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923A - 전압 출력 브랜치 및 디렉트 액세스 포인트를 구비하는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 Google Patents

전압 출력 브랜치 및 디렉트 액세스 포인트를 구비하는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923A
KR20070066923A KR1020060131741A KR20060131741A KR20070066923A KR 20070066923 A KR20070066923 A KR 20070066923A KR 1020060131741 A KR1020060131741 A KR 1020060131741A KR 20060131741 A KR20060131741 A KR 20060131741A KR 20070066923 A KR20070066923 A KR 20070066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voltage
electrical connector
transfer member
curren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0057B1 (ko
Inventor
엠. 스텝니아크 프랭크
Original Assignee
토마스앤베츠 인터내셔널,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앤베츠 인터내셔널, 인크. filed Critical 토마스앤베츠 인터내셔널, 인크.
Publication of KR20070066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6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capac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1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voltage responsive, i.e. varistors
    • H01C7/12Overvoltage protection re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21Transformer bushing type or high voltage underground conn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절연 하우징과 이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전류 전달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전압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을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은 중앙 섹션, 이 중앙 섹션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삽입단, 상기 중앙 섹션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삽입단, 및 상기 제1 및 제2삽입단 사이에서 상기 중앙 섹션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제3섹션을 구비한다. 상기 전류 전달 부재는 상기 제1삽입단, 중앙 섹션, 제2삽입단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전압 제어장치는 하우징의 제3섹션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전류 전달 부재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Description

전압 출력 브랜치 및 디렉트 액세스 포인트를 구비하는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SEPARABLE ELECTRICAL CONNECTOR COMPONENT HAVING A VOLTAGE OUTPUT BRANCH AND A DIRECT ACCESS POINT}
도 1은 종래의 배전 케이블 커넥션을 전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로서, 부싱 장치, T형 엘보 커넥터, 로드브레이크 저감 탭 블럭 및 접지 엘보 커넥터의 연결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전압 감지장치 형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전압 차단장치 형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2005년 12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752,644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전기적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압 차단이나 간접 전압 감지 등과 같은 보조적인 액세서가 가능하면서 직접적인 전압 테스트 또는 접지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유지하며 표준 커플링 또는 인터페이스 구조를 구비하여 현장에 설치된 전기적 케이블 커넥터에 착탈 방식으로 연결 가능한 커넥터 부품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과 트랜스포머 사이 등의 중전압 지하 배전 시스템에서의 연결은 일반적으로 로드브레이크(loadbreak) 커넥터와 데드브레이크(deadbreak) 커넥터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계된 암수 전기 커넥터를 사용하여 달성된다. 15, 25 및 35 kV 시스템과의 연결에 사용되는 케이블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전력 케이블 엘보(elbow) 커넥터 및 부싱 인서트(insert)를 포함한다. 엘보 커넥터는 일단에 전력 케이블을 수용하며 타단에는 부싱 인서트의 삽입단을 수용한다. 부싱 인서트의 반대쪽 단부는 엘보 커넥터 반대로 연장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트랜스포머의 부싱 웰(well)에 수용될 수 있다.
엘보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반도체층과 절연층에 둘러싸인 전도체를 포함하며, 각각은 반도체 차폐부에 쌓여있다. 부싱 인서트를 수용하는 엘보 커넥터의 단부는 일반적으로 원뿔형의 경사진 내면을 구비하며, 이 내면은 부싱 인서트 삽입단에 형성된 원뿔형의 경사진 외면과 대응한다. 부싱 인서트와 연결되면 엘보 내에 있는 전도체는 부싱 인서트 내부의 전도체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엘보는 또한 부싱 수용단에 커프(cuff)를 더 포함하여 부싱 인서트의 성형된 플랜지와 간섭 결합(interference fit)이 가능하다. 엘보 커프와 부싱 인서트 사이의 간섭 결합으로 수분과 먼지를 방지할 수 있다.
배전 서비스 제공자는 업무상 지하 배전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데 종종 서비스 제공과 수리를 위하여 케이블과 커넥터를 직접 다루어야 할 때가 있다. 지하 케이블 시스템 을 다룰 때 요구되는 첫번째 단계는 회로에 전원이 차단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과정은 커넥터 내의 전도체를 직접 확인하여 테스트 프로브로 전압을 측정하여 이루어진다. 그 다음, 전도체 양단을 접지시켜 케이블 시스템이 우연히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야기될 수 있는 피해를 예방한다. 마지막으로 스위치나 트랜스포머 부싱에서 케이블을 제거하여 케이블과 해당 부싱 사이의 차단을 시각적으로 확인한다.
