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419A -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 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 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419A
KR20070066419A KR1020050127560A KR20050127560A KR20070066419A KR 20070066419 A KR20070066419 A KR 20070066419A KR 1020050127560 A KR1020050127560 A KR 1020050127560A KR 20050127560 A KR20050127560 A KR 20050127560A KR 20070066419 A KR20070066419 A KR 20070066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hospital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7947B1 (ko
Inventor
설진안
박주희
오영환
Original Assignee
설진안
박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진안, 박주희 filed Critical 설진안
Priority to KR1020050127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947B1/ko
Publication of KR20070066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가 진료 받은 병원의 외탁형 의료전문 관리 서비스업체 간의 환자 정보 및 그 결과를 상호 피드백 받을 수 있도록 이동통신단말기로 무선통신 하며, 환자가 그 결과에 따라 다시 병원을 방문하였을 때 RFID태그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진료 및 처방을 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해주는 의료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병원을 최초로 방문한 환자가 헬스케어센터의 서비스를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형태로 송수신 받도록, 상기 병원의 처방전달 시스템과 통신하여 환자가 병원에 제출한 환자정보를 전송받는 OCS인터페이스모듈과; 상기 OCS인터페이스모듈로부터 전송된 환자정보를 환자별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는 DB서버와; 복수개의 질병 종류별로 각각 관리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어, 상기 DB서버의 환자정보를 프로그램에 입력시켜 의료정보를 생성하며, 환자가 전송한 건강상태정보를 DB서버에 전달하는 진단시트모듈과; 상기 프로그램에 설정된 시간과 날짜에 따라 자동으로 환자에게 진단시트모듈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진 스케줄러와; 상기 의료정보에 따라 환자가 답신한 건강상태정보를 분석하고 그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분석모듈과; 상기 스케줄러와 상기 분석모듈의 정보를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메시지형식으로 송수신하는 SMS 매니저와; 상기 분석모듈의 결과에 따라 병원 방문을 위해 환자가 소지하는 RFID태그를 포함하고 있어 환자가 자가 측정한 건강상태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헬스케어센터와 계속적으로 피 드백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RFID태그, 병원, 환자, 이동통신단말기, 처방전, 진료, OCS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 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 MEDICAL TREATMENT SERVICE USING RFID TAG AND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전체 블록구성도 중에서 헬스케어센터의 제공 모듈들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헬스케어시스템
20 : 병원 시스템
30 : 약국 시스템
본 발명은 환자가 회원가입 되어 있는 의료전문 관리 서비스업체에 자신의 현재 건강지수를 나타내는 환자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그 결과를 받을 수 있으며, 그 결과에 따른 병원 방문에 있어서, 편리한 접수 및 진료와 처방을 받을 수 있도록 유비쿼터스 환경 하의 병원 및 약국에 설치된 리더기로 환자의 RFID태그를 식별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학이 발달함에 따라 현대인들의 수명은 그만큼 늘어나게 되어 생명연장의 꿈을 현실화하고 있지만, 이로 인해 사회는 점점 고령화 되어가고, 이에 따른 각종 노인성 질병은 날로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노인성 질병만이 아니더라도 사회가 점점 선진국 형으로 갈수록 현대인들의 가장 큰 관심은 바로 자신의 건강상태이자 의학정보이이며, 각종 매스컴 및 사회 분위기 역시 이들에게 보다 만족할 만한 의학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학정보는 어디에서든 범람하고 있으나, 이들은 일반적인 증상 및 질환에 관한 내용들이며 환자 자신이 꼭 필요로 하는 의학정보 및 진단 결과는 직접 병원을 찾아가 진료를 받지 않고서는 섣불리 판단해서도 판단되지도 않는 문제일 것이다.
특히 당뇨병과 같이 매일 혈당을 체크해야 하고,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및 약물요법을 병행하여 평생 관리되어져야 하는 성인병들은 하루에도 몇 번씩 뒤바뀌는 자신의 증세에 따라 매번 병원을 찾아가 진료와 처방을 받는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성인병 중에서도 가장 관리가 어렵다는 당뇨병의 경우, 병원에서는 환자에게 자신의 혈당을 하루에 정해진 시간과 횟수만큼 체크하여 기록할 수 있는 혈당기록수첩을 나누어 주고 있으며 환자는 정해진 시간마다 빠짐없이 직접 측정한 혈당치를 수첩에 기록하여 다음 진료 시 담당의사의 진단 및 처방에 참고자료가 되도록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환자들은 매 식후 2시간 후라는 정확한 시간을 맞춰 혈당을 체크한다는 것이 여간 힘든 일이 아니며, 측정된 혈당치가 기준범위를 벗어난다고 하더라도 이에 바로 대응할 수 있는 진료 및 처방을 받을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국내의 핸드폰 제조사에서 출시된 바 있는 당뇨폰은 IT와 의료서비스에서도 컨버전스가 이루어 진다는 것을 명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당뇨폰을 이용하여 쉽고 편리하게 자신의 건강상태를 체크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그러나 이 당뇨폰은 특정질환인 당뇨에 제한적이며, 기존의 당뇨체크를 위해 사용하던 당뇨기기를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환자가 이상 징후를 발견한 후 매번 병원을 찾아가게 되더라도, 진료비 뿐만 아니라 병원 예약에서부터 진료받기 위한 대기시간 등 몸이 불편한 환자에게는 이만저만 불편한 과정이 아닐 수 없다.
