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7492A - A nordic walking shoes - Google Patents

A nordic walking sho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7492A
KR20070067492A KR1020050128829A KR20050128829A KR20070067492A KR 20070067492 A KR20070067492 A KR 20070067492A KR 1020050128829 A KR1020050128829 A KR 1020050128829A KR 20050128829 A KR20050128829 A KR 20050128829A KR 20070067492 A KR20070067492 A KR 20070067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rubber band
nordic walking
elastic rubb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89324B1 (en
Inventor
우석 계
Original Assignee
우석 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 계 filed Critical 우석 계
Priority to KR1020050128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324B1/en
Publication of KR20070067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4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3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stance provided by the user, e.g. exercising one body part against a resistance provided by anothe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63B21/00043Exercising devices consisting of a pair of user interfaces connected by flexible elements, e.g. two handles connected by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Nordic walking shoes for exercise of an upper body part are provided to let a user to exercise the upper body part while walking by combining an upper body exercise tool such as an elastic rubber band and a handle unit, to the shoes and to separate the upper body exercise tool while running. The Nordic walking shoes(100) for exercise of an upper body part for enabling a user to walk or jog while wearing the shoes and to reinforce the physical strength of the upper body part at the same time comprise a shoe body(10) having a sole(12) attached at the bottom side; a handle unit(50) gripped by the user; and an elastic rubber band(40) having predetermined elastic force, wherein one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shoe body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handle unit.

Description

상체 운동 겸용 노르딕 워킹 슈즈 {A NORDIC WALKING SHOES}Upper body combined exercise Nordic walking shoes {A NORDIC WALKING SHOES}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에 탄성 고무줄을 체결시키는 방식을 도시하는 참고 사시도이다. 3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fastening elastic rubber bands to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에 탄성 고무줄을 체결시키는 방식을 도시하는 참고 사시도이다. 4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thod of fastening an elastic rubber band to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에 탄성 고무줄을 체결시키는 방식을 도시하는 참고 사시도이다. 5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thod of fastening an elastic rubber band to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에 탄성 고무줄을 체결시키는 방식을 도시하는 참고 사시도이다. 6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fastening elastic rubber bands to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에 탄성 고무줄을 체결시키는 방식을 도시하는 참고 사시도이다. 7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fastening an elastic rubber band to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를 이용하여 상ㆍ하체 운동을 하는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8 to 10 are reference diagram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upper and lower body exercise using the Nordic walking sho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

10: 신발 몸체 11: 깔창10: shoe body 11: insole

12: 밑창 13: 요홈12: Sole 13: groove

14: 수용공 15: 보조 부재14: receiving hole 15: auxiliary member

16: 연결고리 18: 연결 보조 부재16: link 18: connection auxiliary member

20a, 20b: 홀딩 부재 22: 체결공20a, 20b: holding member 22: fastening hole

24: 삽입홈 30: ∩ 자형 연결 부재24: Insertion groove 30: Female connection member

32: ∩ 자형 연결 부재의 말단부 34: 탄성 체결 부재32: distal end of the N-shaped connecting member 34: elastic fastening member

40: 탄성 고무줄 42: 슬라이딩 부재40: elastic rubber band 42: sliding member

44: 회전볼 50: 손잡이부44: rotating ball 50: handle portion

52: 돌기 54: 가이드홈52: protrusion 54: guide groove

본 발명은 상체 운동을 겸할 수 있는 노르딕 워킹 슈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고 걸으면서 유산소 운동을 함과 동시에, 걸으면서 신발의 일측에 부착된 탄성 고무줄의 말단에 구비된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당기거나 전후좌우로 움직여서 상체 근력 강화를 위한 무산소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노르딕 워킹 슈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rdic walking shoe that can also function as an upper body, and more specifically, aerobic exercise while walking while wearing, while holding the handle portion provided at the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hoe while walking Nordic walking shoes that can be combined with anoxic exercises to strengthen upper body strength by pulling or moving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교통수단 등과 같은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식습관의 서구화 등으로 말미암아, 현대인들은 운동부족 및 과도한 영양섭취로 인한 비만 등 신체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transportation and westernization of eating habits, modern people are living with various physical problems such as obesity due to lack of exercise and excessive nutrition.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건강을 위하여 걷거나 조깅 등의 운동을 많이 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걷거나 조깅을 함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가벼운 운동용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그 결과, 현재 하체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의 조깅용 운동화가 개발되어 보급되어 있다. Recently, a lot of people are walking or jogging for a lot of health for the trend, especially walking or jogging to wear a relatively light athletic shoes has become common. As a result, a variety of jogging sneakers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distributed to maximize the effect of lower body exercise.

