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098A - 광원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원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098A
KR20070073098A KR1020060000639A KR20060000639A KR20070073098A KR 20070073098 A KR20070073098 A KR 20070073098A KR 1020060000639 A KR1020060000639 A KR 1020060000639A KR 20060000639 A KR20060000639 A KR 20060000639A KR 20070073098 A KR20070073098 A KR 20070073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upport body
support
storage contain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6003B1 (ko
Inventor
이상혁
김용일
한상선
최재민
김동욱
김영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003B1/ko
Priority to US11/619,237 priority patent/US7826005B2/en
Publication of KR2007007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액정패널과; 액정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액정패널로 광을 공급하는 광원부와 광원부를 지지하는 광원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광원유닛과; 광원유닛을 수용하며 저면에 비원형 단면의 수용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며, 광원지지부재는 판상의 지지본체부와, 지지본체부로부터 광원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광원부를 지지하는 광원홀더부와, 지지본체부로부터 수납용기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수용결합부와 결합하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후크부는 수용결합부에 대응하는 걸림부와 걸림부와 지지본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광원지지부재는 후크부가 수용결합부에 삽입되어 소정 각도 회전시 수납용기로부터 이탈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조립이 용이하며 외부충격에 안정적인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광원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LIGHT SOURCE SUPPORTING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원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5b는 광원지지부재를 수납용기에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원지지부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액정패널 11 :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12 : 컬러필터 기판 20 : 구동부
30 : 백라이트 유닛 40 : 광학시트류
41 : 보호시트 43 : 프리즘 시트
45 : 확시시트 50 : 광원부
51 : 광원본체 53 : 광원전극
60 : 광원지지부재 61 : 지지본체부
62 : 광원홀더부 63 : 후크부
64 : 걸림부 65 : 연결부
66 : 시트지지부 67 : 탄성절곡편
68 : 결합홈 69 : 반사층
70 : 반사시트 80 : 수납용기
81 : 수용결합부 82 : 결합돌기
90 : 고정부재
본 발명은, 광원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 용이하며 외부충격에 안정적인 광원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종래의 CRT를 대신하여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평판표시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 액정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컬러필터 기판 그리고 양 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어 있는 액정패널을 포함한다. 액정패널은 비발광소자이기 때문에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후면에는 빛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이 위치한다. 백라이트 유닛에서 조사된 빛은 액정의 배열상태에 따라 투과량이 조정된다.
여기서,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패널의 배면에 광원부를 배치하여 액정패널로 빛을 조사하는 직하방식과, 액정패널의 배면에 도광판이 마련되고 광원부가 도광판의 적어도 하나의 측변에 배치되어 도광판을 통해 액정패널로 빛을 조사하는 에지(edge)방식으로 구분된다. 직하방식은 에지방식에 비해 빛의 균일성 및 내구성은 떨어지나, 복수의 광원부를 병렬로 구동하기 때문에 광 이용효율이 좋아 고휘도를 요구하는 대형 액정표시장치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직하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의 광원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광원지지부재를 포함한다. 광원지지부재는 지지본체부와, 지지본체부로부터 수납용기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후크부와, 광원부를 지지하는 광원홀더부를 포함하는데, 후크부는 가압방식을 통하여 수납용기에 마련된 체결공에 결합된다.
