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0149A - 에어 제트 프로펠러 - Google Patents

에어 제트 프로펠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0149A
KR20070070149A KR1020077000394A KR20077000394A KR20070070149A KR 20070070149 A KR20070070149 A KR 20070070149A KR 1020077000394 A KR1020077000394 A KR 1020077000394A KR 20077000394 A KR20077000394 A KR 20077000394A KR 20070070149 A KR20070070149 A KR 20070070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jet
jet propeller
air
head
airc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펠릭스 산체스 산체스
Original Assignee
펠릭스 산체스 산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펠릭스 산체스 산체스 filed Critical 펠릭스 산체스 산체스
Priority to KR102007700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0149A/ko
Publication of KR20070070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0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5/00Attitude, flight direction, or altitude control by jet re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1/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arrangement of the jet pipe or nozzle; Jet pipes or nozzles peculiar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KJET-PROPULSION PLANTS
    • F02K5/00Plants including an engine, other than a gas turbine, driving a compressor or a ducted fan
    • F02K5/02Plants including an engine, other than a gas turbine, driving a compressor or a ducted fan the engine being of the reciprocating-pist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개의 몸체를 포함하는 에어-제트 프로펠러에 관한 것이다. 제 1 몸체 또는 헤드는 반-타원형의 형태를 가지며, 제 1 몸체의 상부 부분은 그릴(grille)이 제공되는 반면 하부 부분은 한 섹션에서 밀폐되고, 상기 제 1 몸체는 밀폐 링이 장착된다. 제 2 몸체 또는 중앙 부분은 나선형의 라운드 허니콤 로터를 포함하는 관형 실린더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나선형의 라운드 허니콤 로터는 스파크 점화 엔진에 결합된다. 제 3 몸체 또는 후방 부분은 잘려진 원뿔의 형태를 가지며, 항공기의 방향을 설정하고 밸런스를 유지시키고 안정화기키는 일련의 개구부, 게이트 버터플라이 밸브가 장착되며, 이에 따라 항공기가 저속으로 비행하기 때문에 연료의 소모와 오염이 감소되며, 최소의 활주로로 이착륙이 가능하고, 이착륙을 위해 요구되는 고속과 연관된 위험성이 된다.

Description

에어 제트 프로펠러{AIR JET PROPELLER}
본 발명은 항공기의 안정성을 유지시키고 추진하기 위한 에어 제트 프로펠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프로펠러는 내측 중앙에 상당히 혁신적인 폭발 엔진에 연결된 나선형 라운드 허니콤 로터가 위치되는 시스템을 포함하며, 몸체는 도어와 결합된 개구부(opening)들과 일련의 윈도우(window), 해치(hatch) 및 이륙과 착륙 작업을 도울 뿐만 아니라 항공기 추진에 있어서 밸런스와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버터플라이(butterfly)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당히 짧은 활주로가 요구되고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가 요구된다.
이륙 공정과 착륙 공정을 돕기 위하여 항공기 추진에 추가적으로 2가지의 개별적인 기술이 사용되며, 이러한 기술들은 함께 사용될 수 없다. 착륙 시, 속도를 추가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된다면 제동 낙하산(breaking parachute)이 이용될 수 있으며, 추진력을 유지시키는데 있어서 보조적인 방법들이 요구되지는 않지만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새로운 폭발 엔진(explosion engine) 또는 저 생산 비용을 보장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 역추진 엔진(reaction engine)이 요구된다.