그러나, 종래의 운동용 신발의 경우에는 운동자의 다리 관절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재를 구비시키거나 발바닥에 지속적인 지압이 가해질 수 있도록 신발 내부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등 신발 자체의 구조를 변경시킴으로써 착용감을 좋게 하거나 피로감을 저감시켜 하체의 운동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방식이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athletic shoe, the cushion itself is provided with a cushioning material to prevent an excessive impact on the leg joint of the athlete's leg, or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side the shoe so that a constant pressure can be applied to the sole of the shoe. By changing the structure, it was a way to improve the fit of the lower body by improving the fit or fatigue.

최근들어, 마라톤, 조깅 등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공원 등에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운동용 신발을 착용하고 운동하는 많은 사람들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조깅 등의 운동은 걷거나 뛰는 등 단순한 유산소운동일 뿐만 아니라 걷거나 뛰는 단조로운 운동 패턴으로 말미암아 조기에 싫증을 유발시켜 오랜 시간 동안 운동을 지속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신발을 착용하고 걷거나 뛰면서 하체 운동(유산소 운동)을 함과 동시에 상체의 근력강화 운동(무산소 운동)까지도 병행하여 함께 할 수 있는 노르딕 워킹 슈즈를 개발하기에 이르른 것이다. In recent years, as marathon, jogging, etc. are widely spread, many people who exercise with wearing the conventional athletic shoes as described above can be seen in close proximity. However, exercise such as jogging is not only an aerobic exercise such as walking or running, but also has a limit of being unable to continue the exercise for a long time by causing tiredness early due to the monotonous exercise pattern of walking or running.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limitations,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Nordic walking shoe that can simultaneously perform lower body exercise (aerobic exercise) and muscle strength strengthening exercise (anaerobic exercise) of the upper body while walking or running with shoes. It came to: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신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신발을 신고 걸으면서 유산소 운동을 함과 동시에, 신발의 일측에 부착된 탄성 고무줄을 이용하여 상체의 근력 강화를 위한 무산소 운동을 함께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이어트 효과와 함께 근력 강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노르딕 워킹 슈즈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shoe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erobic exercise while walking in the shoes, while at the same time using the elastic rubbe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hoe for strengthening the upper body strength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rdic walking shoes that can be obtained at the same time as a diet effect and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by configuring to perform anoxic exercis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걷기, 조깅 등 운동자가 단조롭고 지겹게 느낄 수 있는 운동 패턴에 다양한 상체 운동 패턴을 접목 내지 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자가 새로운 흥미를 가지고 오랜시간 동안 꾸준히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athlete to exercise steadily for a long time with a new interest by allowing to apply or apply a variety of upper body exercise pattern to the exercise pattern that the exerciser can feel monotonous and tired, such as walking, jogging, etc. .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체 운동용 탄성 고무줄 및 손잡이부 등 상체 운동 기구를 간단한 조작에 의해 신발에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동자가 상체 운동 기구를 신발에 결합하여 걸으면서 상체 운동을 할 수 있는 한편, 빠른 속도로 달릴 경우에는 상체 운동 기구를 신발로부터 간단히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shoe by the simple operation of the upper body exercise device, such as elastic elastic band and handle for upper body exercisers can combine the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to the shoe and exercise the upper body On the other hand, when running at a high speed to simply release the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from the sho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동자가 착용한 상태로 걷기 또는 조깅 등과 같은 하체 운동을 함과 동시에, 상체의 근력 강화 운동도 병행하여 할 수 있는 노르딕 워킹 슈즈에 있어서, 하측면에 밑창이 부착되어 있는 신발 몸체, 운동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및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일단이 상기 신발 몸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는 탄성 고무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르딕 워킹 슈즈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Nordic walking shoes that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body exercise, such as walking or jogging in the state worn by the exerciser, the upper body strength exercise, the sole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hoe body, a handle portion which can be easily gripped by the athlete, and an elastic rubber band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shoe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Offer Nordic walking sho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에는 호의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고무줄이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Preferably,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rc, the sliding member connected to the elastic rubber band is slidably coupled along the guide groove.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More preferably, at least one rotating body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sliding member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신발 몸체의 밑창에 서로 대응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홀딩 부재, 및 양쪽 말단부가 상기 홀딩 부재에 원터치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체결되고, 중앙 상단에 체결구가 형성된 ∩ 자형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고무줄의 일단이 상기 ∩ 자형 연결 부재의 체결구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holding members fixed to the sole of the shoe body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both ends are detachably fastened to the holding member in a one-touch manner, the fastener is formed on the center top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U-shaped connecting member, and to configure one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to be connected to the fastener of the U-shaped connecting member.