이제까지 의료 서비스가 제공되어 왔던 의료 공간은 물리적으로 병원 건물의 내부로 한정되어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문자 그대로 의료공간의 곳곳에 의료서비스와 관련된 칩과 센서를 이용한 RFID기술을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환자의 집에서도 자신의 상태를 진단하여 다양한 통신채널을 통해 병원의 시스템에 정보를 보내는 원격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원격 의료서비스의 경우 환자의 건강을 수시로 체크해야 하며 다양한 의료서비스 정보를 제한적인 공간에서만 받아볼 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 시행중인 처방전 시스템은 허위 처방전 발급을 통한 진료비 허위청구 사례가 발생하는 등 의료적으로 제도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별화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의료 서비스 영역을 유비쿼터스 환경에 맞게 모든 접촉 장소로 확장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환자의 건강에 관한 이상 징후와 이 환자가 병원에 내방했을 경우 RFID 기술을 이용하여 병원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환자를 인식하여 SMS(단문메시지) 형태로 직접 대응함으로써 1:1 고객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 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헬스케어센터로부터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된 환자상태정보 입력 메시지에 의해 정해진 시간 혹은 날짜에 맞는 환자상태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정확한 환자건강지수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환자상태정보를 수신받은 헬스케어 센터의 분석모듈에 의해 환자의 건강상태가 분석되고, 분석된 건강상태 정보가 다시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분석결과 메시지로 전송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가 상기의 분석결과 메시지에 의해 병원을 방문할 때, 환자가 소지하고 있는 RFID태그를 식별할 수 있는 리더기를 병원 에 설치하여, 이에 의해 예약, 수속, 진료 및 처방 등의 모든 절차를 자동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RFID태그를 식별할 수 있는 리더기가 약국에도 설치되어 있어, 약국을 방문한 환자가 종이처방전 없이 RFID태그에 저장된 처방전 코드를 이용하여 환자의 해당 처방약을 조제받을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은 환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해주는 의료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병원을 최초로 방문한 환자가 헬스케어센터의 서비스를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형태로 송수신 받도록, 상기 병원의 처방전달 시스템과 통신하여 환자가 병원에 제출한 환자정보를 전송받는 OCS인터페이스모듈과; 상기 OCS인터페이스모듈로부터 전송된 환자정보를 환자별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는 DB서버와; 복수개의 질병 종류별로 각각 관리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어, 상기 DB서버의 환자정보를 프로그램에 입력시켜 의료정보를 생성하며, 환자가 전송한 건강상태정보를 DB서버에 전달하는 진단시트모듈과; 상기 프로그램에 설정된 시간과 날짜에 따라 자동으로 환자에게 진단시트모듈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진 스케줄러와; 상기 의료정보에 따라 환자가 답신한 건강상태정보를 분석하고 그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분석모듈과; 상기 스케줄러와 상기 분석모듈의 정보를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메시지형식으로 송수신하는 SMS 매니저와; 상기 분석모듈의 결과에 따라 병원 방문을 위해 환자가 소지하는 RFID태그를 포함하고 있어 환자가 자가 측정한 건강상태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헬스케어센터와 계속적으로 피드백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분석모듈의 분석 결과정보가 환자가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할 경우에 상기 처방전달 시스템 인터페이스는 병원의 처방전달시스템에 접속하여 환자의 예약을 대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처방전달 시스템 인터페이스는 환자가 전송하여 DB에 저장되어 있는 건강상태정보를 병원의 처방전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병원의 처방전달 시스템은 DB매니저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헬스케어센터의 처방전달 시스템 인터페이스모듈로부터 전송된 환자의 건강상태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아 DB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병원은 병원건물 내부에 RFID 태그를 식별하는 복수개의 RFID 리더기를 설치하고 있어, 상기 환자가 소지한 RFID태그와 접촉함에 의해 태그정보가 리더기에 의해 환자위치관리모듈로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환자위치관리모듈은 상기 태그정보를 입력받아 환자의 예약 상황을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로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사의 