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5966A -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5966A
KR20070065966A KR1020050126550A KR20050126550A KR20070065966A KR 20070065966 A KR20070065966 A KR 20070065966A KR 1020050126550 A KR1020050126550 A KR 1020050126550A KR 20050126550 A KR20050126550 A KR 20050126550A KR 20070065966 A KR20070065966 A KR 20070065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by board
simultaneous write
standby
write functio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원기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6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5966A/ko
Publication of KR20070065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rocessing functionality is redund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redundant apparatus to increase reliability

Abstract

본원 발명은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탠바이 보드에 대한 동작 상태 감시 기능과 이중화 데이터 동기화 기능들 간의 동작 우선순위에 따른 시간차에 의해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 시에도 동시 쓰기 기능이 정지되어 이중화 절체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 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원 발명의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 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는, 동시 쓰기 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 장치 중 스탠바이 보드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동시 쓰기 기능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바이 보드의 동작상태 정보가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동시 쓰기 기능을 동작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이중화 장치의 이중화 절체를 위한 이중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이중화 데이터의 이중화를 위한 이중화채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교환기, 중계기, 통신 시스템 , 동시 쓰기 이중화 장치

Description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 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A Duplication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restarting the concurrent write function of the paused standby board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기술의 이중화 시스템의 일 실시 예로서의 이동통신 시스템 중 WCDMA의 가입자 보드의 이중화 구조를 가지는 물리정합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액티브 보드와 스탠바이 보드의 제어부에서 구동되는 프로세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이중화 장치에서의 동시 쓰기 기능을 위한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111)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며,
도 4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중화 장치의 요부 블록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이중화 장치에서의 본원 발명에 따르는 이중화 장치의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100: 액티브 보드(Active Board)
20, 200: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
11, 110, 21, 210: 제어부 12, 22: 저장부
50: 이중화채널
120, 220: 물리정합 인터페이스부(Physical Matching Interface)
130, 230: IPC 인터페이스부(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Interface)
13, 23, 150, 250: 이중화채널부
본원 발명은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탠바이 보드에 대한 동작 상태 감시 기능과 이중화 데이터 동기화 기능들 간의 동작 우선순위에 따른 시간차에 의해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 시에도 동시 쓰기 기능이 정지되어 이중화 절체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 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시스템의 교환기, 중계기 등의 장치는 통신 시스템의 장애 발생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보드들을 이중화 구성하고 동시 쓰기 기능을 수행하여 이중화에 필요한 데이터를 동기화시킴으로써 하나의 보 드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이중화 구성된 예비의 보드로 절체를 수행하여 통신 시스템의 정상 동작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이중화 시스템의 일 실시 예로서의 이동통신 시스템 중 WCDMA의 가입자 보드의 이중화 구조를 가지는 물리정합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동시 쓰기 이중화 장치를 구비한 물리정합장치의 액티브(Active) 보드(100)와 스탠바이(Standby) 보드(200)는 각각의 보드(100, 200)를 제어하는 제어부(110, 210)와; STM-1 신호의 정합을 위한 물리정합인터페이스부(120, 220)와; 