바람직하게는, 상기 ∩ 자형 연결 부재의 양쪽 말단부에는 스프링이 내장된 탄성 체결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홀딩 부재에는 상측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게 외측 방향으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 자형 연결 부재의 말단부가 상기 홀딩 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 체결 부재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상기 체결공에 체결된다. Preferably, both ends of the U-shaped connecting member are provided with an elastic fastening member having a spring built therein, and the holding member has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an upward direction and a fastening hole formed in an outer direc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groove. Therefore, when the distal end of the U-shaped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holding member, the elastic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by the action of a spring.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딩 부재에 형성된 삽입홈은 상기 ∩ 자형 연결 부재가 홀딩 부재에 체결된 후 상기 탄성 체결 부재를 중심으로 신발 몸체의 전후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More preferably,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holding member is formed to be rotatable back and forth of the shoe body around the elastic fastening member after the U-shaped connect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holding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탄성 고무줄의 일단 말단부에는 회전볼이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신발 몸체의 상측면에는 상기 회전볼을 수용가능한 회전볼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볼이 상기 회전볼 수용공에 내삽되어 탄성 고무줄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is provided with a rotary ball at the end, the upper side of the shoe body is formed with a rotary ball receiving hole to accommodate the rotary ball, the rotary ball is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ball receiving hole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direction of pulling the elastic rubber ban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신발 몸체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보조 깔창을 부착하고, 그 보조 깔창의 일측에 상기 탄성 고무줄의 일단을 연결시킨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insole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ho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elastic elastic cor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inso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신발 몸체의 상측에 연결 고리를 구비시키고, 그 연결 고리에 상기 탄성 고무줄의 일단을 연결시킨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ring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oe body, and one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r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의하면, 상기 신발 몸체의 밑창에 신발 너비 방향으로 요홈을 형성하고, 그 요홈에 원형으로 매듭을 만든 상기 탄성 고무줄의 일단을 삽입하여 연결시킨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is formed in the sole of the shoe bod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and one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made of a knot in a circular shape is connected to the gro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신발 몸체의 밑창의 일측에 연결 보조 부재를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그 연결 보조 부재에 상기 탄성 고무줄의 일단을 연결시킨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and fixing a connection auxiliary member on one side of the sole of the shoe body, and connects one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to the connection auxiliary memb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었고,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할 수 있는 공지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노르딕 워킹 슈즈에 관한 것으로서, 운동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걷기 또는 조깅 등과 같은 하체 운동을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걷기 또는 조깅시에 신발의 일측에 연결된 탄성 고무줄을 당겼다 놓는 운동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체의 근력 강화 운동도 병행하여 함께 할 수 있는 노르딕 워킹 슈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100)는 종래의 일반적인 운동용 신발로서 그 하측면에 밑창이 부착되어 있는 신발 몸체(10), 운동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50) 및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일단이 상기 신발 몸체(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50)에 연결되는 탄성 고무줄(40)로 구성된다. 여기서, 탄성 고무줄(40)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모든 종류의 탄성 부재를 총칭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100)에 있어서 탄성 고무줄(40)을 신발 몸체(10)에 연결시키는 방식은 탄성 고무줄(40)을 신발 몸체(10) 일측에 직접 연결시키거나 또는 보조 부재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연결시키는 모든 방식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연결 방식을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rdic walking shoe, which allows an athlete to perform lower body exercise such as walking or jogging while wearing shoes, and pulls and releases an elastic rubber b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hoe during walking or jogging. By allowing the exercise to be repeated, the Nordic walking shoes can be combined with the upper body strength exercise. Nordic walking