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7278A - 키 입력의 사전인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키 입력의 사전인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7278A
KR20070067278A KR1020050128389A KR20050128389A KR20070067278A KR 20070067278 A KR20070067278 A KR 20070067278A KR 1020050128389 A KR1020050128389 A KR 1020050128389A KR 20050128389 A KR20050128389 A KR 20050128389A KR 20070067278 A KR20070067278 A KR 20070067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user
key buttons
display pane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8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128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7278A/ko
Publication of KR20070067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 입력의 사전인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된 케이스; 케이스에 다수의 키 버튼들이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 키패드; 키 버튼들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접촉 여부를 감지하도록, 키 버튼들의 하측에 배치된 터치 센서들; 및 케이스 내에서 터치 센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터치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임시로 표시할 수 있게 하는 한편, 키 버튼들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접촉 후 키 버튼들에 대한 최종 입력을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최종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하는 회로기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키 입력의 사전인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ecognizing previous key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의 사전인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Ⅱ-Ⅱ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0..케이스 120..디스플레이 패널
130..키패드 131..키 버튼
140..회로기판 150..터치 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키 입력을 사전에 인식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나 휴대폰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통신은 물론, 네트워크 접속을 통한 각종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첨단 통신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단말기에는 사용자가 소정의 명령이나,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키패드가 마련되며, 키패드에는 통화 키 버튼, 취소 키 버튼, 확인 키 버튼, 종료 키 버튼, 메뉴 키 버튼, 숫자/문자 키 버튼, 및 내비게이션 키 버튼 등을 포함한 다양한 키 버튼들이 구비된다.
이 같은 키패드에 있어서, 키 버튼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누르게 되면, 눌러진 키 버튼의 하측에 위치한 메탈 돔 또한 눌러져서 회로기판에 마련된 스위치 접점과 연결된다. 그러면, 눌러진 키 버튼에 상응하는 명령이나, 숫자 또는 문자를 회로기판에서 인식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회로기판에서는 인식한 키 버튼에 상응하는 명령에 따라 수행된 결과나, 숫자 또는 문자를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을 통해 표시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 따르면, 사용자가 통화나, 문자 메시지 전송 등을 위해 숫자/문자 키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잘못 입력하게 되면 취소 키 버튼을 눌러서 숫자나 문자를 삭제하고 재입력하여야 하므로, 키 버튼을 여러 번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 아니라, 시간도 많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숫자나 문자가 최종 입력되기 전에 미리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시켜줌으로써, 입력 오류 방지에 따른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키 입력의 사전인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의 사전인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다수의 키 버튼들이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 키패드; 상기 키 버튼들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접촉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키 버튼들의 하측에 배치된 터치 센서들;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터치 센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터치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임시로 표시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키 버튼들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접촉 후 상기 키 버튼들에 대한 최종 입력을 인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최종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하는 회로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키 버튼들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접촉을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알려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의 사전인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의 사전인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전체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10)를 구비한다.
이러한 케이스(11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0) 및 키패드(130)가 장착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화면이 외부로 보일 수 있게 케이스(110)에 장착 되며, 키패드(130)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게 키 버튼(131)들이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다.
키패드(130)는 사용자가 소정의 명령이나,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다수의 키 버튼(131)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키 버튼(131)들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이 되게 배열되는데, 이러한 키 버튼(131)들로는 통화 키 버튼, 취소 키 버튼, 확인 키 버튼, 종료 키 버튼, 메뉴 키 버튼, 숫자/문자 키 버튼, 및 내비게이션 키 버튼 등이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키 버튼(13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케이스(110) 내로 이동하여 키 버튼(131)의 하측에 대응되게 위치한 메탈 돔(142)을 가압하였다가 사용자가 손가락을 떼면 다시 복귀하도록 동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동작을 위해 키 버튼(131)은 탄성 베이스(132) 상에 결합한다. 이러한 탄성 베이스(132)는 탄성을 갖는 소재, 예컨대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베이스(132)의 하면에는 메탈 돔(142)의 중앙을 가압할 수 있게 가압 돌기(133)가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키패드(130)의 하측에는 회로기판(140)이 배치된다. 회로기판(140)은 케이스(110) 내에 장착되는데, 회로기판(140)의 상측 면에는 키 버튼(131)과 대응되게 스위치 접점(141)이 형성되며, 스위치 접점(141)의 상부에 대응되게 메탈 돔(142)이 설치된다.
