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6150A - 간이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간이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6150A
KR20070066150A KR1020050126973A KR20050126973A KR20070066150A KR 20070066150 A KR20070066150 A KR 20070066150A KR 1020050126973 A KR1020050126973 A KR 1020050126973A KR 20050126973 A KR20050126973 A KR 20050126973A KR 20070066150 A KR20070066150 A KR 20070066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rush
motor
support member
di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2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6150A/ko
Publication of KR20070066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1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small size, e.g. portable mini dishwashers for small kitchens, office kitchens, boats, recreational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기 세척기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세척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세척 능력에 대한 신뢰를 얻을 수 있는 간이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과, 받침부재와, 브러쉬부재와,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다.
식기세척기, 브러쉬, 스프링,

Description

간이 식기 세척기 { SIMPLED DISH CLEANER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2 : 저면,
13 : 배출공, 14 : 마개,
15 : 삽입공, 16 : 가이드홈,
20 : 받침부재, 25 : 지지돌기,
26 : 가이드돌기, 30 : 브러쉬부재,
32 : 브러쉬본체, 33 : 상부브러쉬,
34 : 측면브러쉬, 40 : 스프링,
50 : 모터, 60 : 흡착판.
본 발명은 간이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기 세척기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세척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세척 능력에 대한 신뢰 를 얻을 수 있는 간이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사용자가 식기를 직접 초벌 세척을 한 후에, 상기 식기를 세척기에 넣으면 세척기에서 많은 양의 물을 분사 또는 스팀으로 불림을 하고 세정수를 분사하여 세척을 마무리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식기의 모양에 따라 세척 효과가 다르고 사용자가 세척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 사용자들의 신뢰를 얻지 못하였고, 물의 사용량이 많으며, 많은 물을 히팅하여야 하는바 소비전력이 매우 크고, 작동시간이 길며, 가격이 고가여서 소비자들의 소비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비전력이 크므로 식기를 모았다가 한꺼번에 식기를 세척할 수 밖에 없고, 부피가 매우 커 휴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식기세척기의 부피를 줄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물의 사용량과 소비전력이 적으며, 사용시간이 짧고, 식기의 모양에 구애 받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직접 식기를 확인하면서 세척하여 세척능력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간이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간이 식기 세척기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받침부재와; 상기 하우징 또는 받침부재에 장착 된 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쉬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러쉬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브러쉬본체와;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본체의 측면을 감싸며 장착되는 측면브러쉬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러쉬본체의 상부에는 평평한 상부브러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저면은 중심에서 외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이 승강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삽입공이 삽입되는 지지돌기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면 사이에 상기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돌기의 외주 또는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 외주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삽입공 사이에는 패킹부재가 장착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 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간이 식기 세척기는, 하우징(10)과 받침부재(20)와 모터(50)와 브러쉬부재(30)와 스프링(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중공원통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재(20)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10)을 지지한다.
상기 모터(50)는 상기 하우징(10) 또는 받침부재(20)에 장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받침부재(20)에 장착되도록 하였다.
상기 브러쉬부재(3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50)에 의해 회전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받침부재(2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10)에 탄성력을 상기 하우징(10)을 상방향으로 밀고 있다.
상기 브러쉬부재(30)는, 상기 모터(50)의 회전축에 결합된 브러쉬본체(32)와,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본체(32)의 측면을 감싸며 장착되는 측면브러쉬(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브러쉬본체(32)의 상부에는 상부브러쉬(3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한데, 상기 상부브러쉬(33)는 돌출 형성되거나 평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브러쉬(34)와 상기 상부브러쉬(33)는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브러쉬부재(30)는 측면과 상부에 모두 브러쉬(33,34)가 형성되 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저면(12)은 중심에서 외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수용홈(미도시)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데, 이는 상기 하우징(10)에 수용되는 물 또는 이물질 등이 하우징(10)의 중심으로 외주면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하여 모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저면(12)에는 배출공(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배출공(13)은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 인접하게 즉, 상기 하우징(10)의 저면(12) 중 측면과 인접한 가장 아래로 내려온 부분에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공(13)은 하우징(10)에 수용되는 물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배출공(13)은 마개(14)에 의해 개폐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상기 하우징(10)의 저면(12) 중심부에는 