그러나, 수납용기와 후크부 사이의 확고한 결합을 위하여 후크부를 체결공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제작하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후크부가 체결공에 원활히 결합되지 못하여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며 외부충격에 안정적인 광원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액정패널과; 액정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액정패널로 광을 공급하는 광원부와 광원부를 지지하는 광원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광원유닛과; 광원유닛을 수용하며 저면에 비원형 단면의 수용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며, 광원지지부재는 판상의 지지본체부와, 지지본체부로부터 광원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광원부를 지지하는 광원홀더부와, 지지본체부로부터 수납용기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수용결합부와 결합하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후크부는 수용결합부에 대응하는 걸림부와 걸림부와 지지본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광원지지부재는 후크부가 수용결합부에 삽입되어 소정 각도 회전시 수납용기로부터 이탈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광원지지부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수납용기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수납용기를 향하는 지지본체부의 일면에는 광원지지부재의 회전시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수용결합부는 후크부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결합공을 포함하며, 결합돌기는 결합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외부충격에 대한 광원지지부재의 상하방향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납용기를 향하는 지지본체부의 일면에는 하향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절곡편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의 단면적은 걸림부부의 단면적보다 작으며, 걸림부는 수납용기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걸림부의 단면은 부채꼴 형상과,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그리고, 광원부는 냉음극형광램프(CCFL)와 외부전극형광램프(EEF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광원부와 액정패널 사이에 광학시트류를 더 포함하며, 광원지지부재는 지지본체부로부터 액정패널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광학시트류를 지지하는 시트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원지지부재의 적어도 일영역에는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수납용기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위치하는 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며, 광균일성을 위하여 반사층은 반사시트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시트에는 후크부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구멍과,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지지본체부와 걸림부 사이공간의 폭은 수납용기 및 반사시트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광원지지부재의 회전시 걸림부와 지지본체부의 사이영역에 수납용기와 반사시트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판상의 지지본체부와; 지지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광원홀더부와, 지지본체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후크부를 포함하며, 후크부는 비원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걸림부와, 걸림부와 지지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지지부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지지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시트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납용기를 향하는 지지본체부의 배면에는 하향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절곡편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수납용기를 향하는 지지본체부의 배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지지본체부와, 램프홀더부와, 시트지지부의 적어도 일영역에는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탄성절곡편은 상하 움직임을 제한 및 완충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의 단면적은 걸림부의 단면적보다 작으며, 걸림부는 본체지지부의 배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는 여러 가지의 표시장치 중에서 직하형 액정표시장치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부를 지지하기 위한 광원지지부재가 사용되는 다른 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2는 액정표시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광원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 액정패널(10)과, 액정패널(10)을 구동하는 구동부(20)와, 액정패널(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25)과, 액정패널(10)의 배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30)과, 백라이트 유닛(30)을 수용하고 몰드 프레임(25)을 지지하는 수납용기(80)와, 수납 용기(80)와 상호 결합되어 액정패널(10)의 전면을 커버하는 고정부재(90)를 포함한다.
액정패널(10)은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1)과,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1)에 대향 되도록 부착된 컬러필터 기판(12)과,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1)과 컬러필터 기판(12) 사이에 주입된 액정(미도시)을 포함한다. 또한, 액정패널(10)은 액정패널(10)을 투과하는 빛이 교차편광 되도록 컬러필터 기판(12)의 전면 및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1)의 배면에 각각 부착된 편광판(13, 14)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액정패널(10)은 화소단위를 이루는 액정 셀들이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구동부(20)에서 전달되는 화상 신호 정보에 따라 액정 셀들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1)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점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20)에서 전달된 신호전압은 박막트랜지스터를 통해 화소전극과 후술할 컬러필터 기판(12)의 공통전극 사이에 인가되며,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액정은 이 신호전압에 따라 정렬되어 광 투과율을 정하게 된다.
컬러필터 기판(12)에는 블랙 매트릭스를 경계로 적색, 녹생 및 청색 또는 청록색, 자홍색 및 노랑색이 반복되어 형성되어 있는 컬러필터와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공통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컬러필터 기판(12)은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1)에 비해 면적이 작다.
전면 편광판(13)과 후면 편광판(14)은 서로 교차편광 되도록 배치되며, 후면 편광판(14)은 액정패널(10)에 입사되는 빛을 편광하고 전면 편광판(13)은 검광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1)의 일측에는 구동신호 인가를 위한 구동부(20)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부(20)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 21), 연성인쇄회로기판(21)에 실장되어 있는 구동칩(22), 연성인쇄회로기판(21)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회로기판(PCB, 23)을 포함한다. 도시된 구동부(20)는 COF(chip on film) 방식을 나타낸 것이며, TCP(tape carrier package), COG(chip on glass) 등 공지의 다른 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구동부(20)가 배선형성과정에서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1)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부(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단자를 가지며, 구동부(20)의 단자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1) 상에 실장되어 표시영역으로부터 비표시영역으로 연장된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1) 상의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의 단부와 연결된다.
몰드 프레임(25)은 액정패널(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대략 사각의 형상을 가진다. 몰드 프레임(25)은 액정패널(10)을 백라이트 유닛(30)에 대해 이격시켜 지지한다.
백라이트 유닛(30)은 액정패널(10)의 배면에 평행하게 배치된 광학시트 류(40)와, 광학시트류(40)를 통해 액정패널(10)의 배면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50)와 수납용기(80)에 결합되어 광원부(50)를 지지하는 광원지지부재(60)를 포함 하는 광원유닛(50, 60)과, 광원부(50)와 수납용기(80)의 사이에 마련되어 광원부(50)에서 조사되는 빛이 균일하게 퍼져 모두 액정패널(10)의 배면으로 향하도록 하는 반사시트(70)를 포함한다.