장치의 중앙 지점에 위치된 에어 제트 나선형 로터는 발명자 Felix Sanchez snachez의 생산품인 "라운드 허니콤 로터"라는 이름으로 특허 번호 PCT/ES 2004/000087호에 광범위하게 기술되어진다. 상기 특허에 대한 주요 부속품은 모든 타입의 항공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분당 높은 회전수(r.p.m)가 요구되는 폭발 엔진이 제공되고, 공기는 너브(nerve)에 의해 좌측 공간을 통해 항공기의 전방으로 유입된다. 한편 이러한 공기의 유입은 자체적인 기계 속도에 의해 1°그리고 나선형 라운드 허니콤 로터에 의해 형성된 흡수와 흡입에 따라 2°의 두 가지의 효과에 의해 형성된다. 다른 한편, 버터플라이 형태의 도어는 이러한 공기의 유입을 수평인 2가지의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하며, 제 1 공기 유입 위치는 항공기의 우수한 성능을 위해 필수적이며, 제 2 위치의 주요 기능은 버터플라이 위치에서 순간적인 수직 변화를 형성하는 수평방향의 공기 유입을 완전히 차단하고, 이에 따라 흡수(absorption)에 의해 상부를 향하는 파워의 작동이 허용된다. 제 1 몸체는 자체적으로 로터에 의해 형성되며, 큐브(cube)는 상기 언급된 폭발 엔진에 고정되고, 스피닝(spinning)은 원통형의 관형 덮개 형태를 가지는 기계의 제 2 몸체에 의해 보호된다. 폭발 엔진은 원뿔형의 베이스(conical base)를 포함하는 관형 형태로 구성된 제 3 몸체상에 영구히 고정되고, 로터의 개수에 추가된 원뿔형의 베이스로부터 배출되는 가압된 공기의 감소는 항공기의 속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crucial). 이러한 원뿔형 형태 때문에, 나선형의 라운드 허니컴 로터에 의해 생성되는 기압이 증가하여, 공기를 두 가지 방향으로 배향시켜야 하는 출구에 위치한 버터플라이형 도어를, 상기 원추형 베이스 튜브가 항공기의 원활한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펠러로 후방으로, 그리고 에어 제트가 지지력을 생성하는 것처럼 하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따라서 항공기의 후방에서 균형을 이루게 된다. 항공기의 전방(상부를 향하여)과 후방(하부를 향하여)으로 가해진 2가지의 상반된 힘은 저속으로 항공기가 날 수 있게 하는 밸런스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최소의 속도(km/h)로 매우 짧은 활주로에서 착륙할 수 있다. 이는 심지어 매우 작은 항공기인 헬리콥터가 착륙할 수 있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즉 항공기의 하측 후방에 2가지의 위치를 가지는 도어가 형성되며, 상기 2가지 위치들 중 제 1 위치는 버터플라이가 파워의 지지 소스(supporting source)를 형성하고 에어 제트 배출 영역을 밀폐함으로써 에어 제트를 수직하게 흐르도록 방향 설정한다. 제 2 위치에서(대략 45°) 에어 제트는 항공기에 제동력을 제공하고 추가적인 기계적인 지지부(support) 없이 바로 착륙할 수 있도록 상반된 방향으로 흐른다. 동시에 원뿔형 베이스 형태를 포함하는 실린더들은 후방의 한 측면상에 작은 도어를 가지며,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에어 제트는 도어의 개방에 의존되는 우측 또는 좌측의 움직임(movement)을 형성하고, 항공기가 이륙 또는 착륙 시 이와 관련된 리액터(reactor)에 따라 대기 오염이 90% 감소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짧은 활주로가 제공되며, 여러 대의 항공기가 동시에 이착륙을 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넓은 공항이 제공되고, 상기와 같은 이유로 속도가 감소되기 때문에 이착륙 시 위험성이 감소된다.
도 1은 전체적인 추진 지지 시스템(propulsion support system, 1)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항공기에 고정된 헤드(6)와 연장된 지지 너브(extended support nerve, 6.1)가 도시된다. 공기는 너브에 의해 좌측 공간을 통해 유입되고(도면에 12개의 너브가 도시), 후방에는 스윙 트레이(swing tray, 3)와 연결된 밀폐 후프(shutting hoop, 6.3)가 도시된다.
하부 부분은 링(6.4)을 따라서 캡(6.2)에 의해 부분적으로 밀폐되고, 3개의 너브(6.5)는 상기 링(6.4)으로부터 파일럿 베어링(pilot bearing)을 지지하는 큐브(cube) 또는 뉴클레우스(nucleus, 6.6)에 연결되며, 상기 파일럿 베어링(11)은 자체적으로 커버(7) 내에 싸여진 축(2.1)의 로터(10)를 지지한다.
