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7452A -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와 이를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와 이를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7452A
KR20070067452A KR1020050128770A KR20050128770A KR20070067452A KR 20070067452 A KR20070067452 A KR 20070067452A KR 1020050128770 A KR1020050128770 A KR 1020050128770A KR 20050128770 A KR20050128770 A KR 20050128770A KR 20070067452 A KR20070067452 A KR 20070067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ile
additional information
information
imag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우
박관형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원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우 filed Critical 원종우
Priority to KR1020050128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7452A/ko
Publication of KR20070067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파일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미지 파일의 헤더와 파일 포맷 규약상의 기록가능 영역에 이용자의 필요에 따른 부가정보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며, 삽입된 부가정보에 따라 웹브라우저와 이미지보기 프로그램 상에서 이미지에 특정한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은, 제작자로부터의 부가정보 삽입요청에 따라 부가정보를 삽입하고자하는 소스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부가정보의 입력을 위한 부가정보 입력 포맷을 제공하여 제작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부가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 상기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목적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미지 파일, JPG, GIF, PNG, 헤더, 부가정보 삽입, 광고, 헤더 편집기, 플러그 인

Description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위한 기록매체{MEHT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A ADDITIONAL INFORMATION IN IMAGE FILE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부가정보 삽입과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부가정보 삽입을 위한 화면 예를 나타낸 도.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부가정보 기입항목과 기입 규약을 나타낸 표.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소스 이미지 파일 및 목적 이미지 파일에 대한 개념적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파일에 삽입된 부가정보의 기능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동작 흐름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서의 부가정보에 따른 기능 구현 예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부가정보 삽입 서버의 상세 구성도.
도 12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가정보의 삽입과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작자 컴퓨터 110,1210 : 이미지 헤더 편집기
111,1211 : 데이터 입력 처리부 112,1212 : 부가정보 삽입부
113,1213 : 저장 처리부 114,1214 : 전송 처리부
120 : 저장장치 200,1400 : 인터넷
121,1221 : 소스 이미지 파일 저장부 300 : 웹 서버
122,1222 : 목적 이미지 파일 저장부 400 : 사용자 컴퓨터
123,1223 : 부가정보 입력 포맷 저장부 410 : 기록영역 검색부
420 : 부가정보 기능 구현부 1200 : 부가정보 삽입 서버
1100 : 이미지 파일 제작자 컴퓨터 1220 : 데이터베이스
1300 : 클라이언트 컴퓨터
본 발명은 이미지 파일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미지 파일의 헤더나 파일 포맷 규약 상 허용되는 빈 영역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각종 부가정보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플러그 인을 통해 활용 하거나 해당 부가정보에 따른 부가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에서 활용되는 JPG, GIF, PNG 등의 각종 이미지 파일들은 이미지 내용을 저장 출력하는 것 외에는 아무런 기능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이미지 제작자가 필요로 하는 부가적인 정보를 결합하거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파일 자체를 다루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이미지 파일이 게시되는 웹문서에 필요한 정보를 병기하는 방법밖에 없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초기에 게시된 위치를 벗어나 이미지가 다른 곳으로 복제, 배포, 전송될 경우 이미지 파일에 부여된 초기의 맥락과 기능, 설명은 상실된 채 이미지 파일 자체만이 이동됨으로서 제작자의 의도와 다르게 또는 제작자의 의도를 무시하고 이용되거나 이미지의 활용성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았다.
일 예로, 대표적인 웹 사이트 기반 광고인 배너 광고의 경우, 화면의 상단 혹은 하단 등 특정위치에 박스 형태로 제공되어, 만화, 사진 등 웹페이지의 핵심내용 이미지가 다른 곳으로 복제될 경우, 해당 배너 광고는 복제되지 못하고 이미지 파일만 복제된다.
또한, 이러한 배너 광고는 정해진 특정 기간 동안만 일정수의 노출횟수만을 보장하게 된다.