액티브(Active) 보드(100)와 스탠바이(Standby) 보드(200)를 제어하는 제어부(CPU)(110, 210)와; 직접 메모리 접근 기능에 의해 접속되어 이중화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40, 240)와; 이중화 채널을 통한 액티브(Active) 보드(100)와 스탠바이(Standby) 보드(200) 사이에서의 이중화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이중화채널부(150, 250)와; 상기 액티브(Active) 보드(100) 및 스탠바이(Standby) 보드(200)와 물리정합장치의 스위칭부(2)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IPC인터페이스부(Inter Processor Communication Interface)(130, 230)와; 이중화된 가입자 보드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다른 물리정합장치와 송수신하도록 스위칭제어하는 스위칭부(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도 1의 물리정합장치에서 액티브 보드(100)와 스탠바이 보드(200) 사이의 이중화 절체를 위한 동시 쓰기 기능을 위하여 스탠바이 보드(200)의 제어부(210)는 재동작시에는 스탠바이 러닝 메시지(standby running message)를, 그리고 스탠바이 러닝 메시지(standby running message)를 보낸 후에는 주기적으로 어라이브 신호(alive signal)을 액티브 보드(100)로 전송한다. 액티브 보드(100)의 제어부(110)는 스탠바이 보드(200)의 제어부(210)로부터 전송된 어라이브 신호(alive signal)에 의해 스탠바이 보드(200)의 구동 상태를 확인하여 주기적으로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를 수행하며, 스탠바이 보드(200)의 재 부팅시로서 스탠바이 러닝 메시지(standby running message)를 수신한 경우에는 동시 쓰기 기능을 재동작시킨 후 동시 쓰기(Concurrent Wriet) 및 듀얼카피(Dual copy)를 수행하여 액티브 보드(100)의 변화된 데이터를 이중화 절체 기능을 위하여 스탠바이 보드(200)로 전송하여 스탠바이 보드(200)의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도 2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기능을 위해 액티브 보드(100)와 스탠바이 보드(200)의 제어부(110, 210)에서 구동되는 프로세스(Process)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동시 쓰기 기능을 위하여 상기 액티브 보드(100)의 제어부(110)에는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이하 "dKeepAlive Task"와 병용함)(111)와,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이하 "dLoading Task"와 병용함)(112)가 구동된다. 그리고 스탠바이 보드(200)의 제어부(210)에는 스탠바이 보드 상태 제어 프로세스(이하 "tSwitch Task"와 병용함)(211)가 구동된다.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111)는 주기적으로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200)에서 증가시킨 현재 어라이브 카운트 변수(alive count) 값과 이전의 어라운드 카운터 변수 값을 비교하여 동시 쓰기 정지 (Concurrent Write Stop)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dLoading Task)(112)는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로부터 스탠바이 러닝 메시지(Standby running message)가 수신되면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기능을 재 동작시킨 후 듀얼카피(DualCopy)를 수행한다.
상술한 동작 과정 중 듀얼카피(DualCopy)란 액티브 보드(Active Boardd)(100)가 자신의 저장부(140) 영역의 데이터를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200)의 저장부(240)의 동일한 주소영역에 그대로 복사하는 과정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동작은 액티브 보드(100)가 현재 변경된 저장부(140) 영역의 데이터만을 하드웨어적으로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200)의 저장부(240)의 동일 주소 영역에 동시에 기록하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200)가 초기 부팅되어 동작되면 듀얼카피(DualCopy)를 수행하여 저장부(140, 240)를 동기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탠바이 보드 상태 제어 프로세스(tSwitch Task)(211)는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가 초기 동작하는 경우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의 구동을 알리는 스탠바이 러닝 메시지(Standby running message)를 액티브 보드(100)에 전달하여, 액티브 보드(100)에서 구동되는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dLoading Task)(112)로 하여금 이중화에 필요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Concurrent Write Start)과 듀얼카피(DualCopy)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이중화 장치에서의 동시 쓰기 기능을 위한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111)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의 이중화 장치에서의 동시 쓰기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이중화 장치의 초기 구동시 액티브 보드(100)의 제어부(110)에서 동작하는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111)는 동시 쓰기 제어를 위한 어라이브 카운터 변수(alive ok count)와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를 0으로 설정하는 초기화를 수행한다(S1).
이후 스탠바이 보드(200)의 스탠바이 보드 상태 제어 프로세스(tSwitch Task)(211)는 주기적으로 스탠바이 보드의 동작 상태가 정상임을 알리는 어라이브 신호를 출력한 후 어라이브 카운터 변수(alive count) 값을 증가시킨다.