전술한 전압 테스트와 접지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직접적인 동작 인터페이스가 커넥터 시스템에 구비되어 전도체에 직접적인 액세스를 가능케 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미국특허 제4,799,89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로드브레이크 저감 탭 플럭의 형태로서 일단에 T형 엘보 삽입단이 있고 반대쪽 개방단에는 T형 케넥터에 부착된 케이블에 디렉트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한다. 케이블 시스템에 에너지가 가해지면 탭 플럭의 개방단은 절연 캡으로 커버된다. 상기 개방단이 커버되지 않을 때는 디렉트 테스트 프로브를 삽입하여 시스템의 전압을 측정하고 그 다음 접지 엘보 커넥터를 결합시켜 시스템을 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시스템은 에너지를 차단시키지 않은 채로 보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자주 요구된다. 그러한 보조 기능에는 회로 제어를 위한 전압 감지나 낙뢰 보호를 위한 뇌전압 차단 등이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의 장치들은 보통 기존의 커넥터의 액세스 포인트에 삽입 가능한 착탈형 커넥터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용화된 전압 감지장치, 예를 들어 Elastimold K650BIP 장치 등은 기본 절연 플럭에 캡슐화되어 있는 저항기 또는 커패시터 분배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장치들은 액세스 포인트를 '단절'(dead-end)시켜 커넥터를 분리시키지 않은 채로 전도체의 직접적인 액세스를 방지한다.
따라서, 단일 커넥터 부품으로서 케이블 시스템에 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연결이나 직접적인 전압 테스트, 접지 등의 사용자 액세스를 모두 가능하게 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절연 하우징과 이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전류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을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은 중앙 섹션, 이 중앙 섹션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삽입단, 상기 중앙 섹션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삽입단, 및 상기 제1 및 제2삽입단 사이에서 상기 중앙 섹션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제3섹션을 구비한다. 상기 전류 전달 부재는 상기 제1삽입단, 중앙 섹션, 제2삽입단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3섹션은 전압 제어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웰(well)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압 제어장치는 하우징의 제3섹션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전류 전달 부재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 섹션은 상기 하우징의 방사상으로 확장된 부분이며 제1 및 제2삽입단은 상기 중앙 섹션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원뿔 형으로 경사진 부분으로서 해당 커넥터의 간섭 결합 삽입을 가능케 한다. 상기 전류 전달 부재는 제1섹션과 환형의 제2섹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섹션은 제1삽입단 내에 연장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종단부를 갖는다. 상기 제2섹션은 제2삽입단 내에 연장되며 전도성 프로브를 수용할 수 있는 중앙 공을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 부품은 전압 테스트장치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압 제어장치는 제3섹션 내에 배치되는 용량성 부품이다. 상기 용량성 부품은 전류 전달 부재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정전용량적으로 전류 전달 부재의 전압을 감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 부품은 전압 차단장치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압 제어장치는 제3섹션에 내에 배치되는 뇌전압 차단기이다. 상기 뇌전압 차단기는 전류 전달 부재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전류 전달 부재의 전압 급변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부품의 바람직한 형태 및 다른 실시예,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 중전압 배전 케이블(10)과 트랜스포머 등의 배전 장치(12) 간의 전기적 연결이 도시되어 있다. 부싱 장치 내지 터미널(14)이 상기 분배 장치(12)의 일면에 배치되어 T형 엘보 커넥터(16)를 경유하여 상기 케이블(10)에 연결한다.
상기 T형 전력 케이블 엘보 커넥터(16)는 상기 부싱 장치(14)를 수용하는 제 1단부(18)와 상기 제1단부 반대쪽의 부싱 탭 플럭(22)을 수용하는 제2단부(20) 및 T형 커넥터 하부에서 배전 케이블(10)을 수용하는 제3단부(24)를 포함한다. 상호 반대되는 제1단부(18) 및 제2단부(20)는 개방된 수용단을 둘러싸는 플랜지 내지 엘보 커프를 포함하여 각각의 해당 부싱(14, 22)을 밀봉한다.
상기 T형 커넥터(16)의 제2단부(20)에 장착되는 로드브레이크 저감 탭 플럭(22)을 통해 전력 케이블(10)과 부싱 장치(14)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케이블로 디렉트 액세스 포인를 제공한다. 상기 로드브레이크 저감 탭 플럭(22)은 인터페이스 부싱 또는 부싱 인서트로도 명명되며 탭 플럭의 다른 부분 보다 직경이 큰 중앙부(26)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부(26)로부터 일방향으로 원뿔형의 경사진 제1섹션(28)이 연장되어 상기 T형 전력 케이블 엘보 커넥터(16)에 삽입된다. 상기 중앙부(26)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원뿔형의 경사진 제2섹션(30)이 연장되어 케이블(10)의 연결 해제시나 접지시 엘보 커넥터(32) 또는 접지(grounding) 엘보 (미도시)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통의 동작 조건에서는 절연 캡 (미도시)이 상기 탭 플럭(22)의 제2섹션(30)을 덮는다.
본 발명에서 참조하는 미국특허 제4,202,591호 및 제4,799,895호에 기재된 바에 따르면, 로드브레이크 저감 탭 플럭(22)은 또한 상기 케이블(10)과 부싱 장치(14)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류 전달 부재(3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류 전달 부재(34)는 탭 플럭(22)의 원뿔형 제1섹션(28) 내에 연장되어 케이블(10)의 종단부(38)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1섹션(36)을 포함한다. 상기 전류 전달 부재(34)의 제1섹션(36)은 종단에 나사산 단부(40)가 있고, 이 단부는 부싱 장치(14)의 해당 나사산 홀(42)에 결합된다. 상기 탭 플럭(22)의 원뿔형으로 경사진 제1섹션(28)은 전류 전달 부재(34)의 나사산 단부의 제1섹션(36)을 구비하며 600 A 데드브레이크 인터페이스로 알려져 있다.