광학시트류(40)는 액정패널(10)의 배면에 위치하는 보호시트(41), 프리즘 시트(43) 및 확산시트(45)를 포함한다. 확산시트(45)는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에 형성된 구슬 모양의 코팅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확산시트(45)는 광원(51)로부터의 빛을 확산시켜 액정패널(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확산시트(45)는 2장 또는 3장을 겹쳐서 사용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43)는 상부면에 삼각기둥 모양의 프리즘이 일정한 배열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프리즘 시트(43)는 확산시트(45)에서 확산된 빛을 상부의 액정패널(10)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프리즘 시트(43)는 통상 2장이 사용되며 각 프리즘 시트(43)에 형성된 마이크로 프리즘은 소정을 각도를 이루고 있다. 프리즘 시트(43)를 통과한 빛은 거의 대부분 수직하게 진행되어 균일한 휘도 분포를 제공하게 된다. 가장 상부에 위치하는 보호시트(41)는 스크래치에 약한 프리즘 시트(43)를 보호한다.
광원부(50)는 빛을 방출하는 광원본체(51)와, 광원본체(51)의 단부에 형성된 광원전극(53)을 포함하며, 인버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는다. 복수의 광원부(50)는 액정패널(10)의 배면에 상호 팽행하게 전체에 걸쳐 배열되어 있다. 광원부(50)로는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가 사용될 수 있으며, 고휘도, 저비용 및 저소비전력의 특성을 가지며 하나의 인버터(미도시)로 복수의 광원부(50)를 구동할 수 있는 외부전극형광광원(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평판 형상의 형광 램프로 표면이 균일하게 빛나며 두께가 없는 빛을 발생시키는 면광원(Flat Fluorescent Lamp, FFL)이 사용될 수도 있다. 면광원은 종래의 다른 광원과 비교하여 휘도와 휘도균일도가 높고, 소비전력이 낮으면서 수명은 긴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원지지부재(60)는 판상의 지지본체부(61)와, 지지본체부(61)로부터 광원부(50)을 향하여 연장되어 광원부(50)를 지지하는 광원홀더부(62)와, 지지본체부(61)로부터 수납용기(8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수용결합부(81)와 결합되는 후크부(63)와, 지지본체부(61)로부터 액정패널(10)을 향하여 돌출되어 광학시트류(40)를 지지하는 시트지지부(66)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납용기(80)을 향하는 지지본체부(61)의 일면에는 하향 절곡된 한쌍의 탄성절곡편(67)이 마련되어 있으며, 탄성절곡편(67)의 외측방향에 인접하여 결합홈(68)이 마련되어 있다.
지지본체부(61)는 수용결합부(81)를 커버하면서 수납용기(80) 상에 마련된 반사시트(70)와 면접촉하고 있다. 지지본체부(61)의 가운데 영역에는 액정패널(1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광학시트류(40)를 지지하는 시트지지부(66)가 마련되어 있으며, 시트지지부(66)을 중심으로 지지본체부(61)의 상면 양측에는 한쌍의 광원홀더부(62)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시트지지부(66)는 광학시트류(40)가 처지지 않도록 받치는 역할을 한다. 광원홀더부(65)는 광원본체(51)의 원주영역의 일부를 감싸면서 지지하여 외부충격으로부터 광원부(50)를 보호한다.
후크부(63)는 상기 시트지지부(66)와 대응하여 지지본체부(61)의 배면에 마련되어 있다. 후크부(63)는 비원형 단면을 갖는 걸림부(64)와 걸림부(64)와 지지본 체부(6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65)를 포함한다. 걸림부(6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수납용기(80)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65)는 걸림부(64)의 단면적보다 작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걸림부(64)와 지지본체부(61) 사이에는 소정 폭의 갭(gap)이 형성되게 된다. 갭의 폭은 수납용기(80)의 저면의 두께와 반사시트(70)의 두께를 더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후크부(63)를 수용결합부(81)에 삽입하고 광원지지부재(60)를 축방향의 가로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 걸림부(64)와 지지본체부(61) 사이에 반사시트(70)와 수납용기(80)의 일부가 삽입되어 광원지지부재(60)가 수납용기(8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지지본체부(61)의 배면에는 한 쌍의 탄성절곡편(67)이 마련되어 있으며, 탄성절곡편(67)은 광원지지부재(60)의 상하 움직임을 제한하며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본체부(61)의 배면에 탄성절곡편(67)과 대응하는 영역은 소정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원지지부재(60)가 수납용기(80)에 결합시 지지본체부(61)의 배면과 반사시트(70)의 상면이 상호 밀착되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 지지본체부(61)의 배면의 탄성절곡편(67)에 대응하는 영역이 함몰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표시장치(1)에 외부충격이 가해진 경우, 광원지지부재(60)는 탄성을 띠는 탄성절곡편(67)의 완충작용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흔들리는 움직임이 제한된다. 또한, 지지본체부(61)의 배면에는 한 쌍의 결합홈(68)이 마련되어 있다. 결합홈(68)은 광원지지부재(60)의 회전시 수 납용기(80)의 저면에 마련된 결합돌기(82)와 결합한다. 이에 의하여, 광원지지부재(60)의 좌우 및 전후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광원지지부재(6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의하여, 표시장치(1)에 외부충격이 가해진 경우, 결합홈(68)과 결합돌기(82)에 의하여 광원지지부재(60)의 좌우 및 전후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흔들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광원지지부재(60)는 외부충격에 대하여 안전해지며, 안정적으로 광원부(60)를 지지할 수 있으며 흔들림에 의한 소음이 최소화된다. 또한, 간단하게 후크부(63)를 수용결합부(81)에 삽입하고 회전함으로써 광원지지부재(60)를 수납용기(80)에 결함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공정의 소요시간이 절감되며 공정의 자동화에 부합한다.