따라서 광고주가 의도하는 비용대비 최대의 광고 효과를 얻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외 디지털 카메라 촬영 이미지들의 경우 사진 이미지 파일 헤더에 촬영조 건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여 이후 인화 혹은 이미지 보정 과정에서 참고하는 경우가 있으나 그 외의 활용성은 없고, acdsee 등 이미지 뷰어와 컴퓨터 쉘 프로그램들이 파일에 대한 주석을 붙이는 경우가 있으나 이 역시 헤더 정보의 직접적인 편집이 아닌 프로그램 자체 DB에 기록하고 관리의 편의를 기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지 파일의 헤더나 파일 포맷 규약 상 허용되는 빈 영역에 이미지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기존 브라우저 및 이미지 보기프로그램과 호환성을 유지하는 조건에서 각종 부가정보를 기록하여두고 이를 활용하거나 해당 부가정보에 따른 부가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이미지 파일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지 파일의 헤더나 파일 포맷 규약 상 허용되는 빈 영역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각종 부가정보를 삽입함으로서 이미지의 복제나 전송, 이미지의 편집과 재저장에도 이미지 파일에 삽입된 부가정보가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이미지 파일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파일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방법은, 제작자로부터의 소스 이미지 파일에 대한 각종 설명 및 기능확장을 위한 정보인 부가정보 삽입요청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를 삽입하고자하는 소스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부가정보의 입력을 위한 부가정보 입력 포맷을 제공하여 제작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부가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 상기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목적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목적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미지 파일은 JPG, GIF, PNG 등의 각종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의 헤더 영역 또는 소스 이미지 파일의 파일 포맷 규약 상 허용되는 빈 영역에 삽입되고, 상기 부가정보는 이미지의 저작권자 및 판권자 표시 정보, 이미지 포맷 및 제작 관련 정보, 이미지 검색에 대응하기 위한 키워드 정보, 이미지에 의해 인터넷 주소정보를 삽입하는 이미지 맵 태그정보, 이미지의 특정위치에 이미지 설명문을 생성하는 이미지 설명문 정보, 콘텐츠의 보안 및 관리를 위한 DRM 기능과 연결하기 위한 확장규격, 콘텐츠의 유통관리를 위한 문화콘텐츠 식별체계(COI : Content Object Identifier)의 적용을 위한 확장규격 정보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가정보는 텍스트 또는 바이너리 또는 이 두 가지가 혼합된 형태로 삽입가능하며,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서 고유의 방식에 따라 바이너리로 인코딩 할 수 있으며, 임의의 수정 및 훼손을 막기 위해 인코딩 과정에서 암호설정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목적 이미지 파일의 저장은 상기 제작자의 컴퓨터 또는 소정 웹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파일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장치는, 기 완성되어 있는 소스 이미지 파일에,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각종 설명 및 기능 확장을 위한 소정의 부가정보의 기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입력 처리수단; 상기 데이터 입력 처리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부가정보를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 삽입하여 목적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부가정보 삽입수단; 및 상기 부가정보 삽입수단에 의해 생성된 목적 이미지 파일을 소정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파일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방법은, 이미지 파일 제작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소정의 소스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는 단계; 소스 이미지 파일에 대한 각종 설명 및 기능확장을 위한 정보인 부가정보를 삽입하기 위한 소스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부가정보 입력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의 헤더 또는 기록 가능한 빈 영역에 기능성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목적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 이미지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미지 파일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는 장치는, 이미지 파일 제작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소스 이미지 파일을 제공받아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 대한 각종 설명 및 기능 확장을 위한 소정의 부가정보의 기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입력 처리수단; 상기 데이터 입력 처리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부가정보 를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 삽입하여 목적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부가정보 삽입수단; 상기 부가정보 삽입수단에 의해 생성된 목적 이미지 파일을 소정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 처리수단; 및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 및 상기 목적 이미지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제공하는 전송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상기 목적 이미지 파일에 삽입된 부가정보에 따른 기능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목적 이미지 파일을 제공받으면 목적 이미지 파일의 구조를 검색하여 이미지 파일에 대한 소정의 부가정보가 검출되면 검출된 부가정보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파일에 부가 정보를 삽입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작자 컴퓨터(100)의 일부로서 구성되는 것으로, 이미지 파일에 각종 부가정보를 삽입하기 위한 이미지 헤더 편집기(110)와 저장장치(120)로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 헤더 편집기(110)는 데이터 입력 처리부(111), 부가정보 삽입부 (112), 저장 처리부(113), 전송 처리부(114)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입력 처리부(111)는 기 완성되어 있는 소스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의 기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며, 부가정보 삽입부(112)는 상기 데이터 입력 처리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부가정보를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 삽입하여 목적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상기 저장 처리부(113)는 상기 부가정보 삽입부(112)에 의해 생성된 목적 이미지 파일을 저장장치(120)에 저장하며, 전송 처리부(114)는 상기 목적 이미지 파일을 인터넷(200)에 접속된 웹 서버(300)에 업 로드하여 인터넷(200)에 접속된 타인 또는 제작자 자신에게 목적 이미지 파일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헤더 영역이나 파일 포맷 규약 상 허용되는 빈 영역에 삽입되는 것으로, 이는 이미지 파일에 대한 각종 설명 및 기능 확장을 위한 정보이며, 부가정보로는 이미지의 저작권자 및 판권자 표시 정보, 이미지 포맷 및 제작 관련 정보, 이미지 검색에 대응하기 위한 키워드 정보, 이미지에 의해 인터넷 주소정보를 삽입하는 이미지 맵 태그정보, 이미지의 특정위치에 이미지 설명문을 생성하는 이미지 설명문 정보, 콘텐츠의 보안 및 관리를 위한 DRM 기능과 연결하기 위한 확장규격, 콘텐츠의 유통관리를 위한 문화콘텐츠 식별체계(COI : Content Object Identifier)의 적용을 위한 확장규격 정보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가정보는 텍스트 또는 바이너리 또는 이 두 가지가 혼합된 형태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서 고유의 방식에 따라 바이너리로 인코딩할 수 있으며, 임의의 수정 및 훼손을 막기 위해 인코딩 과정에서 암호 설정 을 할 수 있다.