상기 탭 플럭(22)의 전류 전달 부재(34)는 또한 탭 플럭(22)의 원뿔형 제2섹션(30) 내에 연장되어 케이블 컨덕터(10)로 디렉트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는 제2섹션(4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전류 전달 부재(34)의 제2섹션(44)은 환형 구조로서 엘보 커넥터(32)의 프로브(46), 접지 엘보(미도시)의 프로브, 또는 디렉트 전압 테스트 프로브(미도시)를 수용한다. 상기 탭 플럭(22)의 원뿔형으로 경사진 제2섹션(30)은 전류 전달 부재(34)의 환형 제2섹션(44)을 구비하며 200 A 로드브레이크 인터페이스로 알려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엘보 커넥터(32)는 T형 커넥터(10)에서 200 A 전류에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해제나 접지를 위하여 접지 엘보 (미도시)를 탭 플럭(22)의 200 A 로브브레이크 인터페이스에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엘보 커넥터(32)의 프로브(46)는 엘보의 부싱 수용단(48)의 중앙 개구부 내에 위치한다. 상기 프로브(46)는 연결 부품(52)을 통해 탭 케이블(50)과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한다. 상기 엘보 커넥터(32)는 전압 감지, 뇌전압 차단 등을 위하여 보조 액세스 포인트(5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엘보 커넥터(32)의 절연 하우징에 포함된 전도성 부재(56)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전도성 부재는 전압 테스트를 위하여 연결 부품(52)과 용량성 결합(capacitive coupling)을 형성한다. 엘보 커넥터(32)Dml 절연 캡(58)을 제거하여 전도성 부재(56)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착탈형 커넥터 부품은 실제 전압 감지 및 뇌전압 차단 등의 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커넥터 부품을 부착하는 수고를 덜 수 있으며, 전력 케이블(10)에는 직접 액세스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로드브레이크 저감 탭 플럭(60)의 형태를 개선하여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탭 플럭(22)을 대치하며 다른 부품의 장착 없이도 전원 선에 안전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부품(60)은 사이즈나 형태가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로드브레이크 저감 탭 플럭(22)과 유사하며, 표준 인터페이스가 구비되어 있어 실제 현장에서 일단에 현행 T형 엘보 커넥터와 연결하고 타단에는 기존의 엘보 커넥터, 접지 엘보, 절연 캡, 또는 테스트 캡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 부품(60)은 전도성 차폐부(66) 내에 확장된 중앙 섹션(64)을 구비하는 성형된 절연 하우징(62)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부품(60)은 또한 원뿔형으로 경사진 제1섹션(68)을 구비하며, 제1섹션은 종래의 전력 케이블 T형 엘보 커넥터(16)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섹션(64)의 반대 방향으로 원뿔형으로 경사진 제2섹션(70)이 연장되어 있으며, 이 제2섹션은 케이블(10)의 연결 해제시나 접지시 기존의 엘보 커넥터(32) 또는 접지 엘보에 삽입될 수 있다. 종래의 로드브레이크 저감 탭 플럭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커넥터 부품(60)의 원뿔형 제1 및 제2섹션(68, 70)은 각각의 해당 커넥터 내에 간섭 결합될 수 있는 사이즈와 형태를 갖는다.
상기 커넥터 부품(60)은 또한 상기 제1섹션(68), 중앙 섹션(64) 및 제2섹 션(70) 내부 중앙에 배치된 전류 전달 부재 또는 버스 바(bus bar)(72)를 포함한다. 종래의 로드브레이크 저감 탭 플럭(22)과 마찬가지로 상기 전류 전달 부재(72)는 커넥터 부품(60)의 원뿔형 제1섹션(68) 내부에 연장되어 있는 제1섹션(74)을 포함하며, 제1섹션(74)은 케이블(10)의 종단부(38)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상기 전류 전달 부재(72)의 제1섹션(74)은 나사산 단부(76)가 있으며, 종래의 부싱 장치(14)의 해당 나사산 홀(42)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부품(60)의 전류 전달 부재(72)는 또한 케이블 전도체(10)에 디렉트 액세스 포인트를 제공하는 제1섹션(78)을 포함한다. 종래의 로드브레이크 저감 탭 플럭(22)과 마찬가지로 상기 전류 전달 부재(72)의 제2섹션(78)은 환형 구조이며 200 A 인터페이스에 전형적인 핀 및 소켓 결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섹션(78)은 내부에 중앙 공(77)이 형성되어 있어 예를 들어 디렉트 전압 테스트 프로브와 종래의 엘보 커넥터(32)의 프로브(46)를 교대로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섹션(74)과 제2섹션(78)은 종래 방식에서와 같이 양자의 결합 부위에서 기계적 전기적 연결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부품(60)은 종래의 로드브레이크 저감 탭 플럭(22)과 유사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커넥터 부품(60)은 전압 출력 브랜치로 명명하는 일단의 제3섹션(80)을 더 포함하며, 이 제3섹션은 제1 및 제2섹션(68, 70) 사이의 중앙 섹션(64)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되어 있다. 