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637A - 기지국 확장 블럭 단위로 확장하는 기지국의 장치 - Google Patents

기지국 확장 블럭 단위로 확장하는 기지국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637A
KR20070068637A KR1020050130477A KR20050130477A KR20070068637A KR 20070068637 A KR20070068637 A KR 20070068637A KR 1020050130477 A KR1020050130477 A KR 1020050130477A KR 20050130477 A KR20050130477 A KR 20050130477A KR 20070068637 A KR20070068637 A KR 20070068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unit
capacity
channel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석균
박정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0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8637A/ko
Publication of KR2007006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통부를 미리 정한 채널의 크기에 따른 용량으로 할당한 기지국 확장 블럭을 증설하여 기지국의 용량을 확장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 확장 블럭 단위로 확장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채널에 필요한 만큼의 용량으로 할당한 공통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확장 블럭, 및 상기 공통부를 포함하는 상기 기지국 확장 블럭을 연결하여 상기 기지국의 용량을 변화시키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 구조, 스택형 기지국, 기지국 증설

Description

기지국 확장 블럭 단위로 확장하는 기지국의 장치{APPARATUS FOR EXPANSION BLOCK IN B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반적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1FA 1Sector의 단위로 증설하는 기지국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FA 3Sector의 단위로 증설하는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FA 3Sector의 단위로 증설하는 기지국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1FA 1Sector의 단위로 증설하는 기지국의 에어 쿨링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및
도 3(b)는 3FA 3Sector의 단위로 증설하는 기지국의 에어 쿨링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지국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 확장 블럭 단위로 확장이 가능한 기지국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설계된 기지국의 구조와 다른 구조로 공통부를 채널 용량에 맞게 할당한 기지국 확장 블럭을 증설하여 기지국의 용량을 확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사업은 초기에는 1~2FA 정도의 소용량의 구조로 전개하다가 향후 가입자가 증가함에 따라 기지국 용량을 3~8FA로 증설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디지털 유닛(DU ; Digital Unit)(110), 및 알 에프 유닛(RFU ; Radio & Frequency Unit)(1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기지국(100)의 디지털 유닛(110)은 공통부(112), 채널부(114)로 구성되며, 상기 공통부(112)는 메인 프로세서, 트렁크 인터페이스(trunk interface)부, 알람 처리부, GPS 처리부 등이 존재하며, 대용량의 최대 용량(8FA)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다.
공통부(112)의 GPS 처리부는 코드 분할 다중처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준시간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공통부(112)의 트렁크 인터페이스부는 기지국 내의 각각의 부를 접속하여 연 결하는 인터페이스로서 복조 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공통부(112)의 메인 프로세서는 기지국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른 연산기능을 수행하고, 기지국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한다.
디지털 유닛(110)의 채널부(114)는 송신 신호의 베이스 밴드 컨바이닝, 수신 신호의 우선 순위를 체크하고, 송/수신되는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처리한다.
기지국(100)의 알 에프 유닛(120)은 필터부(126), 트랜시버부(124), 및 앰프부(122)로 구성되며, 알 에프 유닛(120)의 트랜시버부(124)는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주파수 상향 변환하여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한다.
알 에프 유닛(120)의 앰프부(122)는 변조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전력을 규정 레벨까지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알 에프 유닛(120)의 필터부(126)는 기지국의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키는 전력증폭부(앰프부)(122)로부터 전력이 증폭된 송신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케이블(Cable)을 통하여, 인가받아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시에 발생하게 되는 점유 주파수 대역폭을 벗어나는 주파수 성분을 제거시키고, 점유 주파수 대역폭의 주파수 성분만 필터링 시킨다.