상기 저장장치(120)는 소스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는 소스 이미지 파일 저장부(121), 소스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가 삽입된 목적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는 목적 이미지 파일 저장부(122) 및 제작자가 부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가정보 입력 포맷이 저장되어 있는 부가정보 입력 포맷 저장부(123)로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 파일은 JPG, GIF, PNG 형태 등의 각종 이미지 파일이 해당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과정을 도 2의 흐름도와 함께 살펴본다.
먼저, 제작자가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고자 하면 제작자가 부가정보 삽입을 원하는 소스 이미지 파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소스 이미지 파일 선택화면이 제공되며(S110), 이는 이미지 헤더 편집기(110) 내의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 등에서 행하게 된다.
소스 이미지 파일 선택화면이 제공되면 제작자는 소스 이미지 파일 저장부(121)에 저장되어 있는 소스 이미지 파일 중 부가정보를 삽입하고자 하는 소스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게 된다(S120).
제작자가 부가정보를 삽입하고자하는 소스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면 상기 부가정보 입력 포맷 저장부(123)에 저장되어 있는 부가정보 입력 포맷이 제공되어(S130) 제작자가 삽입하고자 하는 부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되며(S140), 이는 데이터 입력 처리부(111)를 통해 입력 처리된다.
도 3은 부가정보 입력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부가정보 기입 항목과 해당 내역 및 속성을 나타낸 표이다.
도 3의 부가정보 입력 포맷은 제1 및 제2 부가정보 삽입 영역(a),(b)을 가지는 것으로, 제1 부가정보 삽입 영역(a)은 주로 텍스트 형태의 부가정보 기록 영역이며, 제2 부가정보 삽입 영역(b)은 이미지 형태의 부가정보 삽입 영역이다.
만일, 제작자가 저작권 정보를 부가정보로서 삽입하고자 할 경우, 도 3의 부가정보 입력 포맷의 제1 부가정보 삽입 영역(a)에 삽입하고자 하는 저작권 정보를 기입하게 되며, 저작권 정보로는 이미지 파일 제작자, 저작권자, 배포자, 배포와 사용 조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작자가 이미지 제작정보를 부가정보로서 삽입하고자 할 경우, 이미지 제작시기, 이미지 포맷과 사양, 모니터와 프린터 출력조건, 이미지 보정과 효과주기를 위한 조건 등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키워드를 삽입하고자 할 경우, 검색 엔진과 협의하여 검색 로봇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검색될 수 있도록 검색 키워드와 검색 설명문을 삽입할 수 있다.
이미지 맵을 삽입하고자 할 경우, 이미지의 특정 영역을 좌표로 지정한 이후 외부 인터넷 주소와 연결하여 클릭시 접속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이미지 맵 태그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캡션 기능을 위해서는 이미지 내부의 특정 위치 또는 이미지 외부의 특정 위치에 작성자가 작성한 설명문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3에서 이미지 형태의 부가정보 삽입 영역인 제2 부가정보 삽입 영역(b)에 상기 이미지 맵의 삽입을 행하게 된다.
또한, 외부 연동 및 확장 기능으로서 DRM 등 기존의 디지털 콘텐츠 파일 제어기술 또는 규약과 연동하기 위한 확장 규격을 삽입할 수 있으며, 바이너리 데이터 영역 설정 기능으로서 확장 기능과 업 그레이드를 위하여 바이너리 데이터 삽입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작자가 부가정보 입력을 완료하면 부가정보 삽입부(112)에 의해 소스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가 삽입된 목적 이미지 파일이 생성되며(S150), 이는 목적 이미지 파일 저장부(122)에 저장된다(S160).
또한, 도 5는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가 삽입된 목적 이미지 파일의 개념적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부가정보가 이미지 파일의 헤더 영역이나 파일 포맷 규약 상 허용되는 빈 영역에 삽입됨에 따라 이미지의 용량 및 화질에는 변동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하여 생성된 목적 이미지 파일을 제작자가 인터넷(200)에 업 로드하게 되면 제작자가 업 로드를 실행한 웹 서버(300)에 저장되어 인터넷(200) 상에 공개되게 되며(S170), 이는 전송 처리부(114)에 의해 행해진다.