축(2.1)은 폭발 엔진(explosion engine, 2)에 끼워지고, 상기 엔진(2)은 후방 파이프(9)의 외측부 상에서 2개의 버터플라이 형태의 도어(9)에 의해 하향으로 밀폐된 작은 출입구(hatchway)를 지지하고 후방 파이프(8)에 고정된 지지 너브(supporting nerve, 2.2)에 대해 기대어 세워진다. 이는 한쪽 또는 양쪽에서 구현되어 방향성 있는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이 후방 파이프의 끝에, 그리고 그 아래에, 게이트(5)를 향하는 구멍이 놓인다. 이 게이트의 중앙부에는, 공기 배출을 위한 폐쇄 또는 개방 버터플라이(4)로 기능을 하는 회전 트레이가 위치한다. 도 2는 도 1의 전체도이며, 헤드(6)의 너브(6.1)는 링(6.4)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고, 뒤이어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버터플라이뿐만 아니라 로터를 둘러싸는 커버(7), 윈드 배출 최종 파이프(wind exit final pipe, 8)가 연결된다. 도 3 은 도 1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너브(6.1)의 섹션이 도시되고, 링(6.4) 위에 형성된 하부 캡(6.2)이 도시되며, 상기 링은 링(6.5)의 내측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뻗은 3개의 등거리 암(arm)을 가지는 것을 도시되며, 중앙에는 파이럿 베어링(11)이 위치되는 큐브 또는 뉴클레우스(12.1)가 형성되며, 너브(12.1)는 항공기(12)상에서 전체 시스템을 지지한다.
도 4는 도 1의 “A"를 따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후방 파이프(8)의 하부 부분에 위치된 게이트(gate, 5)뿐만 아니라 공기의 유입구 또는 배출구로서 버터플라이 관절(butterfly articulation, 4)의 섹션들과 원뿔형 베이스 형태를 가지는 후방 파이프(8)를 도시한다.
도 6은 날개의 하부에 위치된 추진부(propulsion, 1)를 관리하는 공기 역학적인 세트를 포함하는 항공기(12)의 전체도.
도 7은 상기 언급된 전체 세트의 전면도.
나선형의 라운드 허니콤 로터(helical round honeycomb rotor)를 통하여 추진 효과를 발생시키는 공기 역학적 몸체(aerodynamic body)는 3개의 원통형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 몸체들 중 제 1 몸체는 바닥(bottom, 6.3)에서 밀폐되고 주 공기 유입 영역(3)에서 밀폐되는 버터플라이와 일련의 너브(6.1)로 형성되는 타원형의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헤드(6)이다. 상기 헤드는 완벽하게 원통형의 형태를 가 지는 로터를 둘러싸는 커버(rotor enveloping cover, 10)로 구성된 제 2 몸체에 연결된다. 이는 특허 PCT/ES 2004/00087호에는 일체로 통합된 것으로 도시되지 않는다. 폭발 엔진(2)은 너브(2.1)에 대해 지지되는 축에 고정된다. 기체 역학적 몸체(1)는 뒤이어 작은 출입구(hatchway)를 포함한 원뿔형 베이스 형태를 가지는 제 3 몸체 또는 후방부(8)가 형성되고 버터플라이 타입의 도어(9)가 스윙하며, 상기 몸체(1)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몸체 표면을 전체적으로 개방하거나 또는 밀폐할 수 있는 회전 트레이(rotating tray, 4)가 형성된다. 동일한 위치에서 하부 부분에는 다수의 단계를 가지는 도어웨이(multi-graduated doorway, 5)가 도시되며, 상기 도어웨이의 기능은 에어 제트의 방향에 역방향으로 지지체를 형성하는데 있으며, 이에 따라 도어웨이가 활주로에 위치될 때 항공기의 후진 기어링(backyard gearing)이 가능하다.
이러한 에어 제트 프로펠러(1)는 실제 사용 시 항공기에 끼워지고, 하나 이상의 세트를 포함하며, 나선형 라운드 허니콤 로터를 포함하며, 상기 허니컴 로터는 제너레이터로서 기능을 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추진 레벨이 형성되며 순회 소비량(patrol consumption)이 절약된다. 다양한 출입구(hatchway)로 인해 게이트와 버터플라이는 조정 이동(manoeuvring movement) 시 보다 우수한 안정성과 밸런스가 구현된다.