액티브 보드(100)의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111)는 스탠바이 보드 상태 제어 프로세스(tSwitch Task)(211)로부터 어라이브 신호의 수신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는 어라이브 카운터 변수(alive count) 값을 읽어서 어라이브 카운터 변수(alive count) 값이 증가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S2).
S2 과정의 판단 결과 어라이브 카운터 변수(alive count) 값이 증가된 경우(어라이브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111)는 어라이브 오케이 카운터 변수(alive count) 값을 증가시키고,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를 초기화시킨 후, S2 과정으로 이동하여 처리과정을 반복 수행한다(S3).
이와 달리 상기 S2 과정의 판단 결과 어라이브 카운터 변수(alive ok count) 값이 증가되지 않은 경우(어라이브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111)는 어라이브 오케이 카운터 변수(alive ok count)를 초기화하고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 값을 증가시킨다(S4).
상술한 S4 과정 이후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111)는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 (alive miss count) 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5).
상술한 판단 결과,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 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는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111)는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기능 정지 명령을 출력하여 동시 쓰기 기능을 정지시킨 후 S2 과정으로 이동하여 스탠바이 보드(200)의 재 기동 여부를 감시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과정을 반복 수행한다(S6).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동시 쓰기 이중화 장치에서의 동시 쓰기 기능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스탠바이 보드(200)가 재 동작할 때 이를 알리는 스탠바이 러닝 메시지(standby running message)를 액티브 보드(100)로 전송하면, 액티브 보드(100)의 제어부(110)에서 동작하는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dLoading Task)(112)가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기능을 재 동작시킨 후 듀얼카피(DualCopy)를 수행하여 이중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 과정에서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111)의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에 스탠바이 보드(200)가 어라이브 카운터 변수(alive count) 값을 증가시키기 이전에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111)가 수행되어 어라이브 카운터 변수(alive count) 값의 증가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이때, 어라이브 카운터 변수(alive count) 값이 증가되어 있지 않으므로(어라이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므로)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 값이 초기화되지 않아 기 설정된 특정값인지 판단하게 된다.
이 경우,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가 초기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기 설정된 특정값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 값이 기 설정된 특정값 이상의 값일 때는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111)가 스탠바이 보드(200)가 동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 동작된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기능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 후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스탠바이 보드로부터는 다시 스탠바이 러닝 메시지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동시 쓰기 기능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스탠바이 보드(200)로 이중화를 위한 데이터가 전송되지 못하게 되어 액티브 보드(100)의 장애 발생시 정상적으로 이중화 절체가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술한 종래 기술의 동시 쓰기 이중화 장치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스탠바이 보드(200)의 동작 상태에도 불구하고 동시 쓰기 기능이 정지된 경우 동시 쓰기 기능을 재 동작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가지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문제점은 스 탠바이 보드의 장애 점검 전까지는 해결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탠바이 보드가 재구동된 상태에서 동시 쓰기 기능을 정지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동시 쓰기 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에서 스탠바이 보드가 구동 중에도 동시 쓰기 기능이 정지된 경우 이를 검출하여 동시 쓰기 기능을 재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정상적인 이중화 절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 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 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는, 동시 쓰기 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 장치 중 스탠바이 보드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동시 쓰기 기능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바이 보드의 동작상태 정보가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동시 쓰기 기능을 동작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이중화 장치의 이중화 절체를 위한 이중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이중화 데이터의 이중화를 위한 이중화채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중화 장치를 이루는 액티브 보드의 제어부인 경우, 주기적으로 상기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의 동작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스탠바이 보드가 정상 동작 상태에서 상기 동시 쓰기 기능이 정지되어 있으면 상기 동시 쓰기 기능 동작 명령을 출력하는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와; 상기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로부터 스탠바이 러닝 메시지가 