진료실에 설치된 상기 RFID 리더기는 환자의 RFID태그의 태그정보를 읽어 상기 처방 전달 시스템으로부터 환자의 차트정보를 출력시켜, 의사가 처방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환자가 헬스케어센터에 전송하여 병원의 DB에 저장되어 있는 건강상태정보는 차트정보와 함께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사의 처방을 받은 환자가 약국을 방문하여 자신의 RFID태그를 약국에 설치된 리더기에 접촉하고, 상기 처방전달시스템의 처방정보에 따라 약이 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해주는 의료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료를 받게 되는 병원방문단계(S10)와; 헬스케어센터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고자, 헬스케어센터에 환자정보를 등록하도록 하는 환자정보등록단계(S11)와;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상기 헬스케어센터로부터 환자의 질환에 따른 정해진 스케줄에 해당하는 정보와 건강상태정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받게 되고, 요구되는 상기 메시지에 따라 환자가 직접 측정한 건강상태정보를 입력하여 헬스케어센터에 전송하게 되는 정보피드백단계(S20)와; 전송받은 환자의 건강상태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다시 환자의 이동통신단말의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여 환자가 건강상태정보에 의한 결과를 바로 받아볼 수 있는 결과확인단계(S30)와; 분석모듈의 분석 결과, 병원방문이 필요할 경우에는 환자에게 자동으로 병원측에 환자의 예약수속을 수행하게 되고, 환자에게 예약된 병원을 알리게 되는 예약 및 방문 단계(S40)와; 환자가 예약 및 병원방문에 동의하고 병원을 방문한 환자가 병원에 들어가게 되면 RFID카드를 인식한 리더기가 태그정보를 읽어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예약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받게 되는 SMS 메시지확인단계(S50)와; 의사와의 진료시간을 갖게 되는 진료단계(S60)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정보를 입력하여, 회원이 된 환자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헬스케어센터의 의료서비스를 받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에 버추얼 머신을 설치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진료단계(S60)에서 환자는 계속적인 헬스케어센터의 서비스를 받을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단계(S80)를 더 포함하고 있어, 헬스케어서비스를 받기를 원할 경우 다시 정보피드백단계(S20)로 돌아가 헬스케어센터와의 메 시지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되며, 헬스케어서비스를 종료하기를 원하는 경우 환자는 더 이상 헬스케어센터와의 메시지 전송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의사의 처방정보를 받은 환자가 별도의 처방전 없이 RFID태그를 들고 약국을 찾아가서, 약국의 리더기에 자신의 RFID태그를 접촉하여 태그정보에 들어 있는 의사의 처방정보에 따라 약을 조제 받아 복용하는 약국 방문 및 처방단계(S7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진료단계(S60)에 있어서, 의사가 소지한 리더기에 환자의 RFID태그를 인식시켜 태그정보를 통해 환자의 차트정보를 웹브라우저상으로 불러내게 되며, 상기 환자가 헬스케어센터에 전송한 건강상태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여 진단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에 상세히 설명될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전체 블록구성도 중에서 헬스케어센터의 제공 모듈들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서비스 시스템의 모델 대상은 환자, 헬스케어센터 그리고 병원이 된다.
상기 환자는 암, 고혈압, 당뇨와 같은 성인병을 포함한 어떠한 질병을 가진 사람이라도 상관이 없으며, 행여 질병으로 분류되지 않더라도 건강에 문제가 있는 증후군을 가진 사람, 혹은 현재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건강을 관리할 목적을 가진 사람 모두가 해당한다.
또한 환자는 회원 등록 후 상기 헬스케어센터의 요청을 받아 자신의 건강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SMS(단문메시지) 혹은 MMS(멀티미디어메시지)로 송수신할 수도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헬스케어센터의 VM(버추얼머신) 프로그램을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다운받아 정보를 송수신 할 수도 있다.
상기 병원은 RFID리더기를 환자대기실, 출입구, 의사의 책상 등과 같은 건물 내부 곳곳에 배치되게 설치하고 있다 .
상기 헬스케어센터는 병원과 연계되어 원격의료를 제공하는 보건서비스 센터로써,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이동통신망과 연동되어 있다.
상기 환자는 자신의 현재 건강상태를 알고 유지, 관리하기 위해 병원을 최초로 방문하게 되고, 의사의 진료와 함께 환자의 의사 내지는 의사의 판단 및 권유에 따라, 환자는 헬스케어센터의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의료전문 관리 서비스를 받기 위한 환자정보를 병원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병원은 상기 환자정보를 헬스케어센터에 전송하여 향후의 원격의료 서비스 관리대상에 등록시키도록 하며, 상기 헬스케어센터의 원격의료서비스를 환자에게 제공하도록 일정한 과금을 지불하게 된다.