shoe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tional general sports shoes, the shoe body 10 is attached to the sole on its lower side, the handle portion 50 that the athlete can easily grip and predetermined elastic force It has an elastic rubber band 40 having one end connec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shoe body 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50. Here, it is obvious that the elastic rubber band 40 should be interpreted as a broad concept that collectively refers to all kinds of elastic members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On the other hand, in the Nordic walking sho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elastic rubber band 40 to the shoe body 1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lastic rubber band 40 to one side of the shoe body 10 or an auxiliary memb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broad concept that includes all the ways of indirectly connecting using. However, hereinafter, the specific conne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를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도1 및 도2는 홀딩 부재(20a, 20b)와 ∩ 자형 연결 부재(30)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연결시키는 방식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100)는 신발 몸체(10)의 밑창(12)에 서로 대응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홀딩 부재(20a,20b) 및 양쪽 말단부(32)가 상기 홀딩 부재(20a, 20b)에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중앙 상단에 체결구가 형성된 ∩ 자형 연결 부재(3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홀딩 부재(20a, 20b)에는 상측 방향으로 삽입홈(24)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삽입홈(24)과 연통되게 외측 방향으로 체결공(22)이 형성된다. 상기 ∩ 자형 연결 부재(30)의 양쪽 말단부(32)에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내장된 탄성 체결 부재(34)가 구비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 자형 연결 부재(30)를 홀딩 부재(20a, 20b)에 착탈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 자형 연결 부재(30)를 홀딩 부재(20a, 20b)에 체결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 자형 연결 부재(30)의 양쪽 말단부(32)를 상기 홀딩 부재(20a, 20b)의 삽입홈(24)에 삽입시키면 상기 탄성 체결 부재(34)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체결공(22)을 관통하여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 결과, 탄성 체결 부재(34)가 체결공(22)에 맞물려 체결되어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와 반대로, ∩ 자형 연결 부재(30)를 홀딩 부재(20a, 20b)로부터 체결해제시킴에 있어서는 단지 상기 탄성 체결 부재(34)를 내측 방향으로 누른 후, ∩ 자형 연결 부재(30)의 말단부(32)를 홀딩 부재(20a, 20b)의 삽입홈(24)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분리시켜 장착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걸으면서 상체 운동을 병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 자형 연결 부재(30)를 홀딩 부재 (20a, 20b)에 장착하여 운동하는 한편, 경우에 따라 ∩ 자형 연결 부재(30)를 해제시킨 후 빠른 속도로 달리는 등의 운동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 1 and 2, FIGS. 1 and 2 are indirectly connected by using the holding members 20a and 20b and the U-shaped connecting member 30. As shown in FIG. 1, the Nordic walking sho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holding members 20a and 20b fixed to each other on the sole 12 of the shoe body 10. And both end portions 32 are detachably fastened to the holding members 20a and 20b in a one-touch manner, and further include a U-shaped connecting member 30 having a fastener formed at a central upper end thereof. Inserting grooves 24 are formed in the holding members 20a and 20b in the upward direction, and fastening holes 22 are formed in the outward direc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grooves 24. Both end portions 32 of the U-shaped connecting member 30 are provided with an elastic fastening member 34 having a spring (not shown). Hereinafter, a process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U-shaped connecting member 3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o the holding members 20a and 20b will be described. First, in fastening the pin-shaped connecting member 30 to the holding members 20a and 20b, both end portions 32 of the pin-shaped connecting member 30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ng grooves of the holding members 20a and 20b. When inserted into the 24, the elastic fastening member 34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fastening hole 22 by the action of the spring. As a result, the elastic fastening member 34 is engaged with the fastening hole 22 to be firmly supported. On the contrary, in releasing the U-shaped connecting member 30 from the holding members 20a and 20b, only the elastic fastening member 34 is pressed inward, and then the distal end 32 of the U-shaped connecting member 30 is pressed. ) Can be dismounted upward from the insertion groove 24 of the holding members 20a and 20b. Therefore, in the case where the upper body movement is to be performed while walking, the jaw-shaped connecting member 30 is attached to the holding members 20a and 20b by simple operation, and the jaw-shaped connecting member 30 is released in some cases. After doing this, you can selectively exercise, such as running at high speed.