특히 케넥터 부품(60)을 형성하는 절연 하우징(62)은 일반적으로 중앙 섹션(64)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및 제2섹션(68, 70)을 구비하는 T형으로 되어 있고 중앙 섹션으 로부터 제1 및 제2섹션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3섹션(80)은 T형 하우징의 하부 다리를 형성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형태에서 본 발명의 커넥터 부품(60)은 600 A 데드브레이크 인터페이스를 200 A 로드브레이크 인터페이스에 연결하며 전기적 상호 작용을 가능케 하는 제3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버스(bus)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3섹션(80)은 하우징(62)의 중앙 섹션(64)을 따라 중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3섹션(80)의 중심 라인(82)은 전류 전달 부재(72)의 제1 및 제2섹션(74, 78) 사이의 결합 부위를 가로지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 섹션(74)과 전체 제3섹션(80)은 전도성 차폐부(66)에 둘러싸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섹션(80)에는 전압 제어장치용 웰(8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웰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압 제어장치(83)를 교체적으로(interchangeably)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웰(81)은 제3섹션의 중앙 라인(82)과 동축상으로 절연 하우징(62) 내에 형성된 구멍 내지 만입부가 바람직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압 제어장치(83)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직경과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기 전도성 결합부(conductive fitting)(87)가 상기 웰의 바닥면(85)에 고정된다. 상기 웰의 결합부(87)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87)는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및 제2섹션(74, 78)의 결합 부위(79)에서 전류 전달 부재(72)를 방사상으로 둘러싸는 환형 결합부이다. 상기 웰의 결합부(87)는 전류 전달 부재(72)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또한 전압 제어장치의 전기적 종단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소켓(89)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89)은 전 압 제어장치의 종단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부품(60)의 제3섹션(80)은 내부에 웰(81)과 전도성 결합부(87)가 구비되어 있으며 종래의 로드브레이크 저감 탭 플럭에서는 가능하지 않았던 부가적인 기능을 커넥터에 제공한다. 특히 커넥터 부품(60)의 제3섹션(80)은 그 내부에 배치되는 전압 제어장치(83)를 수용하여 커넥터에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커넥터 부품(60a)은 전압 감지장치로서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웰(81)에 장입되어 있는 전압 제어장치(83)는 커넥터 하우징(62)의 제3섹션(80)에 캡슐화되어 있는 용량성 부품(84)에 해당한다.
상기 용량성 부품(84)은 모듈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하우징(62)의 성형 후에 제3섹션(80)의 웰(81)로 가압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용량성 부품(84)을 다른 전압 제어장치(83)와 교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용량성 부품(84)을 절연성 하우징(62)의 성형 중에 제3섹션(80)의 웰(81) 내부에 성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용량성 부품(84)을 상기 하우징(62)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양 실시예에서 상기 용량성 부품(84)은 일측에서 전도성 결합부(87)를 통해 전류 전달 부재(72)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며, 타측에는 전압 감지 출력 커넥터(86)가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용량성 부품 단부에 형성된 내부 나사산에 의하여 용량성 부품(84)과 전도성 결합부(87) 사이의 기계적 및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이와 달리, 전도성 결합부(87)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장치의 종단부(88)를 전류 전달 부재(72)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반대쪽의 전압 감지 출력 커넥터(86)에는 전압 감지장치가 연결되어 시스템의 회로 제어를 위하여 전압을 모니터링한다. 감지장치의 출력 커넥션은(86)는 전압 감지장치의 해당 커넥터와 결합할 수 있도록 저전압 커넥터일 수도 있고, 혹은 전압 감지장치와 견고한 와이어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출력 커넥션이 느슨한 와이어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용량성 부품(84)은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 형태이거나 플럭-인 타입 어셈블리로서 하우징 제3섹션(80)의 웰(81)에 삽입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정확한 전압 모니터링에 적합한 정전 용량, 임피던스 및 저항을 갖는 다양한 세라믹 커패시터가 상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또한 신호 처리 예를 들어 증폭이나 노이즈 저감 등을 위한 능동 및 수동 회로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전압 레벨에서 다른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는 부가적인 컨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량성 부품(84)은 상기 하우징(62)의 제3섹션(80) 내에 직접 근접하여 형성된 두 개의 전극(90) 형태로 형성되어 용량성 결합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용량성 부품(84)의 출력은 (내부적 또는 외부적으로) 임피던스 부품(92)에 연결되어 전압 분재 네트워크(voltage divider network)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피던스 부품(92)은 저항기나 커패시터와 같은 수동 소자가 될 수도 있고, 출력 신호 처리를 위하여 집적 회로나 증폭기와 같은 능동 소자의 형태 가 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던지 임피던스 부품은 원하는 출력/입력 비를 조정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압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종래의 장치들은 전형적으로 200 A 로드브레이크 저감 탭 플럭에 대향되는 600 A 엘보 T형 커넥터 측에 구비된다. 