반사시트(7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부(50)와 수납용기(80)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광원부(50)의 빛을 반사시켜 확산필름(45) 방향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반사시트(7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카보네이트(PC)일 수 있다. 반사시트(70)는 수납용기(80)의 바닥면에 부착되며, 수용결합부(81)에 대응하는 곳에는 광원지지부재(60)의 후크부(63)에 대응하는 형상의 구멍(71)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할 결합돌기(82)에 대응하는 형상의 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용기(80)의 저면에는 전술한 광원지지부재(60)의 후크부(63)가 삽입 체결되도록 형성된 복수의 수용결합부(81)가 마련되어 있다. 수용결합부(81)는 후크부(63)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결합공일 수 있다. 그리고, 수납용기(80)의 저면에는 수용결합부(81)를 중심으로 양측에 결합돌기(82)가 배치되어 있다. 결합돌기 (82)는 반사시트(70)에 형성된 구멍(72)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결합돌기(82)는 상술한 결합홈(68)과 결합하여 광원지지부재(60)의 위치를 고정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 반사시트(70)에는 결합돌기(82)에 대응하도록 돌기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결합돌기(8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며, 결합홈(68)과 반사시트(70)에 형성된 돌기부가 상호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확고한 결합을 위하여 결합홈(68)은 돌기부에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되어야 한다.
고정부재(90)는 액정패널(10)의 유효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표시창을 가지며, 몰드 프레임(25)을 수용하고 수납용기(80)와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도4a 및 도5b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원지지부재(60)를 수납용기(80)에 결합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a와 5a는 액정표시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4b와 5b는 수납용기 배면의 정면도이다. 우선,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조를 갖는 광원지지부재(60)를 수납용기(80) 방향으로 가압하여 후크부(63)를 반사시트(70)에 마련된 구멍(71)과 수용결합부(81)에 삽입한다. 후크부(63)가 삽입되면, 걸림부(64)가 수납용기(80)의 후방으로 노출되게 된다. 여기서, 구멍(71)과 수용결합부(81)는 걸림부(64)의 단면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마련되는 것이 후크부(63)의 용이한 삽입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그 후,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지지부재(60)를 시계방향 또 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광원지지부재(60)의 회전은 결합홈(68, 도1참조)이 결합돌기(82, 도1참조)에 결합되기까지 진행시킨다. 광원지지부재(60)의 회전에 의하여, 걸림부(64)과 지지본체부(61)의 사이에 반사시트(70)와 수납용기(80)의 일부가 삽입되게 된다. 이에 의하여, 광원지지부재(60)는 수납용기(80)에 용이하게 결합되며, 수납용기(80)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이하에서는, 도6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6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지지부재(60)의 적어도 일영역에는 반사층(69)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본체부(61)의 상면, 광원본체(51)과 접촉되는 면을 제외한 광원홀더부(63)의 겉면 및 시트지지부(66)의 겉면에는 반사층(69)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광원부(50)에서 발생된 빛을 최대로 반사시킬 수 있어 광효율이 향상된다. 여기서 반사층(69)은 후술할 반사시트(70)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균일한 반사 및 휘도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하, 도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64)의 단면은 삼각형 일 수 있다. 그리고, 반시시트(70)에 형성된 구멍(71)도 걸림부(64)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후크부(63)를 구멍(71)에 삽입하고, 광원지지부재(60)를 회전함으로써 용이하게 광원지지부재(60)를 수납용기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걸림부의 단면은 원 이외의 사각형과, 오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이 용이하며 외부충격에 안정적인 광원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액정패널로 광을 공급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를 지지하는 광원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광원유닛과;
    상기 광원유닛을 수용하며 저면에 비원형 단면의 수용결합부가 마련되어 있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지지부재는 판상의 지지본체부와, 상기 지지본체부로부터 상기 광원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광원부를 지지하는 광원홀더부와, 상기 지지본체부로부터 상기 수납용기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결합부와 결합하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수용결합부에 대응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와 상기 지지본체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광원지지부재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수용결합부에 삽입되어 소정 각도 회전시 상기 수납용기로부터 이탈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용기를 향하는 상기 지지본체부의 일면에는 상기 광원지지부재의 회전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결합부는 상기 후크부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결합공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를 향하는 상기 지지본체부의 일면에는 하향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절곡편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은 상기 걸림부의 단면적보다 작으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수납용기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단면은 부채꼴 형상과, 다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냉음극형광램프(CCFL)와 외부전극형광램프(EEF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와 상기 액정패널 사이에 광학시트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원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본체부로부터 상기 액정패널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광학시트류를 지지하는 시트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지지부재의 적어도 일영역에는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위치하는 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층은 상기 반사시트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시트에는 상기 후크부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구멍과,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부와 상기 걸림부 사이공간의 폭은 상기 수납용기 및 상기 반사시트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상기 광원지지부재의 회전시 상기 걸림부와 상기 지지본체부의 사이영역에 상기 수납용기와 상기 반사시트의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판상의 지지본체부와;