상기 헬스케어센터는 병원으로부터 환자정보를 제공받아 환자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확인메시지를 포함한 다양한 의료정보를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게 되어 환자의 건강상태를 피드백하게 된다.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그 결과가 병원의 진료를 요구하는 상황이면 상기 헬스케어센터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축되어 있는 해당(환자가 진료받아야 할 진료과목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병원에 연락하여 환자의 진료를 받기 위한 예약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지금까지 환자가 기록하여 전송한 환자 건강상태정보를 해당 병원의 병원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한다.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게 되면, 환자는 병원입구에서부터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예약 상황 및 진료대기시간 등의 정보를 전송받게 되며, 환자가 의사로부터 진료를 받게 됨에 있어서도, 의사의 책상위에 설치된 리더기로 상기 환자의 RFID태그를 읽어 들여 웹브라우저 상으로 나타나는 전자차트와 상기 헬스케어센터로부터 전송된 건강상태정보를 통해 환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게 되며, 전자차트에 현재 환자의 처방을 입력하여 진료를 마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와 환자의 RFID 태그 정보에 의해 헬스케어센터 시스템(10), 병원 시스템(20), 약국 시스템(30)이 연계하여 작동된다.
도 3의 헬스케어센터의 세부 시스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헬스케어센터는 기존 병원의 레거시 시스템과 정보교환을 위한 OCS인터페이스모듈, 스케줄에 따 라 환자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환자에게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진 스케줄러, 다양한 질병 및 질환을 각각 관리하기 위한 진단시트모듈, 수집된 환자의 건강상태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모듈,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 받는 SMS 매니저로 구성된다.
상기 OCS인터페이스모듈은 병원의 DB매니저와 서로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어, 병원으로부터 제공되는 환자정보를 전달받고, 환자의 누적된 건강상태정보를 병원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OCS인터페이스모듈은 환자의 건강상태정보를 파악하여 병원의 진료가 요구될 경우 환자정보를 전달받은 병원에 환자의 예약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헬스케어센터는 DB서버를 포함하고 있어, 병원으로부터 전송된 환자가 병원에 제출한 환자정보를 환자별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타베이스는 환자의 성별, 나이, 가족력, 환자의 과거 및 현재 앓고 있는 질병과 같은 환자의 기본적인 신상정보에서부터 과거의 질병, 수술경험, 건강관리 받고자 하는 의료분야, 환자의 주치의, 선호하는 병원 등과 같이 환자가 선택적으로 관리받고자 하는 의료정보에 대해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는 설정정보에 이르기까지 환자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상세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DB서버는 진단시트모듈로부터 전송받은 환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입력받고, 분석모듈과 스케줄러에 상기 건강상태정보 및 환자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단시트모듈은 다양한 질병 및 질환별로 차별적으로 관리되어져야 하 는 환자를 위해 질병 및 질환별 관리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으며, 환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전송한 건강상태정보를 입력받아 DB서버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당뇨환자로 등록된 환자인 경우, 상기 진단시트모듈의 당뇨 프로그램에서는 상기 DB서버로부터 환자정보를 전달받아,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로 식단을 알려주고, 식사 후 적절한 운동을 제안하는 메시지를 보내주며, 식사시간 2시간 후의 혈당체크를 위해 이동통신단말기로 환자의 혈당정보 입력을 위한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비만관리를 하는 회원인 경우 다이어트에 관한 메시지를 매일 문자메시지로 전송하게 되며, 환자가 입력한 활동량과 섭취한 식사량을 입력하게 되면, 그에 따른 섭취된 칼로리와 소비된 칼로리를 분석하여 적절한 운동과 식이요법을 메시지로 제시하게 된다.
상기 분석모듈은 환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전송한 건강상태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있어, 해당 환자에게 다시 적절한 질의를 요구하거나 분석된 결과에 따른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스케줄러는 상기 진단시트모듈의 질환별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건강정보 중에서 시간별로 전송되도록 설정된 메시지를 해당시간 및 날짜에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케줄러는 SMS 매니저와 연계되어 있어 상기 분석모듈의 메시지 내용을 SMS 문자형태로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되도록 한다.
혹은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 버전을 파악하여, 미리 다운로드 되어진 VM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병원 시스템은 병원OCS 시스템과 RFID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병원OCS(Order Communication System, 처방전달 시스템) 시스템이란 각종의학정보 및 환자들의 진찰자료를 보관한 DB와 의사가 환자를 진단한 후 처방전을 통신망을 통해 각 해당 진료부서로 전달해주는 시스템으로 환자의 등록에서 진료, 수납까지 원내 모든 데이타를 관리 전달하는 것은 물론 병원의 모든 행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의료 정보시스템이다.
상기 OCS시스템은 DB매니저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헬스케어센터의 OCS인터페이스모듈로부터 전송된 환자의 건강상태정보를 인터넷망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아 OCS시스템의 DB에 저장해 두었다가, 환자의 병원 예약 및 환자건강상태정보를 전송하여 진료 시의 자료로 이용하도록 한다.