삽입공(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재(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삽입공(15)이 삽입되는 지지돌기(25)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0)의 저면(12)과 상기 받침부재(20)의 상부면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40)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지지돌기(25)를 따라 안내되어 승강되고, 상기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은 항상 상방향으로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돌기(25)의 외주에는 방사형으로 가이드돌기(2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의 삽입공(15)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6)에 대응되는 가이드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지지돌기(25)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승강운동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25)의 외주에 가이드홈(16)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삽입공(15) 외주면에 가이드홈(16)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25)와 상기 삽입공(15)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는 물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패킹부재가 장착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20)의 저면(12)에는 흡착판(60)을 장착하여 상기 받침부재(2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20)는 전원장치(미도시)와 스위치(미도시)가 장착되어 상기 모터(50)에 전원을 인가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릇 또는 상기 브러쉬부재(30)에 세제를 바르고 시작함이 바람직하다.
첫번째로 상기 그릇의 직경이 상기 하우징(10)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그릇을 뒤집어 상기 하우징(10)에 안쪽에 넣으면 상기 그릇의 내부에는 상기 브러쉬부재(30)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브러쉬부재(30)를 상기 모터(50)에 의해 회전시키면 상기 측면브러쉬(34) 및/또는 상부브러쉬(33)는 상기 그릇의 표면에 마찰을 일으키며 상기 그릇의 내부를 깨끗이 세척하게 된다.
두 번째로 상기 그릇의 직경이 상기 하우징(10)의 직경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그릇을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올려놓으면 상기 그릇의 무게에 의해 또는 사용자 상기 그릇을 누름으로써 상기 그릇은 상기 하우징(10)을 눌러 상기 하우징(10)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이 하강하게 됨으로 인해 상기 그릇의 내부에는 상기 브러쉬부재(30)가 배치되고, 상기 브러쉬부재(30)를 상기 모터(50)에 의해 회전시키면 상기 측면브러쉬(34) 및/또는 상부브러쉬(33)는 상기 그릇의 표면에 마찰을 일으키며 상기 그릇의 내부를 깨끗이 세척하게 된다.
세 번째로 접시를 세척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접시의 직경이 상기 하우징(10)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접시를 상기 브러쉬부재(30)의 상부브러쉬(33)에 올려놓고 상기 브러쉬부재(30)를 상기 모터(50)에 의해 회전시키면 상기 상부브러쉬(33)가 상기 접시의 표면과 마찰을 일으켜 세척을 하게 된다.
네 번째로 상기 접시의 직경이 상기 하우징(10)의 직경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접시를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올려놓으면 상기 접시의 무게에 의해 또는 사용자 상기 접시을 누름으로써 상기 접시는 상기 하우징(10)을 눌러 상기 하우징(10)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이 하강하게 됨으로 인해 상기 접시는 상기 상부브러쉬(33)와 접하게 되고, 상기 브러쉬부재(30)를 상기 모터(50)에 의해 회전시키면 상기 상부브러쉬(33)는 상기 접시의 표면과 마찰을 일으키며 상기 접시를 깨끗이 세척하게 된다.
따라서, 그릇의 크기 모양 및 접시의 크기 모양에 상관없이 모든 식기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다.
그릇 및 접시 세척 후에는 상기 하우징(10)에 물을 부어 상기 브러쉬부재(30)를 상기 모터(50)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10)과 브러쉬부재(30)를 쉽게 세척할 수 있다.
세척이 완료된 후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를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브러쉬부재(30)를 상기 모터(50)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브러쉬부재(30)에 흡수된 물기를 원심력에 의해 자동 탈수하여 건조시킴으로써 깔끔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브러쉬(34) 및 상부브러쉬(33)가 눌려 있는 경우에는 상기 모터(50)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브러쉬(33,34)를 똑바로 세울 수 있어 그릇과 접시를 더욱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브러쉬(34) 및/또는 상부브러쉬(33)가 마모된 경우에는 상기 브러쉬본체(32)로부터 상기 브러쉬(33,34)를 분리하여 교환함으로써, 쉽게 세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간이 식기 세척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간이 식기 세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우징에 브러쉬부재를 장착하여 이를 모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그릇 및 접시 등을 쉽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의해 상기 브러쉬부재 회전시 물이나 이물질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릇의 크기 모양 및 접시의 크기 모양에 상관없이 모든 식기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다.
둘째, 브러쉬부재를 브러쉬본체와 측면브러쉬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측면브러쉬가 마모된 경우에는 이를 교환함으로써 세척능력을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측면브러쉬는 항상 눌리지 않고 빳빳하게 세워지도록 할 수 있어 마찰에 의한 세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상부브러쉬를 장착함으로써, 그릇이나 접시를 더욱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넷째, 상기 하우징의 저면을 중심에서 외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배출공이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물이나 이물질을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다섯째,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 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이 하강하여도 곧바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위로 올려지도록 할 수 있다.
여섯째, 하우징에 삽입공을 형성하고 받침부재에 지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지돌기를 따라 흔들림없이 용이하게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일곱째,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덟째,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삽입공 사이에 패킹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삽입공과 지지돌기 사이로 물이 이물질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홉째, 물의 사용량이 적고, 소비전력이 매우 작으며, 사용시간이 짧을 뿐만 아니라, 식기모양에 구애 받지 않고 식기의 수량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식기를 확인하면서 세척하므로 신뢰가 높고, 재로비와 조립비 등이 저렴하며, 부피가 작아 휴대가 간편하다.