전압 감지는 또한 종래의 200 A 엘보 커넥터(32)를 200 A 로드브레이크 저감 탭 플럭에 연결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커넥터 부품(60a)은 로드브레이트 탭과 연합하여 유틸리티 시스템의 동장을 용이하게 하고 작동 불능 시간(outage time)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전기 커넥터 부품(60a)은 전압 감지장치의 형태로서 전력 시스템의 전압에 비례하여 아날로그 전압 출력을 제공한다. 다른 전압 감지장치들은 해당 커넥터의 접속을 끊어 전도성 시스템의 액세스를 차단하는 반면, 본 발명의 장치는 로드브레이크 동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탭(tap), 디렉트 전압 테스트 또는 접지 포인트를 가능케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전기 커넥터 부품(60b)이 뇌전압 차단장치의 형태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상기 커넥터 부품(60b)은 크기나 형태에 있어서 도 4의 부품(60a)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부품들은 상호 교체 가능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제3섹션(83)에 캡슐화되어 있는 전압 제어장치(83)는 뇌전압 차단기(94)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커넥터 부품(60b) 역시 성형된 절연성 하우징(62)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에는 확장된 중앙 섹션(64), 종래의 T형 전력 케이블 엘보 케넥 터에 삽입되는 원뿔형으로 경사진 제1섹션(68), 및 제1섹션의 반대쪽에 위치하며 종래의 엘보 커넥터(32)에 삽입되는 원뿔형으로 경사진 제2섹션(70)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부품(60b)은 또한 제1섹션(68), 중앙 섹션(64) 및 제2섹션(70) 내부 중앙에 배치되는 전류 전달 부재(72)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 전달 부재(72)는 커넥터 부품(60b)의 원뿔형 제1섹션(68) 내부에 연장되어 있고 제1섹션(74)을 포함하며, 이 제1섹션의 종단은 나사산 형태의 단부(76)로서 케이블(10)의 종단부(38)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결합하며 또한 종래의 부싱 장치(14)의 해당 나사산 홀(42)과 결합한다. 상기 전류 전달 부재(72)의 제2섹션(78)은 환형 구조로서 전형적인 핀 및 소켓 결합 구조를 포함하여 종래의 엘보 커넥터(32)의 프로브(46)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부품(60b)은 또한 제1 및 제2섹션(68, 70) 사이의 중앙 섹션(64)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제3섹션(80)을 포함하며, 이 제3섹션 내부에는 웰(8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뇌전압 차단기(94)는 T형 하우징(62)의 제3섹션(80)의 상기 웰(81) 내부에 배치된다. 뇌전압 차단기(94)와 전류 전달 부재(72) 는 상기 웰(81) 바닥면의 전도성 결합부(87) 및 뇌전압 차단기(94) 단부에 배치된 나사산 종단부(88)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뇌전압 차단기(94)는 버스(72)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는 산화아연 차단기 블럭 적층체(zinc-oxide arrester block stack)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접지 리드(96)는 차단기의 출력 단자(98)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 부품(60b)의 전압 수준이 차단기 등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커넥터 부 품(60b)은 다양한 등급의 산화아연 차단기 블럭 적층체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뇌전압 차단기는 미국특허 제4,161,012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참고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커넥터 부품(60b)은 매개 장치 없이도 600 A 착탈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중전압 유틸리티 시스템에 비노출형 뇌전압 차단기(deadfront arrester)를 제공하면서도, 디렉트 테스트 및 접지를 위한 조건을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뇌전압 차단은 일반적으로 로드브레이크 저감 탭 플럭과 엘보 뇌전압 차단기를 병용하여 600 A 시스템을 번개로부터 보호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능을 단일의 통합 유니트로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뇌전압 차단을 위한 부품이 감소되고, 테스트 및 접지 과정 중 낙뢰 보호를 유지하며, 차단기 제거없이 200 A 탭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부품(60)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전기 등급의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전압 제어장치(83)를 하우징(62)의 제3섹션(80)의 웰(81) 내부에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커넥터 부품(60)을 현장에 설치하고 나면, 하우징(62)의 제3섹션(80)에 결합된 전압 제어장치(83)를 제거하고 원하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른 전압 제어장치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커넥터 부품(60)은 600 A 부싱 인터페이스(15kV/25kV 또는 35kV)를 일측에, 200 A 로드브레이크 인터페이스(15kV, 25kV 또는 35kV)를 타측에 구비하여 중전압 연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개별적인 사용 목적에 따라 어느 쪽이건 부싱, 부싱 웰, 엘보 또는 부싱 인터페이스, 로드브레이크 또는 데드브레이크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기술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당업자에게 가능할 것이다.