유비쿼터스 환경하의 상기 병원은 병원건물 내의 곳곳에 RFID 태그를 식별할 수 있는 리더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더기는 병원 입구, 대기실 등 대기환자의 분포가 많은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헬스케어센터에 의해 진료 예약된 환자가 RFID태그와 이동통신단말기를 소지하여 병원입구에 들어서게 되면, 환자의 RFID태그의 태그정보가 리더기에 의해 최초로 읽히게 된다.
상기 리더기는 태그정보를 무선 혹은 유선망을 통해 환자위치관리모듈로 전송하며, 상기 환자위치관리모듈은 OCS시스템에 접촉하여 환자정보의 예약 상황을 파악한 뒤 환자가 병원을 방문했음을 인식하고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병원방문 및 예약 시간 및 대기인원 담당의사 등의 정보를 문자메시지로 최초로 알려준다.
또한 곳곳에 배치된 리더기에 환자가 소지한 RFID태그가 읽힐 때마다 상기 태그정보는 환자위치관리모듈로 계속적으로 전송되어 환자의 병원 내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또한 환자의 진료순서에 따라 의사와 진료를 받을 시에도 의사의 방에 배치되어 있는 리더기에 환자의 RFID태그를 접촉하여 태그정보에 의한 환자의 진료차트를 웹브라우저 상에서 의사가 열람할 수 있게 된다.
환자가 진료를 다 받고 병원을 나갈 때에도 상기 환자위치관리모듈은 출입문에 배치된 리더기가 인식한 RFID태그정보를 전송받아 '방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히 가십시오' 등과 같은 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수신하도록 한다.
상기 약국 시스템은 OCS인터페이스모듈과 약국 수납부에 배치되는 RFID리더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OCS인터페이스모듈은 병원의 OCS시스템에 저장된 의사가 처방한 환자의 처방정보를 전송받게 된다.
또한 상기 RFID리더기는 환자방문에 의해 RFID태그가 접촉하면, 환자의 태그정보를 읽게 되고, 상기 약국의 웹서비스모듈은 상기 태그정보와 연계된 환자의 상기 처방정보가 웹브라우저 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환자가 병원에 최초로 방문하여 향후 헬스케어센터의 의료서비스를 받을 것을 동의한 후 기재하는 환자정보는 상기 병원의 OCS시스템을 통해 입력이 되며, 입 력된 환자정보는 상기 헬스케어센터의 OCS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헬스케어센터의 DB에 저장된다.
상기 스케줄러와 진단시트모듈의 프로그램 작동에 의해, 건강상태확인 메시지는 SMS 매니저를 통해 설정된 시간과 날짜에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며, 상기 건강상태확인 메시지에 따라 환자의 자가측정 된 몸무게, 혈당치, 혈압지수 등과 같은 건강상태정보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헬스케어센터에 전송된다.
상기 헬스케어센터의 진단시트모듈에 전송된 건강상태정보는 DB에 저장된 후 분석모듈의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되고 프로그램의 분석에 의해 생성된 결과정보는 SMS매니저를 통해 다시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송된다.
이때 상기 결과정보 중 환자의 병원 진료가 필요할 때는 병원진료 메시지가 생성되는데 상기 병원진료메시지가 생성되는 동시에 환자의 병원예약 정보가 상기 OCS인터페이스를 통해 병원의 OCS시스템에 전달되어 등록된다.
상기 환자의 병원방문과 함께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예약 상황을 알리는 알림메시지가 전송된다.
또한 의사의 진료과정에서 있어서, 환자의 RFID태그를 리더기에 접촉함과 동시에 환자의 태그정보가 OCS시스템에 전송되어 환자의 진료차트를 출력하게 한다.
의사에 의해 상기 진료차트에 기재되는 처방정보는 상기 약국의 OCS인터페이스에 전달되며, 상기 환자의 약국방문에 의해 RFID태그의정보가 약국의 리더기에 의해 읽히게 되면, 웹브라우저 상으로 환자의 처방정보가 확인이 된다.
도 4는 환자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헬스케어센터와 RFID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는 병원의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다.
우선 환자는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료를 받게 되는 병원방문단계(S10)를 거치게 되고, 헬스케어센터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의사표시를 하게 되면, 환자정보를 기입하여 헬스케어센터에 환자정보를 등록하도록 하는 환자정보등록단계(S11)를 거치게 된다.
