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2078A -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2078A
KR20070072078A KR1020050136032A KR20050136032A KR20070072078A KR 20070072078 A KR20070072078 A KR 20070072078A KR 1020050136032 A KR1020050136032 A KR 1020050136032A KR 20050136032 A KR20050136032 A KR 20050136032A KR 20070072078 A KR20070072078 A KR 20070072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light source
brightness
light emitting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6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2078A/ko
Publication of KR20070072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3Colour balance circuits, e.g. white 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에서 회로적인 방식이 아닌 광학적인 방식으로 화이트 발란스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적, 녹, 청색의 광원을 각각 사용하고, 각각의 광원으로부터 밝기량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기준 밝기와 비교한 후 그 차이량에 따라 구동전류량을 환산하여 각각의 적, 녹, 청색의 광원의 구동전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은 회로적 방식이 아닌 광학적 방식으로 화이트 발란스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화질열화, 다이나믹 레인지 감소, 칼라 트랙킹등의 특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출하시 한번만 조정이 가능하였던 화이트 발란스를 지속적으로 보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화이트 발란스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화이트 발란스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상의 품질 및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광원/밝기

Description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a)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DLP 프로젝터 세트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컬러휠을 사용한 색분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램프광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원부 200 : 전원 변환부
300 : 광원부 400 : 감지부
500 : A/D 컨버터 600 : 전원 FET
700 : DLP 구동부 800 : 신호 처리부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에서 회로적인 방식이 아닌 광학적인 방식으로 화이트 발란스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사형 영상표시기기로는 최근 프로젝터라 불리우는 화상 투사장치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개발, 시판되고 있으며, 상기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광학계로는 일반적으로 광원으로서 램프가 마련되고, 상기 램프에서 나온 광을 화상표시소자에 조명해주기 위한 조명부, 화상표시소자, 상기 화상표시소자에 표시된 화상을 스크린에 확대 투사하는 투사부로 구성된다.
상기 램프로서는 현재 고압 수은 램프가 많이 사용되며, 화상표시소자로서는 액정표시소자(LCD)와 디지털 미세 미러 소자(DMD : Digital Micromirror Device)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DMD를 사용한 광학계를 DLP(Digital Lighting Processing) 방식의 광학계라 한다. 상기 DLP 방식이란 전체를 디지털 제어라는 특성을 활용하여 밝고 고품위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기술로서, 상기 DMD 칩을 핵심부로 하는 광처리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투사장치 광학계에서는 사용되는 화상표시소자의 수에 따라서 단판식, 2판식, 3판식의 광학계 구성을 갖게 되는데, 최근 소형화/경량화 및 저가격 화의 추세에 따라 1매의 화상표시소자를 사용하는 단판식 광학계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단판식 DLP 프로젝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DLP의 색 분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램프에서 나오는 파장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단판식 DLP 프로젝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을 생성하는 램프(1)와, 적,녹,청색의 광을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할하는 컬러 휠(2)과, 상기 각 색의 화면 정보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DMD 소자(3)와, 상기 DMD 소자(3)에서 나온 광을 스크린에 투사하기 위한 투사렌즈(4)로 구성된다.
즉, 상기 램프(1)에서 생성된 백색광은 상기 컬러 휠(2)의 회전(7200rpm)에 따라 시간 순차적으로 적, 녹, 청색의 광으로 분리되고, 이와 같이 분리하는 이유는 상기 램프(1)에서 나오는 광의 파장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시광선 영역 전체에 해당하므로, 디스플레이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백색왕을 상기 컬러 휠(2)을 사용하여 적, 녹, 청색의 광으로 분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리된 적, 녹, 청색의 광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순차적으로 분리되어 출사되며, 상기 컬러 휠(2)을 통해 시간 순차적으로 분리된 특정 색의 광은 로드 렌즈(6)를 통해 균질도가 좋은 광으로 변화되어 상기 렌즈(7)를 통해 내부 전반사 프리즘(TIR)(8)에 입사된다. 상기 내부 전반사 프리즘(8)에 입사된 광은 A면과 B면의 경계 부분에서 전반사가 일어나 DMD 소자(3)에 입사되며, 상기 DMD 소자(3)에 입사된 광은 특정 색 정보를 갖고, 수직적으로 반사되어 내부 전반사 프리즘(8)의 B면과 A면을 순차적으로 진행한 후 상기 투사렌즈(4)를 통해 화면에 투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단판식 프로젝터는 상기 컬러 휠(2)을 통해 램프(1)에서 생성된 백색광을 시간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실제로 사용하는 광은 전체 광량의 1/3 이하에 해당된다.