Claims (20)

  1. 중앙 섹션, 이 중앙 섹션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삽입단, 상기 중앙 섹션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삽입단, 및 상기 제1 및 제2삽입단 사이에서 상기 중앙 섹션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제3섹션을 구비하며, 상기 제3섹션은 전압 제어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웰이 형성되어 있는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삽입단, 중앙 섹션, 제2삽입단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상기 웰과 상호 작용하는 전류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웰의 바닥에 배치되는 전도성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전류 전달 부재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전압 제어장치의 종단부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소켓을 구비하는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전압 제어장치의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된 종단과 결합하기 위하여 내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섹션은 상기 하우징의 방사상으로 확장된 부분이며 제1 및 제2삽입단은 상기 중앙 섹션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원뿔형으로 경사진 부분으로서 해당 커넥터의 간섭 결합 삽입이 가능한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전달 부재는 제1섹션과 환형의 제2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섹션은 제1삽입단 내에 연장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종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섹션은 제2삽입단 내에 연장되며 전도성 프로브를 수용할 수 있는 중앙 공을 구비하는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3섹션의 웰 내에 교체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전압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압 제어장치는 상기 전류 전달 부재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장치는 전류 전달 부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 감지장치인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지장치는 상기 전류 전달 부재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정전용량적으로 전류 전달 부재의 전압을 감지하는 용량성 부품인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지장치는 일단에 단자가 구비되고 반대쪽 타단에는 전압 모니터링 출력 커넥터가 배치되며, 상기 전압 모니터링 출력 커넥터는 전압 감지장치의 해당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지장치는 출력 신호 처리를 위한 임피던스 부품을 더 포함하는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장치는 상기 전류 전달 부재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전류 전달 부재의 전압 급변을 차단하는 뇌전압 차단기를 포함하는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13. 중앙 섹션, 이 중앙 섹션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삽입단, 상기 중앙 섹션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삽입단, 및 상기 제1 및 제2삽입단 사이에서 상기 중앙 섹션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제3섹션을 구비하는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절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삽입단, 중앙 섹션, 제2삽입단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전류 전달 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제3섹션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전류 전달 부재와 전기적으로 상 호 작용하는 전압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장치는 상기 절연 하우징의 제3섹션 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섹션은 상기 하우징의 방사상으로 확장된 부분이며 제1 및 제2삽입단은 상기 중앙 섹션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원뿔형으로 경사진 부분으로서 해당 커넥터의 간섭 결합 삽입이 가능한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전달 부재는 제1섹션과 환형의 제2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섹션은 제1삽입단 내에 연장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종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섹션은 제2삽입단 내에 연장되며 전도성 프로브를 수용할 수 있는 중앙 공을 구비하는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장치는 전류 전달 부재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 감지장치인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지장치는 상기 제3섹션 내부에 일체적으로 형 성되는 용량성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용량성 부품은 상기 전류 전달 부재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정전용량적으로 전류 전달 부재의 전압을 감지하는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감지장치는 상기 전류 전달 부재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단자와, 상기 단자 반대쪽에 배치되는 전압 모니터링 출력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압 모니터링 출력 커넥터는 전압 감지장치의 해당 커넥터와 결합 가능한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장치는 상기 제3섹션 내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뇌전압 차단기를 포함하며, 상기 뇌전압 차단기는 상기 전류 전달 부재와 전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전류 전달 부재의 전압 급변을 차단하는 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KR1020060131741A 2005-12-21 2006-12-21 전압 출력 브랜치 및 디렉트 액세스 포인트를 구비하는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KR100880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264405P 2005-12-21 2005-12-21
US60/752,644 2005-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923A true KR20070066923A (ko) 2007-06-27
KR100880057B1 KR100880057B1 (ko) 2009-01-22

Family

ID=3781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741A KR100880057B1 (ko) 2005-12-21 2006-12-21 전압 출력 브랜치 및 디렉트 액세스 포인트를 구비하는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503785B2 (ko)
EP (1) EP1801928B1 (ko)
KR (1) KR100880057B1 (ko)
CN (2) CN101567493B (ko)
AU (1) AU2006252207B2 (ko)
BR (1) BRPI0605356A (ko)
CA (1) CA2571779C (ko)
ES (1) ES2598135T3 (ko)
MX (1) MXPA06014816A (ko)
TW (1) TWI32566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1309A1 (de) 2007-07-04 2009-01-15 Dongbu Hitek Co., Ltd. Halbleiterbau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KR101347761B1 (ko) * 2012-06-13 2014-01-03 주식회사 평일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13090A2 (en) * 2004-10-25 2007-08-01 Nokia Corporati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electronic devices for audio/video plugs
US7695291B2 (en) * 2007-10-31 2010-04-13 Cooper Technologies Company Fully insulated fuse test and ground device
US7798829B2 (en) * 2008-04-11 2010-09-21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Basic insulating plu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018707B2 (en) 2008-12-11 2011-09-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amperage surge arrestors
KR101017093B1 (ko) * 2009-07-28 2011-02-25 주식회사 평일 엘보접속재 활선 개폐장치
US8408925B2 (en) * 2010-02-03 2013-04-02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Visible open for switchgear assembly
US8616908B2 (en) * 2010-03-03 2013-12-31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ap with a sacrificial conductor
MX2012013475A (es) 2010-05-21 2012-12-10 Cooper Technologies Co Adapatador para retenedor de buje.