이 경우, 상기 홀딩 부재(20a, 20b)에 형성된 삽입홈(24)은 ∩ 자형 연결 부재(30)가 홀딩 부재(20a, 20b)에 체결된 후, 상기 탄성 체결 부재(34)를 중심으로 신발 몸체의 전후로 소정의 회전 반경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운동자가 본 발명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를 신고 걸으면서 상체 운동을 함에 있어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체(특히, 손)의 움직임에 따라 ∩ 자형 연결 부재(30)가 유연하게 전후로 회동가능해야만, 보행이 불편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다 자연스럽게 보행중 상체 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In this case, the insertion groove 24 formed in the holding members 20a and 20b has a shoe-shaped connecting member 30 fastened to the holding members 20a and 20b, and then the shoe about the elastic fastening member 34. It is preferable to form long so as to be rotatable with a predetermined radius of rotation before and after the body. This is because when the exerciser wears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oves the upper body, as shown in FIG. 2, the U-shaped connecting member 30 can be flexibly rotated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pper body (particularly, the hand). This is because the walking is not only inconvenient but also the upper body exercise is possible while walking more naturally.

도1을 참조하면, 신발에 연결된 탄성 고무줄(40)의 타단에는 손잡이부(50)가 연결된다. 이 경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고무줄(40)의 타단에 슬라이딩 부재(42)를 연결시키고, 그 슬라이딩 부재(42)의 삽통부(44)를 손잡이부(5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홈(5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다. 그 결과, 운동자가 손잡이부(50)를 파지한 상태에서 걸으면서 상체 운동을 할 경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부재(42)가 손의 움직임에 의해 자연스럽게 가이드홈(54)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손목이 꺽이는 등의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운동자가 보다 다양한 포즈를 자유자재로 취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부재(42)가 보다 유연하고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부재(42)의 삽통부(44)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46)를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부재(42)가 상기 가이드홈(54)의 일측면과 접하여 자연스럽게 슬라이딩되어 이동가능하게 한다. 손잡이부(50)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돌기(52)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는 운동자가 손잡이부(50)를 파지할 경우, 손바닥을 지속적으로 지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가락이 일정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1, the handle 5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40 connected to the sho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 the sliding member 4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40, and the insertion part 44 of the sliding member 42 i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andle part 50. As shown in FIG. Slidably coupled to the formed guide groove (54). As a result, when the athlete walks in the state holding the handle 50, the upper body movement, as shown in Figure 2, the sliding member 42 is naturally along the guide groove 54 by the movement of the hand. Sliding, not only to prevent discomfort such as bending wrists, but also allows the athlete to take more various poses. Preferably, the sliding member 42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rotating body 46 in the insertion portion 44 of the sliding member 42 so that the sliding member 42 can be slid more flexibly and naturally. It come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54 to naturally slide and move. On the inner side of the handle portion 50, a plurality of protrusions 52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hen the exerciser grips the handle part 50, it not only obtains the effect of continuously acupressure the palm, but also serves to guide the finger to b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에 탄성 고무줄을 체결시키는 방식을 도시하는 참고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고무줄(40)의 일단 말단부에 회전볼(44)이 구비된다. 한편, 신발 몸체(10)의 일측면에는 경질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보조 부재(15)가 부착되고, 그 보조 부재(15)의 상측면에는 상기 회전볼(44)이 수용되어 체결될 수 있는 회전볼 수용공(14)이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 고무줄(40)의 말단부에 구비된 회전볼(44)을 상기 회전볼 수용공(14)에 내삽되도록 체결시킴으로써 운동시 탄성 고무줄(40)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회전볼(44)이 회전하고 그 결과 탄성 고무줄(40)의 말단부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3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fastening elastic rubber bands to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rotary ball 44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40. 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shoe body 10 is attached to the auxiliary member 15 made of a hard plastic, etc., the upper side of the auxiliary member 15 is a rotary ball that can be received and fastened to the rotating ball 44 The receiving hole 14 is formed. Therefore, the rotary ball 44 is rotated as the elastic rubber band 40 is pulled during the movement by fastening the rotary ball 44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40 to be inserted into the rotary ball receiving hole 14. As a result, the end portion of the elastic rubber band 40 is directed in the pulling direction.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에 탄성 고무줄을 체결시키는 방식을 도시하는 참고 사시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위킹 슈즈의 경우에는 신발 몸체(10)의 내부에 신발의 앞뒤 길이 방향으로 보조 깔창(11)이 부착된다. 따라서, 운동자는 신발 몸체(10)에 미리 내장되어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상기 보조 깔창(11)의 일측에 탄성 고무줄의 일단을 탈착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thod of fastening an elastic rubber band to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n the case of a Nordic wicking sho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insole 11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hoe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e. Therefore, the exerciser can be conveniently used by detaching one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insole 11 that is previously embedded in the shoe body 10 and exposed to the outside.