상기와 같은 이미지 헤더 편집기(110)가 실행하게 되는 이미지 파일의 헤더에 부가정보를 기록하여 기능성을 부여하는 기능은 일반적인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과는 기능상 구별되는 것으로, 이미지 헤더 부분 또는 파일 포맷 규약 상 허용되는 빈 영역에 헤더 정보 편집 규약에 따른 정보를 추가하고 이를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미지 헤더 편집기(110)는 독립적인 프로그램으로 설치되거나 이미지 보기 프로그램의 플러그 인으로 작동하거나 기존의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의 플러그 인으로 작동하거나 HTML 편집기의 플러그 인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넷에 널리 활용되는 세가지 이미지 파일 포맷인 JPG, GIF, PNG 및 기타 PC의 일반적인 파일 포맷에 대응할 수 있으며, 삽입한 부가정보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기능, 여러 파일에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기능,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된 헤더 정보에 암호를 설정하여 임의로 변경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된 목적 이미지 파일은 해당 컴퓨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하는 부가 기능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이미지 헤더 편집기(110)에 대응되는 전용 플러그 인이거나, 웹 브라우저의 플러그 인 또는 웹 브라우저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독립적인 프로그램 또는 해당 PC에 설치된 이미지 뷰어 플러그 인 또는 이미지 뷰어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독립적인 프로그램 또는 이미지 뷰어 및 이미지 헤더 편집기(110)와 결합된 형태로 PC에 설치되어 작동하며, 웹 페이지가 PC에 전송된 직후, 웹 페이지내의 이미지를 검색하여 규약에 따른 헤더 정보가 삽입된 이미지 파일에 대해서는 브라우저 또는 뷰어 상에서 추가의 기능을 구현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이미지 파일에 부가된 부가정보의 기능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구현한 것이다.
이는 상기 이미지 헤더 편집기(110)를 포함하는 제작자 컴퓨터(100)와 상기 제작자 컴퓨터(100)에 의해 제작된 목적 이미지 파일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컴 퓨터(400)가 인터넷(200)을 통해 접속된 상태에서의 사용자 컴퓨터(40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부가정보에 따른 기능구현에 대해 도 7의 흐름도와 함께 살펴본다.
도 6에서 사용자 컴퓨터(400)는 인터넷(200)을 통해 상기 목적 이미지 파일이 업 로드 된 웹 서버(300)에 접속하여 이미지 파일 검색을 통해 원하는 목적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게 되면 이미지 파일 구조 검색부(410)에서 이미지 파일의 파일구조를 검색하게 된다(S210),(S220).
파일구조 검색 결과, 목적 이미지 파일의 헤더 또는 특정 영역으로부터 부가정보가 검출되면 부가정보 기능 구현부(420)에서 소스 이미지에 해당 부가정보에 따른 특정한 기능을 부여하게 된다(S230),(S240).
일 예로, 이미지 파일 헤더에 기록된 이미지 맵 태그에 따른 링크 생성 또는 헤더에 기록된 캡션 정보에 따른 설명문 출력 기능 등이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파일 헤더에 기록된 캡션 및 이미지 맵 태그에 따른 링크 생성 예를 도 8과 함께 살펴보면, 사용자가 도 8에서 그림 속의 적당한 위치에 삽입되어 있는 링크 부분을 클릭하게 되면 이에 설정되어 있는 링크에 의해 해당 사이트로 연결되게 되며, 그림 아래의 설명문은 캡션 정보에 따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도 8의 이미지 전체를 복제할 경우, 이미지 파일의 헤더에 부가기능 구현을 위한 부가정보가 삽입됨에 따라 해당 링크 부분도 복제되어 제작자의 의도가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인터넷 만화 중간에 부가정보에 의해 광고가 구현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종 스크롤 온라인 만화에서 적절한 위치에 광고(a)를 삽입함에 따라 출판만 화의 쪽넘김과 유사한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서버를 구비하여 서버에서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실시 예로, 서버에서 이미지 파일에 광고 등의 부가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실시 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지 파일 제작자 컴퓨터(1100), 부가정보 삽입 서버(1200) 및 클라이언트 컴퓨터(1300)가 각각 인터넷(1400)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부가정보 삽입 서버(1200)는 인터넷(1400)을 통해 이미지 파일 제작자 컴퓨터(1100)로부터 원본 이미지 파일인 소스 이미지 파일을 제공받으면 소스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목적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 후, 이를 인터넷(1400)을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1300)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부가정보 삽입 서버(1200)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지 헤더 편집기(1210) 및 데이터베이스(1220)로 구성된다.