즉, 백색 광원을 주 광원으로 사용하는 기존의 프로젝션 티브이에서 화이트 발란스 방법은 광량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회로적으로 신호 입출력 이득을 조정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로인해 화질열화, 다이나믹 레인지 감소, 칼라 트랙킹 특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화이트 발란스는 제품 출하시 한번만 조정할 수 있었으므로 과원을 장기간 사용하여 밝기가 떨어질 경우에는 다시 화이트 발란스를 조정하는 방법 말고는 다른 대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적, 녹, 청색의 광원을 각각 사용하고, 각각의 광원의 밝기 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광원의 밝기 정보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광원의 구동전류를 제어하여 화이트 발란스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는 적, 녹, 청색의 광원을 각각 공급하기 위한 광원부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를 통해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적, 녹, 청색의 광원에 각각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와, 상기 광원부의 적, 녹, 청색 광원의 광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적, 녹, 청색의 각각 광량에 따라 상기 광원부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적색 광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녹색 광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2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청색 광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3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적, 녹, 청색을 제공하는 각각의 광원부의 광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센서로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에 전달하기 위한 A/D 컨버터와, 상기 광원부의 적, 녹, 청색의 전류량을 감지하기 위한 전원 FET로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광원부 의 밝기량을 기 설정된 기준 밝기량과 비교하여 그 차이만큼 상기 광원부의 구동전류량으로 환산하여 적용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은 적, 녹, 청색의 광원을 공급하는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 감지부를 구비한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가 기 설정시간 이상 구동되면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의 밝기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밝기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의 전류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밝기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 각각의 밝기를 감지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전류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각각의 밝기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 값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 각각의 밝기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밝기량을 기 설정된 기준 밝기량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 각각의 구동전류량을 환산하여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전류량을 환산하여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밝기량과 기 설정된 기준 밝기량과의 차이량 만큼을 구동전류량 값으로 환산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단계인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LD를 이용한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적, 녹, 청색의 광원을 공급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601 ∼ 603)와, 상기 각각의 어레이(601 ∼ 603)에서 출사되는 광을 집속하는 광 집속부(604)와, 상기 광을 모아 X-큐브 프리즘(606)에 수직하게 입사시키는 각각의 렌즈계(605)와, 상기 수직하게 입사된 광의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거나 투과시키는 X-큐브 프리즘(606)과, 상기 광을 균일하게 하는 로드렌즈(607)와, 상기 로드렌즈(607)를 통해 출사한 광을 패널(610)의 크기에 맞도록 조절하여 출사하는 렌즈(608)와, 상기 렌즈(608)를 통해 입사된 광을 내부 프리즘의 굴절율 차를 이용하여 전반사 및 투과하는 내부 전반사 프리즘(609)과, 각 색의 영상신호를 통해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610)과, 상기 표시된 영상을 스크린(도시생략)에 확대 투사하는 투사렌즈(611)로 구성된다.
상기 광원으로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LD)는 레이저의 일종으로 단색 파장의 빛을 내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넓은 파장 범위를 갖고 있는 램프와는 달리 단파장의 LED/LD는 색순도가 높고, 색재현 범위가 넓어 영 상 구현에 뛰어난 장점을 갖으며, 종래 램프광의 수명이 1,000 ∼ 10,000시간인데 비해 LED/LD의 수명은 20,000 시간 이상으로 광원 수명이 연장되는 장점 또한 갖는다.