상기 환자정보등록단계(S11)의 환자정보는 키, 몸무게, 나이, 가족력 등과 같은 신상정보 및 주치의, 관리 받고자 하는 병명 등의 설정정보와 같은 회원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환자가 설정정보에서 관리받고자 하는 병명을 기재하게 되면, 앞으로 헬스케어센터에서는 그에 해당하는 건강정보 및 환자의 건강상태에 대한 결과를 전송하게 되며, 환자가 완치되거나 추가로 관리 받아야 할 병명이 생기게 될 경우 또 다른 병명을 기재함으로써, 회원정보가 수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환자가 환자정보를 상기 헬스케어센터에 등록하지 않고자 하면 환자는 매번 병원을 직접 방문하여 자신의 건강상태를 진단받게 된다.
상기 환자정보등록단계(S11)에 의해 환자정보를 입력하여, 회원이 된 환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헬스케어센터의 의료서비스를 받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에 VM(버추얼 머신)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VM은 상기 헬스케어센터의 프로그램 스케줄에 따라 정해진 시간과 날짜 에 전송되는 메시지를 보다 쉽게 확인하고 환자의 건강상태정보를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상기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헬스케어센터로부터 환자의 관심분야 의학정보를 메시지로 전송받거나, 환자의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건강상태정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받게 되고, 요구되는 상기 메시지에 따라 환자가 직접 측정한 온도, 혈당치, 혈압, 몸무게 등과 같은 건강지수 혹은 섭취한 음식, 운동량 등과 같은 건강상태정보를 입력하여 헬스케어센터에 전송하게 되는 정보피드백단계(S20)를 거치게 된다.
상기 정보피드백단계(S20)를 수행하게 되면, 헬스케어센터는 전송받은 환자의 건강상태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다시 환자의 이동통신단말의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여 주게 되며, 환자는 다시 자신이 보낸 건강상태정보에 의한 결과를 바로 받아볼 수 있는 결과확인단계(S30)를 거치게 된다.
상기 결과확인단계(S30)는 상기 헬스케어센터의 분석모듈의 분석결과에 의해 병원의 진료가 필요하지 않은 결과가 나올 때는 다시 정보피드백단계(20)로 돌아가 계속적인 정보교환을 수행하게 되고, 현재 환자의 건강상태 및 상기 건강상태에 대처하는 운동요법, 식이요법 등을 제공받게 된다.
또한 약물요법이 요구되거나, 전문의사의 처방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병원방문을 권하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병원방문이 필요할 경우에는 환자에게 자동으로 병원측에 환자의 예약수속을 수행하게 되고, 환자에게 예약된 병원을 알리게 되는 예약 및 방문 단계(S40)를 거치게 된다.
하지만 병원의 진료가 필요한데도 환자가 병원방문을 거부하게 되면, 환자 스스로 건강관리를 최대한 할 수 있도록 헬스케어센터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자가건강관리단계(S41)를 수행하게 된다.
환자가 예약 및 병원방문에 동의하면, 환자는 병원을 방문하게 되고, 병원의 입구에서 제공하는 RFID태그가 부착된 환자카드를 들고 병원에 들어가게 된다.
환자가 병원에 들어가게 되면 RFID카드를 인식한 리더기가 태그정보를 읽어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예약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받게 되는 SMS 메시지확인단계(S50)를 거치게 된다.
메시지를 확인한 환자는 대기시간을 기다려 의사와의 진료시간을 갖게 되는 진료단계(S60)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의사의 책상에 놓여진 리더기에 환자의 RFID태그를 인식시켜 태그정보를 통해 환자의 차트정보를 웹브라우저상으로 불러내게 되며, 상기 환자가 헬스케어센터에 전송한 건강상태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여 진단받게 된다.
또한 환자는 계속적인 헬스케어센터의 서비스를 받을지를 선택하는 선택단계(S80)를 가질 수 있으며, 헬스케어서비스를 받기를 원할 경우 다시 정보피드백단계(S20)로 돌아가 헬스케어센터와의 메시지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헬스케어서비스를 종료하기를 원하는 경우 환자는 더 이상 헬스케어센터와의 메시지 전송을 하지 않게 된다.