종래의 기지국 시스템(100)은 공통부(112)가 미리 최대 용량으로 설정되어 있어 초기 운용시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기지국은 초기 용량부터 대용량이 고려된 구조이며, 초기 요량부터 확장을 고려한 구조로 설치되어 있고, 공통부(112)를 별도로 포함하고 있어 소용량이든 대용량이든 무조건 최대의 용량으로 설정하여 전력 소모, 및 설치 가격이 비싸지는 요인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사업자 측면에서 가격과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고, 확장시마다 기존 용량을 확장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 확장 블럭 단위로 확장하는 기지국을 제공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통부를 채널에 필요한 용량에 따라 할당한 기지국 확장 블럭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을 이용한 기지국 확장 블럭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기지국 확장 블럭 단위로 확장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미리 정한 채널에 필요한 양만큼의 용량으로 할당한 공통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확장 블럭, 및 상기 공통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기지국 확장 블럭을 연결하여 상기 기지국의 용량을 변화시키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기지국 확장 블럭 단위로 확장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기지국 확장 블럭은 채널에 필요한 용량 만큼의 상 기 공통부를 포함하여 상기 채널관련 신호처리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유닛(DU ; Digital Unit), 및 라디오주파수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알 에프 유닛(RFU ; Radio & Frequency Unit)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백보드(Back board)는 다른 용어로 백플렌(Back Plane)이라고도 하며, 시스템의 본체 기판에 보조 기판들을 연결하기 위한 전기 및 기계적 장비로서, 백보드는 대개 보조 기판을 꽂기 위한 여러 개의 확장 슬롯 부분과 각종 주변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1FA 1Sector의 단위로 증설하는 기지국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a)를 참조하면, 앰프부(AMP)(202)는 상기 알 에프 유닛(RFU ; Radio & Frequency Unit)(206)에 포함되나, 본 발명에서 하나의 채널 전체를 사용하는 기지국(1FA 1Sector)의 설명을 위하여 각각 분류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백보드(Back board)를 장착함으로 발생하는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1FA 1Sector의 단위로 증설하는 기지국 즉, 하나의 채널 전체를 사용하는 기지국은 종래의 기지국에 장착된 백보드(Back Board)를 제거하고, 호 처리된 대용량의 신호를 채널 단위로 처리하는 디지털 유닛(DU ; Digital Unit)(204), 하나의 채널 전체의 변조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전력을 규정 레벨까지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앰프(AMP)(202), 디지털 유닛에서 처리된 각 섹터별 신호를 무선 처리할 수 있는 알 에프 유닛(RFU ; Radio & Frequency Unit)(206), 및 상기 공통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기지국 확장 블럭을 연결하여 상기 기지국의 용량을 변화시키는 인터페이스부(209)를 포함한 기직국 확장 블럭(200) 단위로 기지국의 증설이 필요하면 일렬로(200, 208) 쌓아서 증설한다.
상기 디지털 유닛(DU ; Digital Unit)(204)에 포함되는 공통부는 최대 용량으로 할당하는 기존의 방식 대신에 채널에 필요한 미리 정한 양만큼 할당하여, 종래의 기지국 설치시 발생하는 비용, 및 자원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기지국 확장 블럭의 디지털 유닛(DU ; Digital Unit), 알 에프 유닛(RFU ; Radio & Frequency Unit), 및 디지털 유닛과 알 에프 유닛을 포함하는 상기 기지국 확장 블럭간의 연결은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기지국의 용량을 변화 시킨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FA 3Sector의 단위로 증설하는 기지국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b)를 참조하면, 채널부와 채널에 따라 할당된 공통부를 포함하여 채널관련 신호처리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유닛(DU ; Digital Unit)(214), 및 1FA의 3개의 섹터를 관리하는 기지국의 구조로 각각의 변조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전력을 규정 레벨까지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앰프부(212), 및 필터부(218)를 포함한 알 에프 유닛(RFU ; Radio & Frequency Unit)을 포함한 기지국 확장 블럭(210) 일렬로 3단(210, 220. 222)으로 설치한 구조이다.