수신되거나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감시 프로세스로부터 동시 쓰기 기능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기능을 동작시킨 후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와 듀얼카피(DualCopy)를 수행하는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감시 프로세스는, 상기 동시 쓰기 정지 출력 상태가 도래한 경우 상기 스탠바이 보드의 동작 상태 정보를 검사하여 상기 스탠바이 보드가 동작 상태이면 상기 동시 쓰기 정지 명령을 출력하지 않고, 상기 스탠바이 보드가 동작 상태가 아니면 상기 동시 쓰기 정지 명령을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감시 프로세스는, 기 지정된 시간마다 상기 스탠바이로부터 구동 신호 수신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기 지정된 시간에 상기 구동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초기화되는 스탠바이 보드 구동 신호 수신 변수와; 상기 기 지정된 시간마다 상기 구동 신호의 미수신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구동 신호의 수신이 있는 경우 초기화되는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카운터 변수와; 상기 기 지정된 시간에 구동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동작으로 설정되고, 상기 구동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초기화되는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 변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중화 장치를 이루는 스탠바이 보드의 제어부인 경우, 상기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가 초기 동작하는 경우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의 구동을 알리는 스탠바이 러닝 메시지(Standby running message)를 액티브 보드의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로 전송하고 주기적으로 어라이브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티브 보드의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로 전송하는 스탠바이 보드 상태 제어 프로세스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듀얼카피(DualCopy)는 액티브 보드(Active Boardd)가 자신의 저장부 영역의 데이터를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의 저장부의 동일한 주소 영역에 그대로 복사하는 것을 말하고, 상기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동작은 액티브 보드가 현재 변경된 저장부 영역의 데이터만을 하드웨어적으로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의 저장부의 동일 주소 영역에 동시에 기록하는 것을 말함은 종래 기술에서와 동일하다.
따라서,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가 초기 부팅되어 동작 상태가 되면 듀얼카피(DualCopy)를 수행하여 액티브 보드와 스탠바이 보드의 저장부를 동기화시킨다. 그리고 이후에는 데이터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동시 쓰기를 수행하여 변경된 데이터를 동기화시킨다.
상기 스탠바이 보드 상태 제어 프로세스는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가 초기 동작하는 경우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의 구동을 알리는 스탠바이 러닝 메시지(Standby running message)를 액티브 보드의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에 전달하고, 액티브 보드에서 구동되는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는 동시 쓰기 기능을 동작시킨 후(Concurrent Write Start)과 듀얼카피(DualCopy) 동작 및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이중화 장치의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 방법은, 동시 쓰기 이중화 장치의 이중화 데이터 동시 쓰기 기능 제어 과정에 있어서, 스탠바이 보드의 동작 상태 정보, 동시 쓰기 제어 정보를 초기화하는 초기화과정과; 상기 스탠바이 보드 구동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와 상기 동시 쓰기 제어 정보의 변수값을 설정하는 변수값 설정 과정과; 상기 변수 값을 조사하여 상기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카운터 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가 동작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가 동작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동시 쓰기가 정지된 경우 동시 쓰기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 쓰기 기능 제어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수값 설정 과정은, 상기 스탠바이 보드 구동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를 동작 또는 정지로 설정하는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변수 설정 과정과; 상기 스탠바이 보드 구동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스탠바이 보드 구동 신호 수신 횟수를 증가시키는 스탠바이 보드 구동 신호 수신 변수 설정 과정과; 상기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카운터 값을 상기 스탠바이 보드 구동 신호가 수신된 경우 초기화하고 수신되지 않은 경우 증가시키는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카운터 변수 설정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시 쓰기 기능 제어 과정은, 상기 동시 쓰기 기능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가 동작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또는 상기 스 탠바이 보드의 재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동시 쓰기 기능을 동작시키는 동시 쓰기 기능 동작 과정과;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가 정지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카운터 변수값이 동시 쓰기 기능 정지를 위해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를 초기화하는 동시 쓰기 기능 정지 과정과;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가 동작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카운터 값이 동시 쓰기 기능 정지를 위해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변수값 설정과정으로 복귀하여 처리과정을 재수행하는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지연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의 설명에서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와,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dLoading Task)와 스탠바이 보드 상태 제어 프로세스(tSwitch Task)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동일한 명칭을 사용한다.