상기 의사의 처방정보를 받은 환자는 별도의 처방전 없이 RFID태그를 들고 약국을 찾아가게 되는 약국 방문 및 처방단계(S70)를 수행하게 되고, 약국의 리더 기에 자신의 RFID태그를 접촉하여 태그정보에 들어 있는 의사의 처방정보에 따라 약을 조제받아 복용하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은, 환자가 회원 가입되어 있는 헬스케어 센터로부터 환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된 환자상태정보 입력 메시지에 의해 정해진 시간 혹은 날짜에 맞는 환자상태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빠짐없이 정확한 시간에 환자건강지수를 기록할 수 있어 의사의 진단을 위한 보다 충실한 환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환자상태정보를 수신받은 헬스케어 센터의 분석모듈에 의해 환자의 건강상태가 분석되고, 분석된 건강상태 정보가 다시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분석결과 메시지로 전송되므로, 환자가 상기 분석결과 메시지의 행동지침에 따라 처신하게 되어 건강의 악화 및 환자의 정신적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은, 환자가 상기의 분석결과 메시지에 의해 병원을 방문할 때, 환자가 소지하고 있는 RFID태그를 식별할 수 있는 리더기를 병원 에 설치하여, 이에 의해 예약, 수속, 진료 및 처방 등의 모든 절차를 자동화할 수 있어 병원을 처음 찾는 환자나 복잡한 시스템을 가진 종합병원의 절차도 연세 많으신 노인분이라고 할지라도 쉽게 진료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RFID태그를 식별할 수 있는 리더기가 약국에도 설치되어 있어, 약국을 방문한 환자가 종이처방전 없이 자신의 해당 처방약을 조제받을 수 있어 의료비 허위 청구의 제도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4)

  1. 환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해주는 의료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병원을 최초로 방문한 환자가 헬스케어센터의 서비스를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메시지형태로 송수신 받도록, 상기 병원의 처방전달 시스템과 통신하여 환자가 병원에 제출한 환자정보를 전송받는 OCS인터페이스모듈과;
    상기 OCS인터페이스모듈로부터 전송된 환자정보를 환자별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는 DB서버와;
    복수개의 질병 종류별로 각각 관리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어, 상기 DB서버의 환자정보를 프로그램에 입력시켜 의료정보를 생성하며, 환자가 전송한 건강상태정보를 DB서버에 전달하는 진단시트모듈과;
    상기 프로그램에 설정된 시간과 날짜에 따라 자동으로 환자에게 진단시트모듈의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진 스케줄러와;
    상기 의료정보에 따라 환자가 답신한 건강상태정보를 분석하고 그 결과정보를 출력하는 분석모듈과;
    상기 스케줄러와 상기 분석모듈의 정보를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메시지형식으로 송수신하는 SMS 매니저와;
    상기 분석모듈의 결과에 따라 병원 방문을 위해 환자가 소지하는 RFID태그를 포함하고 있어 환자가 자가 측정한 건강상태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헬스케어센터와 계속적으로 피드백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 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모듈의 분석 결과정보가 환자가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할 경우에 상기 처방전달 시스템 인터페이스는 병원의 처방전달시스템에 접속하여 환자의 예약을 대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달 시스템 인터페이스는 환자가 전송하여 DB에 저장되어 있는 건강상태정보를 병원의 처방전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의 처방전달 시스템은 DB매니저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헬스케어센터의 처방전달 시스템 인터페이스모듈로부터 전송된 환자의 건강상태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아 DB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은 병원건물 내부에 RFID 태그를 식별하는 복수개의 RFID 리더기를 설치하고 있어, 상기 환자가 소지한 RFID태그와 접촉함에 의해 태그정보가 리더기에 의해 환자위치관리모듈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위치관리모듈은 상기 태그정보를 입력받아 환자의 예약 상황을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메시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의사의 진료실에 설치된 상기 RFID 리더기는 환자의 RFID태그의 태그정보를 읽어 상기 처방 전달 시스템으로부터 환자의 차트정보를 출력시켜, 의사가 처방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 료 서비스 시스템.
  8. 제 4항 내지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가 헬스케어센터에 전송하여 병원의 DB에 저장되어 있는 건강상태정보는 차트정보와 함께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의사의 처방을 받은 환자가 약국을 방문하여 자신의 RFID태그를 약국에 설치된 리더기에 접촉하고, 상기 처방전달시스템의 처방정보에 따라 약이 조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시스템.
  10. 환자의 건강상태를 관리해주는 의료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환자가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료를 받게 되는 병원방문단계(S10)와;
    헬스케어센터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고자, 헬스케어센터에 환자정보를 등록하도록 하는 환자정보등록단계(S11)와;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상기 헬스케어센터로부터 환자의 질환에 따른 정해진 스케줄에 해당하는 정보와 건강상태정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받게 되고, 요구되는 상기 메시지에 따라 환자가 직접 측정한 건강상태정보를 입력하여 헬스케어센터에 전송하게 되는 정보피드백단계(S20)와;
    전송받은 환자의 건강상태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다시 환자의 이동통신단말의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여 환자가 건강상태정보에 의한 결과를 바로 받아볼 수 있는 결과확인단계(S30)와;
    분석모듈의 분석 결과, 병원방문이 필요할 경우에는 환자에게 자동으로 병원측에 환자의 예약수속을 수행하게 되고, 환자에게 예약된 병원을 알리게 되는 예약 및 방문 단계(S40)와;
    환자가 예약 및 병원방문에 동의하고 병원을 방문한 환자가 병원에 들어가게 되면 RFID카드를 인식한 리더기가 태그정보를 읽어 환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예약 상황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받게 되는 SMS 메시지확인단계(S50)와;
    의사와의 진료시간을 갖게 되는 진료단계(S60)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환자정보를 입력하여, 회원이 된 환자가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헬스케어센터의 의료서비스를 받기 위해 이동통신단말기에 버추얼 머신을 설치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진료단계(S60)에서 환자는 계속적인 헬스케어센터의 서비스를 받을지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단계(S80)를 더 포함하고 있어, 헬스케어서비스를 받기를 원할 경우 다시 정보피드백단계(S20)로 돌아가 헬스케어센터와의 메시지 송수신이 이루어지게 되며, 헬스케어서비스를 종료하기를 원하는 경우 환자는 더 이상 헬스케어센터와의 메시지 전송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의사의 처방정보를 받은 환자가 별도의 처방전 없이 RFID태그를 들고 약국을 찾아가서, 약국의 리더기에 자신의 RFID태그를 접촉하여 태그정보에 들어 있는 의사의 처방정보에 따라 약을 조제받아 복용하는 약국 방문 및 처방단계(S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단계(S60)에 있어서, 의사가 소지한 리더기에 환자의 RFID태그를 인식시켜 태그정보를 통해 환자의 차트정보를 웹브라우저상으로 불러내게 되며, 상기 환자가 헬스케어센터에 전송한 건강상태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여 진단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 방법.