이러한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화이트 발란스를 자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00)와, 적, 녹, 청색의 광원을 각각 공급하기 위한 광원부(300)와, 상기 전원부(100)를 통해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적, 녹, 청색의 광원에 각각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200)와, 상기 광원부(300)의 적, 녹, 청색 광원의 광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400)와, 상기 감지부(400)를 통해 감지되는 적, 녹, 청색의 각각 광량에 따라 상기 광원부(300)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800)와, 상기 감지부(400)를 통해 감지된 감지값이 상기 신호 처리부(800)를 통해 인식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A/D 컨버터(500)와, 상기 광원부(300)의 출력전원 및 상기 신호 처리부(80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현재 전류량을 상기 신호 처리부(800)로 피드백해주는 전원 FET(600)와, 상기 DLP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DLP 구동부(7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광원부(300)는 적색의 광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발광다이오드(301)와, 녹색의 광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2 발광다이오드(302)와, 청색의 광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3 발광다이오드(30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301 ∼ 303)는 레이저 다이오드로 대체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변환부(200)는 상기 전원부(100)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제 1 발광다이오드(301)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1 DC/DC(201)와, 상기 제 2 발광다이오드(302)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2 DC/DC(202)와, 상기 제 3 발광다이오드(303)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3 DC/DC(20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원부(10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신호처리부(800)는 상기 DLP 구동부(700)의 레지스터(도시생략)에 기 저장된 상기 광원부(300)의 구동전류값을 읽어와서, 상기 전원 변환부(200)에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 1 내지 제 3 DC/DC(201 ∼ 203)는 상기 광원부(300)를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301 ∼ 303)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301 ∼ 303)는 상기 전원 변환부(200)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따라 각각 구동되어 발광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301 ∼ 303)의 밝기량은 상기 감지부(400)의 제 1 내지 제 3 센서(401 ∼ 403)를 통해 각각 감지되며, 상기 감지부(400)를 통해 감지된 밝기량은 상기 A/D 컨버터(500)를 거쳐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 후, 상기 신호 처리부(800)로 피드백 된다.
그러면 상기 신호 처리부(800)는 상기 A/D 컨버터(500)를 통해 변환된 디지털 값을 입력받아 기 설정된 기준 밝기량과 비교한 후 그 차이만큼 상기 광원부(300)의 구동전류량으로 환산하여 상기 전원 변환부(200)에 출력한다.
즉, 상기 제 1 내지 제 3 센서(401 ∼ 403)를 통해 지속적으로 상기 광원부(300)를 이루고 있는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301 ∼ 303)의 밝기 정보를 읽어 들여 기 설정된 기준 밝기와 비교한 후 차이가 발생할 경우 해당 광원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여 화이트 발란스(White Blance)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상기 신호 처리부(800)는 상기 전원 변환부(200)를 PWM 제어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301 ∼ 303)의 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파워 FET(600)의 스위칭을 제어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기 저장된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301 ∼ 303)의 구동 전류량 값을 읽어와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301 ∼ 303)의 구동을 시작한다(S101 ∼ 103).
그리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301 ∼ 303)가 일정시간 구동되면 해당 사용시간이 1시간의 정수배인지 즉, 설정주기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
이어서 상기 판단 결과(S104),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301 ∼ 303)의 구동시간이 기 설정주기이면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301 ∼ 303)의 밝기를 각각 감지한다(S105).
그리고 상기 감지된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드(301 ∼ 303)의 감지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S106).
이어서 상기 변환된 디지털 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 다이오 드(301 ∼ 303)의 밝기량을 계산하며, 해당 색 좌표값을 산출한다(S107 ∼ S108).
또한 상기 산출된 발광 다이오드의 색 좌표값과 기 설정된 기준 색좌표값의 차이량을 산출한다(S109).