그리고 스탠바이 보드에서 출력되는 스탠바이 구동 신호를 어라이브 신호(alive siganl)로, 스탠바이 보드에서 출력되는 스탠바이 보드 구동 신호(어라이브 신호)(alive singal)를 출력한 후 스탠바이 보드가 증가시키는 변수를 어라이브 카운터 변수(alive count)로, 상기 스탠바이 보드의 재구동 신호를 스탠바이 러닝 신호(standby running signal)로, 스탠바이 보드 구동 신호 수신 변수를 어라이브 오케이 카운터 변수(alive ok count)로, 어라이브 신호 미수신 횟수를 나타내는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카운터 변수를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로,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변수를 어라이브 오케이 스테이터스 변수(alive ok status)로 표시한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중화 장치의 요부 블록 구성도로서, 제어부(11, 21), 저장부(12, 22) 및 이중화 채널부(13, 23)를 구비하여 그 기능에 따라 액티브 보드(10) 또는 스탠바이 보드(20)로 동작할 수 있다.
이중화 장치를 구비한 보드가 액티브 보드(10)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에는 도 1 및 도 2의 설명에서와 같이,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와,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dLoading Task)가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화 장치를 구비한 보드가 스탠바이 보드(20)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1)에는 스탠바이 보드 상태 제어 프로세스(tSwitch Task)가 구동된다.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는 주기적으로 상기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의 동작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스탠바이 보드가 정상 동작 상태에서 상기 동시 쓰기 기능이 정지되어 있으면 상기 동시 쓰기 기능 동작 명령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동시 쓰기 정지 출력 상태가 도래한 경우 상기 스탠바이 보드의 동작 상태 정보를 검사하여 상기 스탠바이 보드가 동작 상태이면 상기 동시 쓰기 정지 명령을 출력하지 않고, 상기 스탠바이 보드가 동작 상태가 아니면 상기 동시 쓰기 정지 명령을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는 어라이브 오케이 카운터 변수(alive ok count)와,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와, 어라이브 오케이 스테이터스 변수(alive ok status)를 관리 하고 제어한다.
즉,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는 스탠바이 보드로부터 어라이브 신호의 수신이 있는 경우 어라이브 오케이 카운터 변수(alive ok count)를 1 증가시키고,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를 초기화하며, 어라이브 오케이 스테이터스 변수(alive ok status)를 동작 상태(본원 발명의 실시 예의 경우 1)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는 스탠바이 보드로부터 어라이브 신호의 수신이 없는 경우에는 어라이브 오케이 카운터 변수(alive ok count)를 초기화하고,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를 1 증가시킨다.
이후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가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한 경우 어라이브 오케이 스테이터스 변수(alive ok status)가 동작 상태(예: 1)로 설정되어 있으면 동시 쓰기 기능 정지 명령을 출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어라이브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이와 달리 ,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가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한 경우 어라이브 오케이 스테이터스 변수(alive ok status)가 동작 상태(예: 1)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동시 쓰기 기능 정지 명령을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dLoading Task)로 출력하여 동시 쓰기 기능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는 어라이브 오케이 스테이터스 변수(alive ok status)가 동작 상태(예: 1)로 설정된 상태에서 동시 쓰기 기능이 정지되어 있으면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dLoading Task)로 동시 쓰기 기능 동작 명령을 출력하여 동시 쓰기 기능을 동작시킨다.
상기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dLoading Task)는 상기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로부터 스탠바이 러닝 메시지(Standby running message)가 수신되거나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로부터 동시 쓰기 기능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기능을 동작시킨 후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와 듀얼카피(DualCopy)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스탠바이 동작 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에서 동시 쓰기 기능 정지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동시 쓰기 기능을 정지시킨다.