상기 이미지 헤더 편집기(1210)는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이미지 파일 제작자 컴퓨터(1100)로부터 제공되는 소스 이미지 파일을 입력 처리하는 데이터 입력 처리부(1211), 소스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목적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부가정보 삽입부(1212), 상기 부가정보 삽입부(1212)에 의해 생성된 목적 이미지 파일을 데이터베이스(1220)에 저장하는 저장 처리부(1213), 상기 목적 이미지 파일을 인터넷(1400)을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1300)로 전송하는 전송 처리부(1214)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220)는 이미지 파일 제작자 컴퓨터(1100)로부터 제공된 소스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는 소스 이미지 파일 저장부(1221), 소스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가 삽입된 목적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는 목적 이미지 파일 저장부(1222) 및 이미지 헤더 편집기(1200)에서 부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가정보 입력 포맷이 저장되어 있는 부가정보 입력 포맷 저장부(122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 12의 흐름도와 함께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부가정보 삽입 서버(1200)는 이미지 파일 제작자 컴퓨터(1100)로부터 소스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데이터 입력 처리부(1211)를 통해 소스 이미지 파일 저장부(1221)에 저장한다(S1100).
이후, 소스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기 위해 원하는 소스 이미지 파일을 선택한 후(S1200), 부가정보 입력 포맷 저장부(1223)에 저장되어 있는 부가정보 입력 포맷을 이용하여 소스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목적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며, 저장 처리부(1213)에서 이를 목적 이미지 파일 저장부(1222)에 저장하게 된다(S1300),(S1400).
이후, 전송 처리부(1214)에서 인터넷(1400)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1300)로 부가정보가 삽입된 목적 이미지 파일을 제공하게 된다(S1500).
이와 같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된 목적 이미지 파일은 상기 실시 예와 같이 클라이언트 컴퓨터(1300)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목적 이미지 파일에 삽입된 부가정보에 해당하는 부가 기능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이미지 헤더 편집기(1210)에 대응되는 전용 플러그 인이거나, 웹 브라우저의 플러그 인 또는 웹 브라우저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독립적인 프로그램 또는 해당 PC에 설치된 이미지 뷰어 플러그 인 또는 이미지 뷰어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독립적인 프로그램 또는 이미지 뷰어 및 이미지 헤더 편집기(1210)와 결합된 형태로 PC에 설치되어 작동하며, 웹 페이지가 PC에 전송된 직후, 웹 페이지내의 이미지를 검색하여 규약에 따른 헤더 정보가 삽입된 이미지 파일에 대해서는 브라우저 또는 뷰어 상에서 추가의 기능을 구현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1300)가 목적 이미지 파일을 제공받으면 목적 이미지 파일의 구조를 검색하여 이미지 파일에 대한 소정의 부가정보가 검출되면 검출된 부가정보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만일, 클라이언트 컴퓨터(1300)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없을 경우, 상기 목적 이미지 파일을 클라이언트 컴퓨터(1300)로 제공시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도 제공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이미지 파일, 부가정보 및 이의 삽입형식 등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기능들은 상기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약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일반 사용자의 인터넷 이용에 적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게 된다.
첫째, 이미지 제작자의 정보를 이미지 파일 내부에 삽입하여 이후 타인에 의한 이미지의 활용이 있을 때 원 제작자의 정보를 제공하고, 원제작자의 권리를 주장하는 근거로 삼을 수 있다.
둘째, 이미지맵 정보 삽입을 통하여 해당 이미지에 링크를 설정함으로서 인터넷 이용자와 이미지 열람자들에게 제작자 홈페이지와 같은 제작자가 의도한 사이트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셋째, 캡션 정보 삽입을 통하여 별도의 웹페이지 작성 없이도 해당 이미지에 대한 설명문을 원하는 위치에 출력하여 줌으로서 이미지 제작자의 이미지 제작 의도를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인터넷 광고에 적용할 경우 기존 포탈 배너 광고 및 일반적인 인터넷 광고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게 된다.
첫째, 기존 포탈 배너광고는 상단 혹은 하단 등 특정위치에 존재하게 되어 인터넷 이용에 익숙한 사용자들일 수록 광고려니 하고 지나치게 되는 경우가 많으나, 본 발명은 스크롤되는 사진과 만화 이미지의 중간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만화를 읽다가 자연히 시선이 거쳐 가게 되어 독자의 주목도가 높아 그에 따른 광고 효 과가 기대된다.
둘째, 기존 포탈 배너광고는 초기 게재위치 한 곳에서만 노출되는 것에 비해 본 발명의 이미지 파일에 삽입되는 부가정보에 의한 광고는 본래의 만화 이미지와 같이 통으로 제작되어 만화 이미지가 복사, 배포, 게시되는 만큼 같이 이동하므로 노출 횟수가 월등히 높아 그에 따른 광고 효과도 증대된다.
셋째, 기존 포탈 배너 광고는 특정기간 동안만 일정수의 노출횟수만을 보장하지만 본 발명은 한번 게재되면 초기 게재위치에서의 노출 뿐 아니라 그 이미지가 인터넷을 떠도는 동안 무제한적으로 지속성을 가지고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넷째, 기존 포탈 배너 광고는 포탈 사이트의 레이 아웃에 맞추어 제한된 크기의 광고만 게재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의 이미지 파일에 삽입되는 부가정보에 따른 광고는 협의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광고를 게재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기존 광고 방식에서는 콘텐츠에 붙은 광고를 제거한 상태로 유통하는 것 또는 광고가 같이 나오지 못하게 막는 것을 막을 근거가 모호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광고가 이미지와 통으로 제작되므로 광고제거가 원저작물의 변형에 해당하여 보다 엄격한 단속이 가능하다.