도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에 탄성 고무줄을 체결 시키는 방식을 도시하는 참고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의 경우에는 신발 몸체(10)의 상측에 연결 고리(16)가 구비된다. 그 결과, 운동자는 상기 연결 고리(16)에 탄성 고무줄의 일단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5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fastening an elastic rubber band to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5, in the case of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ring 16 on the upper side of the shoe body (10). As a result, the exerciser can easily detach one end of the elastic band to the connecting ring (16).

도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에 탄성 고무줄을 체결시키는 방식을 도시하는 참고 사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의 경우에는 신발 몸체(10)의 밑창(12)에 신발 너비 방향으로 요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13)에 탄성 고무줄(40)을 연결시킴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무줄(40)의 일단을 원형으로 매듭을 만든 다음 상기 요홈(13)에 삽입하여 연결한다. 6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fastening elastic rubber bands to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6, in the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ss 13 is formed in the shoe width direction of the sole 12 of the shoe body 10. In connecting the elastic rubber band 40 to the groove 13, one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40 is knott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n inserted into the groove 13 to connect.

도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에 탄성 고무줄을 체결시키는 방식을 도시하는 참고 사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의 경우에는 신발 몸체(10)의 일측에 별도의 연결 보조 부재(18)를 부착하여 고정시킨 다음, 그 연결 보조 부재(18)에 탄성 고무줄(40)의 일단을 연결시키는 방식이다. 7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fastening an elastic rubber band to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7, in the case of a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and fixing a separate connection auxiliary member 18 on one side of the shoe body 10, the connection auxiliary member 18 )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40).

도8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를 이용하여 상ㆍ하체 운동을 하는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8 내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를 신고 걸으면도 다양한 패턴의 상체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걷지 않고 서 있는 상태에서도 자유자재로 상체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르딕 워킹 슈즈를 신 고 걷거나 서 있는 상태에서 특히 상체의 복근 운동 등을 집중적으로 할 수 있는 바, 유산소 운동에 의한 다이어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8 to 10 are reference diagram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upper and lower body exercise using the Nordic walking sho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o 10, not only the upper body movement of various patterns can be performed even when wearing the Nordic walking sho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the upper body movement can be freely performed even when standing without walking. . As such, in particular, the upper body abs can be intensively exercised in walking or standing state wearing nordic walking sho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obtaining a diet effect by aerobic exercis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예컨대,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도면에 도시한 노르딕 워킹 슈즈의 구성 등을 변형 내지 수정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본 발명은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단지 제한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by those who have Thus, for exampl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or the like of the construction of the Nordic walking shoes shown in the drawing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that follow.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노르딕 워킹 슈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Nordic walking sho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신발을 신고 걸으면서 유산소 운동을 함과 동시에, 신발의 일측에 부착된 탄성 고무줄을 이용하여 상체의 근력 강화를 위한 무산소 운동을 함께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유산소 운동에 의한 다이어트 효과와 함께 무산소 운동에 의한 근력 강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rst, while doing aerobic exercise while walking in the shoe, using the elastic rubbe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hoe has an effect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anaerobic exercise for strengthening the strength of the upper body.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t the same time obtain a diet effect by aerobic exercise and the muscle strengthening effect by an anaerobic exercise.