US8641434B2 (en) 2010-07-21 2014-02-04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Rotatable feedthru insert
US8388381B2 (en) * 2010-07-21 2013-03-05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Visible open for switchgear assembly
US8128423B2 (en) * 2010-07-29 2012-03-06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Visible open for switchgear assembly
EP2528168A1 (fr) * 2011-05-26 2012-11-28 Nexans Systeme de connexion électrique muni d'un dispositif de couplage
US9151788B2 (en) 2012-01-04 2015-10-06 Electrical Reliability Services, Inc. Transformer winding resistance tester test probe and method
JP5883736B2 (ja) * 2012-07-13 2016-03-1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主変圧器と高電圧機器箱の接続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鉄道車両
US9350103B2 (en) 2012-07-19 2016-05-24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mechanism
US9124050B2 (en) 2012-07-19 2015-09-01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grounding mechanism
CN102981024B (zh) * 2012-08-21 2015-11-04 中国人民解放军63892部队 一种检测电流及接地电阻的测试转换插头座及测试方法
CN102832528B (zh) * 2012-08-24 2016-03-30 深圳市沃尔核材股份有限公司 一种可分离式屏蔽型连接器的生产方法
US9728307B2 (en) * 2013-03-15 2017-08-08 Richards Manufacturing Company Sales, Inc. R-stack arrester
EP2819250B1 (en) * 2013-06-26 2022-07-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ble assembly and method of connecting a power cable to an electrical installation of a power network
CN105340145B (zh) * 2013-06-26 2019-06-18 3M创新有限公司 电力电缆端子连接装置
US9472868B2 (en) 2013-09-25 2016-10-18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Permanent ground point for splicing connectors
US9337553B2 (en) 2013-10-30 2016-05-10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Grounding rod for sacrificial appendage
US9362663B2 (en) * 2014-04-07 2016-06-07 S&C Electric Company Replaceable bushing for electrical equipment
US9385493B2 (en) * 2014-04-10 2016-07-05 S&C Electric Company Adjustable bus bar for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AU2015203548B2 (en) 2014-06-26 2016-05-12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Elbow with internal assembly system
DE202014005301U1 (de) * 2014-07-01 2014-07-17 Abb Technology Ag Kabelendverschluss zur Anbindung einer Schaltanlage an ein Hochspannungskabel
JP1541105S (ko) * 2014-12-12 2016-01-12
DE102015000301B4 (de) * 2015-01-12 2021-12-09 Isabellenhütte Heusler Gmbh & Co. Kg Kupplung der Mittelspannungstechnik oder der Hochspannungstechnik
US10451658B2 (en) * 2015-08-11 2019-10-22 Hubbell Incorporated Dead front connector having a voltage indicator
EP3136520B1 (de) * 2015-08-27 2020-03-25 Power Plus Communications AG Konusadapter zum zwischenschalten zwischen einem anschlusskonus und einem anschlussmittel sowie ein entsprechendes verfahren, ein system und eine elektrische anlage
WO2017083385A1 (en) 2015-11-09 2017-05-18 Thomas & Belts International Ll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acrificial cap and integrated test point
CN105428841A (zh) * 2015-12-31 2016-03-23 国网浙江奉化市供电公司 一种电缆接地装置
CN105470875A (zh) * 2015-12-31 2016-04-06 国网浙江奉化市供电公司 一种10kV插入式接地装置
CN105449566A (zh) * 2015-12-31 2016-03-30 国网浙江奉化市供电公司 一种接地装置
CN105680206A (zh) * 2015-12-31 2016-06-15 国网浙江奉化市供电公司 一种接地肘型插头
CN106058506B (zh) * 2016-06-14 2018-09-18 上海天灵开关厂有限公司 一种母线导电结构
CN107706877A (zh) * 2016-08-08 2018-02-16 安徽伊法拉电气有限公司 一种屏蔽型可分离式电缆终端
US20180100878A1 (en) * 2016-10-07 2018-04-12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ensing device for an electrical system
US20180316124A1 (en) * 2017-04-27 2018-11-01 Shad Patrick Fleming Insulated External Parking Bushing
US11024985B2 (en) * 2017-04-27 2021-06-01 Shad Patrick Fleming Insulated external parking bushing
EP3499246B1 (en) 2017-12-18 2024-04-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oltage divider assembly
EP3517982A1 (en) * 2018-01-29 2019-07-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oltage indication device
US10551426B1 (en) * 2018-08-23 2020-02-04 Gregory Hubert Piesinger Live URD cable elbow connectivity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D866476S1 (en) * 2018-10-18 2019-11-12 Yfc-Boneagle Electric Co., Ltd. Waterproof connector
WO2020104884A1 (en) 2018-11-20 2020-05-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d plug sensor device with voltage divider and test point features
CN111504243B (zh) * 2019-01-31 2022-12-02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适用于检测电缆连接器的端子装配深度的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US20200358222A1 (en) * 2019-05-10 2020-11-12 Hubbell Incorporated Deadbreak connector
EP3767752A1 (de) * 2019-07-18 2021-01-20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onfektioniertes elektrisches kabel, verfahren zur konfektionierung eines elektrischen kabels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US11527839B2 (en) 2020-07-07 2022-12-13 Panduit Corp. T-splice connector