상기 알에프 유닛(RFU ; Radio & Frequency Unit)은 채널을 할당한 섹터(Sector)마다 관리하도록 각각의 섹터(Sector)에 해당하는 앰프부(AMP)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유닛(DU ; Digital Unit)(214)에 포함되는 공통부는 최대 용량으로 할당하는 기존의 방식 대신에 채널에 필요한 만큼 할당하여 종래의 기지국 설치시 발생하는 비용, 및 자원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종래의 기지국에 포함된 백보드(Back board) 대신 기지국 확장 블럭 마다 백보드(Back board)를 설치하고, 케이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증설하기 때문에 다른 기지국 확장 블럭에 포함된 공통부를 제외한 장치를 케이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여 각각의 기지국 확장 블럭 마다 각각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기지국의 용량을 확장하여 종래의 기지국보다 경제적이다.
1FA 3Sector의 기지국 확장 블럭을 3단으로 증설하는 3FA 3Sector의 기지국은 해당 기지국 확장 블럭 마다 백보드(Back board)가 존재하는 구조로 대용량으로 설계된 종래의 기지국보다 초기 설치시 경제적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FA 3Sector의 단위로 증설하는 기지국의 또 다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c)를 참조하면, 채널부와 채널에 따라 할당된 공통부를 포함하여 채널관련 신호처리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유닛(DU ; Digital Unit)(234), 1FA의 3개의 섹터를 관리하는 기지국의 구조로 각각의 변조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전력을 규정 레벨까지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앰프부(238), 및 필터부(232)를 포함한 알 에프 유닛(RFU ; Radio & Frequency Unit), 및 상기 공통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기지국 확장 블럭을 연결하여 상기 기지국의 용량을 변화시키는 인터페이스부(224)를 포함한 기지국 확장 블럭(230)을 일렬로 3단으로 설치한 구조이다.
상기 알에프 유닛(RFU ; Radio & Frequency Unit)은 채널의 할당한 섹터(Sector)마다 관리하도록 각각의 섹터(Sector)에 해당하는 앰프부(AMP)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유닛(DU ; Digital Unit)(234)에 포함되는 공통부는 최대 용량으로 할당하는 기존의 방식 대신에 채널에 필요한 미리 정한 양만큼 할당하여 종래의 기지국 설치시 발생하는 비용, 및 자원 문제를 해결한다.
기지국은 상기 도 2(b)와 같은 증설 구조의 다른 증설 방법으로 단수는 2단으로 나머지는 옆으로 쌓아서 2단 2열(230, 240, 242)로 증설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택 구조를 가지는 기지국의 에어 쿨링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의 내부에는 발열 량이 많은 디바이스들로 구성되어 있어, 외부 온도가 약 45℃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자체 쿨링(Cooling) 장치의 작동 불량으로 인하여 기지국 내부의 온도가 동작 온도 범위를 벗어나게 될 경우에, 각 디바이스들의 오동작을 유발시키거나 지속적으로 온도가 상승하여 화재 등과 같은 대형 장애 등으로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 설계에 있어서 쿨링(Cooling) 시스템의 문제는 상당히 중요하다. 트래픽양이 적을 시에 발열량을 감소시킨다면, 증폭기 슬립모드 시간대에는 쿨링 시스템(Cooling System)에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a)는 1FA 1Sector의 단위로 증설하는 기지국의 에어 쿨링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a)를 참조하면, 종래의 집중형 기지국은 백보드(Back board)에 장착된 쿨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하단부에서 상단부로의 쿨링 시스템을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은 기지국 확장 블럭 단위로 증설하기 때문에 각각의 기지국 확장 블럭 마다 에어 쿨링을 장착한 에어 쿨링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b)는 3FA 3Sector의 단위로 증설하는 기지국의 에어 쿨링의 구조를 도 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b)를 참조하면, 3FA 3Sector의 단위로 증설하는 기지국은 기지국 확장 블럭 마다 백보드(Back board)가 존재하므로, 기지국 확장 블럭 마다 쿨링 시스템을 설치하여, 디지털 유닛(DU ; Digital Unit)에서 발생하는 열과, 및 알에프 유닛(RFU ; Radio & Frequency Unit)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에어 쿨링 시스템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백보드(Back board)가 장착된 종래의 기지국의 구조에서 발생하는 초기 설치시 가격 문제, 및 자원 낭비의 문제를 백보드(Back board)를 제거한 구조로 초기 소용량의 형태의 설치시 가격, 및 저전력 소모의 효과와 대용량으로 증설이 가능한 구조로 소용량에서 대용량으로 추가 증설이 용이한 기지국의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6)

  1. 기지국 확장 블럭 단위로 확장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미리 정한 채널에 필요한 양만큼의 용량으로 할당한 공통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확장 블럭; 및
    상기 공통부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상기 기지국 확장 블럭을 연결하여 상기 기지국의 용량을 변화시키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채널은 상기 기지국 확장 블럭이 포함하는 상기 채널의 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확장 블럭은 상기 채널에 필요한 용량 만큼의 상기 공통부를 포함하여 상기 채널관련 신호처리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유닛(DU ; Digital Unit); 및