본 발명의 산업적인 목적은 형태, 크기, 재료 및 제조 방법과 같은 부속적인 세부 사항을 제외하고 이용을 위해 보다 명백하고 폭넓게 기술되어 진다. 본 발명은 하기 기술된 불변적인 특징 내에서 재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임의의 기하학적이고 규칙적이거나 또는 불 규칙적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4)

  1. 모든 종류의 비행 장치와 항공기 추진을 지지하는 나선형 라운드 허니콤 로터를 기초로 하는 에어 제트 프로펠러에 있어서, 상기 에어 제트 프로펠러는 이에 대해 지탱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역학적인 몸체를 가지며, 각각의 몸체(1)는 공기의 유입을 위한 헤드(6)를 가지며, 상기 헤드는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몇몇의 너브(6.1)와 밀폐 시스템(6.3)과 스윙 트레이(3)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6)의 하부 부분은 섹터(6.2)에 의해 부분적으로 하향으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제트 프로펠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제트 프로펠러는 나선형 라운드 허니콤 로터(10)를 가지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고, 에어 제트 프로펠러는 베어링(11)에 의해 헤드(6) 상에 지지되고, 로터 축(10)의 다른 측면은 지지 너브(2.2)로 인해 몸체(8)에 끼워 맞춤되고 폭발 엔진(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제트 프로펠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제트 프로펠러는 후방 파이프를 가지는 로터를 둘러싸는 커버(7)에 링크 연결된 후방 부분(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후방 부분의 중앙 부분에는 전체 원형 몸체 표면(8)을 개방시키고 밀폐시키는 기능을 하는 회전 트레이(4)와 버터플라이 타입의 스윙 도어(9)가 형성되 며, 후방 부분(8)의 측면에는 작은 출입구(hatchway)를 포함하는 원뿔형 베이스 형태가 형성되고, 동일 위치에서의 밑바닥에는 다수의 단계를 가지는 게이트(multi graduated gate)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제트 프로펠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형태, 크기, 재료 및 제조 방법과 같은 부속적인 세부 사항은 임의의 다른 기하학적이고 규칙적이거나 또는 불규칙적인 형상에 따라 구성되며,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설명된 것에 따라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제트 프로펠러.
KR1020077000394A 2007-01-08 2004-10-29 에어 제트 프로펠러 KR20070070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0394A KR20070070149A (ko) 2007-01-08 2004-10-29 에어 제트 프로펠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0394A KR20070070149A (ko) 2007-01-08 2004-10-29 에어 제트 프로펠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0149A true KR20070070149A (ko) 2007-07-03

Family

ID=3850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394A KR20070070149A (ko) 2007-01-08 2004-10-29 에어 제트 프로펠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701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1039B2 (ja) Vtol機
US8181903B2 (en) Aircraft having the ability for hovering flight, fast forward flight, gliding flight, short take-off, short landing, vertical take-off and vertical landing
US11485481B2 (en) Deployable assembly for a propulsor
CN105882959A (zh) 能够垂直起降的飞行设备
US9555879B1 (en) Aircraft having circular body and blades
BR102016020094A2 (pt) aeronave
US20100051754A1 (en) Aircraft
US5213284A (en) Disc planform aircraft having vertical flight capability
US6764043B2 (en) Rotatable scarf inlet for an aircraft engin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876964A (en) Circular wing aircraft
CN106697282A (zh) 具有垂直起降功能的涵道式倾转飞行器
CN105383681A (zh) Zql型喷气式超短距垂直起降固定翼飞机
WO2011041991A2 (en) Aircraft using ducted fan for lift
CN1907807A (zh) 一种固定机翼飞行器垂直起降的方法及飞行器
RU2550589C1 (ru) Преобразуемый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вертикального взлета и посадки (варианты)
CN106945826B (zh) 一种飞行器
RU2264952C1 (ru)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типа "летающей тарелки"
CN207917150U (zh) 一种无人机旋翼机构
KR20070070149A (ko) 에어 제트 프로펠러
CN101927826A (zh) 旋翼盘碟状航空飞行器
RU2435707C2 (ru)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вертикального взлета и посадки
US20080310962A1 (en) Air-Jet Propeller
RU2354841C2 (ru) Реактивная двига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WO2010050839A1 (ru)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вертикального взлета и посадки
RU2641399C1 (ru) Самоле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