여섯째, 본 발명의 적용에 의해 광고가 게재되었던 사진 포함 콘텐츠 및 온라인 만화가 연재종료 후, 광고 없는 단행본으로 출간될 경우 독자 입장에서는 단행본 판매를 촉진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일곱째, 기존 종 스크롤 온라인 만화에서는 지속적으로 스크롤되는 이미지속에서 읽기의 호흡을 조절하기가 어렵다는 연출상의 제약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의 해 작가의 의도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부가정보에 의해 광고가 삽입된다면 출판만화의 쪽넘김과 유사한 효과를 발휘하므로서 연출상의 부수적인 효과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다른 인터넷 사업자들이 이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게 된다.
첫째, 인터넷 뉴스 공급자들이 뉴스 사진과 뉴스 사진을 포함한 짤막한 단신을 본 발명의 캡션기능이 적용된 이미지 파일의 형태로 배급할 경우 이미지 파일의 설명문을 별도의 웹 페이지로 작성할 필요가 없으며, 이미지의 복제에 따라서 원래의 사진설명이 따라가게 되므로 더 효과적인 뉴스의 전파가 가능하다.
둘째, 인터넷 뉴스 사업자들이 이미지 맵을 통한 링크기능을 사용하여 뉴스사진에 광고를 삽입하여 배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추가의 광고수익을 올릴 수 있다.
셋째, 검색엔진과 포탈들은 이미지에 기록된 부가 정보 중 키워드와 설명문을 검색로봇이 검색하여 이미지 인덱싱의 기준 및 근거로 삼음으로서 효과적인 이미지 검색 기반을 구축할 수 있다.

Claims (32)

  1. 제작자로부터의 소스 이미지 파일에 대한 각종 설명 및 기능확장을 위한 정보인 부가정보 삽입요청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를 삽입하고자하는 소스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부가정보의 입력을 위한 부가정보 입력 포맷을 제공하여 제작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부가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 상기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목적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목적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은
    JPG, GIF, PNG 등의 각종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의 헤더 영역 또는 소스 이미지 파일의 파일 포맷 규 약 상 허용되는 빈 영역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이미지의 저작권자 및 판권자 표시 정보, 이미지 포맷 및 제작 관련 정보, 이미지 검색에 대응하기 위한 키워드 정보, 이미지에 의해 인터넷 주소정보를 삽입하는 이미지 맵 태그정보, 이미지의 특정위치에 이미지 설명문을 생성하는 이미지 설명문 정보, 콘텐츠의 보안 및 관리를 위한 DRM 기능과 연결하기 위한 확장규격, 콘텐츠의 유통관리를 위한 문화콘텐츠 식별체계(COI : Content Object Identifier)의 적용을 위한 확장규격 정보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텍스트 또는 바이너리 또는 이 두 가지가 혼합된 형태로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를 바이너리 형태로 삽입하는 경우, 암호를 설정하여 부가정보의 변경과 훼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목적 이미지 파일의 저장은
    상기 제작자의 컴퓨터 또는 임의의 웹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8. 기 완성되어 있는 소스 이미지 파일에, 상기 이미지 파일에 대한 각종 설명 및 기능 확장을 위한 소정의 부가정보의 기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입력 처리수단;
    상기 데이터 입력 처리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부가정보를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 삽입하여 목적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부가정보 삽입수단; 및
    상기 부가정보 삽입수단에 의해 생성된 목적 이미지 파일을 소정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 처리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은
    JPG, GIF, PNG 등의 각종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의 헤더 영역 또는 소스 이미지 파일의 파일 포맷 규약 상 허용되는 빈 영역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이미지의 저작권자 및 판권자 표시 정보, 이미지 포맷 및 제작 관련 정보, 이미지 검색에 대응하기 위한 키워드 정보, 이미지에 의해 인터넷 주소정보를 삽입하는 이미지 맵 태그정보, 이미지의 특정위치에 이미지 설명문을 생성하는 이미지 설명문 정보, 콘텐츠의 보안 및 관리를 위한 DRM 기능과 연결하기 위한 확장규격, 콘텐츠의 유통관리를 위한 문화콘텐츠 식별체계(COI : Content Object Identifier)의 적용을 위한 확장규격 정보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텍스트 또는 바이너리 또는 이 두 가지가 혼합된 형태로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를 바이너리 형태로 삽입하는 경우, 암호를 설정하여 부가정보의 변경과 훼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목적 이미지 파일의 저장은
    상기 제작자 컴퓨터 또는 소정 웹 서버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
  15. 제작자로부터의 소스 이미지 파일에 대한 각종 설명 및 기능확장을 위한 정보인 부가정보 삽입요청에 따라 상기 부가정보를 삽입하고자하는 소스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도록 하는 기능;
    상기 부가정보의 입력을 위한 부가정보 입력 포맷을 제공하여 제작자가 원하는 부가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기능;