이와 달리 이중화 장치를 구비한 보드가 스탠바이 보드(20)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1)에서 동작하는 스탠바이 보드 상태 제어 프로세스(tSwitch Task)는 상기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가 초기 동작하는 경우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의 구동을 알리는 스탠바이 러닝 메시지(Standby running message)를 액티브 보드의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dLoading Task)로 전송하고 주기적으로 어라이브 신호(alive signal)를 생성하여 상기 액티브 보드의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로 전송한다.
도 5는 도 4의 이중화 장치에서의 본원 발명에 따르는 이중화 장치의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이 적용된 이중화 장치에서의 동시 쓰기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이중화 장치의 초기 구동시 액티브 보드(10)의 제어부(11) 에서 동작하는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는 동시 쓰기 기능 제어를 위해 어라이브 카운터 변수(alive ok count)와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 및 어라이브 오케이 스테이터스 변수(alive ok status)를 0으로 설정하는 초기화를 수행한다(S10).
이후 스탠바이 보드(20)의 스탠바이 보드 상태 제어 프로세스(tSwitch Task)는 주기적으로 스탠바이 보드의 동작 상태의 정상임을 알리는 어라이브 신호를 출력하고 어라이브 카운터 변수(alive count) 값을 증가시킨다.
액티브 보드(10)의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는 스탠바이 보드 상태 제어 프로세스(tSwitch Task)로부터 출력되는 어라이브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어라이브 카운터 변수(alive count) 값의 증가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S20).
S20 과정의 판단 결과 어라이브 카운터 변수(alive ok count) 값이 증가된 경우(어라이브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는 어라이브 오케이 카운터 변수(alive ok count) 값을 증가시키고,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를 초기화시키며, 어라이브 오케이 스테이터스 값을 동작 상태로 설정한다. 이 때 스탠바이 보드가 동작임을 나타내는 어라이브 오케이 스테이터스 변수(alive ok status) 값은 1로 설정될 수 있다(S30).
S30 과정 이후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는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기능이 동작 중인지를 판단한다(S40).
S40 과정의 판단 결과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기능이 동작 중이면 S20 과정으로 이동하여 처리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와 달리 S40 과정의 판단 결과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기능이 동작 중이 아니면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dLoading Task)로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기능 동작 명령을 출력하고,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dLoading Task)는 동시 쓰기 기능을 동작시킨 후 스탠바이 보드(20)로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와 듀얼카피(DualCopy)를 수행하여 이중화 데이터를 동기화시킨 후, S20 과정으로 이동하여 처리과정을 반복 수행한다(S50).
이와 달리 상기 S20 과정의 판단 결과 어라이브 카운터 변수(alive ok count) 값이 증가되지 않은 경우(어라이브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는 어라이브 오케이 카운터 변수(alive ok count)를 초기화하고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 값을 증가시킨다(S60).
상술한 S60 과정 이후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는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 (alive miss count) 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고 어라이브 오케이 스테이터스 변수(alive ok status)가 1(동작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70).
S70 과정의 판단 결과,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 값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와,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 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나 어라이브 오케이 스테이터스(alive ok status)가 1이 아닌 경우(정지 상태로 설정된 경우)에는 스탠바이가 구동된 후 어라이브 신호 출력 이전의 상태일 수 있으므로 동시 쓰기 기능 정지 명령을 출력하지 않고, S20 과정으로 이동하여 처리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와 달리 S70 과정의 판단 결과, 어라이브 미스 카운터 변수(alive miss count) 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이고 어라이브 오케이 스테이터스(alive ok status)가 1인 경우에는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는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기능 정지 명령을 출력하고 어라이브 오케이 스테이터스 변수를 초기화한 후 S20 과정으로 이동하여 스탠바이 보드(20)의 재 기동 여부를 감시한 후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이때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dLoading Task)는 동시 쓰기 기능을 정지시킨다(S80).
