話機
US6670563B1 (en) * 2002-12-03 2003-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tation key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KR20040061716A (ko) *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단말기의 키패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278B1 (ko) * 2009-09-15 2012-01-18 주식회사 포인칩스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141B1 (ko) 200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16961A1 (en) Actuating user interface for media player
US20220187870A1 (en)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US8493334B2 (en) Input device, storage medium,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80217709A1 (en)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EP2367094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US20100201712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competing input devices
EP2297630A1 (en) Touchpad
KR100752141B1 (ko) 회전식 네비게이션 버튼 장치
JP2006216087A (ja) 情報表示入力装置
US8643620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60135217A (ko) 외장형 터치스크린 및 이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U2012202122B2 (en)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AU2016238915B2 (en) Multi-functional hand-held device
JP2007537657A (ja) 電子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CN101247590A (zh) 有关电子设备的改进
KR20080109283A (ko)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8010877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