KR1020050127560A 2005-12-22 2005-12-22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 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787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560A KR100787947B1 (ko) 2005-12-22 2005-12-22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 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560A KR100787947B1 (ko) 2005-12-22 2005-12-22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 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419A true KR20070066419A (ko) 2007-06-27
KR100787947B1 KR100787947B1 (ko) 2007-12-24

Family

ID=3836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560A KR100787947B1 (ko) 2005-12-22 2005-12-22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 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9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425B1 (ko) * 2010-04-08 2012-05-04 국립암센터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WO2015179791A1 (en) * 2014-05-22 2015-11-26 Spear Steven J Real-time problem reporting and alert system
CN111883221A (zh) * 2020-07-16 2020-11-03 关涛 一种慢性病患者院外数据获取分析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070A (ko) * 2003-10-24 2003-12-01 송호진 건강상태 측정기가 결합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건강정보 제공 시스템
KR100580661B1 (ko) * 2003-11-28 2006-05-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49448A (ko) * 2005-04-22 2005-05-25 (주)휴메인홀딩스 인터넷 망을 기반으로 한 주거공간위주의 원격진료 시스템및 원격진료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425B1 (ko) * 2010-04-08 2012-05-04 국립암센터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WO2015179791A1 (en) * 2014-05-22 2015-11-26 Spear Steven J Real-time problem reporting and alert system
GB2541845A (en) * 2014-05-22 2017-03-01 J Spear Steven Real-time problem reporting and alert system
US10310717B2 (en) 2014-05-22 2019-06-04 Steven J. Spear Real-time problem reporting and alert system
CN111883221A (zh) * 2020-07-16 2020-11-03 关涛 一种慢性病患者院外数据获取分析系统
CN111883221B (zh) * 2020-07-16 2023-09-12 关涛 一种慢性病患者院外数据获取分析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947B1 (ko) 2007-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2093B2 (en) Home care logistics and quality assurance system
CN1311781C (zh) 无线糖尿病管理装置及使用该装置的方法
US80107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a patient and healthcare professional
US8290792B2 (en) Prescription compliance monitoring system
EP1331874B1 (en) A health outcomes and disease management network for providing improved patient care
EP1358745B1 (en) Medical device systems implemented network system for remote patient management
US200700330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rehensive remote patient monitoring and management
US20030149593A1 (en) Health-care system
US20100205005A1 (en) Patient oriented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US20140278552A1 (en) Modular centralized patient monitoring system
WO2007070551A2 (en) Providing authentication of remotely collected external sensor measures
WO2005122033A1 (ja) 医療総合情報装置及び医療総合情報システム
KR20060064885A (ko)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WO2009083840A1 (en) Pre-examination medical data acquisition system
US20180052958A1 (en) Patient-owned electronic health records system and method
JP2005227928A (ja) 在宅療養・治療支援システム
WO2013136600A1 (ja) 生体情報配信サーバ、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これを利用した医療支援システム
CA2419501A1 (en) Medical device systems implemented network scheme for remote patient management
KR100787947B1 (ko) 이동통신단말기와 rfid 태그를 이용한 의료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TWM544685U (zh) 用於失能者或病患的遠距健康醫療長期照護管理系統
JP2004213321A (ja) 医療業務支援端末
WO2006126251A1 (ja) 薬歴情報管理装置、薬歴情報提供装置及び薬歴情報の提供方法
KR20110112715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건강관리 방법,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
KR20070055895A (ko)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WO2001071641A2 (en) Patient medication assessment and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