    상기 부가정보의 입력에 따라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 상기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목적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생성된 목적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기능;
    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6. 이미지 파일 제작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소정의 소스 이미지 파일을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는 단계;
    소스 이미지 파일에 대한 각종 설명 및 기능확장을 위한 정보인 부가정보를 삽입하기 위한 소스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부가정보 입력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목적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목적 이미지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은
    JPG, GIF, PNG 등의 각종 이미지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 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의 헤더 영역 또는 소스 이미지 파일의 파일 포맷 규약 상 허용되는 빈 영역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이미지의 저작권자 및 판권자 표시 정보, 이미지 포맷 및 제작 관련 정보, 이미지 검색에 대응하기 위한 키워드 정보, 이미지에 의해 인터넷 주소정보를 삽입하는 이미지 맵 태그정보, 이미지의 특정위치에 이미지 설명문을 생성하는 이미지 설명문 정보, 콘텐츠의 보안 및 관리를 위한 DRM 기능과 연결하기 위한 확장규격, 콘텐츠의 유통관리를 위한 문화콘텐츠 식별체계(COI : Content Object Identifier)의 적용을 위한 확장규격 정보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텍스트 또는 바이너리 또는 이 두 가지가 혼합된 형태로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를 바이너리 형태로 삽입하는 경우, 암호를 설정하여 부가정보의 변경과 훼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이미지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목적 이미지 파일에 삽입된 부가정보에 따른 기능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소정의 전용 플러그 인이거나 또는 웹 브라우저의 플러그 인 또는 웹 브라우저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독립적인 프로그램 또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설치된 이미지 뷰어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독립적인 프로그램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24. 이미지 파일 제작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소스 이미지 파일을 제공받아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 대한 각종 설명 및 기능 확장을 위한 소정의 부가정보의 기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입력 처리수단;
    상기 데이터 입력 처리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부가정보를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 삽입하여 목적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부가정보 삽입수단;
    상기 부가정보 삽입수단에 의해 생성된 목적 이미지 파일을 소정 영역에 저장하는 저장 처리수단; 및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 및 상기 목적 이미지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제공하는 전송 처리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의 헤더 영역 또는 소스 이미지 파일의 파일 포맷 규약 상 허용되는 빈 영역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이미지의 저작권자 및 판권자 표시 정보, 이미지 포맷 및 제작 관련 정보, 이미지 검색에 대응하기 위한 키워드 정보, 이미지에 의해 인터넷 주소정보를 삽입하는 이미지 맵 태그정보, 이미지의 특정위치에 이미지 설명문을 생성하는 이미지 설명문 정보, 콘텐츠의 보안 및 관리를 위한 DRM 기능과 연결하기 위한 확장규격, 콘텐츠의 유통관리를 위한 문화콘텐츠 식별체계(COI : Content Object Identifier)의 적용을 위한 확장규격 정보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
    텍스트 또는 바이너리 또는 이 두 가지가 혼합된 형태로 삽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를 바이너리 형태로 삽입하는 경우, 암호를 설정하여 부가정보의 변경과 훼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상기 목적 이미지 파일에 삽입된 부가정보에 따른 기능이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목적 이미지 파일을 제공받으면 목적 이미지 파일의 구조를 검색하여 이미지 파일에 대한 소정의 부가정보가 검출되면 검출된 부가정보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소정의 전용 플러그 인이거나 또는 웹 브라우저의 플러그 인 또는 웹 브라우저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독립적인 프로그램 또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설치된 이미지 뷰어 플러그 인 또는 이미지 뷰어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독립적인 프로그램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장치.