    상기 지지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광원홀더부와,
    상기 지지본체부의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는 비원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와 상기 지지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지지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시트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지지부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를 향하는 상기 지지본체부의 배면에는 하향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절곡편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지지부재.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를 향하는 상기 지지본체부의 배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지지부재.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본체부와, 상기 램프홀더부와, 상기 시트지지부의 적어도 일영역에는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지지부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절곡편은 상하 움직임을 제한 및 완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지지부재.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은 상기 걸림부의 단면적보다 작으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지지부의 배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 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지지부재.
KR1020060000639A 2006-01-03 2006-01-03 광원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306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639A KR101306003B1 (ko) 2006-01-03 2006-01-03 광원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619,237 US7826005B2 (en) 2006-01-03 2007-01-03 Light source supporting member,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639A KR101306003B1 (ko) 2006-01-03 2006-01-03 광원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098A true KR20070073098A (ko) 2007-07-10
KR101306003B1 KR101306003B1 (ko) 2013-09-12

Family

ID=3822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639A KR101306003B1 (ko) 2006-01-03 2006-01-03 광원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26005B2 (ko)
KR (1) KR1013060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36243A4 (en) * 2007-04-09 2011-04-27 Sharp Kk LIGHTING DEVICE FOR A DISPLAY DEVICE, DISPLAY EQUIPMENT AND TV RECEIVER
WO2009041114A1 (ja) * 2007-09-28 2009-04-02 Sharp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用照明装置、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
CN201138410Y (zh) * 2007-10-12 2008-10-22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背光模组和液晶显示装置
KR101297250B1 (ko) * 2008-02-14 2013-08-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282289B1 (ko) * 2008-02-28 2013-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유닛
CN103261954B (zh) 2010-12-24 2016-11-09 阿塞里克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202631895U (zh) * 2012-05-23 2012-12-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的背光固定结构
JP6799830B2 (ja) * 2017-09-21 2020-1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EP4050407A4 (en) * 2019-10-25 2023-04-2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685B1 (ko) * 2003-10-07 2010-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고정 어셈블리
TWI285074B (en) * 2004-10-01 2007-08-01 Au Optronics Corp Supporting cone of bottom-lighting backlight module
CN100549509C (zh) * 2004-11-30 2009-10-14 夏普株式会社 灯保持件、背光装置、显示装置、和液晶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26005B2 (en) 2010-11-02
US20070153154A1 (en) 2007-07-05
KR101306003B1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003B1 (ko) 광원지지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099713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20070157487A1 (en) Display device
JP2005322645A (ja) 構造を単純化した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ー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06004927A5 (ko)
JP2007058180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71848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28581A (ko) 도광판과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장치
KR20080045454A (ko) 액정표시장치
US2007001382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236892B1 (ko) 스크류 풀림방지기능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70112503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136095A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00125A (ko) 액정표시장치
KR100770980B1 (ko) 표시장치
KR20070000129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136099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64508A (ko) 백라이트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7001565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60954A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122109A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28580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00081A (ko) 액정표시장치
KR101277219B1 (ko) 평판표시장치
KR20080035200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