상술한 본원 발명은 동시 쓰기 이중화 장치에서 스탠바이 보드(20)가 재 기동된 시점에서 스탠바이 러닝 메시지를 출력하여 액티브 보드(10)의 이중화 데이터 제어부(tSwitch Task)에 의해 동시 쓰기 기능이 재 기동된 상태에서 어라이브 신호의 미수신에 의해 어라이브 미수 카운터 변수가 초기화되지 않은 시점에서 액티브 보드(10)의 스탠바이 동작 상태 감시 프로세스(dKeepAlive TASK)가 동시 쓰기 기능의 정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스탠바이 보드의 동작 상태 정보가 정지로 설정된 경우에는 동시 쓰기 기능을 정지하지 않고, 스탠바이 보드의 동작 상태 정보가 동작인 상태에서만 동시 쓰기 정지 명령을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스탠바이 보드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어라이브 신호의 미수신으로 인해 동시 쓰기 기 능이 정지되어 이중화 데이터의 동기화가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본원 발명은 스탠바이 보드로부터 어라이브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시 쓰기 기능이 정지된 경우에는 동시 쓰기 기능을 재실행 시킴으로써 스탠바이 보드가 동작 중임에도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을 재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중화 절체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동시 쓰기 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 장치 중 스탠바이 보드의 동작 상태 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동시 쓰기 기능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바이 보드의 동작상태 정보가 동작 상태인 경우 상기 동시 쓰기 기능을 동작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이중화 장치의 이중화 절체를 위한 이중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이중화 데이터의 이중화를 위한 이중화채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 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중화 장치를 이루는 액티브 보드의 제어부인 경우,
    주기적으로 상기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의 동작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스탠바이 보드가 정상 동작 상태에서 상기 동시 쓰기 기능이 정지되어 있으면 상기 동시 쓰기 기능 동작 명령을 출력하는 스탠바이 보드 동작상태 감시 프로세스와;
    상기 스탠바이 보드(Standby Board)로부터 스탠바이 러닝 메시지(Standby running message)가 수신되거나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감시 프로세스로부 터 동시 쓰기 기능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 기능을 동작시킨 후 동시 쓰기(Concurrent Write)와 듀얼카피(DualCopy)를 수행하는 이중화 데이터 제어 프로세스;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 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감시 프로세스는,
    상기 동시 쓰기 정지 출력 상태가 도래한 경우 상기 스탠바이 보드의 동작 상태 정보를 검사하여 상기 스탠바이 보드가 동작 상태이면 상기 동시 쓰기 정지 명령을 출력하지 않고, 상기 스탠바이 보드가 동작 상태가 아니면 상기 동시 쓰기 정지 명령을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 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감시 프로세스는,
    기 지정된 시간마다 상기 스탠바이로부터 구동 신호 수신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기 지정된 시간에 상기 구동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초기화되는 스탠바이 보드 구동 신호 수신 변수와;
    상기 기 지정된 시간마다 상기 구동 신호의 미수신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구동 신호의 수신이 있는 경우 초기화되는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카운터 변수와;
    상기 기 지정된 시간에 구동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동작으로 설정되고, 상기 구동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초기화되는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 변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 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
  5. 동시 쓰기 이중화 장치의 이중화 데이터 동시 쓰기 기능 제어 과정에 있어서,
    스탠바이 보드의 동작 상태 정보, 동시 쓰기 제어 정보를 초기화하는 초기화과정과;
    상기 스탠바이 보드 구동 신호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와 상기 동시 쓰기 제어 정보의 변수값을 설정하는 변수값 설정 과정과;
    상기 변수 값을 조사하여 상기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카운터 값이 기 설정된 값 이상 수신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가 동작으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가 동작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동시 쓰기가 정지된 경우 동시 쓰기 동작 신호를 출력하는 동시 쓰기 기능 제어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장치의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수값 설정 과정은;
    상기 스탠바이 보드 구동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를 동작 또는 정지로 설정하는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변수 설정 과정과;
    상기 스탠바이 보드 구동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스탠바이 보드 구동 신호 수신 횟수를 증가시키는 스탠바이 보드 구동 신호 수신 변수 설정 과정과;
    상기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카운터 값을 상기 스탠바이 보드 구동 신호가 수신된 경우 초기화하고 수신되지 않은 경우 증가시키는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카운터 변수 설정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장치의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쓰기 기능 제어 과정은,
    상기 동시 쓰기 기능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가 동작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또는 상기 스탠바이 보드의 재구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동시 쓰기 기능을 동작시키는 동시 쓰기 기능 동작 과정과;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가 정지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카운터 변수값이 동시 쓰기 기능 정지를 위해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를 초기화하는 동시 쓰기 기능 정지 과정과;
    상기 스탠바이 보드 동작 상태 정보가 동작으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카운터 값이 동시 쓰기 기능 정지를 위해 기 설정된 값에 도달한 경우 상기 변수값 설정과정으로 복귀하여 처리과정을 재수행하는 동시 쓰기 기능 정지 지연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장치의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 방법.