  32. 이미지 파일 제작자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소스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기능;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 대한 각종 설명 및 기능 확장을 위한 정보인 부가정보를 삽입하기 위한 소스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는 기능;
    부가정보 입력 포맷을 이용하여 상기 소스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목적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는 기능; 및
    상기 목적 이미지 파일을 인터넷을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제공하는 기능;
    을 실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50128770A 2005-12-23 2005-12-23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와 이를위한 기록매체 KR20070067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770A KR20070067452A (ko) 2005-12-23 2005-12-23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와 이를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770A KR20070067452A (ko) 2005-12-23 2005-12-23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와 이를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452A true KR20070067452A (ko) 2007-06-28

Family

ID=3836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770A KR20070067452A (ko) 2005-12-23 2005-12-23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와 이를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7452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5237A2 (en) * 2007-07-03 2009-01-08 Sk Network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album production
WO2009091223A2 (ko) * 2008-01-20 2009-07-23 이미지를 제작한 작품제작요소 정보가 제공된 이미지
KR100940365B1 (ko) * 2008-04-11 2010-02-04 엔에이치엔(주) 웹 페이지에 포함되는 이미지에 대하여 태깅을 수행하고 그결과를 이용하여 웹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60973B1 (ko) * 2010-09-01 2012-06-29 주식회사 엔알 상세정보 이미지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
WO2012121447A1 (ko) * 2011-03-08 2012-09-13 주식회사 엔알 상세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의 형성 장치 및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325249B1 (ko) * 2011-08-25 2013-11-04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디지털 콘텐츠 내의 부가 정보 삽입 및 검출을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WO2019009688A1 (ko) * 2017-07-07 2019-01-10 (주)샘터 이미지 스크롤에 적합한 시퀀스 이차원 이미지의 태그정보 처리 장치
KR20190106462A (ko) * 2018-03-09 2019-09-18 주식회사 곰앤컴퍼니 이미지 파일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0572A (ko) * 2019-01-21 2020-07-29 박준희 작품 이미지와 텍스트를 매칭하여 도서를 제작하는 도서 제작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5237A2 (en) * 2007-07-03 2009-01-08 Sk Network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album production
WO2009005237A3 (en) * 2007-07-03 2009-03-12 Sk Network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album production
WO2009091223A2 (ko) * 2008-01-20 2009-07-23 이미지를 제작한 작품제작요소 정보가 제공된 이미지
WO2009091223A3 (ko) * 2008-01-20 2009-11-05 Cho Myoung Ho 이미지를 제작한 작품제작요소 정보가 제공된 이미지
KR100940365B1 (ko) * 2008-04-11 2010-02-04 엔에이치엔(주) 웹 페이지에 포함되는 이미지에 대하여 태깅을 수행하고 그결과를 이용하여 웹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160973B1 (ko) * 2010-09-01 2012-06-29 주식회사 엔알 상세정보 이미지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
WO2012121447A1 (ko) * 2011-03-08 2012-09-13 주식회사 엔알 상세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파일의 형성 장치 및 방법과 그것을 이용한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325249B1 (ko) * 2011-08-25 2013-11-04 주식회사 씨케이앤비 디지털 콘텐츠 내의 부가 정보 삽입 및 검출을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WO2019009688A1 (ko) * 2017-07-07 2019-01-10 (주)샘터 이미지 스크롤에 적합한 시퀀스 이차원 이미지의 태그정보 처리 장치
KR20190106462A (ko) * 2018-03-09 2019-09-18 주식회사 곰앤컴퍼니 이미지 파일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90572A (ko) * 2019-01-21 2020-07-29 박준희 작품 이미지와 텍스트를 매칭하여 도서를 제작하는 도서 제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7452A (ko) 이미지 파일에 부가정보를 삽입하는 방법 및 장치와 이를위한 기록매체
JP6040293B2 (ja) ウェブページコンテンツの注釈
US10853560B2 (en) Providing annotations of a digital work
KR101443404B1 (ko) 페이퍼 및 전자 문서내의 주석의 캡처 및 디스플레이
US7917848B2 (en) Online publishing tools
US8584002B2 (en) Automatic sub-template selection based on content
US20110231745A1 (en) Slideshow creator
US20090100068A1 (en)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US20100153848A1 (en) Integrated branding, social bookmarking, and aggregation system for media content
US9978072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modified version of a digital slide show by creating and inserting a digital content item into the digital slide show
JP2007533015A (ja) メディア・パッケージならびにメディア・パッケージ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601435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driven template switching in the development and modification of web pages
KR101505225B1 (ko) 스폰서된 미디어와 사용자 생성 콘텐츠의 통합
JP2009059317A (ja) 書籍コンテンツに広告を挿入配信するサーバ装置
US20090083642A1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gui) to display other contents related to content being currently generated, and a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JPH10254850A (ja) 情報流通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適用する情報作成方法
KR20050108231A (ko) 인터넷 웹 브라우저 상에서 스트리밍서비스로 운영되는 전자책 시스템 및 방법
JP4542033B2 (ja) 文書コンテンツの複数のレンディション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015159B1 (en) Method for searching media
US20140250152A1 (en) Method, Device, Program Product, and Server for Generating Electronic Document Container Data File
KR100988120B1 (ko) 디지털 콘텐츠의 효율적인 저장/관리/소비를 위한 통합저장 포맷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만화 콘텐츠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WO2012005309A1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操作プログラム
JP2006048465A (ja) コンテンツ生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751522B1 (ko) 동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장치 및방법
US20060092456A1 (en) Recording medium storing print ordering file,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print ordering f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609

Effective date: 2009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