US20220020513A1 (en) * 2020-07-14 2022-01-20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Surge Arrester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US11894166B2 (en) 2022-01-05 2024-02-06 Richards Mfg. Co., A New Jersey Limited Partnership Manufacturing process for surge arrestor module using compaction bladd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5534A (en) * 1967-08-15 1975-10-28 Joslyn Mfg & Supply Co Grounded surface distribution apparatus
US3980374A (en) * 1975-02-26 1976-09-14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Separable splice connector
US4161012A (en) * 1977-03-02 1979-07-10 Joslyn Mfg. And Supply Co. High voltage protection apparatus
US4175815A (en) * 1978-05-31 1979-11-27 Amerace Corporation Connector element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radial void in electrical connection
US4202591A (en) * 1978-10-10 1980-05-13 Amerace Corporation Apparatus for the remote grounding,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of high voltage electrical circuits
DE3368819D1 (en) 1982-02-20 1987-02-05 Y S Securities Ltd An electrical high-voltage connector and connection assembly
GB2154382B (en) 1983-12-14 1988-04-07 Raychem Ltd High voltage connector
DE3508329A1 (de) * 1985-03-06 1986-09-1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teckbare kabelgarnitur
GB8606442D0 (en) * 1986-03-15 1986-04-23 Northern Eng Ind Electrical connectors
US4799895A (en) * 1987-06-22 1989-01-24 Amerace Corporation 600-Amp hot stick operable screw-assembled connector system
US5114357A (en) * 1991-04-29 1992-05-19 Amerace Corporation High voltage elbow
EP0624924B1 (en) * 1993-05-12 2002-09-04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Ltd. Conductive connector for switchgear
DE9404393U1 (de) * 1994-03-16 1994-05-11 Felten & Guilleaume Energie Überspannungsableiterstecker
US5421750A (en) * 1994-05-24 1995-06-06 Amerace Corporation 200 AMP bolted elbow with a loadbreak tap
CN1210380A (zh) * 1997-08-28 1999-03-10 徐晓鹰 三相电力电缆插接式接头
CN2439733Y (zh) * 2000-07-08 2001-07-18 陶柏洪 高压电缆双通套管接头
ES2174754B1 (es) * 2001-03-30 2004-08-01 Grupo Ormazabal, S.A. Sistema modular de conexion aislada de alta tension con captacion de intensidad y tens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1309A1 (de) 2007-07-04 2009-01-15 Dongbu Hitek Co., Ltd. Halbleiterbau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KR101347761B1 (ko) * 2012-06-13 2014-01-03 주식회사 평일 접지기능을 구비한 엘보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05179A (zh) 2007-07-25
TW200740047A (en) 2007-10-16
CN101567493A (zh) 2009-10-28
EP1801928A1 (en) 2007-06-27
AU2006252207B2 (en) 2009-08-27
MXPA06014816A (es) 2008-10-16
BRPI0605356A (pt) 2007-10-16
EP1801928B1 (en) 2016-07-20
CA2571779A1 (en) 2007-06-21
CN101567493B (zh) 2011-07-27
CN100553050C (zh) 2009-10-21
US20070141882A1 (en) 2007-06-21
KR100880057B1 (ko) 2009-01-22
AU2006252207A1 (en) 2007-07-05
CA2571779C (en) 2010-02-23
TWI325661B (en) 2010-06-01
ES2598135T3 (es) 2017-01-25
US7503785B2 (en) 200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057B1 (ko) 전압 출력 브랜치 및 디렉트 액세스 포인트를 구비하는착탈형 전기 커넥터 부품
US7288718B2 (en) Separable electrical connector component for sending and receiving communication signals through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lines
US7450363B2 (en) Combination electrical connector
CA2215227C (en) Sensing apparatus for cable termination devices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JP5260683B2 (ja) モジュラ端子及びモジュラ端子ブロック
CA1249352A (en) High voltage connector
AU2006230039B8 (en) Over-voltage protection system
US7972155B1 (en) Hotstick operable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bushing well
TW201445604A (zh) 具有視覺指示的自動接地裝置
MX2011004213A (es) Conector electrico que tiene mecanismo de alineacion.
EP1391740B1 (en) High-voltage insulated modular connection system with current and voltage acquisition
US4025139A (en) Redundant electrical grounding system
US7210947B1 (en) Cable harness system, ground clips and method for electrically grounding a conductor of the cable harness system
US6644986B1 (en) Medical equipment power cord and plug
EP0510019B1 (en) Cable connector
CA2522912C (en) Sensing apparatus for cable termination devices in power distribution systems
JP2000251978A (ja) 電流測定ジャック付き端子台
CA2524606C (en) Separable electrical connector component for sending and receiving communication signals through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lines
JPH1023650A (ja) 機器直結形ケーブルヘッド
KR200303458Y1 (ko) 상시 폐로형 콘넥터 장치
BRPI0605356B1 (pt) Componente de conector elétrico desconectável possuindo um terminal de saída de tensão e um ponto de acesso dire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