KR1020050126550A 2005-12-21 2005-12-21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65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550A KR20070065966A (ko) 2005-12-21 2005-12-21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550A KR20070065966A (ko) 2005-12-21 2005-12-21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966A true KR20070065966A (ko) 2007-06-27

Family

ID=3836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550A KR20070065966A (ko) 2005-12-21 2005-12-21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59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217B1 (ko) * 2007-02-15 2008-03-1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Tmo 기반 실시간 분산 메시지 전송 장치
KR20150012782A (ko) * 2013-07-26 2015-02-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dps ecu 타이밍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68874A (ko) * 2013-12-11 2015-06-2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필드버스 이중화 제어기 및 제어 방법
KR20150095064A (ko) * 2014-02-12 2015-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운영 모드 기반 프로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217B1 (ko) * 2007-02-15 2008-03-1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Tmo 기반 실시간 분산 메시지 전송 장치
KR20150012782A (ko) * 2013-07-26 2015-02-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dps ecu 타이밍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68874A (ko) * 2013-12-11 2015-06-2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필드버스 이중화 제어기 및 제어 방법
KR20150095064A (ko) * 2014-02-12 2015-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네트워크 운영 모드 기반 프로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4956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ファームウェア更新方法
JP4585463B2 (ja) 仮想計算機システム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5392594B2 (ja) 仮想計算機冗長化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仮想計算機冗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72591A (ja) 仮想計算機制御方法
JP5217966B2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のアップデート処理プログラム、アップデート処理方法及びストレージシステム
EP2608049B1 (en) Control system and relay apparatus
CN108427609A (zh) 控制器和控制程序更新方法
KR20070065966A (ko) 스탠바이 보드의 구동시 정지된 동시 쓰기 기능 재 동작기능을 가지는 이중화 장치 및 그 방법
JP5287974B2 (ja) 演算処理システム、再同期方法、およびファームプログラム
CN109358982B (zh) 硬盘自愈装置、方法以及硬盘
JP2007280313A (ja) 冗長化システム
JP4816983B2 (ja) ディスクアレイ装置、ディスクアレイ装置における電源制御方法及び電源制御プログラム
JP2000031875A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制御装置ならびに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6911591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H10116261A (ja) 並列計算機システムのチェックポイントリスタート方法
JP2000020336A (ja) 二重化通信システム
JP3812434B2 (ja) ヘルスチエック方式
JP3346670B2 (ja) 中央処理装置の切り替え方法及び切り替えシステム
JP3363579B2 (ja) 監視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JP2017174026A (ja) 情報処理装置
JP2002007220A (ja) 多重化メモリシステム
JPH07200334A (ja) 二重化同期運転方式
JP2002353881A (ja) パケット基地局とその二重化切替時の処理方法
JP2002288000A (ja) 計算機システムの制御方式
KR20050020417A (ko) 다중프로세서시스템의 스탠바이로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