둘째, 걷기, 조깅 등 운동자가 다소 단조롭고 지겹게 느낄 수 있는 운동 패턴에 다양한 상체 운동 패턴을 접목 내지 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자가 새 로운 흥미를 가지고 오랜시간 동안 꾸준히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Second, by allowing the athlete to apply various upper body exercise patterns to the exercise pattern, such as walking and jogging, which can feel somewhat monotonous and boring,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the athlete to exercise steadily for a long time with new interest.

세째,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체 운동용 탄성 고무줄 및 손잡이부 등 상체 운동 기구를 신발에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운동자가 선택적으로 상체 운동 기구를 신발에 결합하여 걸으면서 상체 운동을 할 수 있는 한편, 빠른 속도로 달릴 경우에는 상체 운동 기구를 신발로부터 간단히 해제시킬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Third, the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such as elastic elastic band and handle for upper body exercise can be detached to the shoe by a simple operation so that the athlete can selectively exercise the upper body exercise by combining the upper body exercise device with the shoe, When running at speed, there is the convenience of simply releasing the upper body exercise equipment from the shoe.

Claims (11)

운동자가 착용한 상태로 걷기 또는 조깅 등과 같은 하체 운동을 함과 동시에, 상체의 근력 강화 운동도 병행하여 할 수 있는 상체운동 겸용 노르딕 워킹 슈즈에 있어서, In the upper body combined exercise Nordic walking shoes which can perform a lower body exercise, such as walking or jogging while wearing the exerciser, and at the same time can also strengthen the strength of the upper body, 하측면에 밑창이 부착되어 있는 신발 몸체;A shoe body having a sole attached to the lower side thereof; 운동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 및Handle portion that can be easily gripped by the athlete; And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며 일단이 상기 신발 몸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는 탄성 고무줄;An elastic rubber band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shoe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handle part;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르딕 워킹 슈즈. Nordic walking shoes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호의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고무줄이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르딕 워킹 슈즈. The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part has a guide groove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rc, and a sliding member to which the elastic rubber band is connected is slidably coupled along the guide groov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체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르딕 워킹 슈즈. The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rotating body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sliding member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몸체의 밑창에 서로 대응되게 고정되는 한 쌍의 홀딩 부재, 및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holding members fixed to the sole of the shoe body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양쪽 말단부가 상기 홀딩 부재에 원터치 방식으로 탈착가능하게 체결되고, 중앙 상단에 체결구가 형성된 ∩ 자형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Both end portions are detachably fastened to the holding member in a one-touch manner, further comprising a ∩-shaped connecting member having a fastener formed at a central upper end thereof. 상기 탄성 고무줄의 일단이 상기 ∩ 자형 연결 부재의 체결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르딕 워킹 슈즈. Nordic walking shoe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is connected to the fastener of the U-shaped connecting memb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 자형 연결 부재의 양쪽 말단부에는 스프링이 내장된 탄성 체결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홀딩 부재에는 상측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게 외측 방향으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 자형 연결 부재의 말단부가 상기 홀딩 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 체결 부재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르딕 워킹 슈즈. According to claim 4, Both ends of the U-shaped connec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pring-loaded elastic fastening member, the holding member is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 the upper direction and the fastening hole in the outward direc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end portion of the U-shaped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holding member, and the elastic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by the action of a spr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에 형성된 삽입홈은 상기 ∩ 자형 연결 부재가 홀딩 부재에 체결된 후 상기 탄성 체결 부재를 중심으로 신발 몸체의 전후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르딕 워킹 슈즈. 6. The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holding member is formed to be rotatable back and forth around the shoe body around the elastic fastening member after the pin-shaped connect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holding member.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고무줄의 일단 말단부에는 회전볼이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신발 몸체의 상측면에는 상기 회전볼을 수용가능한 회전볼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볼이 상기 회전볼 수용공에 내삽되어 탄성 고무줄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르딕 워킹 슈즈.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is provided with a rotary ball at the end, the upper side of the shoe body is formed with a rotary ball receiving hole for accommodating the rotary ball, the rotary ball is the rotary ball receiving hole Nordic walking shoe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rubber band is inserted 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몸체와 밑창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보조 깔창을 부착하고, 그 보조 깔창의 일측에 상기 탄성 고무줄의 일단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르딕 워킹 슈즈. The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uxiliary insole is attached between the shoe body and the s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elastic elastic cor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auxiliary inso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몸체의 상측에 연결 고리를 구비시키고, 그 연결 고리에 상기 탄성 고무줄의 일단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르딕 워킹 슈즈. The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ring at an upper side of the shoe body, and connecting one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to the connecting 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몸체의 밑창에 신발 너비 방향으로 요홈을 형 성하고, 그 요홈에 원형으로 매듭을 만든 상기 탄성 고무줄의 일단을 삽입하여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르딕 워킹 슈즈. The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roove is formed in the sole of the shoe body in the shoe width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having a circular kno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몸체의 밑창의 일측에 연결 보조 부재를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그 연결 보조 부재에 상기 탄성 고무줄의 일단을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르딕 워킹 슈즈. The Nordic walking sho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nection auxiliary member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ole of the shoe body and fixed thereto, and one end of the elastic rubber b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auxiliary member.
KR1020050128829A 2005-12-23 2005-12-23 A nordic walking shoes KR1007893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829A KR100789324B1 (en) 2005-12-23 2005-12-23 A nordic walking sho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829A KR100789324B1 (en) 2005-12-23 2005-12-23 A nordic walking shoe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217U Division KR200410263Y1 (en) 2005-12-23 2005-12-23 A nordic walking sho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492A true KR20070067492A (en) 2007-06-28
KR100789324B1 KR100789324B1 (en) 2008-01-16