    라디오주파수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알 에프 유닛(RFU ; Radio & Frequency Unit)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확장 블럭의 상기 디지털 유닛(DU ; Digital Unit), 및 알 에프 유닛(RFU ; Radio & Frequency Unit)간의 연결은 상기 공통부가 지원하는 용량의 백보드, 또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부는 상기 기지국 내의 장치를 연결하여, 복조 된 데이터를 전달하는 트렁크 인터페이스부, 코드 분할 다중처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준시간을 제공하는 위성 신호 처리부, 상기 기지국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른 연산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을 관리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메인 프로세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확장 블럭은 쿨링 시스템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50130477A 2005-12-27 2005-12-27 기지국 확장 블럭 단위로 확장하는 기지국의 장치 KR20070068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477A KR20070068637A (ko) 2005-12-27 2005-12-27 기지국 확장 블럭 단위로 확장하는 기지국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477A KR20070068637A (ko) 2005-12-27 2005-12-27 기지국 확장 블럭 단위로 확장하는 기지국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637A true KR20070068637A (ko) 2007-07-02

Family

ID=3850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477A KR20070068637A (ko) 2005-12-27 2005-12-27 기지국 확장 블럭 단위로 확장하는 기지국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86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9780A1 (ko) * 2012-11-01 2014-05-08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신호 처리간 반송파 집적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KR101431594B1 (ko) * 2011-12-08 2014-08-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US9893848B2 (en) 2012-06-15 2018-02-13 Kt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carrier aggregation between digital units,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in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594B1 (ko) * 2011-12-08 2014-08-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US9893848B2 (en) 2012-06-15 2018-02-13 Kt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carrier aggregation between digital units,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in the same
WO2014069780A1 (ko) * 2012-11-01 2014-05-08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신호 처리간 반송파 집적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92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band wireless backhaul
US8768416B2 (en)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EP3361566A1 (en) Base station
JP5243615B2 (ja) デュアルモード基地局
GB2408430B (en)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s
KR19990016371A (ko) 고출력 증폭기와 광 안테나의 정합 시스템을 이용한 양방향성 옥외용 기지국
JP2005160092A (ja) 無線分散基地局
JP3220735B2 (ja) 無線基地局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7135620A (ja) 通信中継装置、通信中継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68637A (ko) 기지국 확장 블럭 단위로 확장하는 기지국의 장치
US20170054478A1 (en) Multi-sector antenna integrated radio unit
CN102217214A (zh) 中继通信方法及设备
KR102390642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 방법
JP2013229757A (ja) 周波数割り当て方法およびサーバ
JPWO2015166916A1 (ja) 無線回路
JP2006094446A (ja) 無線基地局装置
CN107612624B (zh) 通信中继装置、通信中继系统、方法以及记录介质
US201301361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and base station
KR101301303B1 (ko)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시스템 및 신호 처리 방법
JP2008078928A (ja) レピータ装置
US20240196388A1 (en)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EP3937398A1 (en) Communication nod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comprising same
KR102149420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KR102226254B1 (ko)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분산 안테나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KR101960494B1 (ko) 단일 rf 칩을 이용하여 비대칭 링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 및 운영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