Claims (8)

  1.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받침부재와;
    상기 하우징 또는 받침부재에 장착된 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기 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브러쉬본체와; 다수의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본체의 측면을 감싸며 장착되는 측면브러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기 세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본체의 상부에는 평평한 상부브러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기 세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은 중심에서 외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 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기 세척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는 스프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기 세척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삽입공이 삽입되는 지지돌기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면 사이에 상기 스프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기 세척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의 외주 또는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 외주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에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기 세척기.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와 상기 삽입공 사이에는 패킹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식기 세척기.
KR1020050126973A 2005-12-21 2005-12-21 간이 식기 세척기 KR20070066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973A KR20070066150A (ko) 2005-12-21 2005-12-21 간이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973A KR20070066150A (ko) 2005-12-21 2005-12-21 간이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150A true KR20070066150A (ko) 2007-06-27

Family

ID=3836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973A KR20070066150A (ko) 2005-12-21 2005-12-21 간이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61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66B1 (ko) * 2011-11-24 2013-06-27 지엔에스티주식회사 식기 세척장치
WO2015069085A1 (ko) * 2013-11-11 2015-05-14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설거지용 세척기
KR20150134052A (ko) * 2014-05-21 2015-12-01 코웨이 주식회사 착즙망 세척용 브러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766B1 (ko) * 2011-11-24 2013-06-27 지엔에스티주식회사 식기 세척장치
WO2015069085A1 (ko) * 2013-11-11 2015-05-14 주식회사 한경희생활과학 설거지용 세척기
KR20150134052A (ko) * 2014-05-21 2015-12-01 코웨이 주식회사 착즙망 세척용 브러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165B1 (ko) 용기 세척기
WO2015100700A1 (zh) 水槽式清洗机
CN108396518B (zh) 一种洗衣机
KR200442414Y1 (ko) 탈부착이 용이한 수세회전체를 가지는 싱크대 설치용 자동식기 세척기
KR20070066150A (ko) 간이 식기 세척기
CN105624965B (zh) 一种洗涤装置
CN109044238A (zh) 一种环形水刷洗鞋机
CN203749366U (zh) 洗碗机
CN105544149B (zh) 一种电机及装有上述电机的洗涤装置
KR101942992B1 (ko) 오목 용기에 대한 애벌 세척이 가능한 싱크대 및 이에 사용되는 애벌 세척기
KR100891197B1 (ko) 쌀 세척기
CN201939303U (zh) 一种洗碗机
KR101292552B1 (ko) 야채 세척 드럼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야채 겸용 식기 세척기
CN108618737A (zh) 一种全自动洗鞋机
CN208465112U (zh) 一种篮球清洗装置
CN209048071U (zh) 喷臂及具有其的洗涤电器
CN218247154U (zh) 一种自动旋转毛刷清洗机
CN112006633A (zh) 一种喷淋臂及其应用
KR970001401Y1 (ko) 그릇세척기(食器洗滌機)
CN217365745U (zh) 一种具有离心升降机构的旋转拖把套装
CN216397339U (zh) 美妆蛋洗涤脱水一体机
CN209770279U (zh) 一种拖把甩干器
CN215899576U (zh) 一种简易式餐具清洗辅助装置
KR200277703Y1 (ko) 전동식 수세미
CN209770281U (zh) 一种拖把甩干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