Family

ID=38366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829A KR100789324B1 (en) 2005-12-23 2005-12-23 A nordic walking sho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32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078B1 (en) 2019-09-23 2020-12-16 정민호 Assist device for upper and lower exercise use sho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7740Y2 (en) 1977-12-06 1981-09-03
EP0606507B1 (en) 1991-08-19 2001-03-28 William T. Wilkinson Exercise device
JPH1057432A (en) 1996-08-22 1998-03-03 Yoshiaki Ichikawa Function recovery exercise instrument
JP3036979U (en) * 1996-10-17 1997-05-06 株式会社モルテン Training equipment using rubber tub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078B1 (en) 2019-09-23 2020-12-16 정민호 Assist device for upper and lower exercise use sho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324B1 (en) 200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513204A (en) Exercise foot harness
AU2016203926B2 (en) Improvements in sports performance enhancement systems
US20090049713A1 (en) Functional footwear
KR100789324B1 (en) A nordic walking shoes
KR200410263Y1 (en) A nordic walking shoes
US20090094859A1 (en) functional footwear
JP7480465B2 (en) Walking training equipment
JP5806427B1 (en) Insole for improving athletic performance and athletic shoes using it
KR200341150Y1 (en) Health shoes
CN207202253U (en) A kind of shoes
WO2016037879A1 (en) Size-adjustable sensor shoes
JP3111466U (en) Boots
KR200329570Y1 (en) Knee Joint Exercise Band
WO2002030228A3 (en) Improved shoe and last
JP3108642U (en) shoes
JP2000296003A (en) Shoes with toe exercise tool
CN103610235B (en) Yuga foot cover
JP7319503B2 (en) footwear
JP2006230802A (en) Footwear
KR100933356B1 (en) Leg massage stockings
WO2020013311A1 (en) Insole and shoe equipped with same
KR200261695Y1 (en) Auxiliary equipment of slide exerciser for leg exercises
KR100575138B1 (en) A well-being shoes
KR200325234Y1 (en) glove type Hand-Grip
JP3083858U (en) Health balance foo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