이어서 상기 산출 결과 차이량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상기 판단 결과(S110), 상기 차이량이 발생하였으면 계산된 색좌표 차이량을 각각의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의 구동 전류량 값으로 환산한다(S111).
이어서 상기 환산된 구동전류량을 구동 레지스터에 새로 저장한다(S11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은 적, 녹, 청색의 광원을 공급하는 광원부(300)로부터 각각의 밝기량을 감지하고, 기 설정된 기준 밝기량과의 차이만큼 상기 광원부(300)의 구동 전류량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회로적 방식이 아닌 광학적 방식으로 화이트 발란스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화질열화, 다이나믹 레인지 감소, 칼라 트랙킹등의 특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둘째, 제품 출하시 한번만 조정이 가능하였던 화이트 발란스를 지속적으로 보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화이트 발란스를 유지할 수 있다.
셋째, 최적의 화이트 발란스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상의 품질 및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적, 녹, 청색의 광원을 각각 공급하기 위한 광원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전원부를 통해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적, 녹, 청색의 광원에 각각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광원부의 적, 녹, 청색 광원의 광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 그리고,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적, 녹, 청색의 각각 광량에 따라 상기 광원부각각의 구동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적색 광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1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녹색 광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2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청색 광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3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적, 녹, 청색을 제공하는 각각의 광원부의 광량을 감지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 센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감지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에 전달하기 위한 A/D 컨버터와, 상기 광원부의 적, 녹, 청색의 전류량을 감지하기 위한 전원 FET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광원부의 밝기량을 기 설정된 기준 밝기량과 비교하여 그 차이만큼 상기 광원부의 구동전류량으로 환산하여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6. 적, 녹, 청색의 광원을 공급하는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 감지부를 구비한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가 기 설정시간 이상 구동되면 상기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의 밝기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감지된 밝기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의 전류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밝기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 각각의 밝기를 감지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량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각각의 밝기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 값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 각각의 밝기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밝기량을 기 설정된 기준 밝기량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 각각의 구동전류량을 환산하여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 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류량을 환산하여 적용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밝기량과 기 설정된 기준 밝기량과의 차이량 만큼을 구동전류량 값으로 환산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3 발광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방법.
KR1020050136032A 2005-12-30 2005-12-30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70072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6032A KR20070072078A (ko) 2005-12-30 2005-12-30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6032A KR20070072078A (ko) 2005-12-30 2005-12-30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078A true KR20070072078A (ko) 2007-07-04

Family

ID=3850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6032A KR20070072078A (ko) 2005-12-30 2005-12-30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20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727B1 (ko) * 2008-01-30 201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투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727B1 (ko) * 2008-01-30 201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투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824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display image of image display apparatus
US8979278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projection apparatus which adjusts a light emission state of first and second light sources based on one of detected light intensity values and an accumulated light emission time, and projec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9140899B2 (en) Projection-typ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projection-type display apparatus as well as control program for projection-type display apparatus
KR10146611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광조절방법
US20070165194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060203204A1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for adjusting white balance in consideration of temperature of LED and method thereof
US7819529B2 (en) Projecting system with color temperature adjusting function
WO2004059608A1 (ja) 投写型映像表示装置
EP1875742A2 (en) Low profile, large screen display using a rear projection array system
JP5821246B2 (ja) 光源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CN103543582A (zh) 投影仪及投影仪的发光控制方法
US20050264762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nhance contrast ratio in projection system
CN103680418A (zh) 显示装置以及显示装置的控制方法
JP2006284982A (ja) 調光情報生成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234842A (ja) 光源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JP2007164099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KR20070072078A (ko) 투사형 영상표시기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US8011792B2 (en) Lighting unit and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JP2019208175A (ja) 画像投射装置
KR101091209B1 (ko) 프로젝션 시스템
JP2008233487A (ja) 光源制御装置
JP2017168901A (ja) マルチ画面表示装置
EP3617799B1 (en) Projection device and light source system and projection method thereof
CN111812929B (zh) 投影装置、投影控制装置以及记录介质
US11143944B2 (en) Projection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