그리고, 회로기판(140)의 상측 면에는 터치 센서(150)가 장착된다. 여기서, 터치 센서(150)는 키 버튼(131)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접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터치 센서(150)는 회로기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키 버튼(131)의 하측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터치 센서(150)로는 인체 접촉시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정전용량 검출 방식의 터치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터치 센서(150)는 키 버튼(131)들 중에서도 통화나, 문자 메시지 전송 등을 위해 빈번하게 사용되는 숫자/문자 키 버튼들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모든 키 버튼들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회로기판(140)은 키 버튼(131)의 사전 접촉에 따라 터치 센서(15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통해 임시로 표시할 수 있게 하는 한편, 키 버튼(131)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접촉 후 키 버튼(131)에 대한 최종 입력을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통해 최종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한다. 한편, 회로기판(140)은 키 버튼(131)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접촉을 디스플레이 패널(120)뿐만 아니라 스피커(160)를 통해 소리로 알려줄 수 있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단말기(100)에 있어서,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통화나, 문자 메시지 전송 등을 위해 키 입력을 하고자 손가락으로 키 버튼(131)을 사전 접촉하게 되면 터치 센서(150)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회로기판(140)으로 제공한다. 그러면, 회로기판(140)에서는 터치 센서(15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통해 임시로 숫자나 문자가 표시될 수 있 게 하는 한편, 스피커(160)를 통해 소리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게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통해 원래 입력하고자 하는 키 버튼(131)이 아닌 다른 키 버튼(131)을 잘못 접촉한 것으로 확인이 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손가락을 떼어서 원래 입력하고자 하는 키 버튼(131)으로 이동시켜 새로이 접촉시킨다. 그러면, 회로기판(140)에서는 사용자가 새로이 접촉한 키 버튼(131)에 대응되는 터치 센서(150)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제공받아 처리함으로써, 앞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에 표시되었던 숫자나 문자를 지우고 새로운 숫자나 문자가 표시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사전인식을 통해 원래 입력하고자 하는 키 버튼(131)을 정확하게 선택한 이후에 사용자가 키 버튼(131)을 최종적으로 누르게 되면, 이에 따라 메탈 돔(142)이 눌러져 스위치 접점(141)과 연결된다. 그러면, 회로기판(140)에서는 키 버튼(131)에 대한 최종 입력을 인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통해 숫자나 문자가 최종적으로 표시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는 동안에 취소 키 버튼은 사용되지 않게 되는데, 이에 따라 숫자나 문자를 신속하게 입력하여 통화나 문자 메시지 전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통화나, 문자 메시지 전송 등을 위해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숫자나 문자가 최종 입력되기 전에 미리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줄 수 있게 됨으로써, 입력 오류에 따른 취소 키 버튼의 사용이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다수의 키 버튼들이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 키패드;
    상기 키 버튼들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접촉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키 버튼들의 하측에 배치된 터치 센서들;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터치 센서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터치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임시로 표시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키 버튼들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접촉 후 상기 키 버튼들에 대한 최종 입력을 인식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최종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하는 회로기판;
    을 구비하는 키 입력의 사전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키 버튼들에 대한 사용자의 사전 접촉을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알려줄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의 사전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들은, 상기 키 버튼들 중 숫자/문자를 입력하게 된 키 버튼들 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의 사전감지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50128389A 2005-12-23 2005-12-23 키 입력의 사전인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67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389A KR20070067278A (ko) 2005-12-23 2005-12-23 키 입력의 사전인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8389A KR20070067278A (ko) 2005-12-23 2005-12-23 키 입력의 사전인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278A true KR20070067278A (ko) 2007-06-28

Family

ID=3836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8389A KR20070067278A (ko) 2005-12-23 2005-12-23 키 입력의 사전인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72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8132B1 (ko) 작동 모드 전환장치와 작동 모드 전환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및 작동 모드 전환방법
US20160203309A1 (en) Input device for inputting password or the like and mobile telephone having the input device
KR100472429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JP2003162362A (ja) 指先触覚入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情報端末
KR101339942B1 (ko) 입력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US20080018607A1 (en)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50096905A (ko) 전자장치의 키패드 장치 및 표시 방법
JP6122192B2 (ja) 電子機器
KR100749437B1 (ko) 키 잠금식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925628B2 (ja) 携帯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の制御方法
KR200204538Y1 (ko) 터치방식문자입력이가능한전화기시스템
KR20100003572A (ko) 복수 입력 처리 장치
KR20070067278A (ko) 키 입력의 사전인식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207645Y1 (ko) 음성 안내 기능을 갖는 다이얼 장치
JP5660611B2 (ja) 電子機器、文字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493263B2 (ja) 携帯型電子装置
JP5213336B2 (ja) 携帯電話装置
JP4563615B2 (ja) 携帯端末
JP2002023928A (ja) 数字及び文字入力装置
KR20120010283A (ko) 시각 장애우를 위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모바일 인터페이스 및 이를 위한 모바일 구동 방법
KR101403300B1 (ko) 터치 스크린의 문자 입력 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와 터치 스크린
TWI477138B (zh) 利用按鍵感應提示輸入字符的系統及方法
KR20080078111A (ko) 터치 키패드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KR101632575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키패드형 단말기 및 그 사용 방법
JP4305014B2 (ja) 携帯電話機および移動方向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